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240A - 팔꿈치 보철 - Google Patents

팔꿈치 보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240A
KR20170072240A KR1020177012235A KR20177012235A KR20170072240A KR 20170072240 A KR20170072240 A KR 20170072240A KR 1020177012235 A KR1020177012235 A KR 1020177012235A KR 20177012235 A KR20177012235 A KR 20177012235A KR 20170072240 A KR20170072240 A KR 20170072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nar
humerus
prosthesis
proximal end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죠반니 파치올리
렌조 소피아티
Original Assignee
테크레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레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테크레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7007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94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04Joints for elbows or knees for elb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3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additional screws, bolts, dowels, rivets or washers e.g. connectin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21Features concerning the anatomical functioning or articulation of the prosthetic joint
    • A61F2002/30624Hinged joint, e.g. with transverse axle restricting th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04Joints for elbows or knees for elbows
    • A61F2002/3813Joints for elbows or knees for elbows for ulno-humeral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04Joints for elbows or knees for elbows
    • A61F2002/3822Hum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04Joints for elbows or knees for elbows
    • A61F2002/3831Ulnar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꿈치 보철에 관한 것으로, 이 보철은, 근위 단부(7)와 원위 단부(8) 사이에서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x-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스템부(6)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근위 단부(10)와 원위 단부(11) 사이에서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y-y)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스템부(9)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는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와의 결합 자리(4)를 형성함); 및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와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 사이에서, 상완골 부분(3)의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y-y)에 수직인 축선(z-z)을 따라 위치될 수 있는 관절식 연결 수단(5)을 포함한다.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는, 보철이 환자의 우상측 팔다리에 이식되는지 또는 좌상측 팔다리에 이식되는지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적어도 2개의 작용 위치에 따라,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관절식 연결 수단(5)의 축선(z-z)에 수직이 아닌 상태에서 결합 자리(4)에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팔꿈치 보철{ELBOW PROSTHESIS}
본 발명은 팔꿈치 관절용 보철(prosthesis)에 관한 것이다.
팔꿈치 관절은, 종종 단일 관절이라고 생각하지만, 단일의 캡슐과 관련된 3개의 개별적인 관절을 포함한다. 이들 관절은 상완 요골 관절, 팔뚝의 굽히기 및 뻗기를 가능하게 해주는 상완 척골 관절, 및 손을 기울이고 위로 향하게 할 수 있는 근위 요척골 관절이다.
본 발명은 상완 척골 관절에 영향을 주는 보철에 관한 것이다.
현재 팔꿈치 관절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해 관절 보철이 있는데, 이 보철은 매우 복잡한 장치로, 조립하고 환자의 팔다리에 이식하는데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많은 부품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통상적인 보철에 대한 대안적인 구성을 가지며 또한 조립하고 환자의 팔다리에 이식하는 것이 용이한 팔꿈치 관절용 보철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의 분야에서 종래 기술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의 범위에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통상적인 보철에 대한 대안적인 구성을 갖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절의 기능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환자가 실질적으로 일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 수가 감소된 팔꿈치 관절용 보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용이한 팔꿈치 관절용 보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하고 가격 경쟁력이 있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팔꿈치 관절용 보철이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29에 따른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유리한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비제한적인 예로 도시되어 있는 팔꿈치 보철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팔꿈치 관절용 보철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팔꿈치 관절용 보철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철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보철의 상완골 부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보철의 정면도로, 척골 부분이 제 1 작용 위치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도 1의 보철의 정면도로, 척골 부분이 제 2 작용 위치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보철을 전방 면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로, 척골 부분이 제 2 작용 위치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보철의 정면도 및 그 보철을 전방 면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0은 2개의 작업 위치(보철 자체가 굽혀진 위치 및 그 보철이 연장되어 있는 위치)에 있는 제 1 또는 2 실시 형태에 따른 보철을 나타낸다.
