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357A -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357A
KR20170074357A KR1020150183508A KR20150183508A KR20170074357A KR 20170074357 A KR20170074357 A KR 20170074357A KR 1020150183508 A KR1020150183508 A KR 1020150183508A KR 20150183508 A KR20150183508 A KR 20150183508A KR 20170074357 A KR20170074357 A KR 20170074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holder
vehicle
ge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483B1 (ko
Inventor
안성제
신정은
장석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3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483B1/ko
Priority to EP16879208.3A priority patent/EP3393858B1/en
Priority to PCT/KR2016/014067 priority patent/WO2017111341A1/en
Priority to US15/388,661 priority patent/US9960800B2/en
Publication of KR2017007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 동작으로 대쉬보드 패널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하단에 부착되어, 이동 단말기의 상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이동 단말기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차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회동 동작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radle Assembly available to connect with Portable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멀티 기능이 차량의 영역으로도 영향을 미쳐, 차량의 고유 기능인 주행 기능을 넘어서서, 승객(운전자 포함)들에게 보다 편안하게 안전 주행주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그러나, 차량 내부에는 셀 수 없이 많은 다양한 기능 동작부들이 구비되어 있어 이동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크래들 어셈블리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존 네비게이션 장치나 블랙박스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이 운전석과 조수석의 전방 대쉬보드 패널 주변에 설치되어 차실 전방부가 혼잡하여 안전 주행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가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주행 중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여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행 중에도 안전하게 이동 단말기를 활용하도록 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 단말기크래들 어셈블리는, 회동 동작으로 대쉬보드 패널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하단에 부착되어, 이동 단말기의 상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이동 단말기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차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회동 동작 가능 여부가 결정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인증된 이동 단말기만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이동 단말기를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장착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가 차량 모드로 전환되어 주행에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만 이용할 수 있어 안전 운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를 장착 및 연동시킬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이동 단말기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수용 공간을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커버부로 수용 공간을 닫는 경우, 미관을 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가 포함된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락킹부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킹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거치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제1 상태를 예시하고, 제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제2 상태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힌지부에서 제공되는 회동 탄성력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포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에 형성되는 홀 및 홀커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차량 모드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팝업 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폐쇄 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도 21 및 도 22를 통해 참조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팝업 시 및 폐쇄 시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구성 중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도 24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부 및 배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도 24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구성 중 락킹부를 나타낸 단면도 및 상세도이다.
도 27a 및 도 27b는 도 21의 구성 중 커버부(1110)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연결 관계 및 작동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도 21의 구성 중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와 가이드부(1140)의 연결 관계 및 작동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9는 이동 단말기(20)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 간 정위치 홀더부(1160,117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1의 구성 중 멀티 케이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1은 차량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 간 전원 연결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에 차량용 이동 단말기 크래들 어셈블리의 위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좌측은 차량의 차량의 직진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우측은 차량의 직진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전진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후방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후진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사용되는 하방은 지면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상방은 하방과 반대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어태치부의 전면은 차량의 후방을 향한 면을 가리키고, 배면은 차량의 전방을 향한 면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2FR,12FL,12RL,..), 차량(1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11), 및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차량(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대쉬 보드 일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단말기(20)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포함되는 연결 포트를 통해, 차량(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포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연결 포트일 수 있다.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와 차량(10)은 신호,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호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이동 단말기(20)에 이동 단말기(20)를 제어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차량(10)에 차량(10)을 제어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가 차량(10)에 연결되는 경우, 차량(10)은 이동 단말기(20)에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10)에 연결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차량(1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는, 차량용 애플리케이션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은,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차계부 애플리케이션,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 공조 애플리케이션, AV(Audio Vedeo) 애플리케이션, 주행 기록 애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가 차량용으로 전환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UI가 전환될 수 있다. 전환되는 UI는 차량 전용 UI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커버부(200), 고정부(300), 지지부(400), 제1 힌지(510), 제2 힌지(520), 락킹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00)는, 회동 동작으로 대쉬보드 패널(30)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40)을 개폐할 수 있다.
커버부(200)는 제1 방향으로 회동되어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커버부(200)는 제2 방향으로 회동되어 폐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은 상방을 향하고, 제2 방향은 하방을 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대쉬보드 일 영역에 배치된 버튼(60)을 이용하여, 커버부(200)를 개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커버부(200)를 자동 개방, 폐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스텝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장치는, 모터 또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구동 장치는, 사용자 버튼(60) 조작에따라, 커버부(200)를 자동 개방, 폐쇄할 수 있는 구동력을 커버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의 크기가 충분히 작은 경우, 이동 단말기(20)는, 수용 공간(40)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가 스마트 폰 또는 소형 태블릿 PC인 경우, 수용 공간(40)에 수용될 수 있다. 이경우,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주행 중 이동 단말기(20)가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를 보기 편하도록 이동 단말기(20)를 거치 지지하고, 이동 단말기(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20)를 수용 공간(40)에 수용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20)의 크기가 충분히 큰 경우, 이동 단말기(20)는 수용 공간(40)에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가 대형 태블릿 PC인 경우, 수용 공간(40)에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경우,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주행 중 이동 단말기(20)가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를 보기 편하도록 이동 단말기(20)를 거치 지지할 수 있으나, 이동 단말기(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20)를 수용 공간(40)에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부(200)는, 대쉬보드 패널(30)의 외관 재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40)은 이동 단말기(20)가 충분히 수용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20)가 수용 공간(40)에 수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경우에도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이동 단말기(20)를 거치, 지지할 수 있다.
수용 공간(40)은, 이동 단말기 외에 다른 물건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용 공간(40)은 캐비닛(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비닛(50)은 대쉬 보드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제1 힌지부(510)는 커버부(200)와 캐비닛(50)의 결합을 매개할 수 있다. 제1 힌지부(510)는, 커버부(200)의 일단과, 캐비닛(50)의 일단을 연결하여, 커버부(200) 타단이 회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힌지부(520)는, 지지부(400)와 캐비닛(50)의 결합을 매개할 수 있다. 제2 힌지부(520)는, 지지부(400)의 일단과, 캐비닛(50)의 타단을 연결하여, 지지부(400)의 타단이 회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0)는, 이동 단말기(20)가 차량(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회동 동작 가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커버부(200)는, 락킹부(600) 동작에 따라 회동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가 차량(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락킹부(600)는, 커버부(60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600)는, 락킹부(600)의 동작에 따라 회동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이경우, 이동 단말기(20)는 인증된 이동 단말기(2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에는, 차량(10)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이고, 차량(10)은 애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로 이동 단말기(20)를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차량(10)은, 이동 단말기(20) PIN 코드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20)를 인증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커버부(200)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부(300)는, 이동 단말기(20)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200)의 상단과 하단은, 지면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의 바디에서 지면과 먼 지점을 상단으로 지면과 가까운 지점을 하단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무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300)에 포함된 홀더부(310)는, 가이드부(320)를 통해 무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200)는, 상하로 무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00)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부(400)는, 이동 단말기(20)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400)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힌지부(510)는, 커버부(20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힌지부(510)는, 커버부(200)의 타단부 회동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부(200)의 개방 회동 및 폐쇄 회동시에, 커버부(200)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1 힌지부(510)를 기준으로 커버부(200)의 타단부가 상하로 회동될 수 있다.
