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337B1 - 무릎 관절을 위한 개선된 조절가능한 모듈형 스페이서 장치 - Google Patents

무릎 관절을 위한 개선된 조절가능한 모듈형 스페이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337B1
KR102461337B1 KR1020177014313A KR20177014313A KR102461337B1 KR 102461337 B1 KR102461337 B1 KR 102461337B1 KR 1020177014313 A KR1020177014313 A KR 1020177014313A KR 20177014313 A KR20177014313 A KR 20177014313A KR 102461337 B1 KR102461337 B1 KR 102461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bial
femoral
unit
spacer device
knee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619A (ko
Inventor
아바 카펠레티
Original Assignee
코싱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싱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코싱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8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86Joints for elbows or knees for stabilising knees against anterior or lateral dis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36Special conne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leg, e.g. constra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48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adhesives
    • A61F2002/3044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adhesives the adhesive being 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604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dular
    • A61F2002/30616Sets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sthetic parts of different sizes or orien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67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 A61F2002/30672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tempora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67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 A61F2002/30677Means for introducing or releasing pharmaceutical products, e.g. antibiotics,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59Femoral components
    • A61F2002/3863Condyles fitted on an anchored b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002/4615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a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염된 관절 인공삽입물(joint prosthesis)의 교체와 새로운 인공삽입물의 이식 전에 환자의 관절 부위의 크기 또는 공간의 보존을 위하여, 환자의 경골(tibia)과 대퇴골(femur) 사이의 관절 부위에 임시적으로 이식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무릎 스페이서 장치는 경골측 유닛과 대퇴골측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릎 관절을 위한 개선된 조절가능한 모듈형 스페이서 장치{IMPROVED ADJUSTABLE MODULAR SPACER DEVICE FOR THE ARTICULATION OF THE KNEE}
본 발명은 무릎 스페이서 장치, 즉 환자의 경골과 대퇴골 사이의 관절 부위에 그 영역의 치수 유지를 위하여 임시적으로 이식(implant)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식된 부위 각각에서의 감염이 시작된 결과로서, 관절 인공삽입물을 임시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종종 있다. 또한, 감염된 인공삽입물 또는 감염된 부위로부터 추출된 인공삽입물은 새로운 인공삽입물로 즉시 교체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먼저 적합한 항생제로 감염을 처치 및 제거해야 한다.
항생 처치를 위하여 필요한 기간 동안에는 새로운 관절 인공삽입물이 이식되어야 하는 관절 공간이 당연히 변화없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는 조직의 단축, 관절의 위축, 및 근 긴장도(muscle tone)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페이서 장치가 이용되는데, 이것은 인공삽입물의 교체를 위하여 환자의 관절 부위에 임시적으로 이식되어서 두 번째의 인공삽입물을 다시 이식하기 전에 관절 부위의 크기를 유지시키도록 의도된 것이다.
스페이서 장치는 관절 공간을 유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감염된 부위에 소정량의 항생제를 투여함으로써 뼈의 감염을 치료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두번째 기능과 관련하여 상기 스페이서 장치는 항생제를 목표 지점에 극미량 투여함으로써 진행 중인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데, 다량의 항생제를 투여하되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 예를 들어 감염된 부위를 다량의 항생제 용액으로 씻는 방법에 의해서는 동일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실제에서 수행된 임상 연구에 따르면, 스페이서에 의하여 매일 투여되는 항생제 분자들 모두를 (수 개의 분자들 조차도) 골 조직이 집중적으로 흡수한다. 이것은 상기 스페이서에 의하여 투여되는 항생제가 골 조직과 접촉하거나 그와 가까이 있다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에는 소정량의 항생제가 국부적으로 유효한 농도로 도달하여 감염을 제거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스페이서가 감염 부위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필수적인데, 이는 곧 감염된 인공삽입물이 긴 인공삽입물이라면 긴 스페이서가 사용되고, 감염된 인공삽입물이 짧은 형태의 것이라면 짧은 스페이서가 사용될 것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만일 이전에 긴 인공삽입물이 이식되었던 곳에 짧은 스페이서가 배치된다면, 뼈의 일부분이 항생제에 의하여 처치될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박테리아의 증식이 가능하게 된다.
스페이서 장치들은 종종 골 시멘트로 만들어지되, 배치전에 또는 즉석에서 적절한 크기로 만들어지는바, 이것은 이식 수술(implant operation)의 소요시간을 크게 증가시키고 또한 독성 물질을 이용을 종종 필요로 하기도 한다.
사전에 형성되는 스페이서 장치도 제안된바 있는데, 이것은 환자마다 조절될 수 없는 것이고, 그 결과로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최종의 인공삽입물을 다시 이식하기 전에 관절의 양호한 가동성(good mobility)을 환자에게 보장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하여, WO 2013/041905A1 에는 대퇴골측 부품, 경골측 부품, 및 경골측 부품과 경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심(shim) 또는 스페이서가 제공되어 있는 무릎의 모듈형 스페이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경골측 부품과 심 사이의 올바른 상호 위치선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로드(rod) 유형의 요소가 경골측 부품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새로운 무릎 스페이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이식 부위에서 효과적인 조절이 가능한 무릎 스페이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개별의 이식 부위에 대한 자체 조절(self-adjusting)에 적합한 무릎 스페이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매우 신속하고 쉬운 방식으로 이식될 수 있는 새로운 스페이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청구항 1 에 기재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청구항 17 에 기재된 방법이 제공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유리한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하기의 첨부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예시적으로서 제시되는 실시예의 장치에 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스페이서 장치의 일부 부분들은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는 도 1 의 스페이서 장치를 약간 위에서 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스페이서 장치의 일부 부분들은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제1 대퇴골측 부품의 전면도 및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제2 대퇴골측 부품의 전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9, 및 10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제2 경골측 부품의 전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제1 경골측 부품의 전면도 및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제작 키트의 부품들이 도시되어 있다.
