KR20170075261A -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261A
KR20170075261A KR1020150184690A KR20150184690A KR20170075261A KR 20170075261 A KR20170075261 A KR 20170075261A KR 1020150184690 A KR1020150184690 A KR 1020150184690A KR 20150184690 A KR20150184690 A KR 20150184690A KR 20170075261 A KR20170075261 A KR 20170075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lug
gate groove
shift
stag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828B1 (ko
Inventor
권민석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8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8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20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20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 F16H2063/204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the gear shift lever being the immediate final actuating mechanism, e.g. the shift finger being a part of the gear shift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3Shift finger arrangements, e.g. shape or attachment of shift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터록플레이트(30)에 R/1러그(41)의 R단러그(41a)가 삽입될 수 있는 R단게이트홈(32b)과, 1단러그(41b)가 삽입될 수 있는 1단게이트홈(32a)이 서로 이웃한 열에 각각 형성되고, 콘트롤핑거(21)는 R단게이트홈(32b)과 1단게이트홈(32a)의 폭 방향 길이 전체를 가로지르는 폭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노브 패턴은 R단과 1단을 다른 게이트로 구성할 수 있고 시프트레일은 R단과 1단을 하나의 레일로 공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Shifting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브 패턴의 게이트 수 보다 적은 수의 시프트레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변속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된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동변속기는 운전자의 변속레버 조작이 셀렉트케이블과 시프트케이블을 통해 셀렉트레버와 시프트레버를 조작하게 되고, 이에 셀렉트레버에 의해 콘트롤핑거가 러그 사이를 이동하여 셀렉팅이 이루어지며 시프트레버에 의해 콘트롤핑거가 러그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러그가 장착된 시프트레일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시프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변속 가능 단이 홀수의 전진 변속단과 하나의 후진 변속단으로 구성된 경우 통상 노브 패턴에서 하나의 게이트는 전진 단과 후진 단이 같이 배치된다.
그러나 이 경우 노브 오조작 등에 의해서 운전자가 후진할 의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노브가 R단으로 조작되어 후진 변속이 이루어짐으로써 사고 유발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R단을 별도의 게이트에 따로 배치하여 R단 변속을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의 셀렉팅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R단 변속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게이트 수 증가에 따라 시프트레일의 수가 증가하므로 즉, R단 시프트레일과 별도로 기존에 R단과 동일한 시프트레일을 쓰던 변속단(통상 1단) 전용의 시프트레일이 추가로 사용됨으로써 변속기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크기도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1단과 R단을 별도의 게이트로 구성하면서도 하나의 시프트레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고 변속기의 구성은 컴팩트해질 수 있도록 된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프트레버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콘트롤샤프트와, 상기 콘트롤샤프트에 원주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셀렉트레버에 연결되어 콘트롤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외주 일측면에 콘트롤핑거가 돌출 형성된 콘트롤핑거부재와, 상기 콘트롤샤프트에 설치되어 콘트롤핑거부재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되는 인터록플레이트와, R/1시프트레일과 그 R/1시프트레일에 장착된 R/1러그와, 2/3시프트레일과 그 2/3시프트레일에 장착된 2/3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플레이트에 상기 R/1러그의 R단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R단게이트홈과 1단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1단게이트홈이 서로 이웃한 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콘트롤핑거는 R단게이트홈과 1단게이트홈의 폭 방향 길이 전체를 가로지르는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R/1러그와 2/3러그는 양자의 사이에 다른 러그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는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상기 인터록플레이트에 1단게이트홈의 횡방향 외측으로 1단러그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1단게이트와 제1걸림부의 반대쪽에는 R단러그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4걸림부가 1단게이트홈과 제1걸림부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인터록플레이트에 1단게이트홈의 횡방향 내측으로 1단러그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고, 제2걸림부와 같은 열의 반대쪽에 R단러그가 삽입되는 R단게이트홈이 형성된다.
상기 인터록플레이트에 제2걸림부의 일측에 2/3러그의 3단러그가 삽입되는 3단게이트홈이 형성되고, 3단게이트홈과 같은 열의 반대쪽에 2단러그가 삽입되는 2단게이트홈이 형성되며, 2단게이트홈은 상기 R단게이트홈과 연결된다.