제1 힌지부(510)는, 수용 공간(40)의 전방부 상단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힌지부(510)는, 커버부(200)가 회동되도록 캐비닛(50)의 전방부 및 커버부(200)의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커버부(200) 폐쇄 회동시 대시보드 패널(30)과 더욱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전방부는, 대쉬보드 패널(30)을 기준으로 전방 윈드 쉴드 글라스가 구비되는 방향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힌지부(510)는, 제1 스탭 모터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스텝 모터는 구동되어 커버부(200)의 회동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힌지부(510)는, 커버부(200)의 타단부가 제1 방향으로 탄성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힌지부(510)는, 탄성체(도 5의 51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는, 제1 힌지부(510)에 제1 방향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탄성체의 구체적인 탄성력의 가변 및 조절 방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의 제공 방향 및 탄성력의 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공지 기술이 동원될 수 있다.
제2 힌지부(520)는, 지지부(40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힌지부(520)는, 지지부(400)의 타단부 회동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400)의 회동시에, 지지부(400)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2 힌지부(520)를 기준으로 지지부(400)의 타단부가 상하로 회동될 수 있다.
제2 힌지부(520)는, 수용 공간(4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후방부는, 대쉬보드 패널(30)을 기준으로 운전석 및 조수석이 구비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힌지부(520)는, 지지부(400)가 회동되도록 캐비닛(50)의 후방부 및 지지부(200)의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힌지부(520)는 이동 단말기(2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일체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제2 힌지부(520)에 포함되는 안착부는 지지부(4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힌지부(520)에 안착홈이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경우, 측면에서 바라본 제2 힌지부(520)의 외경은 이동 단말기(20)가 안착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힌지부(520)는, 제2 스탭 모터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스탭 모터는 구동되어 지지부(400)의 회동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힌지부(520)는, 지지부(400)의 타단부가 제3 방향으로 탄성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힌지부(520)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는, 제2 힌지부(520)에 제3 방향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탄성체의 구체적인 탄성력의 가변 및 조절 방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의 제공 방향 및 탄성력의 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기술이 동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힌지부(520)가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를 통해, 이동 단말기(20)가 거치된 상태에서, 거치가 해제되는 경우, 전방 하향으로 이동 단말기(20)가 천천히 눕혀져, 이동 단말기(20)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 도출될 수 있다.
락킹부(600)는, 커버부(20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가 차량(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락킹부(600)는, 커버부(200)가 제1 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락킹부(600)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락킹부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킹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락킹부(600)는, 이동 단말기(20)가 차량(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커버부(20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락킹부(600)는, 기어(610), 기어 걸림단(620), 구동부(630), 동력 전달부(640),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one way clutch bearing)(6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610)는, 고정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기어(610)는, 내주에 제1 힌지부(510)가 관통되고, 외주에 복수의 치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610)는, 한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고, 다른 방향으로 슬립 현상이 일어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어(610)와 제1 힌지부(510)사이에 원 웨이 클러치 베어링(650)이 배치될 수 잇다.
예를 들면, 복수의 치 중 하나(611)가 기어 걸림단(620)에 걸리는 경우, 기어(610)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기어(610)가 고정됨에 따라, 제1 힌지(510)도 고정될 수 있다. 제1 힌지(510)가 고정됨에 따라 커버부(200)의 일방향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경우, 커버부(200)는, 제1 방향 방향으로의 회동은 제한되고, 제2 방향으로의 회동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방향은 커버부(200)가 개방되도록 회동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은 커버부(200)기 폐쇄되도록 회동되는 방향일 수 있다.
기어 걸림단(620)은, 기어(610)에 형성된 복수의 치 중 어느 하나(610)에 걸림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기어 걸림단(620)는, 복수의 치 중 어느 하나(611)를 걸 수 있도록, 걸림부(621)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621)는, 복수의 치 중 어느 하나(611)를 상하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부(621)는, 기어(610)를 향해 절곡된 절곡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걸림단(620)는, 구동부(630)에서 제공되는 무빙 동력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무빙될 수 있다.
기어 걸림단(620)은, 랙기어(622)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622)는, 동력 전달부(640)와 치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기어 걸림단(620)는, 구동부(630)에서 제공되는 무빙 동력을 랙기어(622)에 의해 전달 받을 수 있다. 기어 걸림단(620)은 무빙 동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무빙될 수 있다.
구동부(630)는, 기어 걸림단(620)에 무빙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630)는, 차량(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ECU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1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63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30)는, 차량(10)에 포함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구동부(630)는, 이동 단말기(20)가 차량(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가 인증되는 경우, 차량(1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가 차량(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차량(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이동 단말기(20)의 인증을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은, 이동 단말기(20)에 차량(10)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었는지 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인증은, 이동 단말기(20)의 PIN 코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된 경우, 구동부(630)는, 차량(1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와 차량(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의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구동부(630)는, 무빙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무빙 동력은, 동력 전달부(640)를 통해, 기어 걸림단(620)에 제공될 수 있다. 기어 걸림단(620)은 수평 무빙하여 기어(610)의 복수의 치 중 어느 하나(611)를 구속할 수 있다. 이경우, 커버부(200)는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200)의 고정에 따라, 이동 단말기(20)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의해 거치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2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는 회동이 제한되나, 제2 방향으로는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방향 고정은 원웨이 클러치 배어링(65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640)는, 구동부(630)에서 제공되는 무빙 동력을 기어 걸림단(620)에 전달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640)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력 전달부(640)는, 웜 기어(641), 제1 피드 기어(642) 및 제2 피드 기어(643)를 포함할 수 있다.
