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544A - 선 감개형 책상 - Google Patents

선 감개형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544A
KR20170073544A KR1020167006557A KR20167006557A KR20170073544A KR 20170073544 A KR20170073544 A KR 20170073544A KR 1020167006557 A KR1020167006557 A KR 1020167006557A KR 20167006557 A KR20167006557 A KR 20167006557A KR 20170073544 A KR20170073544 A KR 20170073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desk
rod
protruding
des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7542B1 (ko
Inventor
박관규
Original Assignee
스프리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리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프리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7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6Writing-tables with parts, e.g. trays, movable on a pivot or by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47B2021/06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with power or communication connection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3Cable holders; cable organi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47B2200/0081Auxiliary apparatus with electrical connections for office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47B2200/0083Cable or current inlet for drawer or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제품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책상에 전원부와 선감개부 및 상기 전원부와 선감개부를 은폐하는 덮개부를 구성함으로써, 선감개부에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바닥에 전선이 끌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고, 바닥청소를 용이하게 하며, 권취된 전선을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책상의 외관을 수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 감개형 책상{Desk with wire reeler}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책상에 전원부와 선 감개용 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전기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고, 바닥에 전기선이 끌리지 않도록 하여 바닥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선 감개형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이나 직업, 취미의 다양화로 인하여 1개의 책상에서 컴퓨터 외에 다양한 주변기기나 전문가용 전기제품을 멀티탭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있다.
많은 종류의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전원선이나 데이터전송선, 영상/음향용선 등 너무 많은 선이 연결되어 바닥에 끌리는 일이 생기며, 자칫 더러워져 외관상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진공청소기나 빗자루, 걸레 등으로 바닥청소를 할 때 선뭉치의 꼬이거나 고정된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들어올리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고, 이 경우 청소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됨으로써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등 직간접적인 위생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물청소를 할 경우 감전의 위험까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멀티탭과 책상이 별개로 생산되어 유통될 뿐 아니라, 각 사용자에게 필요로 하는 책상과 멀티탭 간의 최적 거리를 생산단계에서는 미리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선과 멀티탭을 수납함에 수납하거나, 멀티탭 또는 선정리 장치를 책상에 부착하는 방식의 접근이 있었으나, 고도의 장치 구성이나 책상 디자인의 무리한 변경 없이 사용자의 손쉬운 작업만으로 다수의 선에 대한 바닥 끌림을 완전하게 방지하지 못하는 기능상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책상 바닥에 선이 끌리지 않도록 하는 선정리 기능을 가진 책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책상 구입 후 별도의 공사나 작업 없이 많은 선을 쉽게 정리하고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선을 책상에 고정하여 바닥청소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호흡기 위생이나 감전사고 방지 측면의 장점을 제공하고, 정리된 선을 통해 외관상의 불쾌감을 완화하며, 최소한의 선감기 작업으로 설치나 정리의 편의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선 감개형 책상은 책상구조물(10)에 체결되어 전선이 권취되어 정리되는 선감개부(110)와, 상기 책상구조물(10)에 체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를 포함하며, 전선을 선감개부(110)에 권취하여 정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선감개부(110)는 상판(11), 옆판(12), 뒤판(13) 및 책상다리(14) 등의 책상구조물(10) 어느 한 지점에 직선 또는 곡선형태의 돌출봉(114)이 소정 거리 돌출됨으로써, 돌출봉(114)에 전선을 권취하여 정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봉(114)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되,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선을 권취하여 정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봉(114)은 외면에 소정 간격마다 돌기(115)를 돌출 구성함으로써, 돌출봉(114)에 권취된 전선이 돌출봉(114)에서 이탈되지 않고, 권취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봉(114) 단부에는 돌출봉(114)이 연장되어 절곡된 형태로 엔드(116)를 구성함으로써, 돌출봉(114)에 권취된 전선이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봉(114) 단부에는 돌출봉(114)의 두께보다 큰 조형물로 엔드(116)를 구성함으로써, 돌출봉(114)에 권취된 전선이 빠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선감개부(110)는 책상구조물(10)의 소정 간격 이격된 두 지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봉(111)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봉(111)은 책상구조물(10)의 소정 간격 이격된 두 지점에서 지지봉(113)이 돌출되고,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연결봉(111)이 상기 지지봉(113) 단부에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선을 연결봉(111)에 권취하여 