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831A -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 - Google Patents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831A
KR20170071831A KR1020150179972A KR20150179972A KR20170071831A KR 20170071831 A KR20170071831 A KR 20170071831A KR 1020150179972 A KR1020150179972 A KR 1020150179972A KR 20150179972 A KR20150179972 A KR 20150179972A KR 20170071831 A KR20170071831 A KR 20170071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ollector
plate
cell plate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899B1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에어텍21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텍21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어텍21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9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899B1/ko
Priority to CN201680063601.4A priority patent/CN108348925A/zh
Priority to PCT/KR2016/004436 priority patent/WO2017104909A1/ko
Publication of KR20170071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의 컬렉터 셀 플레이트를 상호 이격, 적층 하여 대전 된 오염물질을 전기 집진하되, 셀 플레이를 소폭으로 구분하여 독립적인 컬렉터 셀 어셈블리로 이루고, 이 컬렉터 셀 어셈블리를 다수 중첩시켜 집진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집진 시설을 설치하는 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상기 컬렉터 셀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이루어 현장 여건에 맞는 집진이 가능하여 집진 효율을 향상시키고, 청소가 용이하여 유지관리가 간편하며, 사용자가 현장 여건에 따라 컬렉터 셀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컬렉터 셀 제조시에는 부품 오 삽입에 따른 불량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셀 플레이트(400)를 소폭으로 이루어 같은 규격의 스페이서(500)로 이격시켜 단일 간극을 갖도록 적층하고, 상기 셀 플레이트(400)의 양단을 앤드 플레이트(300)로 마감하고 양단의 앤드 플레이트(300)를 앵글(310)로 체결하여 하나의 독립된 제 1 컬렉터 셀 유닛(210)을 이루며, 이 컬렉터 셀 유닛의 셀 플레이트 간극에 비해 서로 다른 좁은 간극을 갖는 또 다른 독립된 제 2, 3 컬렉터 셀 유닛(220, 230)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컬렉터 셀 유닛 중 하나 또는 복수 이상 다수의 셀 유닛을 집진기 하우징(100)에 끼워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Electrostatic precipitator having a superimposed collector type cell unit}
본 발명은 산업용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 집진기의 컬렉터 셀 플레이트를 상호 이격, 적층 하여 대전 된 오염물질을 전기 집진하되, 셀 플레이를 소폭으로 구분하여 독립적인 컬렉터 셀 어셈블리로 이루고, 이 컬렉터 셀 어셈블리를 다수 중첩시켜 집진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집진 시설을 설치하는 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상기 컬렉터 셀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이루어 현장 여건에 맞는 집진이 가능하여 집진 효율을 향상시키고, 청소가 용이하여 유지관리가 간편하며, 사용자가 현장 여건에 따라 컬렉터 셀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컬렉터 셀 제조시에는 부품 오 삽입에 따른 불량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시설 및 청정 환경을 요구하는 시설에는 다양한 공조설비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설비 중에는 대기 중의 먼지나 제조 설비의 오염 물질을 전기적으로 대전시켜 흡착하는 전기 집진기가 알려져 있다.
전기 집진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 측으로부터 1차적으로 큰 입자를 걸러내기 위한 물리적인 필터인 프리필터(PRE-FILTER), 물리적인 필터를 통과한 미세 이물질에 대하여 전기 집진을 위해 대전을 이루는 이온아이저(IONIZER), 전기 집진부인 컬렉터(COLLECTOR) 유닛을 통과하면서 대전 된 이물질이 상기 컬렉터 유닛의 셀 플레이트인 집진 판에 흡착 집진 되어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기 집진기는 물리적인 프리필터와 전기적인 컬렉터 셀 플레이트 필터에 의하여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서 정화 효율이 매우 우수한 편이다.