첨부 도면에서, 동등한 부분 또는 부품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심한 손상이 있는 경우에도 관절 공간을 유지할 수 있고 환자의 팔꿈치의 관절 운동을 보장해주는 본 발명에 따른 팔꿈치 관절용 보철이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로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철(1)은 환자의 조직에 대해 생체 적합적인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생체 적합적인 재료는 금속, 금속 합금, 유기 금속 화합물, 세라믹, 또는 이것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보철(1)은 예컨대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뒤에서 상세히 설명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생제 적합적인 재료는, 아크릴 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료, 세라믹 재료, 또는 고다공성 수지 또는 이것들의 조합물 또는 골 시멘트, 예컨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것으로 코팅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는,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열성형 가능한 중합체와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 및 다른 유사한 재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은 보철의 부품 또는 심지어는 마찰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을 수 있다. 보철 주변의 뼈 조직과 코팅의 골성 결합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코팅은 세라믹 또는 아크릴일 때 예컨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마모를 가장 많이 많는 보철(1)의 표면 또는 부품에 대해서는, 코팅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금속 산화물 및/또는 질화물(예컨대, 티타늄 질화물)을 증착시키거나 도포하여 그러한 코팅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팔꿈치 관절용 보철은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식물에 더 큰 안정성, 높은 내하중성 등을 줄 수 있는 금속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보철(1)은,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결합 자리(4)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 및 이러한 결합 자리(4)에 있는 관절식 연결 수단(5)을 포함하며, 이 수단은 척골 부분(2)과 상완골 부분(3) 사이의 결합 및 관절식 연결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척골 부분(2)은 스템부(6)를 가지고 있는데, 이 스템부는 근위 단부(7)와 원위 단부(8) 사이에서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x-x)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완골 부분(3)은 스템부(9)를 가지고 있으며, 이 스템부는 근위 단부(10)와 원위 단부(11) 사이에서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y-y)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자리(4)를 가지고 있다.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와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 사이의 관절식 연결 수단(5)은, 이후에 더 명확하게 되는 바와 같이, 사용시, 상기 상완골 부분(3)의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y-y)에 대해 수직인 축선(z-z)을 따라 결합 자리(4)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철의 상완골 부분(3)의 스템부(9)는 근위 단부(10) 쪽으로 점감되어 있고, 상완골 부분은 사용 전방 면(12), 사용 후방 면(13) 및 2개의 우측 및 좌측 사용 측면(도면에서 참조 번호 "14" 및 "15"로 각각 표시되어 있음)을 가지고 있다.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는 실질적으로 포크형으로 되어 있고, 사용 중에 2개의 측부(16, 17)(우측부와 좌측부)를 포함하며, 각 측부는 실질적으로 축선(y-y)을 따라 각각의 사용 측면(14 또는 15)에서 스템부(9)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는, 측부(16)와 측부(17)를 서로 연결하고 또한 사용 전방면(12)에서 스템(9)에 연결되어 있는 전방 벽(18)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전방 벽(18)은 사용 전방면(1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원위 단부(11)는, 측부(16)와 측부(17)를 서로 연결하고 또한 사용 후방면(13)에서 스템(9)에 연결되어 있는 후방 벽(18')을 또한 포함하며, 이 후방 벽은 후방 면과 대략 동일 평면 내에 있다.