상기 인터록플레이트에 상기 3단게이트홈과 2단게이트홈의 일측에 각각 상기 3단러그와 2단러그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3걸림부와 제5걸림부가 형성되고, 제3걸림부와 제5걸림부는 2개 게이트의 폭에 해당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터록플레이트는 양쪽 측판에 원형홀이 형성되어 그 원형홀에 콘트롤샤프트가 삽입되는 상태로 콘트롤샤프트에 설치되고, 설치 상태에서 상기 양쪽 측판의 사이에 상기 콘트롤핑거부재가 위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노브 패턴에서는 1단과 R단이 서로 다른 게이트로 분리 배치됨으로써 운전자의 오조작 및 외력에 의한 의도치 않은 조작에 의해 R단 변속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게 감소하여 불시의 R단 변속에 따른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크게 감소된다.
또한, 변속기에서는 R단 시프트레일과 1단 시프트레일이 개별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R/1단 시프트레일 하나만 사용됨으로써 사용 시프트레일의 수가 감소되어 변속기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크기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패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레일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변속 조작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콘트롤핑거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서 셀렉트레버와 콘트롤핑거부재 및 콘트롤아암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인터록플레이트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6은 변속레버의 1단 게이트 셀렉트시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조작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변속레버의 R단 게이트 셀렉트시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조작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변속레버의 2/3단 게이트 셀렉트시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조작 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패턴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노브 패턴은 R단 게이트와 1단 게이트가 서로 이웃하되 각각 별개의 게이트를 형성하고, 2/3단 게이트가 하나의 게이트를 공유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변속단수가 증가할 경우 상기 2/3단 게이트 우측으로 3/4단, 5/6단 게이트를 추가로 마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레일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동변속기는 상기와 같이 R단 게이트, 1단 게이트, 2/3단 게이트의 3개 게이트가 마련되지만 시프트레일은 R/1시프트레일(40)과 2/3시프트레일(50)의 2개 시프트레일만 사용된다. 변속단수가 증가할 경우 3/4시프트레일, 5/6시프트레일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에서 노브 패턴의 조작 방향과 시프트레일의 작동 방향 위치가 다른 것은 변속레버 조작이 셀렉트케이블 셀렉트레버, 시프트케이블과 시프트레버, 콘트롤핑거부재(콘트롤핑거가 형성된 슬라이딩부재)를 경유하면서 좌우 및 상하 방향이 역전되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변속 조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콘트롤핑거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셀렉트레버와 콘트롤핑거부재 및 콘트롤아암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인터록플레이트의 설치 상태 정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는, 시프트레버(4)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콘트롤샤프트(10)와, 콘트롤샤프트(10)에 원주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셀렉트레버(6)에 연결되어 콘트롤샤프트(10)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콘트롤핑거부재(20)와, 콘트롤샤프트(10)에 설치되어 상기 콘트롤핑거부재(20)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되는 인터록플레이트(30)와, R/1시프트레일(40)에 장착된 R/1러그(41)와, 2/3시프트레일(50)에 장착된 2/3러그(51)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플레이트(30)에 상기 R/1러그(41)의 R단러그(41a)가 삽입될 수 있는 R단게이트홈(32b)과, 1단러그(41b)가 삽입될 수 있는 1단게이트홈(32a)이 서로 이웃한 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콘트롤핑거(21)는 R단게이트홈(32b)과 1단게이트홈(32a)의 폭 방향 길이 전체를 가로지르는 폭(W)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1시프트레일(40)과 2/3시프트레일(50)은 서로 근접하여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콘트롤샤프트(10)에 대해서는 직교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R/1시프트레일(40)과 2/3시프트레일(50)에는 각각 R/1러그(41)와 2/3러그(51)가 고정 장착되며, R/1러그(41)에는 R단러그(41a)와 1단러그(41b)가 돌출 형성되고, 2/3러그(51)에는 2단러그(51a)와 3단러그(51b)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R/1러그(41)와 2/3러그(51)는 인터록플레이트(30)의 내부에 배치되며, R/1러그(41)와 2/3러그(51)는 양자의 사이에 다른 러그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는 정도의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상기 콘트롤핑거(21)는 R단 게이트와 1단 게이트 사이에서 어느 한쪽 게이트 방향으로 이동(셀렉트시의 이동)하여도 여전히 R/1러그(41)의 R단러그(41a)와 1단러그(41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폭(W)을 갖는다.