첨부도면들에서, 동등한 부분들 또는 부품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 스페이서 장치(1)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무릎 스페이서 장치(1)는 개선된 모듈형 조절가능한 스페이서 장치로서, 필요하다면 일회용의 것이며, 예를 들어 감염된 부위로부터 추출된 무릎 관절 인공삽입물 또는 감염된 무릎 관절 인공삽입물의 교체를 위하여, 그리고 특히 감염된 부위의 처치 이후에 새로운 인공삽입물을 이식하기 전에 환자의 관절 부위의 공간 또는 크기를 보존하기 위하여 환자의 대퇴골과 경골 사이의 관절 부위에 임시적으로 이식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스페이서 장치의 전방(F)으로 지칭되는 부분은 사용시에 이식되는 부위인 무릎의 전방 부분에 배치되는 부분이고, 스페이서 장치의 후방(R)으로 지칭되는 부분은 사용시에 이식되는 부위인 무릎의 후방 부분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전방 단부, 전방 부분, 또는 이와 유사한 표현은, 전방(F)에 가깝고 후방(R)으로부터 먼 스페이서 장치의 부품의 단부를 지시하며, 후방 단부, 후방 부분, 또는 이와 유사한 표현은 후방(R)에 가깝고 전방(F)으로부터 먼 스페이서 장치의 부품의 단부를 지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릎 스페이서 장치(1)는 환자의 경골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경골측 유닛(2)을 포함하는바, 경골측 유닛(2)은 사용시 상측에 있는 제1 상측 관절 표면(2a)을 구비하며, 제1 상측 관절 표면(2a)은 실질적으로 곡면을 이루거나 또는 경사진 형상을 가져서 실질적으로 오목한 슬라이딩 시이트(3)를 형성한다.
또한 스페이서 장치에는 환자의 대퇴골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대퇴골측 유닛(4)이 제공되는바, 상기 대퇴골측 유닛(4)에는 사용시 하측에 있고 실질적으로 볼록한 제1 하측 관절 면(4a)이 제공되며, 제1 하측 관절 면(4a)은 제1 상측 관절 표면(2a)과의 맞물림을 위하여 슬라이딩 시이트(3)에 배치되고, 이로써 상기 스페이서 장치가 경골과 대퇴골 사이에 이식된 이후에 필요시 관절에 있어서 경골측 유닛(2)과 대퇴골측 유닛(4) 상호 간의 각도 변위 또는 회전-병진 변위(roto-translational displacement)를 허용한다.
또한, 경골측 유닛(2)은 제1 관절 표면(2a)으로부터 멀리 있고 경골에 고정가능한 제1 부품(21)과, 복수의 작동 위치들에서 제1 부품(2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제2 부품(2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부품(22)은 제1 관절 표면(2a),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관절 표면(2a) 전체를 한정한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대퇴골측 유닛(4)은 제1 관절 면(4a)으로부터 멀리 있고 대퇴골에 고정가능한 제1 부품(41)과, 복수의 작동 위치들에서 제1 부품(4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제2 부품(4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품(42)은 관절 면(4a),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절 면(4a) 전체를 한정한다.
사실상, 제2 경골측 부품(22)이 제공된다면, 이것은 대퇴골측 유닛(4) 또는 대퇴골측 유닛(4)의 제2 대퇴골측 부품(42)과 (슬라이딩 또는 회전-병진의 방식으로) 접촉하는 경골측 유닛(2)의 부품을 이루고, 제1 경골측 부품(21)은 멀리 경골측에 고정되어 대퇴골측 유닛(4)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2 경골측 부품(22)은 경골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제2 대퇴골측 부품(42)이 제공된다면, 이것은 경골측 유닛(2) 또는 경골측 유닛(2)의 제2 경골측 부품(22)과 (슬라이딩 또는 회전-병진의 방식으로) 접촉하는 대퇴골측 유닛(4)의 부품을 이루고, 제1 대퇴골측 부품(41)은 멀리 대퇴골에 고정되어 경골측 유닛(2)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2 대퇴골측 부품(42)은 대퇴골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경골측 유닛(2)이 경골에 고정가능한 제1 경골측 부품(21)과 제1 경골측 부품(2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제2 경골측 부품(22)을 포함하는 경우, 제1 경골측 부품(21)은 제2 중간 표면(2b) 및 제2 중간 표면(2b) 반대측의 제3 연결 표면(2c)을 한정하는 베이스 부분(21a)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중간 표면(2b)은 선택에 따라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2 경골측 부품(22)을 향하고, 제3 연결 표면(2c)은 선택에 따라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1 경골측 부품(21)은 베이스 부분(21a)의 제3 연결 표면(2c)으로부터 돌출된 제1 줄기부(21b)를 더 포함하는데, 이것은 선택에 따라서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나사체결에 의하여 베이스 부분(21a)에 연결될 수 있고, 환자의 경골 안에 이식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제2 경골측 부품(22)의 일측에는 제1 상측 관절 표면(2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4 중간 표면(2d)이 형성되는바, 제4 중간 표면(2d)은 제1 경골측 부품(21)의 제2 중간 표면(2b)에 맞닿고 제2 중간 표면(2b)에 대해 고정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제1 줄기부(21b)는 사용시, 이식되어야 하는 환자의 경골 뼈에 대해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필요하다면, 제1 경골측 부품(21)의 베이스 부분(21a)은 실질적으로 C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 중간 표면(2b)으로부터 제3 연결 표면(2c)으로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채널(6)을 한정하며, 제2 경골측 부품(22)은 실질적으로 C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1 관절 표면(2a)으로부터 제4 중간 표면(2d)까지 연장되는 제2 채널(7)을 한정하는바, 제2 채널(7)은 사용시 제2 채널(6)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제1 관절 표면(2a)은 무릎 스페이서 장치(1)의 일측(S1)과 타측(S2) 사이에 있는 중간 융기부(2aa)와, 상기 중간 융기부(2aa)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 두 개의 측방 함몰부들(2ab, 2ac)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제2 경골측 부품(22)에는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갖는 중간 섹션(22a)과, 중간 섹션(22a)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고 적은 