상기 측부(16, 17), 사용 전방 벽(18) 및 사용 후방 벽(18')은 결합 자리(4)를 형성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의 각 측부(16 또는 17)는, 옆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라운딩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도 1 및 2), 전방 벽(18)과의 연결부에 있는 실질적으로 곧은 제 1 부분(19 또는 20) 및 사용 후방 벽(18')과의 연결부에 있는 실질적으로 곧은 제 2 부분(19' 또는 20')을 가지고 있다. 추가로, 측부(16, 17)은 앞에서 볼 때, 스템부(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두께를 갖는다(도 3 내지 9). 유리하게도, 결합 자리(4)는, 길이 방향 축선(y-y)에 대해, 스템부(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결합 자리(4)에서, 측부(16, 17)는 전방 벽(18) 근처에서 최소 거리(23)로 있고 측부(16, 17)의 가장 말단 지점(스템(9)에 대해)에서 최대 거리로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철 자체의 사용 중에, 즉 그러한 보철이 이식되어 있는 팔다리의 굽히기-뻗기 운동 중에 척골 부분(2)과 상완골 부분(3)에 가해지는 힘이 최적으로 분산됨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원위 단부(11)의 각 측부(16, 17)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1, 22)가 형성되어 있는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는 측면 당 하나의 개구만 나타나 있다. 각 측부(16, 17)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공통 축선(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특정한 경우에는 축선(z-z))을 따라 원위 단부(11)의 다른 측부(17 또는 16)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구와 정렬된다. 아래에서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관절식 연결 수단(5)은 사용시 그러한 축선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보철(1)의 척골 부분(2)을 다시 참조하면, 이 척골 부분의 스템부(6)는 원위 단부(8) 쪽으로 점감되어 있고, 척골 부분은 전방 사용 면(24), 후방 사용 면(25) 및 2개의 우측 및 좌측 사용 면(도면에서 참조 번호 "26" 및 "27"로 각각 표시되어 있음)을 가지고 있다.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에 있는 각 면(26, 27)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스템부의 대응하는 원위 단부(8)에 대해 확장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근위 단부(7)에서, 각 면(26, 27)은, 실질적으로 라운딩되어 있고 대략 원형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도 5 내지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척골 부분(2)의 크기는, 그의 근위 단부(7)의 전체 단면 크기가 상완골 부분(3)의 결합 자리(4)의 최소 단면 크기(도 7에 나타나 있는 최소 거리(23)) 보다 작도록 되어 있어, 척골 부분은 상완골 부분에 어떤 틈새를 가지고 삽입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척골 부분의 측면(26) 또는 측면(27)이 결합 자리 자체의 측부(16) 또는 측부(17)와 접촉한 상태에서 척골 부분이 움직일 수 있다.
척골 부분(2)에서, 근위 단부(7)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8)가 형성되어 있는데, 아래에서 더 명확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관통 개구는 사용시 본 발명에 따른 보철(1)의 관절식 연결 수단(5)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 개구(28)는, 상기 축선(x-x)을 통과하는 척골 부분(2)의 길이 방향 대칭 면(도면에는 미도시)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모래 시계 형태를 갖는, 즉 최소 단면(도 7에서 F로 표시되어 있음)을 갖는 틈을 형성한다. 이러한 틈은 그러한 길이 방향 대칭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철(1)의 관절식 연결 수단(5)은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핀(29)을 포함하며, 이 핀은 관통 개구(28) 및 상완골 부분(3)의 윈위 단부(11)의 측부(16, 17)에 있는 관통 개구(21, 22)에 의해 형성되는 최소 틈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핀(29)은 개구(28)의 최소 단면에서만 틈새 없이 척골 부분(2)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 개구(28)를 형성하는 척골 부분(2)의 측벽은, 척골 부분(2)이 사용 중에 결합 자리(4)에 어떻게 배치되는가에 따라 핀(29)과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사실, 그러한 구성의 경우, 결합 자리(4)에 삽입되는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는 축선(z-z)을 따라 약간 움직일 수 있고, 또한 개구(28)의 최소 단면(F)에서 피봇 주위로 약간 각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는, 보철이 환자의 우상측 팔다리에 이식되는지 또는 좌상측 팔다리에 이식되는지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적어도 2개의 작용 위치 사이에서,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핀(29)이 배치되는 축선(z-z)에 수직이 아닌 상태에서, 상완골 부분(2)의 수용 자리(4)에 결합할 수 있다.
제 1 작용 위치(도 5)에서,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는 측부(17)에 인접하여 결합 자리(4)에 위치되어 있고, 그래서,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은 상완골 부분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된다. 이 제 1 작용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철은 환자의 상우측 팔다리에 삽입되기에 적합하다.
