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239A - 팔꿈치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팔꿈치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239A
KR20170072239A KR1020177012234A KR20177012234A KR20170072239A KR 20170072239 A KR20170072239 A KR 20170072239A KR 1020177012234 A KR1020177012234 A KR 1020177012234A KR 20177012234 A KR20177012234 A KR 20177012234A KR 20170072239 A KR20170072239 A KR 2017007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nar
humerus
proximal end
axis
spac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8604B1 (ko
Inventor
렌조 소피아티
죠반니 파치올리
Original Assignee
테크레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레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테크레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7007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04Joints for elbows or knees for elb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05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elb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21Features concerning the anatomical functioning or articulation of the prosthetic joint
    • A61F2002/30624Hinged joint, e.g. with transverse axle restricting th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67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 A61F2002/30672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tempora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67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 A61F2002/30677Means for introducing or releasing pharmaceutical products, e.g. antibiotics,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002/3092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having an open-celled or open-por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04Joints for elbows or knees for elbows
    • A61F2002/3813Joints for elbows or knees for elbows for ulno-humeral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04Joints for elbows or knees for elbows
    • A61F2002/3822Hum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04Joints for elbows or knees for elbows
    • A61F2002/3831Ulnar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002/4615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05The prosthesis being constructed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353Bone cement, e.g. polymethylmethacrylate or PMMA

Abstract

본 발명은 팔꿈치 스페이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스페이서 장치는, 근위 단부(7)와 원위 단부(8) 사이에서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x-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스템부(6)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근위 단부(10)와 원위 단부(11) 사이에서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y-y)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스템부(9)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는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와의 결합 자리(4)를 형성함); 및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와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 사이에서, 상완골 부분(3)의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y-y)에 수직인 축선(z-z)을 따라 위치될 수 있는 관절식 연결 수단(5)을 포함한다.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는, 스페이서 장치가 환자의 우상측 팔다리에 이식되는지 또는 좌상측 팔다리에 이식되는지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적어도 2개의 작용 위치에 따라,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관절식 연결 수단(5)의 축선(z-z)에 수직이 아닌 상태에서 결합 자리(4)에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팔꿈치 스페이서{ELBOW SPACER}
본 발명은 특히 소위 "2-단계" 치료에 따른 감염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팔꿈치 관절용 스페이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팔꿈치 관절은, 종종 단일 관절이라고 생각하지만, 단일의 캡슐과 관련된 3개의 개별적인 관절을 포함한다. 이들 관절은 상완 요골 관절, 팔뚝의 굽히기 및 뻗기를 가능하게 해주는 상완 척골 관절, 및 손을 기울이고 위로 향하게 할 수 있는 근위 요척골 관절이다.
본 발명은 상완 척골 관절에 영향을 영향을 주는 스페이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철(prosthesis)의 이식을 필요로 하는 팔꿈치 병소를 치료할 때, 그 보철 주변의 조직이 감염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보철의 외식(explant)이 필요하고, 감염된 조직이 일단 치료되면, 새로운 영구적인 보철을 이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감염 치료 방법은 일반적으로 2-단계 치료로 규정되는데, 보철을 제거하는 제 1 단계, 및 감염이 제거되면 새로운 보철을 이식하기 위한 제 2 단계를 갖기 때문이다.
감염 치료는 스페이서 장치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데, 이 스페이서 장치는, 치료 중에 관절 부분들을 적절히 서로 이격시키는 것 외에도, 보철이 제거됨으로써 자유롭게 남아 있는 공간과 접촉하거나 접속하고 특정 감염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항생제 또는 다른 작용 성분을 점진적으로 방출하게 되며, 그 결과 감염 자체가 치료된다.
그러한 스페이서 장치는 또한 환자가 치료된 팔다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스페이서 장치는, 치료 단계 중에 관절 부분들을 적절히 이격시킬 수 있지만, 팔다리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지 못한다는 단점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통상적인 스페이서에 대한 대안적인 구성을 가지며, 스페이서 장치가 이식된 후에 팔다리의 움직임을 가능케 해주며 또한 동시에 조립하고 환자의 팔다리에 이식하는 것이 용이한 팔꿈치 관절용 스페이서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팔꿈치 관절용 스페이서 장치의 분야에서 종래 기술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의 범위에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팔꿈치 관절에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스페이서 장치로서, 통상적인 스페이서 장치에 대한 대안적인 구성을 갖는 스페이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팔꿈치 관절에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스페이서 장치로서, 스페이서 장치가 현장에서 이식되면 관절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스페이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팔꿈치 관절에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스페이서 장치로서, 부품 수가 감소된 스페이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팔꿈치 관절에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스페이서 장치로서,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얻어질 수 있는 스페이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팔꿈치 관절에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스페이서 장치로서, 조립이 용이한 스페이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팔꿈치 관절에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청구항 1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팔꿈치 관절에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스페이서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청구항 29에 따른 방법이 제공된다.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유리한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비제한적인 예로 도시되어 있는, 팔꿈치 보철의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스페이서 장치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페이서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장치의 상완골 부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장치의 정면도로, 척골 부분이 제 1 작용 위치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도 1의 장치의 정면도로, 척골 부분이 제 2 작용 위치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를 전방 면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로, 척골 부분이 제 2 작용 위치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정면도 및 그 장치를 전방 면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0은 2개의 작업 위치(한 작업 위치는 스페이서 장치 자체의 굽힘을 위한 위치이고 다른 작업 위치는 그 장치의 연장을 위한 위치임)에 있는 제 1 또는 2 실시 형태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를 나타낸다.