웜 기어(641)는, 구동부(630)에 연결될 수 있다. 웜 기어(641)의 치는 제1 피드 기어(642)에 치합될 수 있다. 제1 피드 기어(642)는, 웜 기어(64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제1 피드 기어(642)의 치는 제2 피드 기어(643)에 치합될 수 있다. 제2 피드 기어(643)는, 제1 피드 기어(64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제2 피드 기어(643)의 치는 기어 걸림단(620)의 랙기어(622)에 치합될 수 있다. 기어 걸림단(620)은, 동력 전달부(640)를 통해, 무빙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650)는, 기어(610)와 제1 힌지부(5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650)은 기어(610)가 일 방향으로는 동력을 전달하고 타 방향으로는 동력을 전달하지 못하게한다. 예를 들면,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650)은, 기어 걸림단(620)에 의해 기어(610)가 구속된 경우, 커버부(200)가 제1 방향으로는 회동되지 못하게하고, 제2 방향으로는 회동되게 할 수 있다.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어(610)가 기어 걸림단(620)에 의해 구속되지 않은 경우, 커버부(200)의 타단은, 상하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버튼(도 2의 60)을 눌러 커버부(200)를 개방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커버부(200)의 상단을 눌러, 커버부(200)를 폐쇄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200)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의 전환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어(610)가 기어 걸림단(620)에 의해 구속된 경우, 커버부(200)의 타단은 하방으로는 회동될 수 있으나, 상방으로는 회동될 수 없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거치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버튼(도 2의 60) 푸쉬 동작에 의해, 커버부(200)는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경우, 커버부(200)는, 제1 힌지부(510)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아, 제1 방향으로 탄성 회동될 수 있다.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0)가 개방 상태인 경우, 이동 단말기(20)의 하단은 지지부(400)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와 차량(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의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기어(610)는, 기어 걸림단(62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이경우, 도 7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지지부(400)에 의해 하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커버부(200)는 하방으로 회동되어 고정부(300)가 이동 단말기(20)의 상단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200)은 상방으로 회동될 수 없으므로, 이동 단말기(20)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거치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20)는 차량(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차량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는,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20)와 차량(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동 단말기(20)가 인증된 상태에서만 이동 단말기(20)를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를 통해 거치시킴으로써, 이동 단말기(20)가 차량 모드로 전환되는 상태에서만 차량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제한하여,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가 거치되는 경우, 커버부(200)가 이동 단말기를 커버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에 의해 이동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가 흐리게 보이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제1 상태를 예시하고, 제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제2 상태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부(300)는, 커버부(200)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부(300)는, 이동 단말기(20)의 상단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홀더부(310), 가이드부(320) 및 고정 레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310)는, 무빙 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동 단말기(20)의 상단을 고정할 수 있다. 홀더부(310)는, 가이드부(320)를 따라 무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부(310)는, 커버부(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320)를 따라,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무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부(310)는, 커버부(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320)를 따라,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무빙될 수 있다.
홀더부(310)의 무빙에 따라, 이동 단말기(20)의 거치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앉은 키에 따른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고려하여 이동 단말기(20)의 거치 각도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홀더부(310)는 단수 또는 복수의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부(310)는, 제1 홀더(311) 및 제2 홀더(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311)는 이동 단말기의 상단 중 제1 지점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홀더(312)는 이동 단말기의 상단 중 제2 지점을 고정할 수 있다.
제1 홀더(311) 및 제2 홀더(312)는, 수평으로 무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311) 및 제2 홀더(312)는, 각각 이동 단말기(20)의 크기에 따라, 수평으로 무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가 스마트 폰과 같이 작은 경우, 제1 홀더(311) 및 제2 홀더(312)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수평 무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가 세로로 거치되는 경우, 제1 홀더(311) 및 제2 홀더(312)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수평 무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가 대형 태블릿 PC와 같이 큰 경우, 제1 홀더(311) 및 제2 홀더(31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무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가 가로로 거치되는 경우, 제1 홀더(311) 및 제2 홀더(31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무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홀더(311) 및 제2 홀더(312)가 수평 무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20)를 차량내 거치하거나, 이동 단말기(20)를 가로 및 세로로 모두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제1 홀더(311) 및 제2 홀더(312) 내부에는 마찰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마찰 부재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제1 홀더(311) 및 제2 홀더(312) 내부에 마찰 부재가 개재됨으로 인해, 더욱 견고하게 이동 단말기(20)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형상의 이동 단말기(20)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가이드부(320)는, 홀더부(310)의 무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320)는 가이드 레일(321) 및 복수의 홈(32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21)은, 홀더부(310)의 무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복수의 홈(322) 중 어느 하나는, 고정 레버(330)의 돌출부(331)를 인입시킬 수 있다. 이경우, 홀더부(310)는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320)는, 커버부(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홀더부(310)가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무빙되거나, 홀더부(310)가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무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고정 레버(330)는, 홀더부(310)를 가이드부(320) 중 일 지점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레버(330)는 돌출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31)는, 가이드부(320)의 복수의 홈 중 어느 하나(3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경우, 홀더부(310)는 고정될 수 있다.
홀더부(310)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상태는 홀더부(310)가 커버부(200)에 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부(310)는 커버부(200)에 밀착될 수 있다.
홀더부(300)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상태는 홀더부(300)가 커버부(20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커버부(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홀더부(300)는 커버부(200)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홀더부(300)가 제1 상태인지, 제2 상태인지에 따라 이동 단말기(20)가 거치된 상태에서, 커버부(200)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태양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 커버부(200)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이동 단말기(20)의 가시성이 높아지도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힌지부에서 제공되는 회동 탄성력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부(400)는, 이동 단말기(20)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400)는, 단수 또는 복수의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400)는, 제3 홀더(411) 및 제4 홀더(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홀더(411)는 이동 단말기(20)의 하단 중 제1 지점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점을 지지할 수 있다. 제4 홀더(412)는 이동 단말기(20)의 하단 중 제2 지점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점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홀더(411) 및 제4 홀더(412)는, 수평으로 무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홀더(411) 및 제4 홀더(412)는, 각각 이동 단말기(20)의 크기에 따라, 수평으로 무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가 스마트 폰과 같이 작은 경우, 제3 홀더(411) 및 제4 홀더(412)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수평 무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가 세로로 거치되는 경우, 제3 홀더(411) 및 제4 홀더(412)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수평 무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가 대형 태블릿 PC와 같이 큰 경우, 제3 홀더(411) 및 제4 홀더(41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무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가 가로로 거치되는 경우, 제3 홀더(411) 및 제4 홀더(41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무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홀더(411) 및 제4 홀더(412)가 수평 무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20)를 차량내 거치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제 3홀더(411) 및 제4 홀더(412)의 내부에는 마찰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마찰 부재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제3 홀더(411) 및 제4 홀더(412) 내부에 마찰 부재가 개재됨으로 인해, 더욱 견고하게 이동 단말기(20)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형상의 이동 단말기(20)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힌지부(520)는, 지지부(400)의 타단부가 일 방향으로 탄성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가, 지지부(4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커버부(200)가 개방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를 천천히 회동시켜, 이동 단말기(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400)는, 이동 단말기(20)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버부(200)가 폐쇄되는 경우, 수용 공간(40)에 은닉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스토퍼(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710)는, 이동 단말기(20) 거치 상태에서, 커버부(200)가 개방상태로 전환되어 이동 단말기(20)가 회동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스토퍼(710)는, 캐비닛(5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710)는, 커버부(200)가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와 충격이 발생되는 예상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710)는, 캐비닛 내부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가 수용 공간(40)에 수용될 수 있을만큼 충분히 작은 경우, 캐비닛 내부 하부면에 형성된 스토퍼(710)에 의해 이동 단말기(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710)는, 캐비닛 중 이동 단말기(20)와 마주보는 부위 중 가장 돌출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가 수용 공간(40)에 수용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스토퍼(710)에 의해 이동 단말기(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포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연결 포트(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포트(720)는, 수용 공간(40)을 이루는 캐비닛(5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포트(720)는, 차량(10)과 이동 단말기(20)를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C)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연결 케이블(C)의 타단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이동 단말기(20)와 차량(10)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케이블(C)을 통해 이동 단말기(20)가 연결 포트(720)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는 차량(10)의 배터리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경우, 이동 단말기(20)는 충전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에 형성되는 홀 및 홀커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커버부(200)에는, 홀(211), 홀커버(212) 및 제3 힌지부(213)가 포함될 수 있다.