한편, 제 2 작용 위치에서는,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는 결합 자리(4)에서 측부(16) 쪽에 있게 되며(도 6 및 7), 그래서,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은 상완골 부분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 된다. 이 제 2 작용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철은 환자의 상좌측 팔다리에 삽입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척골 부분(2)이 취하는 작용 위치와는 상관 없이, 본 발명에 따른 보철(1)의 크기는,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가 상완골 부분(3)의 결합 자리(4)에 삽입되고 또한 이어서 핀(29)이 측부(16, 17)와 척골 부분92)의 관통 개구(21, 22, 28)에 삽입되면, 척골 부분의 근위 단부는 굽힘 위치(실질적으로 상완골 부분(3) 쪽을 향하고 전방 벽(18)과 접촉함)와 연장 위치(상완골 부분(3)과 정렬되어 그 상완골 부분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떨어져 있음) 사이에서 핀(29)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철(1)에서, 척골 부분(2)은 최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상완골 부분(3)의 후방 사용 벽 (18')과 접촉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사용 중에, 그러한 보철은 상완골 굽힘이 감소된 상태에서 횐자에 이식되므로, 팔의 팔뚝 및 보철의 연장이 스스로 제한적이며, 사실 척골 부분(2)은 상완골 부분(3)의 후방 사용 벽(18')과 결코 접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보철은 상완골 부분(3)에 대한 척골 부분(2)의 방향을 잡기 위한 수단(30)을 포함하는데, 이 수단은 결합 자리(4)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잡기 수단(30)은, 결합 자리(4)에서 척골 부분(2)의 근위 부분(7)과 자리(4)의 측부(16 또는 17)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방향 잡기 수단(30)은 관절식 연결 수단(5)에 끼워질 수 있는 부싱(bushing) 수단(예컨대,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짐), 또는 척골 부분(2)의 근위 부분(7)을 상기 측부(16 또는 17)의 옆에 유지시킬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수단은, 쐐기형 또는 경사 벽형 수단이 포함된다.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 그리고 특히 도 3 및 7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향 잡기 수단(30)은 유리하게 환형 판(31)로 되어 있고, 상완골 부분(3)의 측부(16, 17)에 있는 개구(21, 22)에 의해 형성되는 틈의 크기에 대략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관통 개구(32)를 형성한다. 이러한 환형 판(31)은 핀(29)에 끼워질 수 있고, 그의 근위 부분(33)에서 최소 두께를 가지며, 이 최소 두께는 상완골 부분(3)의 전방 사용 벽(18) 쪽을 향하여 결합 자리(4)에 수용된다. 이러한 부분에서, 환형 판(31)은 곧은 부분을 갖는 주변 구성을 갖는데, 이 주변 구성은 사용 전방 벽(18)과 사용 후방 벽(18') 사이의 자리(4)의 내부 구성에 대략 대응한다.
한편, 환형 판의 두께는, 반대쪽 부분 또는 원위 부분(34), 즉 사용시 상완골 부분의 스템(9)으로부터 먼쪽에 있는 부분에서 최대이다.
환형 판(31)은 상완골 부분(3)의 측부(16 또는 17) 쪽을 향하는 면을 갖는데, 이 면은 결합 자리(4) 쪽을 향하는 측부의 면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형 판(31)은 반대쪽 부분 또는 원위 부분(34)에서 플랜지(35)를 가지고 있다. 이 플랜지(35), 근위 부분(33)에서의 환형 판(31)의 구성, 및 측면의 구성은, 환형 판이 자리(4)에 수용되고 핀(29)에 끼워지면 그 환형 판이 여전히 위치 유지되게 하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보철의 이러한 구성으로, 이 보철의 조립이 매우 간단하게 되고,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및 적어도 하나의 관절식 연결 수단(5)을 배치하는 작업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들은 환자의 관절 치수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를 상완골 부분(3)의 결합 자리(4)에 삽입하고, 이때, 각 부분(21, 22, 28)의 관통 개구는 공통 축선(z-z)을 따라 서로 정렬된다.