두께를 가진 두 개의 측방 섹션들(22b, 22c)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채널(7)은 중간 섹션(22a)의 후방 단부와, 두 개의 함몰된 측방 섹션들(22b, 22c)의 후방 단부 길이 부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융기부(2aa)는 무릎의 시상 평면(sagittal plane)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사용시 제1 관절 표면(2a)의 레벨 또는 높이, 즉 제4 중간 표면(2d)으로부터 관절 표면(2a)까지의 거리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1)의 전방(F)에서 최대값(H1)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높이로부터 중앙 부위에서의 최소값(H2)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한 다음에, 후방(R)에서 H1 보다는 작되 H2 보다는 큰 레벨(H3)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한다. 중간 융기부(2aa) 및 두 개의 측방 함몰부들(2ab, 2ac)이 제공된다면, 측방 함몰부들(2ab, 2ac)의 레벨은 위에서 설명된 패턴을 따르며, 중간 융기부(2aa)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1)의 전방(F)에서 H1 보다 더 큰 최고 레벨(H4)을 가지며 H2 보다 더 큰 최소값(H5)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바, 이 때 필요하다면 측방 함몰부들(2ab, 2ac)의 레벨 H2 와 H3 사이의 레벨에 대응되는 증가하는 높이를 가진 말단 섹션은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는 동일한 유닛(경골측 유닛 또는 대퇴골측 유닛)의 제1 부품(21, 41)과 제2 부품(22, 42) 사이의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제1 부품(21, 41)의 고정없이 개별의 제2 부품(22, 42)을 연결시키는 제1 위치(first position) 또는 안착 상태(rest condition)와, 제2 부품(22, 42)을 복수의 작동 위치들 중의 일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2 위치 또는 고정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수단은 제1 부품(21, 41)과 제2 부품(22, 42) 사이에 예를 들어 골 시멘트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접착층은 경화 또는 고화를 위한 소정의 시간을 갖는다. 처음에 상기 접착층의 일측은 제1 부품(21, 41)에 유지 또는 접착되도록 의도되고, 타측은 동일한 유닛(경골측 유닛 또는 대퇴부측 유닛)의 제2 부품(22, 42)과 유지 또는 접착되도록 의도되는바, 이로써 제1 부품(21, 41)과 제2 부품(22, 42)의 고정없이 제1 부품(21, 41)과 제2 부품(22, 42)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후속하여 경화 또는 고화됨으로써 제2 부품(22, 42)을 복수의 작동 위치들 중 일 위치에 고정시키고, 이로써 접착층의 경화 또는 고화 기간 동안에 제1 부품(21, 41)과 각각의 제2 부품(22, 42) 간의 상대 위치를 조절함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점에 있어서, 제2 부품(22, 42)은 전방(F)으로부터 후방(R)으로의 제1 방향을 따라서, 일측(S1)으로부터 타측(S2)으로의 제2 방향을 따라서, 그리고/또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대해 직각인 제3 방향, 즉 중간 표면들(2b, 2d)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따라서 제1 부품(21, 41)에 대해 움직여질 수 있다.
제1 경골측 부품(21)의 제2 중간 표면(2b) 또는 제2 경골측 부품(22)의 제4 중간 표면(2d)은 예를 들어 노치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거친 또는 돌출된 부위(8)를 구비할 수 있는바, 여기에는 사용시에 예를 들어 골 시멘트의 층과 같은 접착층이 제공되며, 이 접착층의 일측은 제1 경골측 부품(21)에 들러붙거나 제1 경골측 부품(21)을 유지시키고, 타측은 제2 경골측 부품(22)에 들러붙거나 제2 경골측 부품(22)을 유지시켜서, 이들을 서로 고정시킨다.
또한 스페이서 장치는 동일한 유닛(경골측 유닛 또는 대퇴부측 유닛)의 다른 부품(21, 41) 상에서의 제2 부품(22, 42)의 불안정한 구속과 관련하여, 안내된 위치선정을 위한 기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기준 수단은 초기에 제2 부품(22, 42)을 다른 부품(21, 41) 상에 위치선정함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이들을 제 위치에 잠그거나(lock) 또한 복수의 작동 위치들에서 제2 부품(22, 42)의 변위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기준 수단의 적용 후에 고정 수단이 적용되며, 이들이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된 때에 제1 부품(21, 41)과 제2 부품(22, 42)이 제 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경골측 부품(21) 또는 제2 경골측 부품(22)으로부터, 혹은 제2 중간 표면(2b) 또는 제4 중간 표면(2d)으로부터, 핀 부품(9a)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경골측 부품(22)과 제1 경골측 부품(21) 사이 또는 제4 중간 표면(2d)과 제2 중간 표면(2b) 사이에, 핀 부품(9a)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되는 위치선정 요부(9b)가 형성된다. 필요하다면, 상기 핀 부품(9a)과 위치선정 요부(9b) 간의 맞물림을 헐거울 수 있는바, 다시 말하자면 핀 부품(9a)이 위치선정 요부(9b)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핀 부품(9a) 및 이에 대응되는 위치선정 요부(9b)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거나 반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만일 대퇴골측 유닛(4)이 대퇴골에 고정가능한 제1 대퇴골측 부품(41)과 제1 대퇴골측 부품(4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제2 대퇴골측 부품(42)을 포함한다면, 제1 대퇴골측 부품(41)은 제2 대퇴골측 부품(42)을 향하는 제2 중간 면(4b)과 제2 중간 면(4b) 반대측의 제3 연결 면(4c)을 한정하는 주된 부분(41a)을 구비하고, 또한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어 분리가능한 제2 줄기부(41b)도 포함하는데, 제2 줄기부(41b)는 주된 부분(41a)의 제3 연결 면(4c)로부터 돌출된 것으로서, 환자의 대퇴골에 접목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제2 대퇴골측 부품(42)의 일측에는 제1 하측 관절 면(4a)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제4 중간 면(4d)이 형성되는바, 제4 중간 면(4d)은 제1 대퇴골측 부품(41)의 제2 중간 면(4b)에 대해 맞닿도록 의도된 것이다. 필요하다면, 제2 중간 면(4b)과 제4 중간 면(4d)은 실질적으로 상보적이다.