정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봉(111)의 외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돌기(112)를 돌출 구성함으로써, 연결봉(111)에 권취된 전선이 권취된 그대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감개부(110)는 테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118)과, 상기 프레임(118) 내부에서 양 단부가 프레임(118)에 체결된 프레임바(119)로 구성되며, 프레임(118) 형태로 책상구조물(10)에 형성된 홀에 상기 프레임(118)이 삽입 고정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바(119)는 수직방향, 수평방향 또는 수직과 수평방향의 직선 프레임바(119)가 조합되어 구성됨으로써 전선을 다양한 형태로 권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바(119)는 곡선 형태로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바(119)의 외면에는 소정 간격마다 돌기(121)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전선이 권취된 형태 그대로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30)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스토퍼(133)가 형성된 고정틀(132)이 책상구조물(10)에 체결되고, 멀티탭(131)이 상기 고정틀(132)의 개방된 측면에서 삽입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함으로써, 멀티탭 교환이나 수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책상구조물(10)에 체결되어 책상구조물(10)에 형성된 선감개부(110)와 전원부(130)를 선택적으로 은폐하는 덮개부(140)를 더 구성함으로써, 책상의 외관이 수려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140)는 책상구조물(10)에서 돌출된 덮개지지구(144)에 판 형태의 덮개(141) 일측이 힌지 체결됨으로써, 덮개(141)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선감개부(110)와 전원부(130)를 선택적으로 은폐하도록 개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책상구조물(10)에서 덮개받침구(143)가 돌출되고, 덮개(141)가 닫혔을 때 덮개(141)의 타측이 상기 덮개받침구(143)에 접함으로써, 덮개(141)와 책상구조물(10)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받침구(143) 단부에 자석(147)이 설치되고, 덮개받침구(143)와 접하는 덮개(141) 부분에 자석 또는 금속이 체결됨으로써 덮개(141)가 닫혔을 때 자력에 의해 덮개(141)가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감개부(110)는 책상구조물(10)에서 소정 개수 돌출되어 전선을 권취하는 돌출봉(114)으로 구성됨으로써, 덮개(141)가 닫혔을 때 덮개(141)가 돌출봉(114)에 접하며 덮개(141)와 책상구조물(1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봉(114) 중 어느 하나의 돌출봉(114) 단부에 자석(147)이 설치되고, 자석(147)이 접하는 덮개(141) 부분에 자석(147) 또는 금속이 체결됨으로써 덮개(141)가 닫혔을 때 자력에 의해 덮개(141)가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40)는 책상구조물(10)에서 로드(148)가 돌출되고, 판 형태의 덮개(142) 일면에 로드삽입구(151)가 구비된 체결구(149)가 형성됨으로써, 덮개(142) 체결구(149)의 로드삽입구(151)에 로드(148)가 삽입 고정되어 덮개(142)가 선감개부(110)와 전원부(130)를 선택적으로 은폐하도록 착탈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책상구조물(10)에는 로드삽입구(151)가 구비된 체결구(149)가 돌출되고, 덮개(142)의 일면에는 상기 로드삽입구(151)에 삽입되는 로드(148)가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로드(148)의 단부에 자석(147)이 체결되고, 체결구(149)의 로드삽입구(151) 내부에 자석(147) 또는 금속이 체결되어 자력에 의해 덮개(142)가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40)는 책상 구조물에는 전선이 권취되어 정리되는 돌출봉(114)이 형성되어 선감개부(110)를 대신하고, 덮개(142)에는 상기 돌출봉(114)이 삽입되는 로드삽입구(151)가 구비된 체결구(149)가 형성됨으로써, 돌출봉(114)이 덮개(142)의 로드삽입구(151)에 삽입 고정되어 덮개(142)를 고정하는 착탈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돌출봉(114) 외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돌기(152)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돌출봉(114)에 권취된 전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선 감개형 책상은 책상 자체에 설치된 선정리 도구를 이용하여 많은 선을 별도의 도구나 장치 없이 사용자가 쉽게 정리하여 고정함으로써 선이 책상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하여 바닥청소를 용이하게 하고,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책상 선정리를 통해 선을 깔끔하게 정리함으로써 외관을 깨끗하게 하고, 사용자가 전기제품 교체나 구조변경 때문에 선뭉치의 정리와 해체를 반복하는 경우 개방된 설치위치와 간단한 사용법 등에 의해 쉽고 빠르게 재정리 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전원선 뿐만 아니라 비전원선(예: 모니터선, 스피커선 등)까지 취합하여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책상 뒤판에 선감개부가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책상 옆판에 선감개부가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책상 상판에 선감개부가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책상 다리와 책상 다리 지지대에 선감개부가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책상 다리에 선감개부가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연결봉 형태의 선감개부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연결봉 형태의 선감개부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돌출봉 형태의 선감개부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돌출봉 형태의 선감개부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여러 형태의 조형물이 형성된 돌출봉 형태의 선감개부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여러 형태의 조형물이 형성된 돌출봉 형태의 선감개부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창살형 형태의 선감개부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창살형 형태의 선감개부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다리 설치형 선감개부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다리 설치형 선감개부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6 내지 도 18은 책상에 전원부 체결수단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 및 도 20은 선감개부에 개폐형 덮개부가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 내지 도 26은 선감개부에 착탈형 덮개부가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책상구조물 11 : 상판
12 : 옆판 13 : 뒤판
14 : 책상다리 15 : 다리지지대
16 : 선 통과공간 17 : 선 통과홀