홀(211)은, 연결 케이블(C)에 의해 차량(10)과 이동 단말기(20)가 연결되는 경우, 연결 케이블(C)이 관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포트(720)에 연결 케이블(C)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동 단말기(20)에 연결 케이블(C)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는 수용 공간(40)이 아닌 차량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연결 케이블(C) 홀(211)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200)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홀(211)은 연결 케이블(C)을 관통시켜, 연결 케이블(C)의 일단은 연결 포트(720)에 연결되고, 연결 케이블(C)의 타단은, 이동 단말기(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가 주행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지 않고, 단순하게 충전을 위해 차량(20)에 연결되는 경우, 연결 케이블(C)이 손상되지 않게하는 효과가 있다. 이경우, 이동 단말기(20)는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가 아닌 동승자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홀커버(212)는, 홀(211)을 커버할 수 있다. 홀(211)을 통해 연결 케이블(C)이 관통되지 않는 상태에서, 홀커버(212)는 홀(211)을 커버할 수 있다. 홀커버(212)는 제3 힌지부(213)를 중심으로 회동 동작에 의해 홀(211)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차량 모드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가 차량(10)과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10)으로부터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는, 차량(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경우, 이동 단말기(20)에 설치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차량(10)용 애플리케이션만 구동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공조(1910) 애플리케이션 구동된 상태에서, 공조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차량(1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공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차량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일반 모드 상태에 표시되는 아이콘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는 일반 모드의 아이콘보다 차량 모드의 아이콘을 더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영역(2010, 2020, 2030, 20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 모드에서 구동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한정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20)는 디스플레이를 애플리케이션에 맞춰 영역을 구분하고, 각 영역을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에 매칭시킬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용할수 있는 범위가 넓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행 중에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손쉽게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팝업 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폐쇄 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도 21 및 도 22를 통해 참조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팝업 시 및 폐쇄 시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구성 중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도 24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전면부 및 배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21 내지 도 2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동작으로 대쉬보드 패널(1)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 공간(40)을 개폐하는 커버부(1110)와, 커버부(1110)와 연동하여 외부로 노출되거나 수용 공간(40)으로 수용되도록 무빙되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와, 수용 공간(40)에 은닉되도록 배치되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쉬보드 패널(1)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운전석 및 조수석(미도시)의 전방과 차량의 전방 윈드쉴드글라스(미도시) 사이에 배치된 부재로써, 차량에 설치된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의 설치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부(1110)는, 평상시에는 대쉬보드 패널(1) 외관 일부를 구성하면서 은닉되어 있다가 회동되는 동작으로 대쉬보드 패널(1)로부터 팝업 모드로 무빙되어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2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커버부(1110)는, 차체를 기준으로 운전석 및 조수석 방향을 '후단부'라 하고, 전방 윈드쉴드글라스 측을 '전단부'라고 정의할 때, 전단부인 힌지부(1111)를 중심으로 후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동작으로 수용 공간(40)을 점진적으로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대쉬보드 패널(1)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가 구비된 위치는, 대략 커버부(1110)의 상하 회동 거리가 짧더라도 이동 단말기(20)가 충분히 부착될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부분으로 채택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기타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 이동통신망이나 블루투스 통신 등 무선통신 가능한 무선통신 기기라면 모두 해당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에는, 상술한 무선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20)가 거치되고,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가 수용 공간(40)으로 수용될 때 이동 단말기(20)와 함께 대쉬보드 패널(1) 내부로 수용되어 커버부(1110)에 의하여 은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3a 및 도 2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는, 수용 공간(40)의 폐쇄 시에는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수용 공간(40) 내부에 수용되고, 수용 공간(40)의 개방 시에는 수직되게 구비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 단말기(20)가 거치되면 운전자를 포함한 승객들이 이동 단말기(20)의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빛의 간섭 없이 용이하게 관찰될 수 있도록 무빙된다.
특히,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는, 수용 공간(40)에 수용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상향 경상지게 수용됨으로써 협소한 대쉬보드 패널(1)의 내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서도 효율적으로 수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는,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20)의 부착 및 거치가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는, 이동 단말기(20)의 배면이 밀착되는 지지패널(1121)과, 지지패널(1121)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이동 단말기(20)의 하단이 안착되는 지지부(1122)와, 지지패널(1121)의 상단부에 상하 무빙되게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20)의 상단을 지지하는 고정부(1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22)는 안착단에 걸림부가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고정부(1123)는, 크기가 다양한 이동 단말기(20)가 지지부(1122)에 간섭 없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하여 먼저 상측으로 무빙되어 있다가, 지지부(1122)에 이동 단말기(20)가 안착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하방으로 무빙되면서 이동 단말기(2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패널(1121)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써, 지지부(1122)가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22)는 지지패널(1121)의 하단부에 전면부 상측으로 개구되게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부(1123)는, 지지패널(1121)의 배면부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무빙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1122)는 다양한 두께의 이동 단말기(20)가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미도시 되었으나 전후 방향으로의 홈 크기가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123)는, 도 25a 및 도 2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121)의 배면측에 무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124)와, 결합부(1124)의 상단에서 이동 단말기(20) 측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1125)와, 절곡부(1125)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부(11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걸림부(1126) 및 절곡부(1125)는 홀더부(310)로 명명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도 24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구성 중 락킹부를 나타낸 단면도 및 상세도이다.
결합부(1124)는, 지지패널(1121)에 대한 고정부(1123)의 결합을 매개하는 부분으로써, 도 25a에 참조된 바와 같이, 결합부(1124)의 전면부에 가이드 패널(1129)이 전면에 대하여 지지패널(1121)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지지패널(11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부(1123)의 상하 무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패널(1121)의 상부면에는 가이드 패널(1129)이 상하 무빙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 홀(1132a)이 상하로 개구되게 구비되고, 삽입 홀(1132a)로 삽입된 가이드 패널(1129)은, 도 26a 및 도 2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121)의 내부 공간 중 배면부 측 내벽면을 접하면서 고정부(1123)의 상하 무빙을 안내한다.
한편, 가이드 패널(1129)의 하단부에는, 도 26a 및 도 2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가이드 로드(113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1131)는 지지패널(1121)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되, 외주에 탄성체(1135)가 개재되어 고정부(1123)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여기서의 탄성체(1135)는, 가이드 로드(1131)의 외주에 개재된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부(1123)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여하한 구성의 탄성체(1135)의 채용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는, 탄성체(1135)에 의한 고정부(1123)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락킹부(도면부호 미표기, 도면부호 1129 내지 113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락킹부는, 도 26a 및 도 2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부(1123)의 일면에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 기어(1130)와, 랙 기어(1130)를 구성하는 랙 기어치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치(1133a)가 형성된 스토핑 피니언(1133)과, 소정의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스토핑 피니언(1133)에 밀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토핑 피니언(1133)에 일방향으로 걸림되게 형성된 원웨이 걸림 기어치(1133a, 피니언 기어치와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한다)에 걸림되는 회동 걸림부(1134)와, 회동 걸림부(1134)의 기어 걸림단(1134a)에 대한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언락 버튼부(1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랙 기어(1130)는, 가이드 패널(1129)의 전면부에 복수개의 랙 기어치가 상하로 길게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랙 기어치는 가이드 패널(1129)의 전면부에 홈 형태로 일체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 가이드 패널(1129)의 전면부에 돌출 형태로 일체 성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스토핑 피니언(1133)은, 도 26a 및 도 2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토핑 피니언(1133)을 이루는 피니언 기어치(1133a)는, 회동 걸림부(1134)의 기어 걸림단(1134c)이 랙 기어(1130)가 탄성 무빙되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토핑 피니언(1133)의 피니언 기어치(1133a)가 회전되는 방향으로는 걸림되고, 그 반대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는 걸림되기는 하나 소정의 슬립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원웨이 걸림 기어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스토핑 피니언(1133)의 피니언 기어치(1133a)가 회동 걸림부(1134)에 일방향으로 걸림되는 원웨이 걸림 기어치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동 걸림부(1134)에 의하여 한쪽 방향의 걸림이 용이한 구성이라면 여하한 형상의 채용도 가능하다.