또한 제1 대퇴골측 부품(41)의 주된 부분(41a)은 실질적으로 C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중간 면(4b)으로부터 제3 연결 면(4c)로 연장되는 제3 채널(10)을 한정한다. 제2 대퇴골측 부품(42)은 실질적으로 C자 형상을 가진 것으로서, 제1 관절 면(4a)으로부터 제4 중간 면(4d)으로 연장된 제4 채널(11)을 한정하고, 제4 채널(11)은 제3 채널(10)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사용시, 채널들(6, 7, 10, 11)은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스페이서 장치의 주된 후방등을 형성한다.
또한 제1 대퇴골측 부품(41)의 주된 부분(41a)과 제2 대퇴골측 부품(42)은 경골측 유닛(2)을 항하여 실질적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판상의 몸체를 포함하고, 이 경우에는 제1 대퇴골측 부품(41)이 사용시에 제2 대퇴골측 부품(42)에 의하여 한정되는 하우징 시이트(housing seat; 42a) 안에, 또는 그것의 제4 중간 면(4d)에 의하여 수용된다.
제1 관절 면(4a)은 사용시에 경골측 유닛의 중간 융기부(2aa)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맞물리도록 의도된 중공 중앙 밴드(hollow central band; 4aa)와, 상기 중앙 밴드(4aa)를 중심으로 서로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각각이 대응되는 측방 함몰부(2ab, 2ac)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맞물리도록 의도된 두 개의 측방 확장 밴드(lateral enlarged band; 4ab, 4ac)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4 채널(11)은 중공 중앙 밴드(4aa)의 후방 단부와 두 개의 측방 확장 밴드들(4ab, 4ac)의 전방 단부 부분들 사이에 한정될 수 있다. 중공 중앙 밴드(4aa)는 무릎의 시상 평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무릎 관절의 움직임 동안에 무릎 스페이서 장치(1)가 측방 밀침의 응력을 받는다면 중간 융기부(2aa)가 중공 중앙 밴드(4aa)를, 그리고 그에 따라 대퇴골측 유닛(4)을 제 위치에 유지시킴으로써, 관절 자체의 올바른 움직임과 우수한 안정성을 보장한다.
제1 관절 면(4a)은 제1 관절 표면(2a)에 비하여 전방(F)으로부터 후방(R) 방향으로 훨씬 더 큰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스페이서 장치의 전방(F)으로부터 후방(R)까지, 상기 제1 관절 면(4a)은 사용시 제1 관절 표면을 향하여 볼록한 세 개의 만곡 섹션(curved section)을 포함할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는 약간 만곡한 제1 만곡 섹션(4ad), 그 다음으로 제1 만곡 섹션(4ad)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진 제2 만곡 섹션(4ae), 그 다음으로 제1 만곡 섹션(4ad)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져서 약간 만곡한 제3 만곡 섹션(4af)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만곡 섹션(4ae)의 곡률반경은 제1 관절 표면(2a)의 곡률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곡률반경들은, 본 발명에 따른 키트(kit)의 제2 대퇴골측 부품(42)을 각각의 제2 경골측 부품(22)과 조합됨을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된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중공 중앙 밴드(4aa)와 두 개의 측방 확장 밴드들(4ab, 4ac)이 제공된다면, 상기 두 개의 측방 확장 밴드들(4ab, 4ac)은 이제부터 설명되는 패턴을 따르도록 구성되고, 중공 중앙 밴드(4aa)는 약간 만곡한 제1 만곡 섹션(4ad)과 제2 만곡 섹션(4ae)을 구비하되, 필요한 경우에는 제3 만곡 섹션(4af)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대퇴골측 부품(41)의 제2 중간 면(4b) 또는 제2 대퇴골측 부품(42)의 제4 중간 면(4d)은 적어도 하나의 거친 또는 돌출된 부위(1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거친 또는 돌출된 부위(12)에는 일측이 제1 대퇴골측 부품(41)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제1 대퇴골측 부품(41)에 들러붙도록 의도되고 타측이 제2 대퇴골측 부품(42)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제2 대퇴골측 부품(42)에 들러붙어 이들을 서로 고정시키도록 의도된 골 시멘트 층이 제공된다.
제1 경골측 부품(21) 또는 제1 대퇴골측 부품(41)은 물론, 제2 경골측 부품(22) 또는 제2 대퇴골측 부품(42)은 미리 형성되되 생물학적으로 양립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여기에는 경골 및 대퇴골의 뼈 끝에서의 감염을 처치하도록 환자의 전술된 관절 부위에서 또는 상기 스페이서 장치에 인접한 환자의 조직에서 방출되는 한 가지 이상의 의약 제품, 활성 성분, 및/또는 치료 성분이 첨가되어 있거나 그리고/또는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생물학적으로 양립가능한 재료는 다공성을 가진 것일 수 있는바, 특히 상호연결되거나 또는 상호연결되지 않은 구멍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의 부품들을 위한 재료는, 금속, 금속 합금, 유기 금속, 세라믹, 유리, 플라스틱 재료, 또는 이들이 조합된 재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는,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머, 열성형가능 폴리머, 및 다른 유사한 재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 무릎 스페이서 장치(1)의 부품들(21, 22, 41, 42)의 제작에 이용되는 생물학적으로 양립가능한 재료에는 골 시멘트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이 포함된다.
상기 의약 제품, 활성 성분, 및/또는 치료 성분에는 항생제, 소독제, 박테리아 억제제(bacteriostatics), 항균제(bactericides), 항진균제(antimycotics), 예를 들어 젠타미신(gentamicin), 반코미신(vancomycin) 등과 같은 화학치료제, 또는 다른 활성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다공성인 상기 스페이서 장치의 재료에는 한 가지 이상의 의약 제품, 활성 성분, 및/또는 치료 성분이 생산 지역에서 첨가되거나, 또는 그 이후에 환자에게 사용되는 때에 의사에 의해 예를 들어 함침(impregnation)에 의해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장치의 부품들 안, 특히 제1 경골측 부품(21) 및/또는 제1 대퇴골측 부품(41)의 안에는 전술된 생물학적으로 양립가능한 재료 안에 예를 들어 금속성인 보강 코어(13a, 13b, 13c, 13d)가 내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장치의 경골측 유닛(2)과 대퇴골측 유닛(4) 사이에는 예를 들어 클립과 같은 분리가능한 연결 수단이 포함될 수 있는바, 상기 클립은 뼈 이식 수술 동안에 일측(S1)으로부터 타측(S2)으로의 방향, 또는 전방(F)으로부터 후방(R)으로의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유닛들의 상대 변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무릎 스페이서 장치의 구현을 위한 키트(14)도 제공되는바, 상기 키트는 상이한 치수를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제1 부품들(21, 41) 및/또는 상이한 치수를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제2 부품들(22, 42)을 포함한다.
