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931A - 책상의 전선 수납부 - Google Patents

책상의 전선 수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931A
KR20110002931A KR1020090060470A KR20090060470A KR20110002931A KR 20110002931 A KR20110002931 A KR 20110002931A KR 1020090060470 A KR1020090060470 A KR 1020090060470A KR 20090060470 A KR20090060470 A KR 20090060470A KR 20110002931 A KR20110002931 A KR 20110002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fixed
receiving portion
wi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09006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931A/ko
Publication of KR2011000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의 전선 수납부에 관한 것으로서, 전선 또는 멀티 콘센트 등을 용이하게 수납하여 책상 주변의 환경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책상의 전선 수납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책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는 수납부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책상 등의 테이블 주변의 전선 또는 멀티 콘센트를 수납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어 책상 주변의 환경 정리를 깨끗하게 할 수 있다.
책상, 전선, 수납, 망, 콘센트

Description

책상의 전선 수납부{ELECTRIC WIRE RECEIPT PART FOR TABLE}
본 발명은 책상의 전선 수납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 또는 멀티 콘센트 등을 용이하게 수납하여 책상 주변의 환경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책상의 전선 수납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에서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컴퓨터를 비롯하여 전기, 전자장비의 경우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게 충분한 길이의 전선과 플러그가 설치된 상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전자장비의 플러그를 전원에 연결하면 상당한 길이의 전선을 보관할 곳이 없어 바닥에 흐트러져 있거나 책상 벽 또는 기기의 측벽에 늘어져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전자, 전기 기기 등과 특히 컴퓨터의 설치시 전원에 연결되는 장비가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 프린터, 스캐너 및 스피커 등의 전원선과, 컴퓨터에 연결되는 데이터 전송 케이블 그리고 전화와 모뎀에 연결되는 전화선 등의 전선의 정리가 되지 않아 책상의 주변을 어수선하게 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작업장의 미관을 해치게 하고, 작업자가 이동 중에 발에 걸려 넘어지거나 콘센트에서 플러그가 탈거되어 작업을 중단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책상 등의 테이블의 주변의 전선 또는 멀티 콘센트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장착하여, 책상 등의 주변의 환경 정리를 깨끗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책상의 전선 수납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전선 수납부는, 책상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는 수납부를 포함한다. 수납부는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고정부는, 책상에 고정되는 제1 바디와, 제1 바디에 연장되며 수납부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는 제2 바디에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책상은 복수의 지지대로 지지되며 삽입부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바디는 플레이트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책상은 복수의 지지대로 지지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플레이트에는 걸이봉이 형성되며, 제1 바디는 걸이봉에 걸리도록 라운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제1 바디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체결공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를 이용하여 책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바디의 체결부는 그 일부가 고리 형상으로 절개된 걸이부가 형성되고, 걸이부는 수납부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수납부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망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는 스틸 소재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는 길이 방향과 측면 방향으로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통공은 측면 방향에 형성된 부분이 길이 방향에 형성된 부분 보다 크게 관통될 수 있다.
고정부와 수납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부는 책상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첫째, 책상 등의 테이블 주변의 전선 또는 멀티 콘센트를 수납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책상 주변의 환경 정리를 깨끗하게 할 수 있다.
둘째, 책상 주변의 전선 등이 길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동시에 전선에 걸려서 넘어지거나 또는 전원이 오프됨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전선 수납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전선 수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 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납부와 고정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납부와 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4의 수납부와 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전선 수납부(100)는, 책상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고정부(10)에 의해 지지되는 수납부(20)를 포함한다.
책상(11)은 복수개의 지지부(11a)와 지지부(11a)들에 의해 지지되는 플레이트(11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책상은 사무용 책상 또는 학업용 책상 등의 어느 하나에 한정하지 않고, 지지부(11a)와 플레이트(11b)를 갖는 구성이면 가능하다.
고정부(10)는 책상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1b)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0)는 수납부(20)를 책상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고정부(10)는 책상에 고정되는 제1 바디(12)와, 제1 바디(12)에 연장되며 수납부(20)가 체결되는 체결부(14a)가 형성된 제2 바디(14)를 포함한다.