회동 걸림부(1134)는, 가운데의 회전 중심점(1134a)을 기준으로 상단부인 기어 걸림단(1134c)가 원웨이 걸림 기어치(1133a)에 걸림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부(1134b)는 미도시의 가이드부(1140)에 의하여 회동 안내될 수 있다. 회전 중심점(1134a)에는 미도시의 탄성체에 의하여 항상 피니언 기어치(1133a)와 걸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회동 걸림부(1134)는, 구동부(도 5의 630)로부터 동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회동 걸림부(1134)와 구동부(도 5의 630)사이에는 동력 전달부(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기어 걸림단(1134c)은 구동부(도 5의 63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동되어 원웨이 걸림 기어치(1133a)에 걸릴 수 있다.
한편, 구동부(도 5의 6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가 차량(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가 인증되는 경우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를 지지부(1122)에 안착시키기 전에 고정부(1123)를 상측으로 무빙시키기 위하여 지지패널(1121)의 일측에 구비된 언락 버튼부(1136)를 푸쉬 작동시키면, 도 2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걸림부(1134)가 스토핑 피니언(1133)의 원웨이 걸림 기어치(1133a)로부터 이격되고, 이때, 탄성체(1135)의 고정부(1123)에 대한 상측 방향으로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고정부(1123)가 상측 방향으로 자동 이동되면서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20)가 지지부(1122)와 고정부(1123)의 걸림부(1126)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벌어진다.
지지부(1122)와 걸림부(1126) 사이가 벌어지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를 지지부(1122)에 삽입 거치한 후, 고정부(1123)를 하방으로 밀어서 이동 단말기(20)의 상하 크기에 맞춤되어 걸림부(1126)가 이동 단말기(20)의 상단부에 걸림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도 2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걸림부(1134)의 기어 걸림단(1134c)은 원웨이 걸림 기어치(1133a)에 대하여 슬립 현상이 일어나는 바, 사용자는 적당한 조작감을 느끼면서 자신의 이동 단말기(2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언락 버튼부(1136)는, 사용자에 의하여 푸쉬 작동되면 회동 걸림부(1134)를 원웨이 걸림 기어치(1133a)로부터 이격시키고, 사용자의 푸쉬 작동력이 해제되면 회동 걸림부(1134)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회동 걸림부(11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이 소정의 탄성체(1135)에 의하여 원웨이 걸림 기어치(1133a)에 대해 상시 걸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바, 언락 버튼부(1136)는 일시적으로 탄성체(1133a)의 탄성지지력을 해제시키거나 탄성지지력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동 걸림부(1134)를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123)는, 탄성체에 의하여 하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가이드 로드(1131)가 지지패널(1121)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되, 가이드 로드(1131)의 외주에 고정부(1123)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미 도시)를 개재한다. 여기서의 탄성체는, 가이드 로드(1131)의 외주에 개재된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부(1123)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여하한 구성의 탄성체의 채용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를 지지부(1122)에 안착시키기 전에, 고정부(1123)는 고정부(1123)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의 작용만 받아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를 지지부(1122)에 안착시키려 할 시, 수동으로 고정부(1123)를 상측으로 무빙시키고,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20)가 지지부(1122)와 고정부(1123)의 걸림부(1126)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벌어지도록 한다.
지지부(1122)와 걸림부(1126) 사이가 벌어지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를 지지부(1122)에 삽입 거치한 후, 고정부(1123)를 놓으며, 고정부(1123)는 고정부(1123)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의 작용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동 단말기(20)의 상하 크기에 맞춤되어 걸림부(1126)가 이동 단말기(20)의 상단부에 걸린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단말기의 안착구조로서 지지부(1122)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걸림부가 형성되지 않은 안착단도 가능하다.
도 26c를 참조하면, 고정부(1123)는 제1 랙기어(26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랙기어(2611)는, 제1 피니언 기어(2621)와 치합될 수 있다.
지지부(1122)는 제2 랙기어(26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랙기어(2612)는, 제2 피니언 기어(2622)와 치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랙기어(2611), 제2 랙기어(2612), 제1 피니언 기어(2621), 제2 피니언 기어(2622)는 동력 전달부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기어 걸림단(도 5의 620)은, 제1 피니언 기어(2621)의 복수의 치 중 어느 하나 또는 제2 피니언 기어(2622)의 복수의 치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기어 걸림단(도 5의 620)는, 제1 피니언 기어(2621)의 복수의 치 중 어느 하나 또는 제2 피니언 기어(2622)의 복수의 치 중 어느 하나를 걸 수 있도록, 걸림부(도 5의 621)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도 5의 621)는, 제1 피니언 기어(2621)의 복수의 치 중 어느 하나 또는 제2 피니언 기어(2622)의 복수의 치 중 어느 하나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부(621)는, 제1 피니언 기어(2621) 또는 제2 피니언 기어(2622)를 향해 절곡된 절곡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걸림단(도 5의 620)는, 구동부(도 5의 630)에서 제공되는 무빙 동력에 따라 무빙될 수 있다.