상기 키트(14)는, 예를 들어 소형 제1 경골측 부품(21L0), 중형 제1 경골측 부품(21L1), 대형 제1 경골측 부품(21L2)은 물론, 소형 제2 경골측 부품(22S), 중형 제2 경골측 부품(22M), 및 대형 제2 경골측 부품(22L)이 제공되어 있는 경골측 유닛(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형 제1 경골측 부품(21L0), 중형 제1 경골측 부품(21L1), 대형 제1 경골측 부품(21L2)은 필요에 따라서 소형 제2 경골측 부품(22S), 중형 제2 경골측 부품(22M), 및 대형 제2 경골측 부품(22L) 중 어느 것과도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키트(14)는 예를 들어 소형 제1 대퇴골측 부품(41L0), 중형 제1 대퇴골측 부품(41L1), 대형 제1 대퇴골측 부품(41L2)은 물론, 소형 제2 대퇴골측 부품(42S), 중형 제2 대퇴골측 부품(42M), 대형 제2 대퇴골측 부품(42L)이 제공되어 있는 대퇴골측 유닛(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형 제1 대퇴골측 부품(41L0), 중형 제1 대퇴골측 부품(41L1), 대형 제1 대퇴골측 부품(41L2)은 필요에 따라서 소형 제2 대퇴골측 부품(42S), 중형 제2 대퇴골측 부품(42M), 대형 제2 대퇴골측 부품(42L) 중 어느 것과도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트의 모듈화를 위하여, 모든 제2 경골측 부품(22)들의 중간 융기부(2aa)는 동일한 치수를 가지며, 모든 제2 대퇴골측 부품(44)들의 중공 중앙 밴드(4aa)는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무릎 스페이서 장치(1)의 위와 같은 모듈화로 인하여, 무릎 스페이서 장치(1)가 환자의 대퇴골 단부와 경골 단부의 신체 측정치들에 적합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무릎에 스페이서 장치를 이식하기 위해서는, 먼저 외과 의사가 사용할 부품들을 결정한 이후에, 제1 경골측 부품(21) 또는 이것의 제1 줄기부(21b)가 경골 안에 이식되고, 제1 대퇴골측 부품(41) 또는 이것의 제2 줄기부(41b)가 대퇴골 안에 이식되며, 제2 중간 표면(2b)과 제2 중간 면(4b) 사이에 고정 수단, 예를 들어 골 시멘트 층과 같은 접착층이 적용된다. 이 때,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의 경화 또는 폴리머화(polymerisation) 이전인 제1 안착 상태에서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하여 제2 경골측 부품(22)이 제1 경골측 부품(21) 상에 배치되는바, 구체적으로는 제4 중간 표면(2d)이 제2 중간 표면(2b) 상에 놓인다. 또한 제2 대퇴골측 부품(42)이 제1 대퇴골측 부품(41)과 맞닿게 배치되는바, 구체적으로는 제4 중간 면(4d)이 제2 중간 면(4b)에 맞닿게 배치된다.
여전히 접착층의 경화 또는 폴리머화 이전이지만 그 다음에는, 경골과 대퇴골이 상호 변위됨으로써 관절을 작게 만드는바, 다시 말하면 다리를 펴고, 제1 관절 면(4a)을 제1 관절 표면(2a)의 슬라이딩 맞물림을 위해서 슬라이딩 시이트(3) 내에 놓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경골측 유닛(2)과 대퇴골측 유닛(4)이 간섭(interference)하도록 배치되며, 접착층이 아직 폴리머화되지 않은 사실 덕분에, 경골측 유닛(2)과 대퇴골측 유닛(4) 사이에 상호간의 인장력 또는 응력이 남아 있는 경우에도, 이들의 중심 또는 상대 위치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며, 이로써 신체상 시준(collimation) 또는 자연적 정렬이 얻어져서 잘못된 배치의 위험이 완화된다. 상기 잘못된 배치의 위험은 중간 치수를 가지며 해부학적인 고려가 적은 종래의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경우에 종종 발생한다. 그 다음에,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의 경화 동안에 상기 고정 수단이 제2 위치에 있게 되면, 스페이서 장치가 적합하게 이식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스페이서 장치의 경골측 유닛(2) 및 대퇴골측 유닛(4)의 구조 덕분에, 세 개의 상이한 축 또는 방향, 즉 전방(F)으로부터 후방(R)으로의 제1 방향, 일측(S1)으로부터 타측(S2)으로의 제2 방향, 및/또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해 직각인 제3 방향(즉, 중간 표면들(2b, 2d)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따라서 경골측 유닛(2) 및 대퇴골측 유닛(4)의 상대 위치의 자체적인 조절이 얻어질 수 있게 되고, 경골측 유닛(2)과 대퇴골측 유닛(4) 그리고 이에 따라서 제1 관절 표면(2a)과 제1 관절 면(4a)은 멀어지거나 접근하게 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는 경골측 유닛(2) 또는 대퇴골측 유닛(4)만을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는바, 이 경우에도 다리를 펼 때에 스페이서 장치의 자체적인 조절이 얻어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장치는 개별의 이식 부위에 대해 최적의 조절 또는 적합화를 가능하게 하며, 매우 신속하고 쉬운 방식으로 이식될 수 있다.