첨부 도면에서, 동등한 부분 또는 부품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 "1"은 팔꿈치 관절의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 특히, 이식 부위에서 진행중인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제 1 보철의 외식(explant) 때부터 제 2 보철의 이식 때까지의 시간 동안에 감염의 2-단계 치료 중에 사용되는 임시 스페이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페이서 장치(1)는 관절 공간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팔꿈치를 새로운 보철의 이식물에 관절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동시에 하나 이상의 항생제와 같은 적절한 약물 또는 약이 스페이서 장치 자체에 존재함으로 인한 또한 치료될 전체 감염 영역과 장치의 접촉에 의한 감염을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스페이서 장치(1)는 생체 적합적인 재료로 만들어지며, 장치 주변의 환자 조직 안으로 방출되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 제품, 작용 및/또는 치료 성분이 추가되어 있고 그리고 /또는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1)의 생체 적합적인 재료는 다공성이고, 특히 서로 연결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세공(pore)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1)를 위한 재료는 금속, 금속 합금, 유기 금속, 세라믹, 유리, 플라스틱 재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는, 모든 공중합체 및 아크릴 혼합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한, 아크릴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스페이서 장치(1)를 이루는 생체 적합적인 재료는 골 시멘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재료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 제품, 작용 및/또는 치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 제품, 작용 및/또는 치료 성분은, 항상제, 방부제, 정균 작용제, 살균제, 항진균약, 화학 요법제, 예컨대 겐타마이신, 반코마이신, 또는 다른 작용 성분을 포함할 있다.
다공성인 스페이서 장치의 재료에는, 제조 단계 중에, 또는 예컨대 주입을 통해 환자에 이식될 때 의사에 의해 추후에 약물이 추가될 수 있다. 약학적 제품, 작용 및/또는 치료 성분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장치가 제공되면, 이어서 이 장치에, 작용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또는 확인된 발병제에 매우 특정적인 약물을 도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적인 약학적 제품, 작용 및/또는 치료 성분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물질은, 적용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스페이서 장치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약학적 제품, 작용 및/또는 치료 성분과 다를 수 있다. 추가되는 항생제의 일 예로,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의사는 그람 양성의 박테리아에 저항하는 반코마이신 또는 혐기성 박테리아에 저항하기 위한 클린다마이신을 원래 존재하는 겐타마이신에 추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스페이서 장치를 수성 항생제 용액에 침지할 수 있다. 이 용액은 항생제와 함께 수분 내에 스페이서에 흡수될 것이다. 흡수되는 용액의 양은 원하는 경우 재료의 구조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최적의 값은 흡수되는 용액의 1 내지 60 중량%이다. 다시 말해, 스페이서가 100 그램이면, 이 스페이서는 그의 구조에 따라, 수성 약물 용액의 1 내지 60 그램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결합 자리(4)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 및 이러한 결합 자리(4)에 있는 관절식 연결 수단(5)을 포함하며, 이 수단은 척골 부분(2)과 상완골 부분(3) 사이의 결합 및 관절식 연결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척골 부분(2)은 스템부(6)를 가지고 있는데, 이 스템부는 근위 단부(7)와 원위 단부(8) 사이에서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x-x)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완골 부분(3)은 스템부(9)를 가지고 있으며, 이 스템부는 근위 단부(10)와 원위 단부(11) 사이에서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y-y)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자리(4)를 가지고 있다.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와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 사이의 관절식 연결 수단(5)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 중에, 상기 상완골 부분(3)의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y-y)에 수직인 축선(z-z)을 따라 결합 자리(4)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상완골 부분(3)의 스템부(9)는 근위 단부(10) 쪽으로 점감되어 있고, 상완골 부분은 사용 전방 면(12), 사용 후방 면(13) 및 2개의 우측 및 좌측 사용 측면(도면에서 참조 번호 "14" 및 "15"로 각각 표시되어 있음)을 가지고 있다.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는 실질적으로 포크형으로 되어 있고, 사용 중에 2개의 측부(16, 17)(우측부와 좌측부)를 포함하며, 각 측부는 실질적으로 축선(y-y)을 따라 각각의 사용 측면(14 또는 15)에서 스템부(9)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는, 측부(16)와 측부(17)를 서로 연결하고 또한 사용 전방면(12)에서 스템(9)에 연결되어 있는 전방 벽(18)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전방 벽(18)은 사용 전방면(1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원위 단부(11)는, 측부(16)와 측부(17)를 서로 연결하고 또한 사용 후방면(13)에서 스템(9)에 연결되어 있는 후방 벽(18')을 또한 포함하며, 이 후방 벽은 후방 면과 대략 동일 평면 내에 있다.