이어서, 보철(1)이 환자의 상우측 팔다리에 사용되기 위한 것이면, 그 보철의 조립은,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상완골 부분(3)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되도록 결합 자리(4)에서 척골 부분(2)의 방향을 잡는다. 그렇지 않은 경우, 보철(1)이 환자의 상좌측 팔다리에 사용되기 위한 것이면, 조립 방법은,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되도록 척골 부분(2)의 방향을 잡는다.
일단 상기 보철의 척골 부분(2)이 원하는 제 1 또는 2 작용 위치에 있게 되면, 방향 잡기 수단(30)이 상기 자리에 삽입되어, 척골 부분(2)을 상완골 부분의 축선(y-y)에 대해 ±θ°로 각도 고정시킨다.
방향 잡기 수단(30)이 전술한 바와 같은 환형 판(31)을 포함하면, 그 환형 편의 관통 개구(32)가 공통 축선(z-z)을 따라 관통 개구(21, 22, 28)와 정렬되도록 환형 판이 결합 자리(4)에 삽입될 것이다.
다음, 관절식 연결 수단(5)(핀(29))을 상기 관통 개구 안으로 삽입한다.
방향 잡기 수단(30)을 핀(29)에 끼울 필요가 없으면, 관절식 연결 수단(5)을 상기 관통 개구 안으로 삽입하는 이 마지막 삽입 단계는, 척골 부분(2)을 상완골 부분의 원위 부분(11)의 측부(16) 또는 측부(17) 쪽으로 배향시키는 단계 전에도 일어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철은 도 8 및 9에 도시되어 있는 제 2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데, 이 제 2 실시 형태는, 척골 부분(2)과 방향 잡기 수단(30)이 일체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이 경우, 명백한 바와 같이, 방향 잡기 수단(300)은 환형 판(301)으로 되어 있고, 상완골 부분(3)의 측부(16, 17)에 있는 개구(21, 22) 및 척골 부분(2)의 관통 개구(28)의 크기에 대략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관통 개구(302)를 형성한다. 이러한 환형 판(301)은, 보철이 환자의 우측 또는 좌측 팔다리에 이식되어야 하는지에 따라, 척골 부분 자체의 면(26 또는 27)에 제공되며, 그래서 경우에 따라, 사용 중에 척골 부분은 상완골 부분(3)의 측부(16 또는 17)에 인접하게 된다.
이 경우, 방향 잡기 수단은 척골 부분(2)과 함께 핀(29) 주위로 움직이기 때문에, 방향 잡기 수단은 결합 자리(4) 내에서의 척골 부분의 회전을 막지 않도록 하는 횡방향 구성을 갖는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특정한 경우, 방향 잡기 수단(300)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크라운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이 제 2 실시 형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척골 부분의 관통 개구(28 ∼ 302)에 의해 형성된 틈은 일정한 단면을 갖는다.
그래서, 전술한 보철은, 통상적인 보철에 대해 완전히 대안적인 구성을 가지며 적은 수의 부품을 포함하고 또한 조립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분명히 해결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척골 부분(2)과 상완골 부분(3) 모두에서 스템부를 포함하는 그러한 보철은 치료 대상 환자의 각각의 뼈 부분에 삽입될 수 있어, 관절의 운동성이 보장된다.