상기와 같은 전기 집진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작된 산업용 전기 집진기는 도 2 도시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외함(10) 내에 프리필터(20), 이온아이저(30), 다수의 컬렉터 셀 플레이트(42)를 적층 하여 이루어지는 컬렉터 셀 유닛(40) 및 외함(10)에 일 측으로 장착되어 개폐 가능한 도어로써 기능하며 컬렉터 셀 유닛(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기를 내장한 전원공급도어(50)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도어(50)에는 통상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하여 발생 된 직류 고압을 공급하는 고압단자(52)와 접지단자(54)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52)에 대응하는 도어(50) 폐쇄 위치의 컬렉터 셀 유닛(40)에는 절연 애자(46)로 앤드 플레이트와 절연된 바(44)가 마련되어 바의 단부가 단자로서 기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컬렉터 셀 유닛(40)를 구성하는 다수의 셀 플레이트(42)는 양단에 나사가 형성된 긴 바(44)로서 다수의 위치를 관통시켜 고압과 접지를 이루도록 플레이트가 교번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컬렉터 셀 유닛 구조를 살펴본다.
도 3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플레이트(42)는 장방형의 넓은 표면적을 갖는 판체로서 이루어지며 관통하는 바(44)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대경 공(43a)이 마련되고, 또한 접촉을 이루도록 소경 공(43b)이 함께 마련되며 이러한 대경 공(43a)과 소경 공(43b)은 상호 근접하여 1쌍으로 이루어지며 셀 플레이트(42)에 다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셀 플레이트(42)는 고압 측에 바(44)와 전기적으로 접촉을 유지하는 "+" 전압의 셀 플레이트(42a)와 접지 측과 접촉을 이루는 "-" 전압의 셀 플레이트(42b)로 나뉘어져 상호 교번 적으로 중첩되면서 각각의 바(44)에 순차적으로 끼워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플레이트(42a, 42b)는 바(44)에 긴밀하게 끼워지는 스페이서(45)를 통하여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동시에 바(44)와 플레이트(42)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수 십장 적층된 플레이트(42)의 양단에는 앤드 플레이트(48)로서 마감하며 앤드 플레이트(48)측에는 "+"고전압이 연결되는 바(44)를 절연하는 절연애자(46)를 끼워 넛트(49)로서 가압체결하여 이루며, 접지측 바(44)는 앤드 플레이트에 넛트로서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의한 셀 플레이트는 그 집진 효율을 위하여 넓은 표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있다(도 4 참조).
그러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초입 부위에 집중적으로 오염원들의 정전 흡착이 이루어지는데 반하여 상기 컬렉터는 단일의 넓은 표면적을 갖는 판체로 이루어져 있어 정전 흡착이 판체의 초입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감안 할 때 넓은 판재는 그 표면적 공간에 비해 정전 흡착 효율 저하를 유발한다.
따라서 유입구 측의 플레이트 면은 유출구 측의 플레이트 면에 비하여 빠르고 두텁게 오염원이 흡착되면서 "+", "_" 로 대향 된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결과가 초래되면서 이상전류(아크)가 발생하여 전기적으로 트러블을 일으키게 되고 이상전류를 차단하지 못하면 화재 등으로 비화될 수 있다.
또한,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 컬렉터 셀 플레이트를 청소하는 주기가 빠르게 돌아오므로 플레이트의 뒷쪽(유출구)이 양호하더라도 청소를 해야만 하므로 관리의 번잡함과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동시에 청소를 하더라도 셀 플레이트의 간격이 협소하여 플레이트에 흡착된 오염원을 원활하게 제거하지 못함에 기인하여 오염원이 잔존하게 되고 이는 다음 청소주기를 빠르게 하는 폐해를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722863호와 같은 기술을 안출 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컬렉터 셀 유닛의 셀 플레이트를 상하 길이 방향으로 양분하여 전, 후단 셀 플레이트(2, 4)로 구성하고, 오염 공기 유입 전단에 적층되는 셀 플레이트(2)는 후단에 적층되는 셀 플레이트(4)에 비하여 셀 플레이트 간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선 등록 발명의 셀 플레이트 간격이 상이하게 설계되고 단일 유닛에서 분리 구성한 셀 플레이트에 의하여 전단에 위치하는 셀 플레이트는 후단의 셀 플레이트에 비하여 플레이트 간극을 넓게 형성하여 큰 입자들이 흡착되더라도 플레이트 간격이 넓음에 의하여 이상전류 발생 빈도를 크게 낮출 수 있고, 전단에서 