상기 측부(16, 17), 사용 전방 벽(18) 및 사용 후방 벽(18')은 결합 자리(4)를 형성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의 각 측부(16 또는 17)는, 옆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라운딩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도 1 및 2), 전방 벽(18)과의 연결부에 있는 실질적으로 곧은 제 1 부분(19 또는 20) 및 사용 후방 벽(18')과의 연결부에 있는 실질적으로 곧은 제 2 부분(19' 또는 20')을 가지고 있다. 추가로, 측부(16, 17)은 앞에서 볼 때, 스템부(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두께를 갖는다(도 3 내지 9). 유리하게도, 결합 자리(4)는, 길이 방향 축선(y-y)에 대해, 스템부(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결합 자리(4)에서, 측부(16, 17)는 전방 벽(18) 근처에서 최소 거리(23)로 있고 측부(16, 17)의 가장 말단 지점(스템(9)에 대해)에서 최대 거리로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장치 자체의 사용 중에, 즉 그러한 스페이서 장치가 이식되어 있는 팔다리의 굽히기-뻗기 운동 중에 척골 부분(2)과 상완골 부분(3)에 가해지는 힘이 최적으로 분산됨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원위 단부(11)의 각 측부(16, 17)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1, 22)가 있는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는 측면 당 단지 하나의 개구만 나타나 있다. 각 측부(16, 17)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공통 축선(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특정한 경우에는 축선(z-z))을 따라 원위 단부(11)의 다른 측부(17 또는 16)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구와 정렬된다. 아래에서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관절식 연결 수단(5)은 사용 중에 그러한 축선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1)의 척골 부분(2)을 다시 참조하면, 이 척골 부분의 스템부(6)는 원위 단부(8) 쪽으로 점감되어 있고, 척골 부분은 사용 전방면(24), 사용 후방면(25) 및 2개의 우측 및 좌측 사용 측면(도면에서 참조 번호 "26" 및 "27"로 각각 표시되어 있음)을 가지고 있다.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에 있는 각 면(26, 27)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스템부의 대응하는 원위 단부(8)에 대해 확장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근위 단부(7)에서, 각 면(26, 27)은, 실질적으로 둥글고 대략 원형인 구성을 가지고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도 5 내지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척골 부분(2)의 크기는, 그의 근위 단부(7)의 횡방향 크기가 상완골 부분(3)의 결합 자리(4)의 최소 횡방향 크기(최소 거리(23)) 보다 작도록 되어 있어, 척골 부분은 상완골 부분에 어떤 틈새를 가지고 삽입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척골 부분의 측면(26) 또는 측면(27)이 결합 자리 자체의 측부(16) 또는 측부(17)와 접촉한 상태에서 척골 부분이 움직일 수 있다.
척골 부분(2)에서, 근위 단부(7)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8)가 있는데,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관통 개구는 사용 중에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1)의 관절식 연결 수단(5)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 개구(28)는, 상기 축선(x-x)을 통과하는 척골 부분(2)의 길이 방향 대칭 면(도면에는 미도시)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모래 시계 형태를 갖는, 즉 최소 단면(도 7에서 F로 표시되어 있음)을 갖는 틈을 형성한다. 이러한 틈은 그러한 길이 방향 대칭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1)의 관절식 연결 수단(5)은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핀(29)을 포함하며, 이 핀은 관통 개구(28) 및 상완골 부분(3)의 윈위 단부(11)의 측부(16, 17)에 있는 관통 개구(21, 22)에 의해 형성되는 최소 틈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핀(29)은 개구(28)의 최소 단면에서만 틈새 없이 척골 부분(2)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 개구(28)를 형성하는 척골 부분(2)의 측벽은, 척골 부분(2)이 사용 중에 결합 자리(4)에 어떻게 배치되는가에 따라 핀(29)과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사실, 그러한 구성의 경우, 결합 자리(4)에 삽입되는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는 축선(z-z)을 따라 약간 움직일 수 있고, 또한 개구(28)의 최소 단면(F)에서 피봇 주위로 약간 각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는, 스페이서 장치가 환자의 우상측 팔다리에 이식되는지 또는 좌상측 팔다리에 이식되는지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적어도 2개의 작용 위치 사이에서,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핀(29)이 배치되는 축선(z-z)에 수직이 아닌 상태에서, 상완골 부분(2)의 수용 자리(4)에 결합할 수 있다.