전술한 팔꿈치 관절용 보철(1)은 다음 청구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화를 받을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척골 부분(2)과 상완골 부분(3) 모두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로 만들어지는 강화 코어를 포함하는데, 이 강화 코어는 보철의 내응력성을 크게 하는데 기여한다. 더욱이, 가능하다면, 예컨대 척골 부분(2)에서 스템(6)과 근위 단부(7)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강화 코어에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관통 개구는 코어의 기계적 특성(내응력성)을 유지하면서 그 코어의 중량을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특히, 각 경우의 요건에 따라, 척골 부분(2)의 스템부(6)는, 주로 곧은 축선(x-x)을 따라 연장되어 있더라도, 치료받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더 잘 적합하게 되도록 그러한 축선과 정렬되지 않는 중앙-원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Claims (30)

  1. 팔꿈치 관절용 보철(prosthesis)로서,
    근위 단부(7)와 원위 단부(8) 사이에서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x-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스템부(6)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근위 단부(10)와 원위 단부(11) 사이에서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y-y)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스템부(9)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상기 원위 단부(1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자리(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상기 원위 단부(1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실질적인 길이 방향 축선(y-y)에 수직인 축선(z-z)을 따라 위치될 수 있는 관절식 연결 수단(5)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는, 상기 보철이 환자의 우상측 팔다리에 이식되는지 또는 좌상측 팔다리에 이식되는지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적어도 2개의 작용 위치에 따라,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상기 관절식 연결 수단(5)의 상기 축선(z-z)에 수직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결합 자리(4)에 결합할 수 있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의 전체 단면 크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결합 자리(4)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 크기 보다 작은, 팔꿈치 관절용 보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자리(4)는 상기 길이 방향 축선(y-y)을 따라 상기 스템부(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단면을 갖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2)의 상기 스템부(9)는 상기 근위 단부(10) 쪽으로 점감되어 있고, 상기 상완골 부분은 사용 전방 면(12), 사용 후방 면(13) 및 2개의 좌우측 사용 측면(14, 15)을 포함하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원위 단부(11)는, 실질적으로 포크형으로 되어 있고, 또한
    각각의 사용 측면(14, 15)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축선(y-y)을 따라 각기 상기 스템부(9)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에 있는 2개의 사용 측부(16, 17);
    상기 사용 전방 면(12)에서 상기 스템(9)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측부(16, 17)를 서로 연결하고, 또한 상기 전방 사용 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사용 전방 벽(18); 및
    상기 사용 후방 면(13)에서 상기 스템(9)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측부(16, 17)를 서로 연결하고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사용 후방 면으로부터 상기 축선(y-y)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사용 후방 벽(18')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16, 17), 상기 사용 전방 벽(18) 및 사용 후방 벽(18')은 상기 결합 자리(4)를 형성하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16, 17)는, 실질적으로 라운딩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전방 사용 벽(18) 및 후방 사용 벽(18')과의 연결부에서 실질적으로 곧은 부분(19, 20; 19', 20')을 가지고 있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1, 22)가 각 측부(16, 17)에 형성되어 있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16, 17) 중의 한 측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1, 22)는, 상기 관절식 연결 수단(5)의 상기 축선(z-z)과 일치하는 축선을 따라 상기 측부(17. 16) 중의 다른 측부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2, 21)와 정렬되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16, 17)는 상기 스템부(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두께를 갖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16, 17)는 상기 전방 사용 벽(18) 근처에서 최소 거리(23)를 갖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스템부(6)는 상기 원위 단부(8) 쪽으로 점감되어 있고, 상기 척골 부분은 하나의 전방 사용 면(24), 하나의 후방 사용 면(25) 및 우측 및 좌측에 있는 2개의 사용 면(26, 27)을 포함하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옆에서 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상기 원위 단부(8) 근처에 있는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 확장된 구성을 가지고 있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식 연결 수단(5)은 적어도 하나의 핀(29)을 포함하며, 이 핀의 단면은 상완골 부분(3)의 윈위 부분(11)의 측부(16, 17)에 있는 정렬된 관통 개구(21, 22)에 의해 형성되는 틈에 대응하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의 상기 사용 측면(26, 27)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모래 시계 형태의 틈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틈은 상기 축선(x-x)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길이 방향 대칭 면에서 최소 단면(F)을 가지며 그 길이 방향 대칭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28)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틈의 상기 최소 단면(F)은 실질적으로 상기 핀(29)의 단면에 대응하며, 그래서 핀(29)은 상기 최소 단면(F)에서만 틈새를 갖지 않고 상기 관통 개구(28)에 삽입될 수 있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16. 