110 : 선감개부 111 : 연결봉
112 : 돌기 113 : 지지봉
114 : 돌출봉 115 : 돌기
116 : 엔드 117 : 조형물
118 : 프레임 119 : 프레임바
121 : 돌기
130 : 전원부 131 : 멀티탭
132 : 고정틀 133 : 스토퍼
134 : 코드인출구 135 : 걸쇠
140 : 덮개부 141 : 개폐형 덮개
142 : 착탈형 덮개 143 : 덮개받침구
144 : 덮개지지구 145 : 경첩
146 : 손잡이 147 : 자석
148 : 로드 149 : 체결구
151 : 로드삽입구 152 : 돌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선 감개형 책상은 선을 감기 위한 선감개부(110)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30) 및 부가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선감개부(110)와 전원부(130)를 은폐시키는 덮개부(140)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상판(11), 옆판(12), 뒤판(13)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판(11), 상판(11)을 지지하는 책상다리(14)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선감개부(110), 전원부(130) 및 덮개부(140)는 상술한 책상 구조물 어디에도 설치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선감개부(110) 및 전원부(130)를 책상의 뒤판(13)에 설치할 수 있고, 도 2와 같이 선감개부(110) 및 전원부(130)를 책상의 옆판(12)에 설치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선감개부(110) 및 전원부(130)를 책상의 상판(11)에 설치할 수 있다.
또는, 도 4와 같이 책상다리(14)를 연결하여 책상다리(14)를 보강하는 다리지지대(15) 및 상판(11) 사이에 선감개부(110)를 설치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책상다리(14) 사이에 선감개부(1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책상구조물(10)은 책상의 상판(11), 옆판(12), 뒤판(13), 책상다리(14) 및 다리 지지대(15)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책상구조물(1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각종 전선을 권취 보관하는 선감개부(110)는 크게 연결봉(111) 형태와 돌출봉(114) 형태로 구분된다.
연결봉(111)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구조물(10)의 2지점 이상을 연결하는 긴 봉 형태이다. 이러한 연결봉(11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구조물(10)로부터 2개 이상이 돌출되어 설치됨으로써 도 6과 같이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전기제품의 전선을 권취하여 전선이 책상 바닥에 끌리지 않고 깨끗하게 감아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선은 책상구조물(10)에 형성된 선 통과공간(16) 또는 선 통과홀(17)을 통해 책상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봉(111) 형태의 선감개부(110)는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7의 (a)와 같이 책상구조물(10)의 2지점에서 각각 지지봉(113)이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지지봉(113)에 연결봉(111) 단부가 체결됨으로써 연결봉(111)이 책상구조물(10)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봉(111) 외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돌기(112)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전기제품별로 전선을 구분하여 연결봉(111)에 권취하고, 권취된 전선이 옆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 7의 (b)와 같이, 책상구조물(10)의 3지점에서 각각 지지봉(113)이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지지봉(113)에 연결봉(111)의 가운데 부분과 양단부가 체결됨으로써 연결봉(111)이 길이가 긴 경우, 연결봉(111)이 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도 7의 (c)와 같이, 연결봉(111)을 직선 형태가 아닌 곡선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곡선 형태의 연결봉(111)을 책상구조물(10)의 다른 2지점에 체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도 7의 (d)와 같이, 책상구조물(10)의 4지점에서 돌출된 지지봉(113)을 구성하고, 직선 형태인 소정 개수의 연결봉(111) 양 단부를 각각 상기 지지봉(113)에 체결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선감개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봉 형태의 선감개부(110)는 도 2 및 도 8과 같이, 책상구조물(10)로부터 소정 개수의 돌출봉(114)이 돌출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도 8과 같이 컴퓨터 등의 전기제품의 전선을 한 쌍의 돌출봉(114)에 감아서 전선을 정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봉(114)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한 개의 돌출봉(114)으로도 전선을 권취하여 정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선감개부(110)는 책상구조물(10)로부터 돌출봉(114)이 돌출되는데 도 9의 (a) 및 (b)와 같이 돌출봉(114)의 단부를 절곡하여 엔드(116)를 형성함으로써, 전선을 돌출봉(114)에 감는 과정 또는 감은 후에 전선이 돌출봉(114)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엔드(116)를 도 9의 (c) 및 (d)와 같이, 구 형태로 구성하여 전선이 돌출봉(114)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의 (a)와 같이 돌출봉(114)에 소정 간격마다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115)를 구성함으로써 권취된 전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도 있고, 도 9의 (d)와 같이 돌출봉(114)을 직선 형태뿐 아니라 곡선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봉(114)은 기둥형태뿐 아니라 입체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성형된 조형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의 (a)와 같이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돌기(115)가 돌출된 원뿔형태의 조형물(117)로 돌출봉 형태의 선감개부(110)가 구성될 수도 있고, 도 11의 (b)와 같이 구 형태의 조형물(117)로 돌출봉 형태의 선감개부(110)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11의 (c)와 같이 단면이 6각형인 기둥 조형물(117)로 돌출봉 형태의 선감개부(110)를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1의 (d)와 같이 눈사람 형태의 조형물(117)로 돌출봉 형태의 선감개부(1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봉(111) 및 돌출봉(114) 형태의 선감개부(110)는 상판(11), 옆판(12) 또는 뒤판(13) 등의 책상구조물(10)로부터 돌출되어 구성된 것인데, 책상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창살형 선감개부(1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살형 선감개부(110)는 책상의 옆판(12) 또는 뒤판(13)을 도 13의 (a) 내지 (d)에 도시한 프레임(118) 형태로 구멍을 천공하고, 천공한 구멍에 프레임(118)을 삽입한다.