WO 2013/041905A1 와 관련하여, 개별의 스페이서는 경골측 유닛 및/또는 대퇴골측 유닛에 두 개의 부품들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에서와 같이 조절가능하게 유연한 구성을 갖는 두 개의 부품들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국제출원에 따르면 경골측 부품의 로드 유형의 요소는 경골측 부품과 심 사이의 올바른 상대적 위치의 선정을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는바, 이로써 "런아웃(runout)", 즉 심에 의해 한정되는 구멍의 길이방향 대칭축과 경골측 부품의 로드 유형의 요소의 주축 간의 정렬을 보장한다. 따라서, 심과 경골측 부품을 복수의 작동 위치들에 통제된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WO 2013/041905A1 에는 경골측 부품의 일부 하측 러그(lug)들이 사용시 심의 개별의 돌기들과 맞닿는다는 설명이 있다는 기재가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인데, 이것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헌이 경골측 부품과 심 사이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보호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9)

  1. 감염된 관절 인공삽입물(joint prosthesis)의 교체와 새로운 인공삽입물의 이식 전에 환자의 관절 부위의 크기 또는 공간의 보존을 위하여, 환자의 경골(tibia)과 대퇴골(femur) 사이의 관절 부위에 임시적으로 이식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로서, 상기 무릎 스페이서 장치는:
    환자의 경골에 고정되는 경골측 유닛(2)으로서, 경골측 유닛(2)은 사용시 상측에 있고 실질적으로 만곡한 제1 관절 표면(2a)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관절 표면(2a)은 실질적으로 오목한 슬라이딩 시이트(sliding seat; 3)를 형성하는, 경골측 유닛(2); 및
    환자의 대퇴골에 고정되는 대퇴골측 유닛(4)으로서, 대퇴골측 유닛(4)은 사용시 하측에 있고 실질적으로 볼록한 제1 관절 면(first joint face; 4a)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관절 면(4a)은 상측의 상기 제1 관절 표면(2a)과의 슬라이딩 맞물림(sliding engagement)을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시이트(3)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경골측 유닛(2)과 대퇴골측 유닛(4)의 상호간 각도 변위(angular displacement)가 가능하게 되는, 대퇴골측 유닛(4);을 포함하고,
    상기 경골측 유닛(2)은:
    경골에 고정가능하고, 상기 제1 관절 표면(2a)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1 부품(21); 및
    복수의 작동 위치에서 상기 제1 부품(2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 관절 표면(2a)을 한정하는, 제2 부품(2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품(22)은, 적어도 제1 시상 방향(first sagittal direction)을 따라서 또는 상기 무릎 스페이서 장치의 전방(F)으로부터 후방(R)으로, 또는 제2 횡단 방향을 따라서 또는 상기 무릎 스페이서 장치의 일측(S1)으로부터 타측(S2)으로, 복수의 작동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부품(2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2. 감염된 관절 인공삽입물의 교체와 새로운 인공삽입물의 이식 전에 환자의 관절 부위의 크기 또는 공간의 보존을 위하여, 환자의 경골과 대퇴골 사이의 관절 부위에 임시적으로 이식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로서, 상기 무릎 스페이서 장치는:
    환자의 경골에 고정되는 경골측 유닛(2)으로서, 경골측 유닛(2)은 사용시 상측에 있고 실질적으로 만곡한 제1 관절 표면(2a)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관절 표면(2a)은 실질적으로 오목한 슬라이딩 시이트(3)를 형성하는, 경골측 유닛(2); 및
    환자의 대퇴골에 고정되는 대퇴골측 유닛(4)으로서, 대퇴골측 유닛(4)은 사용시 하측에 있고 실질적으로 볼록한 제1 관절 면(4a)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관절 면(4a)은 상측의 상기 제1 관절 표면(2a)과의 슬라이딩 맞물림을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시이트(3)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경골측 유닛(2)과 대퇴골측 유닛(4)의 상호간 각도 변위가 가능하게 되는, 대퇴골측 유닛(4);을 포함하고,
    상기 대퇴골측 유닛(4)은:
    대퇴골에 고정가능하고, 상기 제1 관절 면(4a)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1 부품(41); 및
    복수의 작동 위치에서 상기 제1 부품(4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 관절 면(4a)을 한정하는, 제2 부품(42);을 포함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스페이서 장치는 상기 제1 부품(21, 41)과 상기 제2 부품(22, 42) 사이에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고정 수단이 상기 제1 부품(21, 41)과 상기 제2 부품(22, 42)을 고정시키지 않고서 연결하는 제1 안착 위치 또는 상태와,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복수의 작동 위치들 중 일 위치에서 상기 제2 부품(22, 42)을 상기 제1 부품(21, 41)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 위치 또는 상태를 갖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1 부품(21, 41)과 상기 제2 부품(22, 42) 사이에 경화(curing) 또는 고화(solidifying)의 시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은, 처음에 상기 제1 부품(21, 41)에 유지 또는 접착되는 일측과 상기 제2 부품(22, 42)에 유지 또는 접착되는 타측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부품(21, 41)과 상기 제2 부품(22, 42)을 고정없이 연결시키고, 후속하여 경화 또는 고화됨으로써 상기 제2 부품(22, 42)을 상기 복수의 작동 위치들 중 일 위치에 고정시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의 경화 또는 고화 시간 동안에 상기 제1 부품(21, 41)과 상기 제2 부품(22, 42) 간의 상대 위치를 조절함이 가능하게 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에는 골 시멘트 층(layer of bone cement)이 포함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42)은, 적어도 제1 시상 방향(first sagittal direction) 또는 상기 무릎 스페이서 장치의 전방(F)으로부터 후방(R)으로의 방향을 따라서, 제2 횡단 방향 또는 상기 무릎 스페이서 장치의 일측(S1)으로부터 타측(S2)으로의 방향을 따라서, 또는 길이방향 또는 상기 제1 시상 방향과 제2 횡단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작동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부품(4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측 유닛(2)은, 경골에 고정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1 관절 표면(2a)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1 경골측 부품(21)과, 복수의 작동 위치들에서 상기 제1 경골측 부품(2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관절 표면(2a)을 한정하는 제2 경골측 부품(22)을 포함하고,