제 13 항을 인용하는,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는, 상기 결합 자리(4)에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축선(z-z)을 따라 약간 움직일 수 있고 관통 개구(28)의 최소 단면(F)에서 약간의 각운동을 완료하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17.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의 상기 사용 측면(26, 27) 사이에, 일정한 단면을 갖는 틈(28)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8)가 제공되어 있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방향을 잡는 방향 잡기 수단(30, 300)을 포함하고, 방향 잡기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자리(4)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과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19. 제 5 항을 인용하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잡기 수단(30, 300)은 결합 자리(4)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근위 부분(7)과 상기 자리(4)를 형성하는 측부(16, 17) 중 한 측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20. 제 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잡기 수단(30, 300)은, 환형 판(31, 301)으로 되어 있고, 상완골 부분(3)의 측부(16, 17)에 있는 관통 개구(21, 22)의 크기에 대략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관통 개구(32, 302)를 형성하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판(31)은, 사용시 상기 상완골 부분(3)의 사용 전방 벽(18)과 대향하여 상기 결합 자리(4)에 수용되는 근위 부분(33)에서 최소 두께를 갖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판(31)은 상기 근위 부분(33)에서, 전방 사용 벽(18)과 후방 사용 벽(18') 사이의 상기 자리(4)의 내부 구성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곧은 부분을 갖는 주변 구성을 갖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판(31)은 상기 근위 부분(33)의 반대쪽에 있는 원위 부분(34)에서 플랜지(35)를 갖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24. 제 17 항을 인용하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잡기 수단(3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과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3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관통 개구(28)와 정렬되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잡기 수단(300)은 실질적으로 원형 크라운 형태의 단면을 갖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27. 제 5 항을 인용하는, 제 5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작용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는 결합 자리(4)에서 상기 측부(17)와 나란히 위치되어 있고, 그래서,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은 상완골 부분(3)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되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28. 제 5 항을 인용하는, 제 5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작용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근위 단부(7)는 결합 자리(4)에서 상기 측부(16)와 나란히 위치되어 있고, 그래서,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은 상완골 부분(3)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되는, 팔꿈치 관절용 보철.
  29.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철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과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관절식 연결 수단(5)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부분의 관통 개구(21, 22, 28)를 서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결합 자리(4)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보철이 환자의 상우측 팔다리에 이식되기 위한 것이면,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을 배치하는 단계;
    또는, 상기 보철이 환자의 상우측 팔다리에 이식되기 위한 것이면, 척골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x-x)이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축선(y-y)으로부터 +θ°만큼 시프트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을 배치하는 단계;
    각각의 관통 개구(32)를 상기 관통 개구(21, 22, 28)와 정렬시킨 상태에서 방향 잡기 수단(30)을 상기 결합 자리(4)에서 상기 척골 부분(2)과 측부(16, 17)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및
    관절식 연결 수단(5)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관통 개구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철 조립 방법.
  30.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철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 방향 잡기 수단(300)과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과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관절식 연결 수단(5)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부분의 관통 개구(21, 22, 28)를 서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의 상기 근위 단부(7)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결합 자리(4)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절식 연결 수단(5)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척골 부분(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완골 부분(3)의 관통 개구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철 조립 방법.