제 1 작용 위치(도 5)에서,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는 측부(17)에 인접하여 결합 자리(4)에 위치되어 있고, 그래서,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은 상완골 부분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 된다. 이 제 1 작용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는 환자의 상우측 팔다리에 삽입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제 2 작용 위치에서는,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는 측부(16)에 인접하여 결합 자리(4)에 위치되며(도 6 및 7), 그래서,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은 상완골 부분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 된다. 이 제 2 작용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는 환자의 상좌측 팔다리에 삽입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척골 부분(2)이 취하는 작용 위치와는 상관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크기는,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가 상완골 부분(3)의 결합 자리(4)에 삽입되고 또한 이어서 핀(29)이 측부(16, 17)와 척골 부분92)의 관통 개구(21, 22, 28)에 삽입되면, 척골 부분의 근위 단부는 굽힘 위치(상완골 부분(3)과 실질적으로 대향하여 위치되어 전방 벽(18)과 접촉함)와 연장 위치(상완골 부분(3)과 정렬되어 그 상완골 부분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떨어져 위치됨) 사이에서 핀(29)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에서, 척골 부분(2)은 최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상완골 부분(3)의 사용 후방 벽(18')과 접촉할 수 있다. 어쨋든, 사용 중에, 그러한 장치는 상완골 굽힘이 감소된 상태에서 횐자에 이식되므로, 팔의 팔뚝 및 스페이서 장치의 연장이 스스로 제한되며, 사실 척골 부분(2)은 상완골 부분(3)의 사용 후방 벽(18')과 결코 접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는 상완골 부분(3)에 대한 척골 부분(2)의 방향을 잡기 위한 수단(30)을 포함하는데, 이 수단은 결합 자리(4)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잡기 수단(30)은, 결합 자리(4)에서 척골 부분(2)의 근위 부분(7)과 자리(4)의 측부(16 또는 17)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방향 잡기 수단(30)은 관절식 연결 수단(5)에 끼워질 수 있는 부시 수단(예컨대,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짐), 또는 척골 부분(2)의 근위 부분(7)을 상기 측부(16 또는 17)에 인접하여 유지시킬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 중에는, 쐐기형 또는 경사형 벽 수단이 포함된다.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 그리고 특히 도 3 및 7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향 잡기 수단(30)은 유리하게 환형 판(31)로 되어 있고, 상완골 부분(3)의 측부(16, 17)에 있는 개구(21, 22)에 의해 형성되는 틈의 크기에 대략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관통 개구(32)를 형성한다. 이러한 환형 판(31)은 핀(29)에 끼워질 수 있고, 그의 근위 부분(33)에서 최소 두께를 가지며, 이 최소 두께는 상완골 부분(3)의 사용 전방 벽(18)과 대향하여 결합 자리(4)에 수용된다. 이러한 부분에서, 환형 판(31)은 곧은 부분을 갖는 주변 구성을 갖는데, 이 주변 구성은 사용 전방 벽(18)과 사용 후방 벽(18') 사이의 자리(4)의 내부 구성에 대략 대응한다.
대신에 환형 판의 두께는, 반대쪽 부분 또는 원위 부분(34), 즉 사용 중에 상완골 부분의 스템(9)으로부터 먼쪽에 있는 부분에서 최대이다.
환형 판(31)은 상완골 부분(3)의 측부(16 또는 17) 쪽을 향하는 면을 갖는데, 이 면은 결합 자리(4) 쪽을 향하는 측부의 면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형 판(31)은 반대쪽 부분 또는 원위 부분(34)에서 플랜지(35)를 가지고 있다. 이 플랜지(35), 근위 부분(33)에서의 환형 판(31)의 구성, 및 측면의 구성은, 환형 판이 자리(4)에 수용되고 핀(29)에 끼워지면 그 환형 판이 위치 고정되게 하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이러한 구성으로, 이 스페이서 장치의 조립이 아주 간단하게 되고,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식 연결 수단(5)을 배치하는 작업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들은 환자의 관절 치수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를 상완골 부분(3)의 결합 자리(4)에 삽입하고, 이때, 각 부분(21, 22, 28)의 관통 개구는 공통 축선(z-z)을 따라 서로 정렬된다.