도 27a 및 도 27b는 도 21의 구성 중 커버부(1110)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연결 관계 및 작동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와 같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는, 커버부(1110)와 연동하여 무빙된다. 이를 위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는, 상단부가 커버부(1110)의 내부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7a 및 도 2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부(1123)의 구성 중 결합부(1124)의 상단 좌우 양단에는 커버부(1110)의 내부면과의 연결을 매개하는 상단 연결 로드(1127b)가 지지패널(1121)의 폭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연결 로드(1127b)는 결합부(1124)의 상단 좌우 양단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1110)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상단 연결 로드(1127b)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궤도 링(1113)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단 연결 로드(1127b)가 한 쌍의 궤도 링(1113)에 각각 삽입되는 동작으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상단부가 커버부(1110)의 내부면에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의 궤도 링(1113)은, 지지패널(1121)의 하방 무빙 시 상단 연결 로드(1127b)가 커버부(1110)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길이 이동되되, 커버부(1110)가 회동 동작의 중심점인 힌지부(1111)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한 곡면 궤도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상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1110)의 내부면에 대하여 개방 시에는 상하 수직되게 배치되어 있다가 커버부(1110)의 폐쇄 시에는 수용 공간(40) 내부에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게 수용된다. 이때,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는 커버부(1110)에 대하여 연동되는데, 커버부(1110)는 전단부인 힌지부(1111)를 기준으로 후단부의 어느 일점은 반드시 동일한 반경으로 회동되게 되고, 특히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상단 연결 로드(1127b) 부분은 상술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무빙 상태와 연동되어 커버부(1110)의 회동에 간섭되지 않을 것을 그 전제 조건으로 한다. 여기서, 상술한 한 쌍의 궤도 링(1113)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무빙 상태와 연동하여 커버부(1110)가 보다 자연스럽게 회동되는 곡면 궤도를 가짐으로써 상술한 전제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한 쌍의 상단 연결 로드(1127b)는, 커버부(1110)의 개방 동작 시 도 27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궤도링의 내부 중 후단부에 인접되게 위치되고, 커버부(1110)의 폐쇄 동작 시 도 2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궤도 링(1113)의 내부 중 전단부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한 쌍의 궤도 링(1113)의 내부에서 한 쌍의 상단 연결 로드(1127b)는, 커버부(1110)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를 지지패널(1121)의 전면부에 밀착되도록 거치하고, 이동 단말기(20)의 크기에 따라 고정부(1123)를 하방으로 무빙시켜 걸림부(1126)가 이동 단말기(20)의 상단부를 걸림시키도록 조절하면, 커버부(1110)도 연동하여 하방으로 회동되므로, 이동 단말기(20)의 상이한 크기에 관계 없이 어떠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20)가 설치된 경우에도 커버부(1110)와 설치된 이동 단말기(20)의 상단 사이의 이격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커버부(1110)와 설치된 이동 단말기(20)의 상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면,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키기 위하여 부착된 이동 단말기(20)의 종류에 관계없이 설치된 제품의 미관의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28a 및 도 28b는 도 21의 구성 중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와 가이드부(1140)의 연결 관계 및 작동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는, 가이드부(1140)와 연결되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무빙 시 가이드부(1140)의 안내를 받게 된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는, 특히 그 하단부가 가이드부(114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8a 및 도 28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구성 중 지지패널(1121)의 하단부 좌우 양단에는 가이드부(1140)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하단 연결 로드(1127a)가 폭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단 연결 로드(1127a)는 지지패널(1121)의 하상단 좌우 양단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단 연결 로드(1127a)는 각각이 인접하게 구비된 가이드부(1140)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으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하단부를 가이드부(1140)에 연결시킨다.
한편, 가이드부(1140)는, 도 28a 및 도 28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무빙에 따라 지지패널(1121)의 하단의 무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슬롯(11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가이드 슬롯(1141)은, 커버부(1110)의 회동 중심점인 힌지부(1111)를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가이드 슬롯(1141)이, 커버부(1110)의 회동 중심점인 힌지부(1111)를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를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술한 한 쌍의 궤도 링(1113)의 전후 방향 길이를 최대한 짧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부(1110)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상단부가 한 쌍의 궤도 링(1113) 내에서 간섭이 일어나 무빙이 원활하지 않을 때에도,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하단부가 커버부(1110)와 일체로 형성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는 바, 별도의 간섭 없이 자연스럽게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무빙이 가이드 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가이드 슬롯(1141)은,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가이드부(1140)는, 가이드 슬롯(1141)의 상사점까지 무빙된 지지패널(1121)의 하단을 중력방향에 대하여 지지하는 스토퍼부(도면부호 미표기, 도면부호 1143, 1147, 1150, 1151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는, 도 28a 및 도 28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121) 하단의 무빙 경로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하단 연결 로드(1127a)의 무빙 경로로 돌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부는, 지지패널(1121)의 무빙을 간섭하는 위치에서 벗어나 오로지 한 쌍의 하단 연결 로드(1127a)의 무빙이 간섭되는 위치로 선정됨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부는, 하단 연결 로드(1127a)의 무빙 경로로 돌출되는 스토핑 블록(1143)과, 스토핑 블록(1143)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가하여 스토핑 블록(1143)을 무빙 경로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145)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스토핑 블록(1143)을 무빙 경로에서 이탈시키는 버튼(115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145)는 수용 공간(40) 내측에 구비된 지지판(1147)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핑 블록(1143)은, 커버부(1110)가 개방되면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를 가이드부(1140)의 상사점으로 무빙시킬 때 무빙 경로에 배치되어 있다가 하단 연결 로드(1127a)와 접촉되는 동작으로 탄성부재(1145)의 탄성 지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하단 연결 로드(1127a)와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하단 연결 로드(1127a)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가 가이드 슬롯(1141)의 상사점으로 무빙 시 라운드진 스토핑 블록(1143) 부분과 가이드 슬롯(1141)의 일측 내벽면 사이로 들어가면서 스토핑 블록(1143)을 탄성 지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 무빙 경로부터 강제 이탈시킨 후 상사점에 도달하고, 상사점에 하단 연결 로드(1127a)가 도달되면, 하단 연결 로드(1127a)와의 간섭이 해제된 스토핑 블록(1143)이 탄성부재(1145)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가이드 슬롯(1141)의 무빙 경로로 원상 복원되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를 중력 방향에 대하여 지지한다.