도 13의 (a)에 도시한 선감개부(110)는 직선형태인 소정 개수의 프레임바(119) 양단부가 서로 대향하는 프레임(118)에 체결 고정되어 각각의 프레임바(119)가 소정 거리 이격된 것으로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등의 전기제품 전선을 상기 프레임(118) 내부의 프레임바(119)에 권취하여 전선을 정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창살형 선감개부(110)의 프레임바(119)에는 소정 간격마다 돌출된 돌기(121)를 형성함으로써 프레임바(119)에 권취된 전선이 흘러내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살형 선감개부(110)는 도 13의 (b)와 같이 사각형의 프레임(118) 내부에 프레임바(119)를 가로 및 세로 형태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3의 (c)와 같이 원형 형태의 프레임(118)을 형성하고 프레임바(119) 내부에 곡선 형태의 프레임바(119)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13의 (d)와 같이 원형 형태의 프레임(118)을 형성하고 그물망 형태로 프레임바(119)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연결봉 형태의 선감개부(110)와, 돌출봉 형태의 선감개부(110)와, 조형물 형태의 선감개부(110)와, 창살형 형태의 선감개부(110)는 책상이 상판(11), 옆판(12), 뒤판(13)으로 구성된 경우에 구성할 수 있는 선감개부(110) 형태이다.
책상은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을 지지하는 4개의 책상다리(14)로도 구성될 수 있는데, 상판(11)과 4개의 책상다리(14)로 구성된 책상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은 다리 설치형 선감개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다리 설치형 선감개부(110)는 2개의 책상다리(14)를 연결하여 책상다리(14)를 보강하는 다리지지대(15)를 이용하여 구성된 선감개부(110)로서, 상기 다리지지대(15)와 상판(11)을 연결하는 종방향의 소정 개수의 연결봉(111)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방향의 연결봉(111)에 여러 전기제품의 선을 권취함으로써 전선이 책상 바닥에 끌리지 않고 깔끔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종방향의 연결봉(111)에 소정 간격마다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미도시)를 구성함으로써, 연결봉(111)에 권취된 전선이 흘러내리지 않고 권취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도 4와 같이 책상다리(14)를 연결하여 보강하는 다리지지대(15)가 없이 상판(11)과 4개의 책상다리(14)로만 구성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다리(14)를 연결하는 소정 개수의 수평 연결봉(111)으로 형성된 선감개부(110)를 구성함으로써,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등의 전기제품 전선을 연결봉(111)에 권취하여 정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책상다리(14)에 설치되는 다리 설치형 선감개부(110)는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마다 돌기(112)가 형성된 연결봉(111)을 직선 형태로 성형하여 양단부를 책상다리(14)에 체결하여 다리 설치형 선감개부(110)를 구성하거나, 도 15의 (b)와 같이 각각의 책상다리(14)에 곡선 형태의 연결봉(11)을 형성하여 전선을 권취, 정리하도록 다리 설치형 선감개부(1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5의 (c)와 같이 각각의 책상다리(14)에 돌출봉(114)을 형성하여 선감개부(1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 15의 (c)와 같이 돌출봉(114) 단부는 절곡 성형함으로써, 전선을 수직 또는 수평 형태로 권취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5의 (d)와 같이 각각의 책상다리(14)에 소정 간격으로 수평의 돌출봉(114)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의 돌출봉(114)에 소정 간격으로 수직의 돌출봉(114)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책상 다리에 그물망 형태의 선감개부(1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청소가 용이한 선 감개형 책상은 상판(11), 옆판(12), 뒤판(13) 및 책상다리(14)와 같은 책상구조물(10)에 여러 형태로 선감개부(110)를 구성함으로써 컴퓨터, 모니터, 스탠드와 같이 책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전기제품의 전선을 권취하여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책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선감개부(110)와 인접한 위치의 책상에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전원부(130)는 여러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멀티탭(131)이 사용된다.
