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281A - 텐션 레벨러 롤 장치 - Google Patents

텐션 레벨러 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281A
KR20170074281A KR1020150182958A KR20150182958A KR20170074281A KR 20170074281 A KR20170074281 A KR 20170074281A KR 1020150182958 A KR1020150182958 A KR 1020150182958A KR 20150182958 A KR20150182958 A KR 20150182958A KR 20170074281 A KR20170074281 A KR 20170074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ackup
air
flow path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진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4281A/ko
Publication of KR20170074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5Stretching combined with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6Removing local distortions
    • B21D1/10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pecific articles made from sheet metal, e.g.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스트립을 가압하는 워크롤과, 상기 워크롤을 지지하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는 백업롤 및 상기 워크롤과 백업롤이 설치되는 장치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백업롤에는 상기 백업롤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백업롤 사이 공간 중 어느 하나에 공기가 분사되도록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동로가 형성되는 텐션 레벨러 롤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텐션 레벨러 롤 장치{Roll device for tension leveller}
본 발명은 텐션 레벨러 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텐션 레벨버(Tension leveller)는 스트립(Strip)에 연신, 굽힘 등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스트립의 평탄도를 개선하고, 스트립의 형상을 교정하는 설비이다.
한편, 텐션 레벨러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트립(S)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며, 스트립(S) 측으로부터 스트립(S)의 외측으로 워크롤(1), 중간롤(2) 및 백업롤(3) 순으로 배치되는 텐션 레벨러 롤 장치(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워크롤(1) 및 중간롤(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길이가 긴 한개의 롤로 구성되지만, 백업롤(3)은 통상 복수의 롤로 구성된다.
즉, 백업롤(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백업롤(3)이 워크롤(1)과 중간롤(2)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그런데, 스트립(S)에 텐션 레벨러 롤 장치(10)로부터 연신, 굽힘 등 기계적인 힘이 가해지는 경우 스트립(S)에 부착된 스케일(Scale) 등 이물질이 백업롤(3) 측으로 낙하되어 백업롤(3) 내부 및 백업롤(3)의 사이 공간 등에 고착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설비 장애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2003-005432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202524호
백업롤에 설치되는 베어링 및 복수개의 백업롤 사이 공간에 이물질, 일예로서 스케일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텐션 레벨러 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레벨러 롤 장치는 스트립을 가압하는 워크롤과, 상기 워크롤을 지지하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는 백업롤 및 상기 워크롤과 백업롤이 설치되는 장치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백업롤에는 상기 백업롤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백업롤 사이 공간 중 어느 하나에 공기가 분사되도록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동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크롤을 지지하는 중간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백업롤은 상기 중간롤을 지지하고, 상기 백업롤은 상기 공기유동로가 형성되는 롤축과, 상기 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부 및 상기 롤축에 설치되어 상기 롤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로에는 상기 롤부의 내부 공간 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제1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로에는 상기 백업롤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제2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롤축의 일측으로 공급되어 상기 롤축의 타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백업롤에 설치되는 베어링 및 복수개의 백업롤 사이 공간에 이물질, 일예로서 스케일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텐션 레벨러에 구비되는 텐션 레벨러 롤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텐션 레벨러 롤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텐션 레벨러 롤 장치의 백업롤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레벨러 롤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레벨러 롤 장치의 백업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레벨러 롤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레벨러 롤 장치의 백업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레벨러 롤 장치(100)는 일예로서, 프레임(110), 워크롤(120), 중간롤(130) 및 백업롤(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에는 상기한 워크롤(120), 중간롤(130) 및 백업롤(1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립의 주행 경로 상에 배치된다. 프레임(110)의 양단부에는 상기한 워크롤(120), 중간롤(130) 및 백업롤(140)이 설치되는 설치판(112)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프레임(110)이 스트립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프레임(110)은 스트립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워크롤(120)은 프레임(110)의 설치판(112) 최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립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워크롤(120)은 스트립에 연신, 굽힘력 등의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스트립의 평탄도를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워크롤(120)의 직경은 상기한 중간롤(130) 및 백업롤(14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워크롤(120)의 직경이 중간롤(130) 및 백업롤(14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스트립에 보다 큰 기계적인 힘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워크롤(120)은 중간롤(130)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중간롤(130)은 프레임(110)의 설치판(112)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워크롤(12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는 가진다.
또한, 중간롤(130)은 스트립의 진행방향으로 워크롤(120)의 양측에서 워크롤(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중간롤(130)은 워크롤(120)이 안정적으로 스트립에 기계적인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워크롤(120)을 지지하는 역할한다.
이를 위해, 중간롤(130)은 워크롤(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백업롤(140)은 중간롤(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3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3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백업롤(140)이 중간롤(130)의 하단부 양측에서 2개의 중간롤(130)을 지지한다.
한편,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의 롤이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백업롤(140)은 롤축(142)과, 롤축(14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롤러(144) 및 롤축(142)에 설치되어 롤러(14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46)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백업롤(140)에는 베어링(146)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링(14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롤축(142)에는 공기유동로(142a)가 형성되어 롤축(142)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공기유동로(142a)에는 롤러(144)의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제1 공기토출구(142b)가 형성되며, 공기유동로(142a)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 제1 공기토출구(142b)를 통해 토출되어 베어링(146) 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러스트링(148)을 통과하여 이물질(일예로서, 스케일)이 베어링(146)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베어링(146) 측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백업롤(140)의 외부 측으로 유출시킬 수 있어 이물질이 베어링(146)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백업롤(140)은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어 백업롤(140) 사이에는 공간부(S)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트립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일예로서, 스케일)이 백업롤(140) 사이의 공간부(S)에 유입될 수 있다.
하지만, 공기유동로(142a)에는 상기한 공간부(S)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제2 공기토출구(142c)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트립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공간부(S)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유입된 이물질을 공간부(S)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한편, 롤축(142)의 일단부에는 공기유동로(142a)로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공기펌프(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펌프를 통해 공기가 공기유동로(142a)로 공급되므로,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가 제1,2 공기토출구(142b,142c)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결국, 이물질이 베어링(146)과 공간부(S)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공기유동로(142a)로 공급되는 공기는 백업롤(14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유동하도록 공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백업롤(140)의 내부에 공기유동로(142a)가 형성되어 공기가 백업롤(140)의 내부 및 백업롤(140)과 백업롤(140) 사이 공간으로 토출되므로, 이물질이 백업롤(140)의 내부 및 백업롤(140)과 백업롤(140) 사이 공간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텐션 레벨러 롤 장치
110 : 프레임
120 : 워크롤
130 : 중간롤
140 : 백업롤
142a : 공기유동로