통과될 수 있는 오염원들은 재차 후단의 셀 플레이트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에서 모두 흡착하도록 함으로써 집진 효율을 극대화하고, 오염원의 흡착 층이 두꺼워짐에 따른 빠른 청소주기를 대폭 늘려 관리 효율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새로운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본 출원인의 선 등록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유닛 내에 셀 플레이트를 상하 길이 방향으로 양분하여 전, 후단 셀 플레이트(2, 4)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전단의 셀 플레이트 간격을 넓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와 후단의 셀 플레이트 간격을 상대적으로 좁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는 그 길이 차이가 0.2mm 내외로 미세하여 플레이트를 조립함에 있어 스페이서의 혼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단일의 유닛 내부에 다수의 셀 플레이트를 양분하여 적층 조립하므로 그 조립 공간의 제약으로 조립 작업이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넓은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전단의 셀 플레이트와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이루어진 후단 셀 플레이트가 하나의 유닛에 결합됨에 의해 이물질 제거를 위한 청소에 있어 유닛의 깊은 곳에 위치하는 전, 후단 셀 플레이트의 대향 지점의 이물질은 고압 세척시 외부로 배출을 어렵게 하여 청소 효율이 저하됨을 알게 되었으며, 특히 전기 집진기가 설치되는 다양한 오염원의 환경에 맞추어 셀 플레이트 간격 조절을 능동적으로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모든 종래 기술들에 의하면 전기 집진기의 셀 플레이트의 파손, 손상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일체인 집진기 셀 유닛을 제거하면 집진 가동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고, 수리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집진 설비 운전을 중지하여야 하는 단점과 함께 전술한 제작의 불편함에 따른 수리 조립 역시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KR 722863 B1 KR 312737 Y1 KR 1331611 B1
본 발명은 전술한 본 출원인의 발명을 보완하고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음극과 양극으로 구분되는 다수의 셀 플레이트를 적층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컬렉터 셀 유닛을 소폭의 셀 플레이트를 내장한 컬렉터 셀 유닛으로 독립시켜 분리 구성하여 하나의 컬렉터 셀 유닛에는 동일한 전극 간격을 유지하도록 동일 스페이서를 끼워 구성하므로 제작시 스페이서 혼입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폭을 이루며 셀 플레이트 간극이 각 각 상이하게 설계된 컬렉터 셀 유닛을 다수 중첩하여 전기 집진기에 끼워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설치 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능동적으로 셀 유닛을 추가하거나 감축시키는 것과, 다수 중첩 결합하는 셀 유닛들의 개별 셀 플레이트 간극을 임의로 선택하여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집진 환경에 따른 높은 흡착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셀 플레이트의 폭을 소폭으로 이루고 이러한 소폭의 셀 플레이트를 내장한 다수의 셀 유닛을 중첩 결합하여 이루는 것에 의해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할 때 독립된 개별 셀 유닛을 꺼내어 고압 세척하므로 인접 셀 플레이트에 제거될 이물질이 끼여 청소를 어렵게 하는 문제를 해결하므로 청소가 용이한 동시에 완벽한 청소가 이루어지므로 청소 주기가 연장되어 관리 효율이 높아지는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문가에 의하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다수 적층 조립되는 셀 유닛을 교체하거나 추가, 감축이 용이하여 현장 여건의 변화에 맞게 전기 집진기 셀 유닛을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셀 플레이트가 부분적으로 파손되거나 회손된 경우에도 전체 셀 유닛을 교체하지 아니하고 해당 셀 유닛을 꺼내어 교체할 수 있어 정비가 용이하고 정비 기간 중에도 전기 집진기 운전을 중단 없이 지속할 수 있어 오염 제거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장방형의 넓은 표면적을 갖는 셀 플레이트와, 셀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바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대경공이 마련되고, 또한 접촉을 이루도록 소경공이 