도 16과 같이 상판(11), 옆판(12), 뒤판(13) 및 책상다리(14)와 같은 책상구조물(10)에 멀티탭(131)을 볼트 또는 못으로 체결하여 전원부(130)를 구성한다.
또는, 도 17과 같이, 책상구조물(10)에 측면과 일부 전면이 개방된 형태의 고정틀(132)을 체결하고, 멀티탭(131)을 고정틀(132)의 개방된 측면으로 삽입하여 고정틀(132)에 결합한다.
이때, 고정틀(132)의 타측에 형성된 스토퍼(133)가 멀티탭(131)을 고정틀(132) 내에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고정틀(132) 타측에 형성된 코드인출구(134)를 통해 멀티탭(131)의 전원선을 외부로 인출하며, 전면에 노출된 멀티탭(131) 콘센트 부분에 전기제품의 전원코드를 꼽아 전원을 공급받도록 한다.
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구조물(10)에 걸쇠(135)를 형성하고, 멀티탭(131)에 형성된 체결홀(미부호)에 상기 걸쇠(135)가 삽입되도록 하여 전원부(13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판(11), 옆판(12), 뒤판(13) 및 책상다리(14)와 같은 책상구조물(10)에 선감개부(110) 및 전원부(130)를 설치하면 전선이 노출되어 책상 외관이 지저분하게 보이고, 책상에 앉았을 때 전선이 발에 걸려서 권취된 전선이 풀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책상에 설치된 선감개부(110) 및 전원부(130)를 은폐시키는 덮개부(140)를 구성한다.
덮개부(140)는 도 19 내지 도 20에 도시한 개폐형 덮개부와 도 21 내지 26에 도시한 착탈형 덮개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9는 개폐형 덮개부(14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와 같이 선감개부(110)와 전원부(130)가 설치된 책상구조물(10)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덮개지지구(144)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덮개지지구(144)의 단부에 손잡이(146)를 구비한 판 형태의 개폐형 덮개(141) 상단을 경첩(145)으로 힌지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덮개부(140)는 개폐형 덮개(141)를 열면 도 19와 같이 개폐형 덮개(141)가 덮개지지구(144)에 체결된 경첩(145)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열리고, 개폐형 덮개(141)로 가려졌던 선감개부(110) 및 전원부(130)가 노출된다.
도 19에 도시한 실시예는 선감개부(110)가 한 쌍의 연결봉 형태로 구성된 선감개부(110)로서 멀티탭(131)에 콘센트를 꼽고 연결봉에 전선을 감아 정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선감개부(110)에 전선을 감아 정리한 후 개폐형 덮개(141)를 닫으면 개폐형 덮개(141)가 선감개부(110)와 멀티탭(131)을 은폐하여 책상 외관이 깔끔하고, 사용자가 책상에 앉아 작업을 할 때 사용자의 발이 전선을 건드리지 않게 된다.
개폐형 덮개(141)를 닫았을 때 개폐형 덮개(141) 하단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책상구조물(10)에서 덮개받침구(143)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형 덮개(141)를 닫았을 때 덮개(141)의 하단이 상기 덮개받침구(143)에 접함으로써 덮개(141)와 책상구조물(10)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선감개부(110)에 권취된 전선 및 멀티탭(131)에 꽂힌 콘센트가 덮개(141)에 눌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받침구(143)의 단부 및 덮개받침구(143)와 접하는 덮개(141) 부분에 자석(147)을 설치함으로써 덮개(141)가 닫힌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덮개(141)가 열리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개폐형 덮개부(1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개폐형 덮개부(140)의 다른 실시예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구조물(10)에서 소정 길이 돌출된 덮개지지구(144)에 덮개(141) 상단이 경첩(145)으로 힌지 체결됨으로써 덮개(141)를 닫았을 때 덮개(141)에 의해 선감개부(110)와 멀티탭(131)이 은폐되도록 구성된다.
도 20에 도시한 개폐형 덮개부(140)의 다른 실시예는 도 20과 같이 돌출봉 형태의 선감개부(110)가 구성된 것으로서, 도 19에 도시한 실시예처럼 덮개(141)가 닫혔을 때 덮개(141)를 지지하는 별도의 덮개받침구(143)를 구성하지 않고, 돌출봉(114)이 덮개받침구(143) 역할을 함으로써 덮개(141)를 닫았을 때 돌출봉(114)이 덮개(141)를 책상구조물(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돌출봉(114)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자석(147)을 설치하고, 이와 대응하는 덮개(141) 부분에 자석(147)을 설치함으로써 덮개(141)를 닫았을 때 자력에 의해 덮개(141)가 열리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개폐형 덮개부를 설명하였고, 이후는 착탈형 덮개부를 설명한다.