KR1020177012235A 2014-10-21 2015-09-30 팔꿈치 보철 KR20170072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VR20140257 2014-10-21
ITVR2014A000257 2014-10-21
PCT/IB2015/057494 WO2016063156A1 (en) 2014-10-21 2015-09-30 Elbow prosthes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240A true KR20170072240A (ko) 2017-06-26

Family

ID=5213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235A KR20170072240A (ko) 2014-10-21 2015-09-30 팔꿈치 보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99932B2 (ko)
EP (1) EP3209245B1 (ko)
KR (1) KR20170072240A (ko)
CN (1) CN107735054B (ko)
AU (1) AU2015334612A1 (ko)
ES (1) ES2712162T3 (ko)
WO (1) WO2016063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3486A1 (it) * 2016-05-16 2017-11-16 Tecres Spa Dispositivo spaziatore vincolato da ginocchio
EP3381410A1 (de) * 2017-03-31 2018-10-03 Waldemar Link GmbH & Co. KG Verbindungshülse für verankerungsschäfte zweier gegenüberliegend angeordneter prothesen
WO2019171139A1 (en) * 2018-03-07 2019-09-12 Cossington Limited Temporary spacer device for joints of the human bod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6817A (en) 1952-04-30 1954-12-14 Samuel B Prevo Prosthetic elbow joint
US2829688A (en) * 1955-04-22 1958-04-08 Don H Bridges Single joint miter clamp
US3816854A (en) * 1973-07-03 1974-06-18 A Schlein Prosthesis for total arthroplasty of the elbow joint
SU1532025A1 (ru) * 1988-01-28 1989-12-30 11.1. Б. А.медов, В. 1-i. Иванов, Н. Ц. .Л.мед(.1Н и I . Р. Ходжасв Эндопротез локтевого сустава
DE19620525A1 (de) * 1996-05-22 1997-11-27 Gmt Medizinische Technik Gmbh Ellbogengelenk-Endoprothese
FR2829688B1 (fr) * 2001-09-14 2003-11-21 Fixano Prothese totale d'articulation du coude
US20060100713A1 (en) 2004-10-29 2006-05-11 Ball Robert J Mobile bearing total elbow prosthesis, ulnar component, and associated kit
JP2007075129A (ja) * 2005-09-09 2007-03-29 Okayama Univ 人工肘関節
AU2007265520B2 (en) 2006-06-28 2012-03-15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Prosthetic elbow replacement
CN201168071Y (zh) * 2008-03-13 2008-12-24 王友华 尺骨冠状突假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9245B1 (en) 2019-01-09
AU2015334612A1 (en) 2017-05-25
ES2712162T3 (es) 2019-05-09
CN107735054A (zh) 2018-02-23
EP3209245A1 (en) 2017-08-30
CN107735054B (zh) 2019-06-04
US20170246002A1 (en) 2017-08-31
WO2016063156A1 (en) 2016-04-28
US10299932B2 (en)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1957A (en) Ball and socket prosthetic joint
CA1053852A (en) Wrist joint endoprosthesis
US8419798B2 (en) Joint prosthesis with infinitely positionable head
US6716248B2 (en) Configurable prosthetic joint
WO2008024853A3 (en) Wrist implants
JP2000245757A (ja) 人工肘関節装置
US20120253467A1 (en) Shoulder Arthroplasty Systems and Configurations for Components Thereof
US20080288079A1 (en) Radial Head Implant and Related Instrument
JP2564346B2 (ja) 手首関節人工補綴
AU2015334601A1 (en) Prosthesis for a shoulder articulation
KR20170072240A (ko) 팔꿈치 보철
JP6132166B2 (ja) 人工器官構成要素
JP6189465B2 (ja) インプラントおよび人工関節置換システム
EP2747712B1 (en) Joint prosthesis
JP6491185B2 (ja) 調節可能な外側関節丘
KR102428604B1 (ko) 팔꿈치 스페이서
EP3116450B1 (en) Wrist prosthesis, and a set of components for forming the same
WO2019191549A1 (en) Wrist implants
KR20190133225A (ko)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보철물의 고정 샤프트를 위한 연결 슬리브
US20240207053A1 (en) Fixtures for Masking Metal Parts
US20230000634A1 (en) Joint prosthesis
US20080033564A1 (en) Artificial Joint
WO2004000175A1 (en) Unicompartmental prosthetic knee joint device
WO2001019293A3 (en) Elbow and forearm prothesis
JP2006136470A (ja) 人工股関節およびカップならびに設置用手術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