이어서, 스페이서 장치(1)가 환자의 상우측 팔다리에 사용되기 위한 것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조립은,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상완골 부분(3)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되도록 결합 자리(4)에서 척골 부분(2)의 방향을 잡는다. 그렇지 않은 경우, 스페이서 장치(1)가 환자의 상좌측 팔다리에 사용되기 위한 것이면, 조립 방법은,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되도록 척골 부분(2)의 방향을 잡는다.
일단 상기 스페이서 장치의 척골 부분(2)이 원하는 제 1 또는 2 작용 위치에 있게 되면, 방향 잡기 수단(30)이 상기 자리에 삽입되어, 척골 부분(2)을 상완골 부분의 축선(y-y)에 대해 ±θ로 각도 고정시킨다.
방향 잡기 수단(30)이 전술한 바와 같은 환형 판(31)을 포함하면, 그 환형 편의 관통 개구(32)가 공통 축선(z-z)을 따라 관통 개구(21, 22, 28)와 정렬되도록 환형 판이 결합 자리(4)에 삽입될 것이다.
다음, 관절식 연결 수단(5)(핀(29))을 상기 관통 개구 안으로 삽입한다.
방향 잡기 수단(30)을 핀(29)에 끼울 필요가 없으면, 관절식 연결 수단(5)을 상기 관통 개구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는, 척골 부분(2)을 상완골 부분의 원위 부분(11)의 측부(16) 또는 측부(17) 쪽으로 배향시키는 단계 전에도 일어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는 도 8 및 9에 도시되어 있는 제 2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데, 이 제 2 실시 형태는, 척골 부분(2)과 방향 잡기 수단(30)이 일체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이 경우, 명백한 바와 같이, 방향 잡기 수단(300)은 환형 판(301)으로 되어 있고, 상완골 부분(3)의 측부(16, 17)에 있는 개구(21, 22) 및 척골 부분(2)의 관통 개구(28)의 크기에 대략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관통 개구(302)를 형성한다. 이러한 환형 판(301)은, 스페이서 장치가 환자의 우측 또는 좌측 팔다리에 이식되어야 하는지에 따라, 척골 부분 자체의 면(26 또는 27)에 제공되며, 그래서 경우에 따라, 사용 중에 척골 부분은 상완골 부분(3)의 측부(16 또는 17)에 인접하게 된다.
이 경우, 방향 잡기 수단은 척골 부분(2)과 함께 핀(29) 주위로 움직이기 때문에, 방향 잡기 수단은 결합 자리(4) 내에서의 척골 부분의 회전을 막지 않도록 하는 횡방향 구성을 갖는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특정한 경우, 방향 잡기 수단(300)은 원형 크라운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이 제 2 실시 형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척골 부분의 관통 개구(28 ∼ 302)에 의해 형성된 틈은 일정한 단면을 갖는다.
그래서, 전술한 스페이서 장치는, 통상적인 유형의 스페이서 장치에 대해 완전히 대안적인 구성을 가지며 감소된 수의 부품을 포함하고 또한 조립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분명히 해결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척골 부분(2)과 상완골 부분(3) 모두에서 스템부를 포함하는 그러한 스페이서 장치는 치료 대상 환자의 각각의 뼈 부분에 삽입될 수 있어, 관절의 운동성이 보장되고 또한 항생제 치료 물질이 넓은 영역에 걸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스페이서 장치(1)는 다음 청구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화를 받을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척골 부분(2)과 상완골 부분(3) 모두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로 만들어지는 강화 코어를 포함하는데, 이 강화 코어는 스페이서 장치의 내응력성을 크게 하는데 기여한다. 추가로, 가능하다면, 예컨대 척골 부분(2)에서 스템(6)과 근위 단부(7)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강화 코어에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가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 관통 개구는 코어의 기계적 특성(내응력성)을 유지하면서 그 코어의 중량을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경우에 따라, 척골 부분(2)의 스템부(6)는, 주로 직선 축선(x-x)을 따라 연장되어 있더라도, 치료 받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더 잘 적합하게 되도록 그러한 축선과 정렬되지 않는 중앙-원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Claims (30)

  1. 팔꿈치 관절에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스페이서 장치로서,
    근위 단부(7)와 원위 단부(8) 사이에서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x-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스템부(6)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근위 단부(10)와 원위 단부(11) 사이에서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y-y)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스템부(9)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상기 원위 단부(1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자리(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상기 원위 단부(1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y-y)에 수직인 축선(z-z)을 따라 위치될 수 있는 관절식 연결 수단(5)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는, 스페이서 장치가 환자의 우상측 팔다리에 이식되는지 또는 좌상측 팔다리에 이식되는지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적어도 2개의 작용 위치에 따라,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상기 관절식 연결 수단(5)의 상기 축선(z-z)에 수직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결합 자리(4)에 결합할 수 있는, 팔꿈치 관절에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스페이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의 횡방향 크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결합 자리(4)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의 횡방향 크기 보다 작은, 스페이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자리(4)는 상기 길이 방향 축선(y-y)을 따라 상기 스템부(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단면 크기를 갖는, 스페이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2)의 상기 스템부(9)는 상기 근위 단부(10) 쪽으로 점감되어 있고, 상기 상완골 부분은 사용 전방 면(12), 사용 후방 면(13) 및 2개의 좌우측 사용 측면(14, 15)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는, 실질적으로 포크형으로 되어 있고, 또한