도 21은 착탈형 덮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착탈형 덮개부의 일 실시예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1), 옆판(12), 뒤판(13) 및 책상다리(14)와 같은 책상구조물(10)에 선감개부(110) 및 전원부로서 멀티탭(131)을 설치하고, 책상구조물(10)로부터 돌출된 소정 개수의 로드(148)를 형성한다.
그리고 일면에 손잡이(146)가 형성되고, 다른 면에 체결구(149)가 형성된 판 형태의 착탈형 덮개(142)를 형성한다. 상기 착탈형 덮개(142)의 체결구(149)에는 홈 형태의 로드삽입구(151)가 형성된 것으로서, 책상구조물(10)에 형성된 로드(148)가 덮개(142) 체결구(149)의 로드삽입구(151)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덮개(142)가 선감개부(110) 및 멀티탭(131)을 은폐한다.
도 21에 도시한 착탈형 덮개부의 일 실시예의 선감개부(110)는 창살형 선감개부(110)로서, 멀티탭(131)에 콘센트를 꽂고 창살형 선감개부(110)에 전선을 권취하여 정리한 후 덮개(142)를 덮어 전선을 은폐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로드(148)의 단부와 로드삽입구(151) 내부에는 자석(미도시)을 설치함으로써, 덮개(142)를 덮었을 때 자력에 의해 덮개(142)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는 착탈형 덮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한 실시예는 덮개(142)를 고정하기 위해 로드(148)를 돌출한 것인데, 도 22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책상구조물(10)에 선감개부(110)로서 돌출봉(114)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돌출봉(114)이 덮개(142) 체결구(149)의 로드삽입구(151)에 삽입되어 덮개(142)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덮개(142)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로드(148) 없이 선감개부(110)인 돌출봉(114)이 덮개(142)를 고정하는 역할과, 전선을 권취하여 정리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봉(114)의 단부에는 자석(147)을 설치하고, 체결구(149)의 로드삽입구(151) 내부에 자석(147)을 설치함으로써, 돌출봉(114)이 로드삽입구(151)에 삽입되었을 때 자력에 의해 덮개(142)가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도 23 및 도 24는 착탈형 덮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책상구조물(10)에 로드(148)를 설치하고, 착탈형 덮개(142)에 로드삽입구(151)가 구비된 체결구(149)를 형성하여, 책상구조물(10)의 로드(148)가 덮개(142) 체결구(149)의 로드삽입구(151)에 삽입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도 2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책상구조물(10)에 로드삽입구(151)가 형성된 체결구(149)를 돌출 형성하고, 덮개(142)에 로드(148)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덮개(142)의 로드(148)가 책상구조물(10)의 체결구(149) 로드삽입구(151)에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도 24와 같이 로드삽입구(151) 내부와 로드(148) 단부에 자석(147)을 설치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덮개(142)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5 및 도 26는 착탈형 덮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에서는 체결구(149) 외에 별도의 선감개부(110)를 구성한 것인데, 도 25 및 도 26은 체결구(149)를 덮개(142) 체결수단과 동시에 선감개부(110)로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체결구(149) 외면에 돌기(152)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체결구(149)에 권취된 전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선 감개형 책상은 책상 자체에 설치된 선감개부(110), 전원부(130) 및 덮개부(140)를 통해 많은 선을 쉽게 정리하여 고정함으로써, 선이 책상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하고, 바닥청소를 용이하게 하여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감전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책상 선정리를 통해 선을 깔끔하게 정리함으로써 외관을 깨끗하게 하고, 사용자가 전기제품 교체나 구조변경 때문에 선뭉치의 정리와 해체를 반복하는 경우 개방된 설치위치와 간단한 사용법 등에 의해 쉽고 빠르게 재정리 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전원선 뿐만 아니라 비전원선(예: 모니터선, 스피커선 등)까지 취합하여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책상구조물(10)에 체결되어 전선이 권취되어 정리되는 선감개부(110)와,
    상기 책상구조물(10)에 체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를 포함하며,
    전선을 상기 선감개부(110)에 권취하여 정리하도록 구성된 선 감개형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감개부(110)는,