    상기 대퇴골측 유닛(4)은, 대퇴골에 고정가능하고 상기 제1 관절 면(4a)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1 대퇴골측 부품(41)과, 복수의 작동 위치들에서 상기 제1 대퇴골측 부품(4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관절 면(4a)을 한정하는 제2 대퇴골측 부품(42)을 포함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측 유닛(2)은 경골에 고정가능한 제1 경골측 부품(21)과 제1 경골측 부품(2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제2 경골측 부품(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골측 부품(21)은, 상기 제2 경골측 부품(22)을 향하는 제2 중간 표면(2b) 및 상기 제2 중간 표면(2b)의 반대측에 있는 제3 연결 표면(2c)을 한정하는 베이스 부분(base portion; 21a)과, 상기 베이스 부분(21a)의 상기 제3 연결 표면(2c)으로부터 돌출되어 환자의 경골에 이식되는 제1 줄기부(2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골측 부품(22)의 일측은 상기 상측 제1 관절 표면(2a)을 한정하며, 상기 제2 경골측 부품(22)의 타측은 상기 제1 경골측 부품(21)의 상기 제2 중간 표면(2b)에 대해 맞닿는 제4 중간 표면(2d)을 한정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골측 부품(21)의 상기 베이스 부분(21a)은, 실질적으로 C자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제2 중간 표면(2b)으로부터 상기 제3 연결 표면(2c)으로 연장되는 제1 채널(first channel; 6)을 한정하고,
    상기 제2 경골측 부품(22)은, 실질적으로 C자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제1 관절 표면(2a)으로부터 상기 제4 중간 표면(2d)으로 연장된 제2 채널(7)을 한정하며, 상기 제2 채널(7)은 상기 제1 채널(6)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골측 부품(21)의 상기 제2 중간 표면(2b) 또는 상기 제2 경골측 부품(22)의 상기 제4 중간 표면(2d)은 적어도 하나의 거친 또는 돌출된 부위(8)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친 또는 돌출된 부위(8)에 배치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스페이서 장치는, 상기 제2 부품(22, 42)을 개별의 제1 부품(21, 41)에 불안정한 구속으로서 안내되는 위치선정을 하기 위한 기준 수단(9a, 9b)을 포함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정한 구속으로서 안내되는 위치선정 수단(9a, 9b)은, 적어도 하나의 핀 부품(9a)과, 상기 핀 부품(9a)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되는 위치선정 요부(9b)를 포함하고,
    상기 경골측 유닛(2)은, 경골에 고정가능한 상기 제1 경골측 부품(21)과, 상기 제1 경골측 부품(2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상기 제2 경골측 부품(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골측 부품(21) 또는 제2 경골측 부품(22)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 부품(9a)이 연장되고, 상기 제1 경골측 부품(21)과 제2 경골측 부품(22)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선정 요부(9b)가 형성되며,
    상기 핀 부품(9a)과 상기 위치선정 요부(9b) 간의 맞물림이 느슨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핀 부품(9a)이 상기 위치선정 요부(9b)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골측 유닛(4)은 대퇴골에 고정가능한 상기 제1 대퇴골측 부품(41)과, 상기 제1 대퇴골측 부품(41)에 조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상기 제2 대퇴골측 부품(4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퇴골측 부품(41)은, 상기 제2 대퇴골측 부품(42)을 향하는 제2 중간 면(4b)과 상기 제2 중간 면(4b)의 반대측에 있는 제3 연결 면(4c)을 한정하는 주된 부분(41a)과, 상기 주된 부분(41a)의 상기 제3 연결 면(4c)으로부터 연장되고 환자의 대퇴골에 이식되는 제2 줄기부(41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대퇴골측 부품(42)의 일측에는 제1 하측 관절 면(4a)이 한정되고, 제2 대퇴골측 부품(42)의 타측에는 상기 제1 대퇴골측 부품(41)의 상기 제2 중간 면(4b)에 대해 맞닿는 제4 중간 면(4d)이 한정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퇴골측 부품(41)의 상기 주된 부분(41a)은 실질적으로 C자 형상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제2 중간 면(4b)으로부터 상기 제3 연결 면(4c)으로 연장된 제3 채널(10)을 한정하며,
    상기 제2 대퇴골측 부품(42)은 실질적으로 C자 형상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제1 하측 관절 면(4a)으로부터 상기 제4 중간 면(4d)으로 연장된 제4 채널(11)을 한정하고, 또한 상기 제3 채널(10)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퇴골측 부품(41)의 상기 제2 중간 면(4b) 또는 상기 제2 대퇴골측 부품(42)의 상기 제4 중간 면(4d)은 적어도 하나의 거친 또는 돌출된 부위(12)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친 또는 돌출된 부위(1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이 배치되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측 유닛(2)과 상기 대퇴골측 유닛(4) 중 적어도 하나는 생물학적으로 양립가능한 재료(biologically compatible material)로 만들어지고, 상기 생물학적으로 양립가능한 재료에는 경골 및 대퇴골의 뼈 끝에서의 감염을 처치하도록 환자의 상기 관절 부위에서 방출되는 적어도 한 가지의 의약 제품, 활성 성분, 또는 치료 성분이 첨가되어 있거나 또는 첨가될 수 있는, 무릎 스페이서 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무릎 스페이서 장치의 제작을 위한 키트로서,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제1 부품(21, 41) 또는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제2 부품(22, 42)을 포함하는, 키트.