    각각의 사용 측면(14, 15)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축선(y-y)을 따라 각기 상기 스템부(9)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에 있는 2개의 사용 측부(16, 17);
    상기 사용 전방 면(12)에서 상기 스템(9)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측부(16, 17)를 서로 연결하고, 또한 상기 전방 사용 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사용 전방 벽(18); 및
    상기 사용 후방 면(13)에서 상기 스템(9)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측부(16, 17)를 서로 연결하고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사용 후방 면으로부터 상기 축선(y-y)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사용 후방 벽(18')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16, 17), 상기 사용 전방 벽(18) 및 사용 후방 벽(18')은 상기 결합 자리(4)를 형성하는, 스페이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16, 17)는, 실질적으로 라운딩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사용 전방 벽(18) 및 사용 후방 벽(18')과의 연결부에서 실질적으로 곧은 부분(19, 20; 19', 20')을 가지고 있는, 스페이서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1, 22)가 각 측부(16, 17)에 형성되어 있는, 스페이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16, 17) 중의 한 측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1, 22)는, 상기 관절식 연결 수단(5)의 상기 축선(z-z)과 일치하는 축선을 따라 상기 측부(17. 16) 중의 다른 측부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2, 21)와 정렬되는, 스페이서 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16, 17)는 상기 스템부(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16, 17)는 상기 사용 전방 벽(18) 근처에서 최소 거리(23)를 갖는, 스페이서 정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스템부(6)는 상기 원위 단부(8) 쪽으로 점감되어 있고, 상기 척골 부분은 사용 전방 면(24), 사용 후방 면(25) 및 우측 및 좌측에 있는 2개의 사용 면(26, 27)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옆에서 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상기 원위 단부(8) 근처에 있는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 확장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스페이서 장치.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식 연결 수단(5)은 적어도 하나의 핀(29)을 포함하며, 이 핀의 단면은 상완골 부분(3)의 윈위 부분(11)의 측부(16, 17)에 있는 정렬된 관통 개구(21, 22)에 의해 형성되는 틈에 대응하는, 스페이서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의 상기 사용 측면(26, 27)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모래 시계 형태의 틈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틈은 상기 축선(x-x)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길이 방향 대칭 면에서 최소 단면(F)을 가지며 그 길이 방향 대칭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스페이서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28)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틈의 상기 최소 단면(F)은 실질적으로 상기 핀(29)의 단면에 대응하며, 그래서 핀(29)은 상기 최소 단면(F)에서만 틈새를 갖지 않고 상기 관통 개구(28)에 삽입될 수 있는, 스페이서 장치.
  16. 제 13 항을 인용하는,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는, 상기 결합 자리(4)에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축선(z-z)을 따라 약간 움직일 수 있고 관통 개구(28)의 최소 단면(F)에서 약간의 각운동을 완료하는, 스페이서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의 상기 사용 측면(26, 27) 사이에, 일정한 단면을 갖는 틈(28)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8)가 제공되어 있는, 스페이서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방향을 잡는 방향 잡기 수단(30, 300)을 포함하고, 방향 잡기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자리(4)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과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스페이서 장치.
  19. 제 5 항을 인용하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잡기 수단(30, 300)은 결합 자리(4)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근위 부분(7)과 상기 자리(4)를 형성하는 측부(16, 17) 중 한 측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장치.