제1 바디(12)는 제2 바디(14)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형성 가능하다. 제1 바디(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책상의 플레이트(11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11b)에는 복수의 부재가 접합되어 형성 가능하며, 이러한 복수의 부재의 접합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12)는 플레이트(11b)의 접합 공간에 끼움 결합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1 바디(12)에는 제2 바디(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바디(14)는 제1 바디(12)에서 수납부(20)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바디(14)는 수납부(20)를 책상에 체결하기 위한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제2 바디(14)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제2 바디(14)가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것은 수납부(20)가 제2 바디(14)의 표면에 접촉시에 움직임이 없고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2 바디(14)가 플레이트 형상이 아닌 둥근 형상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면 수납부(20)와 제2 바디(14) 사이에 걸림 현상이 발생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바디(14)를 플레이트 형상으로 하여 수납부(20)의 안정적인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제2 바디(14)가 플레이트 형상을 갖음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됨도 가능하다.
제2 바디(14)에는 수납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수납부(20)의 측면에 한 쌍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바디(14)는 수납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다수개로 형성됨도 가능하다. 제2 바디(14)는 수납부의 안정적인 지지력의 확보를 위해 스틸 소재로 헝성될 수 있다.
제2 바디(14)에는 수납부(2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4a)가 형성된다. 체결부(14a)는 제2 바디(14)의 일부분이 고리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14a)는 제2 바디(14)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형상은'ㄴ'의 형상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수납부(20)는 체결부(14a)에 걸림 결합으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14a)는 제2 바디(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장착 가능하 다. 따라서, 수납부(20)와 책상의 플레이트(11b) 간의 이격된 거리의 조절이 원활하게 가능하다.
수납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0)에 의해 책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수납부(20)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전선 또는 멀티 콘센트 등의 수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납부(20)는 전선 또는 멀티 콘센트 등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통공(21)이 형성된다. 통공(21)은 수납부(20)의 전면, 후면, 측면 모두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수납부(20)는 스틸 소재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20)의 다수개의 통공(21) 중에서 수납부(20)의 측면에 형성된 통공(21a)은 타 위치에 형성된 통공(21b)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멀티 콘센트 등이 수납부의 수납 공간으로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부(2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을 예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정사각형 또는 둥근 라운드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수납부(20)는 고정부(10)에 하나로 장착됨을 예시하였지만, 복수개의 수납부가 장착됨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고정부(10)는 수납부(20)에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부(10)는 책상에 용접으로 일체로 고정됨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전선 수납부(100)는 책상의 플레이트(11b) 또는 책상 다리등에 용접으로 고정됨도 가능하다. 그러나 전선 수납부(100)의 고정 위치는 책상의 플레이트 또는 다리 등에 한정하지 않고 책상을 구성하는 임의의 부품에 용접으로 장착됨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전선 수납부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책상에 고정부의 제1 바디(12)를 삽입 고정한다.
이어서, 제1 바디(12)에 연결된 제2 바디(14)의 체결부(14a)에 수납부(20)를 체결한다. 여기서 수납부(20)의 장착은 제2 바디(14)의 체결부(14a)에 체결되는 위치의 조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장착이 가능하다.
다음, 사용자는 전선 또는 멀티 콘센트 등의 수납물을 수납부(20)의 통공을 통해서 삽입하여 수납이 이루어진다. 수납부(20)는 책상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전선 수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수납부와 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10)는 제1 바디(112)와 제2 바디(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바디(112)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을 이루어 책상에 걸림 고정된다. 이를 위해 책상에는 책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걸이봉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전선 수납부는 제1 바디(112)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책상에 고정됨으로써,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전선 수납부를 수납부와 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10)는 제1 바디(212)와 제2 바디(2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바디(212)는 제2 바디(214)와 동일 평면을 갖는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바디(212)는 책상에 볼트(216)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10)는 책상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20)는 책상에 고정부(10)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됨이 가능하다. 여기서 볼트는 리벳 등의 체결부재로 대체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전선 수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납부와 고정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납부와 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4의 수납부와 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전선 수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납부와 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전선 수납부를 수납부와 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고정부 11...책상
11a..지지부 11b..플레이트
12...제1 바디 14...제2 바디
14a..체결부 20...수납부
21...통공