Claims (5)

  1. 스트립을 가압하는 워크롤;
    상기 워크롤을 지지하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는 백업롤; 및
    상기 워크롤과 백업롤이 설치되는 장치 프레임;
    을 구비하며,
    상기 백업롤에는 상기 백업롤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백업롤 사이 공간 중 어느 하나에 공기가 분사되도록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동로가 형성되는 텐션 레벨러 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롤을 지지하는 중간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백업롤은 상기 중간롤을 지지하고,
    상기 백업롤은 상기 공기유동로가 형성되는 롤축과, 상기 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부 및 상기 롤축에 설치되어 상기 롤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베어링을 구비하는 텐션 레벨러 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로에는 상기 롤부의 내부 공간 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제1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는 텐션 레벨러 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로에는 상기 백업롤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제2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는 텐션 레벨러 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롤축의 일측으로 공급되어 상기 롤축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텐션 레벨러 롤 장치.
KR1020150182958A 2015-12-21 2015-12-21 텐션 레벨러 롤 장치 KR20170074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958A KR20170074281A (ko) 2015-12-21 2015-12-21 텐션 레벨러 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958A KR20170074281A (ko) 2015-12-21 2015-12-21 텐션 레벨러 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281A true KR20170074281A (ko) 2017-06-30

Family

ID=5927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958A KR20170074281A (ko) 2015-12-21 2015-12-21 텐션 레벨러 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42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6535B2 (ja) ローラレベ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板材の矯正方法
KR10181936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커버 장치
KR20170074281A (ko) 텐션 레벨러 롤 장치
CN102794333A (zh) 辊式矫直机及使用其的金属板的处理设备、处理方法
ITUB20150325A1 (it) Dispositivo pressore a rotelle per macchine piegatrici-incollatrici.
KR20120115109A (ko) 롤러 레벨러 및 그것에 이용하는 레벨링 롤 유닛
CN104174547A (zh) 狭缝喷嘴及使用该狭缝喷嘴的狭缝涂覆设备
US9114935B2 (en) Plate member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veying plate member
JP2010514573A (ja) ワークロールのチョック用案内装置
JP2020075284A (ja) 細管を直線にするフライヤー及び細管の直線化方法
JP2007204153A (ja) ウエブの無接触搬送装置
JP6106481B2 (ja) 冷間ロール成形機及び冷間ロール成形法
CN207919544U (zh) 一种柱笼支撑装置
CN105396875A (zh) 整体式轧机架
US1814734A (en) Pressure distributing means for bearings
SE0900277A1 (sv) Anordning i tvättpress för att motverka återvätning
WO2019155839A1 (ja) 運動案内装置
JP2009242026A5 (ko)
JP6502836B2 (ja) 乗客コンベア
US717274A (en) Spring-roll for paper-machine driers.
JP4423673B2 (ja) シート分割巻取装置
JP6671122B2 (ja) 印刷機
CN109985909A (zh) 带材边缘吹扫装置
RU2373008C1 (ru) Ролик петледержателя
US9937732B2 (en) Medium transpor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