  20. 제 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잡기 수단(30, 300)은, 환형 판(31, 301)으로 되어 있고, 상완골 부분(3)의 측부(16, 17)에 있는 관통 개구(21, 22)의 크기에 대략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관통 개구(32, 302)를 형성하는, 스페이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판(31)은, 사용시 상기 상완골 부분(3)의 사용 전방 벽(18)과 대향하여 상기 결합 자리(4)에 수용되는 근위 부분(33)에서 최소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판(31)은 상기 근위 부분(33)에서, 사용 전방 벽(18)과 사용 후방 벽(18') 사이의 상기 자리(4)의 내부 구성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곧은 부분을 갖는 주변 구성을 갖는, 스페이서 장치.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판(31)은 상기 근위 부분(33)의 반대쪽에 있는 원위 부분(34)에서 플랜지(35)를 갖는, 스페이서 장치.
  24. 제 17 항을 인용하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잡기 수단(3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과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스페이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3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관통 개구(28)와 정렬되는, 스페이서 장치.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잡기 수단(300)은 실질적으로 원형 크라운 형태의 단면을 갖는, 스페이서 장치.
  27. 제 5 항을 인용하는, 제 5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작용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는 결합 자리(4)에서 상기 측부(17)와 나란히 위치되어 있고, 그래서,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은 상완골 부분(3)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되는, 스페이서 장치.
  28. 제 5 항을 인용하는, 제 5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작용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는 결합 자리(4)에서 상기 측부(16)와 나란히 위치되어 있고, 그래서,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은 상완골 부분(3)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되는, 스페이서 장치.
  29.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과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관절식 연결 수단(5)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부분의 관통 개구(21, 22, 28)를 서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결합 자리(4)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스페이서 장치가 환자의 상우측 팔다리에 이식되기 위한 것이면,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을 배치하는 단계;
    또는, 상기 스페이서 장치가 환자의 상우측 팔다리에 이식되기 위한 것이면,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을 배치하는 단계;
    각각의 관통 개구(32)를 상기 관통 개구(21, 22, 28)와 정렬시킨 상태에서 방향 잡기 수단(30)을 상기 결합 자리(4)에서 상기 척골 부분(2)과 측부(16, 17)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및
    관절식 연결 수단(5)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관통 개구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장치 조립 방법.
  30.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 방향 잡기 수단(300)과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과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관절식 연결 수단(5)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부분의 관통 개구(21, 22, 28)를 서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결합 자리(4)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절식 연결 수단(5)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관통 개구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장치 조립 방법.
KR1020177012234A 2014-10-21 2015-09-29 팔꿈치 스페이서 KR102428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VR2014A000258 2014-10-21
ITVR20140258 2014-10-21
PCT/IB2015/057456 WO2016063155A1 (en) 2014-10-21 2015-09-29 Elbow spac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239A true KR20170072239A (ko) 2017-06-26
KR102428604B1 KR102428604B1 (ko) 2022-08-02

Family

ID=5210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234A KR102428604B1 (ko) 2014-10-21 2015-09-29 팔꿈치 스페이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51753B2 (ko)
EP (1) EP3209244B1 (ko)
KR (1) KR102428604B1 (ko)
CN (1) CN107072789B (ko)
AU (1) AU2015334611A1 (ko)
ES (1) ES2748898T3 (ko)
WO (1) WO2016063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2935A (zh) * 2019-05-10 2019-09-03 北京市春立正达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肘关节假体
IT201900012372A1 (it) 2019-07-19 2021-01-19 Tecres Spa Dispositivo spaziatore per il controllo di disturbi o infezioni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6817A (en) * 1952-04-30 1954-12-14 Samuel B Prevo Prosthetic elbow joint
US3708805A (en) * 1969-12-24 1973-01-09 Nat Res Dev Prosthetic elbow joint
US3816854A (en) * 1973-07-03 1974-06-18 A Schlein Prosthesis for total arthroplasty of the elbow joint