Claims (10)

  1. 책상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는 수납부;
    를 포함하는 책상의 전선 수납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책상에 고정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에 연장되며 상기 수납부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제2 바디;를 포함하는 책상의 전선 수납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책상의 전선 수납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은 복수의 지지대로 지지되며 삽입부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플레이트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책상의 전선 수납 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은 복수의 지지대로 지지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걸이봉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걸이봉에 걸리도록 라운드 형상을 갖는 책상의 전선 수납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책상에 고정되는 책상의 전선 수납부.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체결부는 그 일부가 고리 형상으로 절개된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수납부에 걸림 결합되는 책상의 전선 수납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스틸 소재의 와이어로 형성된 망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은 길이 방향과 측면 방향으로 다수개로 형성되며, 측면 방향에 형성된 통공이 길이 방향에 형성된 통공 보다 크게 관통되는 책상의 전선 수납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수납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책상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책상의 전선 수납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책상의 전선 수납부.
KR1020090060470A 2009-07-03 2009-07-03 책상의 전선 수납부 KR20110002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470A KR20110002931A (ko) 2009-07-03 2009-07-03 책상의 전선 수납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470A KR20110002931A (ko) 2009-07-03 2009-07-03 책상의 전선 수납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931A true KR20110002931A (ko) 2011-01-11

Family

ID=4361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470A KR20110002931A (ko) 2009-07-03 2009-07-03 책상의 전선 수납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9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22A1 (ko) * 2015-11-24 2017-06-01 박관규 선 감개형 책상
KR20200058311A (ko) * 2018-11-16 2020-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형 케이블 수납부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514782B1 (ko) 2022-11-17 2023-03-29 (주)투템디자인 폴딩 테이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22A1 (ko) * 2015-11-24 2017-06-01 박관규 선 감개형 책상
US9872559B2 (en) 2015-11-24 2018-01-23 Kwankyu Park Wire-reeling type desk
KR20200058311A (ko) * 2018-11-16 2020-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형 케이블 수납부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102514782B1 (ko) 2022-11-17 2023-03-29 (주)투템디자인 폴딩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2329B2 (en) Cable tray and organizer
EP1808939A2 (en) Mounting receptacle with interchangeable hub
WO2007054923A1 (en) Console with a storage space
US20210204690A1 (en) Table
KR20110002931A (ko) 책상의 전선 수납부
KR20180059402A (ko) 무선 청소기용 거치대
CN201029162Y (zh) 一种用电设备的电源插头防松脱装置
JP2008178353A (ja) 電柱用の営巣防止具
KR101479289B1 (ko) 전선용 행거
US10637195B2 (en) Cord retainer
KR20090034553A (ko) 공구함을 구비한 사다리
US9257803B2 (en) Power strip holder
JP5625157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基台構造
KR200442852Y1 (ko) 커넥터 케이블 거치대
JP2007234411A (ja) Acコンセント差込型保持具
JP2018022556A (ja) 吊り下げ用照明器具、連結具及び照明システム
KR101689756B1 (ko) 케이블 정리용 조립식 홀더
JP2008122514A (ja) メディアコンバータ
CN107624015B (zh) 电器元件和主板的安装结构及包括其的电饭煲
CN213572746U (zh) 一种护墙
KR102347883B1 (ko) 전선 및 플러그 고정체
US6482043B1 (en) Electrical wall outlet assembly
EP1530347A1 (en) Supporting device for a rechargeable electrical appliance, in particular a mobile telephone
KR20240000395U (ko) 벽면 콘센트 끼움형 대상물 고정부재
JP2017204563A (ja) ラックへの機器取付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