    책상구조물(10)의 어느 한 지점에 직선 또는 곡선형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봉(114)이 소정 거리 돌출된 선 감개형 책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봉(114)은 외면에 소정 간격마다 돌기(115)가 돌출 구성된 선 감개형 책상.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봉(114) 단부에는 돌출봉(114)이 연장되어 절곡된 형태로 엔드(116)가 구성된 선 감개형 책상.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봉(114) 단부에는 돌출봉(114)의 두께보다 큰 조형물로 엔드(116)가 구성된 선 감개형 책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감개부(110)는 책상구조물(10)의 소정 간격 이격된 두 지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봉(111)으로 구성된 선 감개형 책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111)은,
    책상구조물(10)의 소정 간격 이격된 두 지점에서 지지봉(113)이 돌출되고,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연결봉(111)이 상기 지지봉(113) 단부에 체결된 선 감개형 책상.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111)의 외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돌기(112)가 돌출된 선 감개형 책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감개부(110)는,
    테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118)과, 상기 프레임(118) 내부에서 양 단부가 프레임(118)에 체결된 프레임바(119)로 구성되며,
    프레임(118) 형태로 책상구조물(10)에 형성된 홀에 상기 프레임(118)이 삽입 고정되어 구성된 선 감개형 책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119)는 수직방향, 수평방향 또는 수직과 수평방향의 직선 프레임바(119)가 조합되어 구성된 선 감개형 책상.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119)는 곡선 형태로 성형된 선 감개형 책상.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119)의 외면에는 소정 간격마다 돌기(121)가 돌출 형성된 선 감개형 책상.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30)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스토퍼(133)가 형성된 고정틀(132)이 책상구조물(10)에 체결되고,
    멀티탭(131)이 상기 고정틀(132)의 개방된 측면에서 삽입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된 선 감개형 책상.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구조물(10)에 체결되어 책상구조물(10)에 형성된 선감개부(110)와 전원부(130)를 선택적으로 은폐하는 덮개부(140)가 더 구성된 선 감개형 책상.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40)는,
    책상구조물(10)에서 돌출된 덮개지지구(144)에 판 형태의 덮개(141) 일측이 힌지 체결됨으로써, 덮개(141)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선감개부(110)와 전원부(130)를 선택적으로 은폐하도록 개폐형으로 구성된 선 감개형 책상.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구조물(10)에서 덮개받침구(143)가 돌출되고,
    덮개(141)가 닫혔을 때 덮개(141)의 타측이 상기 덮개받침구(143)에 접함으로써, 덮개(141)와 책상구조물(10)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선 감개형 책상.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감개부(110)는 책상구조물(10)에서 소정 개수 돌출되어 전선을 권취하는 돌출봉(114)으로 구성됨으로써,
    덮개(141)가 닫혔을 때 덮개(141)가 돌출봉(114)에 접하며 덮개(141)와 책상구조물(1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선 감개형 책상.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40)는,
    책상구조물(10) 또는 덮개(142) 중 어느 하나에는 로드(148)가 돌출되고,
    책상구조물(10) 또는 덮개(142) 중 다른 하나에는 로드삽입구(151)가 구비된 체결구(149)가 형성됨으로써,
    체결구(149)의 로드삽입구(151)에 로드(148)가 삽입되어 덮개가 선감개부(110)와 전원부(130)를 선택적으로 은폐하도록 착탈형으로 구성된 선 감개형 책상.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40)는,
    책상 구조물에는 전선이 권취되어 정리되는 돌출봉(114)이 형성되어 선감개부(110)를 대신하고,
    덮개(142)에는 상기 돌출봉(114)이 삽입되는 로드삽입구(151)가 구비된 체결구(149)가 형성됨으로써, 돌출봉(114)이 덮개(142)의 로드삽입구(151)에 삽입 고정되어 덮개(142)를 고정하는 착탈형으로 구성된 선 감개형 책상.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봉(114) 외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돌기(152)가 돌출된 선 감개형 책상.