즉, 콘트롤핑거부재(20)가 R단 게이트로 이동하거나 1단 게이트로 이동하거나에 상관없이 콘트롤핑거(21)는 R단러그(41a)와 1단러그(41b)중 어느 하나를 시프팅할 수 있는 폭(W)을 갖는 것이다.
콘트롤핑거부재(20)는 콘트롤샤프트(10)가 관통할 수 있는 원통형의 바디 일측부에 러그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판 형상의 상기 콘트롤핑거(21)가 형성되고, 바디의 타측부에는 셀렉트레버(6)의 단부에 걸려져서 콘트롤핑거부재(20)를 콘트롤샤프트(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셀렉팅 방향)시킬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셀렉트레버걸림단(22)이 형성된다.
콘트롤핑거부재(20)는 콘트롤샤프트(10)에 원주 방향으로는 구속되어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4)가 당겨져서 콘트롤샤프트(10)가 회동되면 동시에 함께 회동된다.
상기 인터록플레이트(30)는 양쪽 측판(31)에 원형홀(31a)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원형홀에 콘트롤샤프트(10)가 관통 설치된다. 즉, 상기 원형홀(31a)에 콘트롤샤프트(10)가 삽입되는 상태로 인터록플레이트(30)가 콘트롤샤프트(10)에 장착된다.
설치 상태에서 콘트롤핑거부재(20)는 상기 양쪽 측판(31)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셀렉트레버(6)에 의해 콘트롤핑거부재(20)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인터록플레이트(30)도 함께 슬라이딩 이동한다.
인터록플레이트(30)의 러그 이동방향의 일단(도 5에서 상측 단부)에는 1단러그(41b)가 이동하여 삽입될 수 있는 1단게이트홈(32a)이 형성되고, 1단게이트홈(32a)과 소정 간격(R단게이트홈(32b)의 폭에 해당) 이격되어 3단게이트홈(32c)이 형성된다.
또한 인터록플레이트(30)의 러그 이동방향의 타단(도 5에서 하측 단부)에는 상기 1단게이트홈(32a)이 형성된 열의 이웃한 열에 R단게이트홈(32b)이 형성되고, 그 R단게이트홈(32b)과 연이어 2단게이트홈(32d)이 형성된다.
즉, R단게이트홈(32b)과 2단게이트홈(32d)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2단게이트홈(32d)은 3단게이트홈(32c)와 동일한 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터록플레이트(30)에는 러그의 이동을 차단하는 다수의 걸림부가 형성된다. 상기 러그 이동방향의 일단에는 1단게이트홈(32a)의 횡방향 외측부에 1단러그(41b)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1걸림부(33a)가 형성되고, 1단게이트홈(32a)과 3단게이트홈(32c)의 사이에는 상기 1단러그(41b)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2걸림부(33b)가 형성되며, 상기 3단게이트홈(32c)의 외측에는 3단러그(51b)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3걸림부(33c)가 형성된다. 상기 제3걸림부(33c)는 2개의 게이트 폭에 해당하는 폭을 가지도록 넓게 형성된다.
또한 인터록플레이트(30)의 러그 이동방향의 타단 일측에는 R단러그(41a)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4걸림부(33d)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2단러그(51a)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5걸림부(33e)가 형성된다. 상기 제4걸림부(33d)와 제5걸림부(33e)는 2개의 게이트에 해당되는 폭으로 넓게 형성된다.
이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은 변속레버의 1단 게이트 셀렉트시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조작 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변속레버가 1단 게이트에 있을 때 콘트롤핑거(21)의 일측 단부가 R/1러그(41)로 삽입(R단러그(41a)와 1단러그(41b) 사이로 삽입)되고 인터록플레이트(30)는 1단게이트홈(32a)이 R/1러그(41)와 동일한 열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즉, 1단러그(41b)가 1단게이트홈(32a)으로 삽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1단 변속을 위해 노브 패턴대로 변속노브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면 콘트롤핑거(21)가 상방으로 회동되면서 1단러그(41b)를 밀어 줌으로써 R/1러그(41)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1단게이트(32a)로 삽입된다. 이때 R/1시프트레일(40)이 1단 위치로 시프팅되면서 1단 변속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는 R단러그(41a)가 제4걸림부(33d)에 의해 차단되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R/1시프트레일(40)이 R단 위치로 시프팅될 수 없어 R단 변속이 방지된다.