EP0488378B1 (de) * 1990-11-29 1998-05-20 GMT Gesellschaft für medizinische Technik mbH Kniegelenkendoprothese
US20020165614A1 (en) * 1999-05-14 2002-11-07 Alain Tornier Elbow prosthesis
FR2829688B1 (fr) * 2001-09-14 2003-11-21 Fixano Prothese totale d'articulation du coude
US20060100713A1 (en) * 2004-10-29 2006-05-11 Ball Robert J Mobile bearing total elbow prosthesis, ulnar component, and associated kit
US20060247786A1 (en) * 2004-10-29 2006-11-02 Ball Robert J Modular total elbow prosthesis, humeral component and associated kit
US20080015706A1 (en) * 2000-07-18 2008-01-17 Berelsman Brian K Elbow Prosthesis
US20090312840A1 (en) * 2006-06-28 2009-12-17 Morrey Bernard F Prosthetic elbow replacement
US20110125274A1 (en) * 2009-11-16 2011-05-26 New York Society For The Ruptured And Crippled Maintaining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Elbow replacement apparatus and methods
US20120053697A1 (en) * 2010-08-27 2012-03-01 Palmer Andrew K Elbow prosthesis and method for use
US20130345818A1 (en) * 2012-06-22 2013-12-26 Terry W. Wagner Elbow prosthesi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6860B1 (fr) * 2001-07-09 2004-03-05 Tornier Sa Ancillaire de pose d'un composant cubital et/ou d'un composant radial de prothese de coude
US20040220675A1 (en) * 2003-04-30 2004-11-04 Lewis Ralph Harrison Total elbow replacement for dogs
CN2659380Y (zh) * 2003-11-28 2004-12-01 曲彦隆 自锁全肘关节置换假体
US8353965B2 (en) 2004-09-03 2013-01-15 Seitz Jr William H Small joint orthopedic implants and their manufacture
JP2007075129A (ja) * 2005-09-09 2007-03-29 Okayama Univ 人工肘関節
US20070179609A1 (en) * 2006-01-27 2007-08-02 Medicinelodge, Inc. Therapeutic agent eluding implant with percutaneous supply
CN201861799U (zh) * 2010-10-26 2011-06-15 深圳职业技术学院 一种肱骨远端假体
CN101984939A (zh) * 2010-12-16 2011-03-16 西安福安创意咨询有限责任公司 钽涂层人工肘关节假体的设计方法
CN201879868U (zh) * 2010-12-16 2011-06-29 段永宏 钽涂层人工肘关节假体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6817A (en) * 1952-04-30 1954-12-14 Samuel B Prevo Prosthetic elbow joint
US3708805A (en) * 1969-12-24 1973-01-09 Nat Res Dev Prosthetic elbow joint
US3816854A (en) * 1973-07-03 1974-06-18 A Schlein Prosthesis for total arthroplasty of the elbow joint
EP0488378B1 (de) * 1990-11-29 1998-05-20 GMT Gesellschaft für medizinische Technik mbH Kniegelenkendoprothese
US20020165614A1 (en) * 1999-05-14 2002-11-07 Alain Tornier Elbow prosthesis
US20080015706A1 (en) * 2000-07-18 2008-01-17 Berelsman Brian K Elbow Prosthesis
FR2829688B1 (fr) * 2001-09-14 2003-11-21 Fixano Prothese totale d'articulation du coude
US20060100713A1 (en) * 2004-10-29 2006-05-11 Ball Robert J Mobile bearing total elbow prosthesis, ulnar component, and associated kit
US20060247786A1 (en) * 2004-10-29 2006-11-02 Ball Robert J Modular total elbow prosthesis, humeral component and associated kit
US20090312840A1 (en) * 2006-06-28 2009-12-17 Morrey Bernard F Prosthetic elbow replacement
US20110125274A1 (en) * 2009-11-16 2011-05-26 New York Society For The Ruptured And Crippled Maintaining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Elbow replacement apparatus and methods
US20120053697A1 (en) * 2010-08-27 2012-03-01 Palmer Andrew K Elbow prosthesis and method for use
US20130345818A1 (en) * 2012-06-22 2013-12-26 Terry W. Wagner Elbow prosthe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48898T3 (es) 2020-03-18
US10251753B2 (en) 2019-04-09
CN107072789A (zh) 2017-08-18
AU2015334611A1 (en) 2017-05-25
WO2016063155A1 (en) 2016-04-28
KR102428604B1 (ko) 2022-08-02
EP3209244A1 (en) 2017-08-30
US20170312086A1 (en) 2017-11-02
CN107072789B (zh) 2019-03-08
EP3209244B1 (en)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337B1 (ko) 무릎 관절을 위한 개선된 조절가능한 모듈형 스페이서 장치
KR101504390B1 (ko) 관절-보철물 감염 치료용 모듈형 스페이서
US10022235B2 (en) Modular articular spacer system
JP5837635B2 (ja) 凹部を有する2つの部品の膝スペーサ
AU2015323456A1 (en) Constrained spacer device for the knee joint
US10792161B2 (en) Adjustable modular spacer device for the articulation of the knee
JP2012503532A (ja) 切断術用安定化装置
JP5897716B2 (ja) 人体の関節のための仮のモジュール式スペーサ装置
KR20170072239A (ko) 팔꿈치 스페이서
KR20170072240A (ko) 팔꿈치 보철
KR102497061B1 (ko) 어깨 관절의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스페이서 장치
EP2719359A1 (en) Prosthesis
EP3539492B1 (en) Bone plates
KR20180099711A (ko) 스페이서용 코어
JP2019500131A (ja) スペーサ用のコア
TWM465151U (zh) 多孔式人工膝關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