KR1020167006557A 2015-11-24 2016-01-12 선 감개형 책상 KR101827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108 2015-11-24
KR20150165108 2015-11-24
PCT/KR2016/000285 WO2017090822A1 (ko) 2015-11-24 2016-01-12 선 감개형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544A true KR20170073544A (ko) 2017-06-28
KR101827542B1 KR101827542B1 (ko) 2018-02-08

Family

ID=5876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557A KR101827542B1 (ko) 2015-11-24 2016-01-12 선 감개형 책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72559B2 (ko)
JP (1) JP3213816U (ko)
KR (1) KR101827542B1 (ko)
CN (1) CN206852315U (ko)
WO (1) WO201709082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819A (ko) * 2017-08-04 2019-02-13 최윤길 기능성 스마트 책상
KR102078416B1 (ko) * 2019-11-28 2020-02-17 송태양 콘센트 매립형 가구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4360B1 (en) * 2016-08-31 2023-09-05 Artifox, LLC Table with cable passageways
US10021976B1 (en) * 2016-11-01 2018-07-17 Scott Allen Furniture system
US10492602B2 (en) * 2017-01-26 2019-12-03 Bose Corporation Electronics enclosure mounting
US20190159589A1 (en) * 2017-11-29 2019-05-30 Michael Mastry SofaBar
JP2020081738A (ja) * 2018-11-30 2020-06-04 株式会社With Pet Family テーブルシステム
CN109875251B (zh) * 2019-03-21 2021-10-26 义乌工商职业技术学院 一种计算机排线梳理装置
USD972865S1 (en) * 2019-05-10 2022-12-20 NorvaNivel IP Pty Ltd Table with a detachable top
CN111650864A (zh) * 2020-06-12 2020-09-11 江苏中智腾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城市系统控制室
US20230194153A1 (en) * 2021-12-18 2023-06-22 Michael A. Bedar Refrigerator Standing Desk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300Y1 (ko) * 2000-07-05 2000-12-15 이제창 콘센트와 전선 수납부를 갖는 책상다리
KR200210147Y1 (ko) * 2000-08-09 2001-01-15 주식회사도이퍼니처 책상용 배선 가이드
US20020074460A1 (en) * 2000-12-16 2002-06-20 Yves Behar Cable management hub apparatus for organizing a physical workspace of a computer system
KR200384336Y1 (ko) * 2005-02-16 2005-05-13 채우섭 책상용 배선덕트
US20060278794A1 (en) * 2005-05-06 2006-12-14 Rast Rodger H Underdesk apparatus for organizing electronics and connections
WO2006128218A1 (en) * 2005-05-31 2006-12-07 Life Order Design Pty Ltd. Desk assembly
WO2007064979A2 (en) * 2005-11-30 2007-06-07 Zepher Design, Inc. Cable organizer
US20090310291A1 (en) * 2008-06-11 2009-12-17 Surface Technologies, Inc. Workstation modesty panel with laptop storage and docking
FI122667B (fi) * 2009-04-06 2012-05-15 Presson Oy Kokoustilan pöytäkaivokaluste
KR20110002931A (ko) * 2009-07-03 2011-01-11 김태형 책상의 전선 수납부
KR20110006775U (ko) * 2009-12-29 2011-07-06 김광우 서랍장 전선 관리함
WO2011150192A2 (en) * 2010-05-28 2011-12-01 Steelcase Inc. Grommet assembly for work surfaces
US8960584B1 (en) * 2012-04-12 2015-02-24 Colin Fearon Cord storage device
US9961993B2 (en) * 2012-05-11 2018-05-08 Ameriwood Industries, Inc. Wall mount furniture with cable concealment
CN104754986B (zh) * 2012-10-25 2017-04-26 斯蒂尔凯斯有限公司 缆线筐形式的家具附件
KR101383055B1 (ko) * 2013-02-18 2014-04-08 장근대 멀티탭 설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819A (ko) * 2017-08-04 2019-02-13 최윤길 기능성 스마트 책상
KR102078416B1 (ko) * 2019-11-28 2020-02-17 송태양 콘센트 매립형 가구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43113A1 (en) 2017-05-25
CN206852315U (zh) 2018-01-09
JP3213816U (ja) 2017-12-07
KR101827542B1 (ko) 2018-02-08
US9872559B2 (en) 2018-01-23
WO2017090822A1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542B1 (ko) 선 감개형 책상
EP2429337B1 (en) Medicine cabinet
US20050039997A1 (en) Electric cord reel
KR200435152Y1 (ko) 콘센트 일체형 케이블 정리박스
JP2008119307A (ja) テーブル
KR102055297B1 (ko)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스위치박스의 가변형 전선단말 고정구
KR200449233Y1 (ko)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구조
JP2003079457A (ja) 引出家具
KR101758742B1 (ko) 선 정리장치가 구비된 책상
US20130206446A1 (en) Cord Organizer System
JP2008075310A (ja) 配線収納部材
KR200426185Y1 (ko) 전선 정리 기구
KR100554460B1 (ko) 전선정리구
JP3121681U (ja) 収納ボックス
KR20210002930A (ko) 멀티탭 설치용 보드
KR101818912B1 (ko) 전선 정리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커버
KR20120003908U (ko) 전선 정리 케이스
CN203233621U (zh) 一种用于弱电机柜的理线架
JPH0225263Y2 (ko)
KR101164357B1 (ko) 가전제품을 위한 전선 정리함
JP4032869B2 (ja) ケーブル収納体
KR200474001Y1 (ko) 전기선 정리 휘어지는 지퍼 케이스
KR101922350B1 (ko) 주방(廚房)가구의 배선기구용 점검커버
JPH0332263Y2 (ko)
JPH033410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