즉 변속레버가 1단 게이트에 있을 때는 1단 변속만 가능하고 R단 변속은 불가능한 상태가 구현된다.
도 7은 변속레버의 R단 게이트 셀렉트시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조작 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운전자가 도 6의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R단 게이트로 셀렉트하면 콘트롤핑거(21)와 인터록플레이트(30)는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R/1러그(41)가 R단게이트홈(32b)과 동일한 열에 위치되고 콘트롤핑거(21)는 그 폭(W)이 넓으므로 여전히 R단러그(41a)와 1단러그(41b)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앞쪽으로 밀면 콘트롤핑거(21)가 도면상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R단러그(41a)를 당겨주고, 이에 R/1러그(41)가 R단게이트홈(32b)으로 삽입되면서 R/1시프트레일(40)이 R단 위치로 시프팅됨으로써 R단 변속이 이루어진다.
이때는 1단러그(41b)가 제2걸림부(33b)에 의해 차단되어 있어서 R/1시프트레일(40)이 1단 변속 위치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1단 변속이 방지된다. 따라서 변속레버의 R단 셀렉트시에는 R단 변속만이 가능하고 1단 변속은 불가능한 상태가 구현된다.
또한, 도 6, 도 7에서와 같이, R단 변속과 1단 변속이 이루어지는 동안 2/3시프트레일(50)의 2/3러그(51)는 제3걸림부(33c)와 제5걸림부(33e)에 의해 상하 방향이 모두 차단되어 있다. 이와 같이 2/3러그(51)의 이동이 차단되어 R단과 1단 변속 작동 동안 2/3시프트레일(50)의 시프팅은 근본적으로 불가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8은 변속레버의 2/3단 게이트 셀렉트시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조작 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이때 콘트롤핑거(21)와 인터록플레이트(30)는 도 6의 상태에서 2/3러그(51)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콘트롤핑거(21)는 2/3러그(51)의 2단러그(51a)와 3단러그(51b) 사이로 삽입되고, 인터록플레이트(30)의 2단게이트홈(32d)과 3단게이트홈(32c) 및 2/3러그(51)는 같은 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변속레버가 2단 변속을 위해 앞으로 밀리면 콘트롤핑거(21)가 도면 기준으로 하향 회동하면서 2단러그(51a)를 당김으로써 2/3러그(51)가 2단게이트홈(32d)으로 삽입되고, 이때 2/3시프트레일(50)이 2단 위치로 시프팅되어 2단 변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변속레버가 3단 변속을 위해 당겨지면 콘트롤핑거(21)가 도면 기준으로 상향 회동하면서 3단러그(51b)를 밀게 되어 2/3러그(51)가 3단게이트홈(32c)으로 삽입되고, 이때 2/3시프트레일(50)이 3단 위치로 시프팅되어 3단 변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콘트롤핑거(21)는 R/1러그(40)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와 있고 R/1러그(40)는 제1걸림부(33a)와 제4걸림부(33d)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R/1시프트레일(40)은 R단 위치 및 1단 위치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 상태가 견고히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노브 패턴에서는 R단과 1단이 서로 다른 게이트로 분리 배치되고, 실제 R단과 1단의 변속 작동을 유도하는 시프트레일은 R/1시프트레일 하나만 사용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오조작 및 외력에 의한 의도치 않은 조작에 의해 R단 변속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게 감소하여 불시의 R단 변속에 따른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크게 감소된다.