  18. 삭제
  19. 삭제
KR1020177014313A 2014-11-06 2015-11-05 무릎 관절을 위한 개선된 조절가능한 모듈형 스페이서 장치 KR102461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RM20140646 2014-11-06
ITRM2014A000646 2014-11-06
PCT/IT2015/000266 WO2016071938A1 (en) 2014-11-06 2015-11-05 Improved adjustable modular spacer device for the articulation of the kn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619A KR20170080619A (ko) 2017-07-10
KR102461337B1 true KR102461337B1 (ko) 2022-10-28

Family

ID=5246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313A KR102461337B1 (ko) 2014-11-06 2015-11-05 무릎 관절을 위한 개선된 조절가능한 모듈형 스페이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215065B1 (ko)
JP (1) JP2017534426A (ko)
KR (1) KR102461337B1 (ko)
CN (1) CN107106302B (ko)
AR (1) AR103134A1 (ko)
AU (1) AU2015344445A1 (ko)
BR (1) BR112017009201B1 (ko)
CA (1) CA2966569A1 (ko)
ES (1) ES2777325T3 (ko)
WO (1) WO20160719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075924A1 (it) * 2016-07-20 2018-01-20 Augusto Magagnoli Dispositivo spaziatore modulare del corpo umano
WO2018049385A1 (en) 2016-09-12 2018-03-15 Exactech, Inc. Drug-eluting spacer for joints of the human body
ES2790702T3 (es) * 2017-04-13 2020-10-28 Link Waldemar Gmbh Co Espaciador como reemplazo de prótesis articular temporal para la administración de un principio activo farmacológico
US10772731B2 (en) * 2017-04-14 2020-09-15 Smed-Ta/Td, Llc Orthopaedic implant with bonded porous material
DE102018106704B4 (de) * 2018-03-21 2021-06-24 Heraeus Medical Gmbh Kniespacersystem mit Spülvorrichtung
US10531959B2 (en) 2018-03-28 2020-01-14 Russell Nevins Modular, plastic knee replacement with locking mechanism
IT201800009555A1 (it) * 2018-10-18 2020-04-18 Tecres Spa Dispositivo intermedio o inserto sotto-tibiale, componente protesico dotato di tale dispositivo intermedio e metodo per il loro assemblaggio
US10966838B2 (en) 2019-02-28 2021-04-06 Oxford Performance Materials, Inc. Articulating knee spac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303910B1 (ko) * 2019-09-20 2021-09-24 주식회사 티제이씨라이프 안정적 고정을 유도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부분인공관절
CN111329626B (zh) * 2020-03-09 2022-04-12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膝关节占位器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0661A1 (en) * 1996-02-21 1997-08-28 Smith & Nephew Inc. Trial wedges with magnetic attachments
WO1997030664A1 (en) 1996-02-23 1997-08-28 Hofmann Aaron A Tibial prosthesis with mobile bearing member
DE69403347T2 (de) * 1993-11-22 1997-10-30 Landanger Landos S A Ganzknieprothese sowie entsprechender modularer knieprothesenbausatz
US20050203629A1 (en) * 2004-02-26 2005-09-15 George Cipolletti Modular knee prosthesis
US20120022658A1 (en) * 2010-07-24 2012-01-26 Zimmer, Inc. Asymmetric tibial components for a knee prosthesis
WO2013041905A1 (en) * 2011-09-19 2013-03-28 Tecres S.P.A. Temporary modular spacer device for joints of the human bod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1564B1 (en) * 1999-02-02 2002-03-26 Aesculap Total knee joint comprising an insert movable relative to a tenon
FR2851156B1 (fr) * 2003-02-13 2005-04-15 Patrick Hechard Prothese du genou.
US9168155B2 (en) * 2007-03-01 2015-10-27 Zimmer, Inc. Modular femoral provisional
CN201085666Y (zh) * 2007-10-11 2008-07-16 郑稼 抗生素骨水泥临时膝关节阻隔体
US20100100191A1 (en) * 2008-10-17 2010-04-22 Biomet Manufacturing Corp. Tibial Tray Having a Reinforcing Member
JP5702467B2 (ja) * 2010-07-24 2015-04-15 ジンマ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人工脛骨
CN201790919U (zh) * 2010-09-21 2011-04-13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带有加强筋的膝关节间隔器
DE102013205156B4 (de) * 2013-03-22 2015-02-12 Heraeus Medical Gmbh Kniespacer zum zeitweisen Ersetzen eines künstlichen Kniegelenk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03347T2 (de) * 1993-11-22 1997-10-30 Landanger Landos S A Ganzknieprothese sowie entsprechender modularer knieprothesenbausatz
WO1997030661A1 (en) * 1996-02-21 1997-08-28 Smith & Nephew Inc. Trial wedges with magnetic attachments
JP2001503283A (ja) 1996-02-21 2001-03-13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磁性取付具を備えた試用楔部
WO1997030664A1 (en) 1996-02-23 1997-08-28 Hofmann Aaron A Tibial prosthesis with mobile bearing member
US20050203629A1 (en) * 2004-02-26 2005-09-15 George Cipolletti Modular knee prosthesis
US20120022658A1 (en) * 2010-07-24 2012-01-26 Zimmer, Inc. Asymmetric tibial components for a knee prosthesis
JP2013536005A (ja) 2010-07-24 2013-09-19 ジンマ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人工膝用の非対称な脛骨部品
WO2013041905A1 (en) * 2011-09-19 2013-03-28 Tecres S.P.A. Temporary modular spacer device for joints of the human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344445A1 (en) 2017-06-15
BR112017009201B1 (pt) 2022-11-08
BR112017009201A2 (pt) 2017-12-26
CN107106302A (zh) 2017-08-29
EP3215065A1 (en) 2017-09-13
JP2017534426A (ja) 2017-11-24
WO2016071938A1 (en) 2016-05-12
CN107106302B (zh) 2021-07-27
KR20170080619A (ko) 2017-07-10
AR103134A1 (es) 2017-04-19
EP3215065B1 (en) 2020-02-12
ES2777325T3 (es) 2020-08-04
CA2966569A1 (en)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337B1 (ko) 무릎 관절을 위한 개선된 조절가능한 모듈형 스페이서 장치
EP1274374B1 (en) Disposable articulated spacing device for surgical treatment of joints of the human body
US10092407B2 (en) Constrained spacer device for the knee joint
JP6584599B2 (ja) 人工膝関節を一時的に置換するためのニースペーサ
US10463498B2 (en) Constrained prosthesis for the knee joint
US10792161B2 (en) Adjustable modular spacer device for the articulation of the knee
AU2015246643C1 (en) An osseointegrable device
US11185415B2 (en) Mould for realizing a temporary prosthesis of hip or shoulder, and method thereof
US11399947B2 (en) Modular spacer device for the joints of the human body
US11951012B2 (en) Femoral element of knee spa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