한편, 버튼(1150)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를 중력방향에 대하여 지지하는 스토핑 블록(1143)을 무빙 경로에서 이탈시킴으로써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가 가이드 슬롯(1141)을 따라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짐 무빙되고, 커버부(1110)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일종의 폐쇄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버튼(1150)와 스토핑 블록(1143) 사이에는 버튼(1150)의 푸쉬 조작에 따라 스토핑 블록(1143)이 무빙 경로에서 이탈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 구조(151)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 구조(151)는 기구적인 링크 구조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버튼(1150)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이용해 스토핑 블록(1143)을 움직이는 솔레노이드 구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부(1140)에 따른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가이드 모습을 살펴보면, 도 28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커버부(1110)의 개방 시 지지패널(1121)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단 연결 로드(1127a)가 스토퍼부의 스토핑 블록(1143)에 의하여 가이드 슬롯(1141)의 상사점에 지지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버튼(1150)을 푸쉬 조작하면 연결 구조에 의하여 도 28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토핑 블록(1143)이 무빙 경로로부터 이탈되는 동작으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가 가이드 슬롯(1141)의 안내를 받아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커버부(1110)의 회동 중심점인 힌지부(1111)에는 미도시의 탄성부재(1145)가 개재되고, 미도시의 탄성부재는 커버부(11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미도시 되었으나, 커버부(1110)의 개방 방향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는 업소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업소버 부재는, 커버부(1110)가 상술한 탄성부재(1145)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개방될 때 커버부(1110)의 개방 방향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는 동작으로 개방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업소버 부재는, 유압식으로 커버부(1110)의 회동력을 완충시킬 수 있고, 나아가 가스 쇼바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 쇼바는, 내부에 구비된 액체 상태의 유체와 기체 상태의 유체가 각각 압력에 저항하는 대항력에 따른 형상 변화를 이용하여 지지하고는 운동 물체의 각각의 힘을 완충시키는 기구인 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에서는 일측이 커버부(1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대쉬보드 패널(1)의 수용 공간(40) 측에 연결되어 커버부(1110)의 개폐 시 발생하는 회동력을 완충시키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커버부(111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작동력을 초기 작동력으로서 커버부(1110)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작동력은 폐쇄된 상태의 커버부(1110)를 푸쉬하였다가 놓는 동작일 수 있다. 커버부(1110)는 사용자가 초기 작동력을 입력하기 위하여 푸쉬 동작으로 소정의 푸쉬력을 가하면 대쉬보드 패널(1)과의 잠금이 해제되어 개방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쉬보드 패널(1)에 대한 커버부(1110)의 잠금 상태의 구체적인 구조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업소버 부재는, 커버부(1110)가 대쉬보드 패널(1)과의 잠금이 해제되어 회동 중심점인 힌지부(1111)에 개재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커버부(1110)가 급격하게 회동될 때 커버부(1110)가 완전히 개방되는 순간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점점 낮은 속도로 개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9는 이동 단말기(20)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 간 정위치 홀더부(1160,117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커버 하우징의 개폐 메커니즘에 의하여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가 팝업 모드로 무빙되어 노출되면, 사용자는 휴대하고 있는 이동단말기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에 장착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량의 주행 중 승객이 이동 단말기(20)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에 장착할 때,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정위치에 이동단말기(20)가 부착되도록 유도하는 정위치 홀더부(1160,1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위치 홀더부(1160,1170)는, 도 2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의 배면에 구비된 제1홀더부(1160)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전면에 구비된 제2홀더부(1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부(1160) 및 제2홀더부(1170)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1161-1165,1171-1175)으로 이루어지되, 부착되는 이동 단말기(20)가 좌우 양측에서 정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각각 좌측에 1군의 자성체 군(1161-1165,1171-1175)이 상하로 길게 배치됨과 아울러 우측에 1군의 자성체 군(1161-1165,1171-1175)의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부(1160) 및 제2홀더부(117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1161-1165,1171-1175) 중 적어도 하나(1163,1173)는 나머지 자성체 군의 자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자성체, 즉 강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강자성체(1163,1173)는 실질적으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전면에 대한 이동 단말기(20)의 정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제1홀더부(1160)에 구비된 강자성체(1163) 및 제2홀더부(1170)에 구비된 강자성체(1173)는 나머지 자성체보다 강한 인력의 부착력을 생성하는 S극 강자성체 및 N극 강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자성체가 영구 자석일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는 이동 단말기(20)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술한 자성체 군 중 상술한 S극 강자성체 및 N극 강자성체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자석을 다른 자성체 군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자석보다 더 강한 전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어태치부(1120)의 제2홀더부(1170)에 구비된 강자성체(1173)의 자성을 이동 단말기(20)의 제1홀더부(1160)에 구비된 강자성체(1163)의 자성과 같게 변경하여 이동단말기를 어태치부로터 탈착하는 동작이 용이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전면에 접근시키면, 사용자의 실수로 정위치가 아닌 곳에 임의 부착되더라도 상술한 제1홀더부(1160) 및 제2홀더부(117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1161-1165,1171-1175)에 의하여 정위치로 부착되도록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차량 주행 중 이동 단말기(20)의 연동 거치 시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로부터 탈착하는 경우를 고려할 시, 이동 단말기(20)의 안착구조로서 지지부일 경우에는 탈착이 어렵게 되므로 걸림부를 구비하지 않는 안착단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제1홀더부(1160)는, 이동 단말기(2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에 대한 장착 전용 홀더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0은 도 21의 구성 중 멀티 케이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1은 차량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 간 전원 연결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다양한 종류의 이동 단말기(20)에 대응한 다양한 종류의 핀 타입 전원 연결선(W)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핀 타입 전원 연결선(W)은, 전자 기기에 연결되는 단자부가 몇 개의 핀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시중의 적어도 3가지 핀 타입의 단자(1128,1128?,1128?)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멀티 케이블부(1128)로 구비될 수 있다.
멀티 케이블부(1128)는, 도 30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전면 가운데 부분에 홈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케이블 수용홈(1128d)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전면에는, 케이블 수용홈(1128d)으로부터 케이블(W)이 기장착된 이동 단말기(20)와 간섭되지 않고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케이블 인출홈(112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홈(1128d)과 케이블 인출홈(1128')은 동일한 깊이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전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홈(1128d)에는, 제1핀 타입 케이블 감김부(1128a), 제2핀 타입 케이블 감김부(1128b) 및 제3핀 타입 케이블 감김부(1128c)(이하, '복수개의 감김부'라 칭한다)가 각각의 핀 타입의 단자(1128?,1128?,1128?)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케이블 커버부(도면부호 미표기)가 각각의 단자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차폐시키도록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전면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감김부(1128a-c)는, 사용자가 각 케이블(W)을 외부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인출되고, 사용자의 힘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케이블(W)이 감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개의 감김부(1128a-c)로부터 인출된 각 케이블(W)은 케이블 수용홈(1128d) 및 케이블 인출홈(1128')을 따라 이동 단말기(20)의 배면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외부로 인출되어 이동 단말기(20)에 구비된 단자 홀(도면부호 미표기)에 삽입되어 이동 단말기(20)를 유선 충전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감김부(1128a-c)는, 케이블 커버부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케이블 커버부를 회전시켜 해당 이동 단말기(20)의 단자 홀에 맞는 핀 타입 단자(1128?,1128?,1128?)가 구비된 감김부(1128a-c)가 케이블 인출홈(1128')에 인접되도록 배치한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케이블(W)을 인출하여 이동 단말기(20)와 통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3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체에 구비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커넥터(1190A,1190B)와 전원선(W)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측부에 구비된 전원 연결홀(180)에 직접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단 연결 로드(1127a)를 매개로 단자 결합되어 상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20)에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된 경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에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송신부가 구비함으로써 유선 충전이 아닌 무선 충전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20)를 충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충전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이 채택되되, 표준 무선 충전 규약에 준하는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한도에서는 여하한 충전 방식의 채택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120)에 장착되면,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다. 