또한, 변속기 전체의 시프트레일 수가 감소됨으로써 변속기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크기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4 ; 시프트레버 6 : 셀렉트레버
10 : 콘트롤샤프트 20 : 콘트롤핑거부재
21 : 콘트롤핑거 22 : 셀렉트레버걸림단
30 : 인터록플레이트 31 : 측판
31a : 원형홀 32a : 1단게이트홈
32b : R단게이트홈 32c : 3단게이트홈
32d : 2단게이트홈 33a : 제1걸림부
33b : 제2걸림부 33c : 제3걸림부
33d : 제4걸림부 33e : 제5걸림부
40 : R/1시프트레일 41 : R/1러그
41a : R단러그 41b : 1단러그
50 : 2/3시프트레일 51 : 2/3러그
51a : 2단러그 51b : 3단러그

Claims (7)

  1. 시프트레버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콘트롤샤프트와,
    상기 콘트롤샤프트에 원주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셀렉트레버에 연결되어 콘트롤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외주 일측면에 콘트롤핑거가 돌출 형성된 콘트롤핑거부재와,
    상기 콘트롤샤프트에 설치되어 콘트롤핑거부재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되는 인터록플레이트와,
    R/1시프트레일과, 그 R/1시프트레일에 장착된 R/1러그와,
    2/3시프트레일과, 그 2/3시프트레일에 장착된 2/3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플레이트에 상기 R/1러그의 R단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R단게이트홈과, 1단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1단게이트홈이 서로 이웃한 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콘트롤핑거는 R단게이트홈과 1단게이트홈의 폭 방향 길이 전체를 가로지르는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1러그와 2/3러그는 양자의 사이에 다른 러그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는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플레이트에 1단게이트홈의 횡방향 외측으로 1단러그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1단게이트와 제1걸림부의 반대쪽에는 R단러그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4걸림부가 1단게이트홈과 제1걸림부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플레이트에 1단게이트홈의 횡방향 내측으로 1단러그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고, 제2걸림부와 같은 열의 반대쪽에 R단러그가 삽입되는 R단게이트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플레이트에 제2걸림부의 일측에 2/3러그의 3단러그가 삽입되는 3단게이트홈이 형성되고, 3단게이트홈과 같은 열의 반대쪽에 2단러그가 삽입되는 2단게이트홈이 형성되며, 2단게이트홈은 상기 R단게이트홈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플레이트에 상기 3단게이트홈과 2단게이트홈의 일측에 각각 상기 3단러그와 2단러그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3걸림부와 제5걸림부가 형성되고, 제3걸림부와 제5걸림부는 2개 게이트의 폭에 해당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플레이트는 양쪽 측판에 원형홀이 형성되어 그 원형홀에 콘트롤샤프트가 삽입되는 상태로 콘트롤샤프트에 설치되고, 설치 상태에서 상기 양쪽 측판의 사이에 상기 콘트롤핑거부재가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1020150184690A 2015-12-23 2015-12-23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10179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90A KR101797828B1 (ko) 2015-12-23 2015-12-23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90A KR101797828B1 (ko) 2015-12-23 2015-12-23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261A true KR20170075261A (ko) 2017-07-03
KR101797828B1 KR101797828B1 (ko) 2017-11-14

Family

ID=5935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690A KR101797828B1 (ko) 2015-12-23 2015-12-23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676A1 (ko) * 2018-12-27 2020-07-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184A (ja) 2001-05-10 2002-11-27 Honda Motor Co Ltd 手動変速機
GB2384534A (en) 2002-01-25 2003-07-30 Eaton Corp Interlock arrangement in multi-gear transmission
JP2006029507A (ja) * 2004-07-20 2006-02-02 Toyota Motor Corp 手動変速機のシフトゲート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676A1 (ko) * 2018-12-27 2020-07-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구
CN113167380A (zh) * 2018-12-27 2021-07-23 现代坦迪斯株式会社 用于车辆的变速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828B1 (ko) 201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170B2 (en) Centering spring apparatus for a transmission shift control mechanism
KR101797828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US20210010590A1 (en) Shifting actuator for transmission
US20090320635A1 (en) Transmission
KR101397591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CN101563557B (zh) 用于车辆变速器的换挡装置
US20090293662A1 (en) Transmission
US9371907B2 (en) Shift rail inhibitor mechansim for a transmission
KR101023481B1 (ko) 트랙터의 변속장치
KR101496566B1 (ko) 수동변속기의 이중 치합 방지장치
KR101514898B1 (ko) 오조작 방지를 위한 자동변속기 어셈블리
KR101519242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KR101283597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20150124204A (ko) 차량용 변속기의 단일 시프트 레일 변속기구
KR20140039500A (ko) 변속기의 기어 변속장치
KR20100007298U (ko) 수동변속기의 셀렉팅 조작감 개선 장치
KR20200081573A (ko) 차량용 변속기구
KR10139404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1714656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오작동 방지 장치
KR100705138B1 (ko) 버스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 어셈블리
KR101414952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US10704683B2 (en) Gear selector
KR100489394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BR102015019717A2 (pt) unidade de embreagem para uma transmissão de veículo automática com uma pluralidade de transmissões parciais com dispositivo de travamento
JP2008261360A (ja) 後進段用アイドラギヤの移動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