이처럼, 이동 단말기(20)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면, 고유의 이동 단말기(20)의 모드에서 차량 모드로 자동 전환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 단말기(20)를 매개로 한 스마트 기능을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에 차량용 이동 단말기 크래들 어셈블리의 위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도 1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대쉬 보드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이동 단말기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센터페시아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센터페시아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센터페시아는, 이동 단말기 크래들 어셈블리(1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이동 단말기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포함되는 고정부(1123b)의 무빙이 제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후방을 향해 센터페시아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 크래들 어셈블리(100)는 회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미도시)는 지지 패널(1121)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미도시)는, 지지 패널(1121)이 소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가 거치된 상태에서, 지지 패널(1121)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20)가 회전될 수 있다. 이경우,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가로 상태 또는 세로 상태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는 복수의 이동 단말 크래들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제1 크래들 어셈블리(100a)는 대쉬 보드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제2 크래들 어셈블리(100b)는 센터페시아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크래들 어셈블리(100a)에 거치되는 제1 이동 단말기(20a)는, 내비게이션 등 부가적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 단말기(20a)는, 차량의 속도, RPM, OBD 정보, 잔여 에너지량 정보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2 크래들 어셈블리(100b)에 거치되는 제2 이동 단말기(20b)는, 차량의 각종 장치 제어를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이동 단말기(20b)는, 차량의 공조 장치, AV(Audio Video) 장치, ADAS 장치, 각종 센서 등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 동작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200 : 커버부
300 : 고정부
400 : 지지부
510 : 제1 힌지부
520 : 제2 힌지부
600 : 락킹부

Claims (19)

  1. 무빙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동 단말기의 상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차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무빙을 제한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고, 외주에 복수의 치가 형성되는 기어;
    상기 복수의 치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어 걸림단; 및
    상기 기어 걸림단에 무빙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구동부에서 제공되는 무빙 동력을 상기 기어 걸림단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걸림단은,
    상기 무빙 동력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무빙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크래들 어셈블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차량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인증되는 경우, 차량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무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을 고정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의 무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홀더를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무빙되거나, 상기 홀더를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무빙되도록 가이드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 중 제1 지점을 고정하는 제1 홀더;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 중 제2 지점을 고정하는 제2 홀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는, 수평으로 무빙 가능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 중 제1 지점을 지지하는 제3 홀더;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 중 제2 지점을 지지하는 제4 홀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홀더 및 상기 제4 홀더는, 수평으로 무빙 가능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홀더 및 상기 제4 홀더 내부에는 마찰 부재가 개재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 회동의 중심이 되는 제2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가 제3 방향으로 탄성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일 영역에,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 포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면이 밀착되는 지지패널;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핀 타입의 단자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멀티 케이블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은,
    홈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멀티 케이블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50183508A 2015-12-22 2015-12-22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880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508A KR101880483B1 (ko) 2015-12-22 2015-12-22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EP16879208.3A EP3393858B1 (en) 2015-12-22 2016-12-01 Cradle assembly for vehicle capable of connecting with mobile terminal
PCT/KR2016/014067 WO2017111341A1 (en) 2015-12-22 2016-12-01 Cradle assembly for vehicle capable of connecting with mobile terminal
US15/388,661 US9960800B2 (en) 2015-12-22 2016-12-22 Cradle assembly for vehicle capable of connecting with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508A KR101880483B1 (ko) 2015-12-22 2015-12-22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357A true KR20170074357A (ko) 2017-06-30
KR101880483B1 KR101880483B1 (ko) 2018-07-20

Family

ID=5906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508A KR101880483B1 (ko) 2015-12-22 2015-12-22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60800B2 (ko)
EP (1) EP3393858B1 (ko)
KR (1) KR101880483B1 (ko)
WO (1) WO2017111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59678A1 (en) * 2016-03-08 2017-09-14 Faraday&Future Inc. Electric vehicle charge port
GB2566704A (en) * 2017-09-21 2019-03-27 Ford Global Tech Llc A steering assembly
US10583740B2 (en) * 2017-10-16 2020-03-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purpose dashboard for use in a vehicle
KR20190051457A (ko) * 2017-11-07 2019-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스터 장치
US11034377B2 (en) * 2018-07-31 2021-06-15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stowing and unstowing a steering column assembly
CN109327586A (zh) * 2018-10-31 2019-02-12 周金龙 一种穿戴式手机夹持装置
TWI698131B (zh) * 2018-11-26 2020-07-01 宏碁股份有限公司 智慧型音箱
US10720826B1 (en) * 2019-03-04 2020-07-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wo degree-of-freedom actuator
US11292504B2 (en) * 2019-03-20 2022-04-05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having multiple driving positions
US10843634B2 (en) 2019-03-25 2020-11-24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Operator console
WO2020101758A1 (en) * 2019-07-03 2020-05-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Enhancing a virtual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21132755A1 (ko) * 2019-12-26 2021-07-01 주식회사 엔아이티 차량용 휴대단말기 자동 거치장치
US11979048B2 (en) 2020-09-18 2024-05-07 B/E Aerospace, Inc. Inductive charging device holder
CN113114726B (zh) * 2021-03-19 2023-02-03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远程锁车功能的交互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9789A1 (en) * 2010-04-23 2011-10-27 Eagle Fan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20091895A (ko) * 2011-02-10 2012-08-20 김봉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US20150350397A1 (en) * 2012-12-28 2015-12-03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Holder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ner structure and vehicle including such a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5297B2 (ja) * 2005-11-08 2011-07-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天井搭載型表示装置
DE102006008420A1 (de) * 2006-02-23 2007-08-30 Leopold Kostal Gmbh & Co. Kg Gerätehalter zum Einbau in ein Kraftfahrzeug
DE202010015867U1 (de) * 2010-11-25 2011-05-05 Buchhalter, Thomas Elektromechanische Halterung zur Aufnahme von Navigations- und Kommunikationsgeräte im KFZ
US20130148289A1 (en) * 2011-11-22 2013-06-13 Infiniw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Mobile Computing Devices
KR20140019665A (ko) * 2012-08-07 2014-02-17 강인식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9789A1 (en) * 2010-04-23 2011-10-27 Eagle Fan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20091895A (ko) * 2011-02-10 2012-08-20 김봉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US20150350397A1 (en) * 2012-12-28 2015-12-03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Holder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ner structure and vehicle including such 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1341A1 (en) 2017-06-29
US20170179989A1 (en) 2017-06-22
EP3393858A4 (en) 2019-08-07
EP3393858A1 (en) 2018-10-31
EP3393858B1 (en) 2020-08-12
KR101880483B1 (ko) 2018-07-20
US9960800B2 (en)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483B1 (ko) 차량용 이동 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708690B1 (ko)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685351B1 (ko)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US9473607B2 (en) Mobile phone holder for vehicle
GB2518523B (en) Retaining device for fasten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motor vehicle
KR101332388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JP2007224711A (ja) 二輪車の自動保管システム、当該システム用の二輪車、および当該二輪車用のロック装置
US9902338B2 (en) Retaining apparatus for a mobile device
US20140127924A1 (en) Charge connector locking apparatus
WO2014020917A1 (ja) 無接点充電器及び自動車
CN104925112A (zh) 具有可重构的内部配置的自主车辆
KR20190088508A (ko) 자동차용으로 의도된 사용자 장비를 유도식으로 충전하기 위한 장치
CN105501134B (zh) 车座用移动终端联动支架组件
JP2013207818A (ja)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CN107585109B (zh) 用于车辆的托架设备
CN106347237B (zh) 用于车辆的自行车运输架装置
CN106515598B (zh) 用于车辆的自行车承载系统
KR20120006413A (ko) 차량용 전자기기 트레이장치
CN112124210A (zh) 车辆座椅和机动车辆
KR20050008173A (ko) 자동차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리모콘 수납구조
CN209297375U (zh) 一种行车记录仪
KR200477138Y1 (ko)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CN118560400A (zh) 用于固定负载的支架和车辆
CN215244658U (zh) 汽车显示器的安装结构
CN220615682U (zh) 固定支架、中控台总成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