함께 마련되며 이러한 대경공과 소경공은 상호 근접하여 1쌍을 이루도록 셀 플레이트에 다수 개소에 마련하고, 상기와 같은 셀 플레이트에 고압측에 바와 전기적으로 접촉을 유지하는 "+" 전압의 셀 플레이트와 접지측과 접촉을 이루는 "-" 전압의 셀 플레이트로 나뉘어져 상호 교번적으로 중첩하여 스페이서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각각의 바에 순차적으로 끼워 양단에 앤드 플레이트와 넛트로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집진기에 있어, 셀 플레이트를 소폭으로 이루어 같은 규격의 스페이서로 이격시켜 단일 간극을 갖도록 적층하고, 상기 셀 플레이트의 양단을 앤드 플레이트로 마감하여 양단의 앤드 플레이트를 앵글로 체결하여 하나의 독립된 컬렉터 셀 유닛을 이루며, 이 컬렉터 셀 유닛의 셀 플레이트 간극에 비해 점차적으로 좁은 간극을 갖는 또 다른 독립된 컬렉터 셀 유닛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컬렉터 셀 유닛 중 하나 또는 복수 이상 다수의 셀 유닛을 집진기 하우징에 끼워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음극과 양극으로 구분되는 다수의 셀 플레이트를 적층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컬렉터 셀 유닛을 소폭의 셀 플레이트를 내장한 컬렉터 셀 유닛으로 독립시켜 분리 구성하여 하나의 컬렉터 셀 유닛에는 동일한 전극 간격을 유지하도록 동일 스페이서를 끼워 구성하므로 제작시 스페이서 혼입에 따른 불량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제품 제조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소폭을 이루며 셀 플레이트 간극이 각 각 상이하게 설계된 컬렉터 셀 유닛을 다수 중첩하여 전기 집진기에 끼워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설치 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능동적으로 셀 유닛을 추가하거나 감축시키는 것과, 다수 중첩 결합하는 셀 유닛들의 개별 셀 플레이트 간극을 임의로 선택하여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집진 환경에 따른 높은 흡착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셀 플레이트의 폭을 소폭으로 이루고 이러한 소폭의 셀 플레이트를 내장한 다수의 셀 유닛을 중첩 결합하여 이루는 것에 의해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할 때 독립된 개별 셀 유닛을 꺼내어 고압 세척하므로 인접 셀 플레이트에 제거될 이물질이 끼여 청소를 어렵게 하는 문제를 해결하므로 청소가 용이한 동시에 완벽한 청소가 이루어지므로 청소 주기가 연장되어 관리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문가에 의하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다수 적층 조립되는 셀 유닛을 교체하거나 추가, 감축이 용이하여 현장 여건의 변화에 맞게 전기 집진기 셀 유닛을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동시에 셀 플레이트가 부분적으로 파손되거나 회손된 경우에도 전체 셀 유닛을 교체하지 아니하고 해당 셀 유닛을 꺼내어 교체할 수 있어 정비가 용이하고 정비 기간 중에도 전기 집진기 운전을 중단 없이 지속할 수 있어 오염 제거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물질 집진이 주로 셀 플레이트의 공기 유입부 측 첨단에서 이루어지는 작동 원리에 따라 셀 플레이트를 소폭으로 내장한 셀 유닛이 다수 중첩하는 것에 의해 플레이트 첨단부가 증가함으로 이물질 흡착 효율의 대폭 증가하는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갖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 집진기의 구조를 도시한 개요도.
도 2는 종래 전기 집진기를 도시한 외형도.
도 3a는 종래 전기 집진기의 컬렉터 셀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3b는 종래 전기 집진기의 컬렉터 셀 유닛의 일부 발췌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컬렉터 셀 유닛을 도시한 측면 상태도.
도 5는 종래 또 다른 컬렉터 셀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를 도시한 외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컬렉터 셀 유닛을 발췌 도시한 평면과 정면 상태 및 요부 확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컬렉터 셀 유닛 조합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 사상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장방형의 넓은 표면적을 갖는 셀 플레이트와, 셀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바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대경공이 마련되고, 또한 접촉을 이루도록 소경공이 함께 마련되며 이러한 대경공과 소경공은 상호 근접하여 1쌍을 이루도록 셀 플레이트에 다수 개소에 마련하고, 상기 셀 플레이트는 고압측에 바와 전기적으로 접촉을 유지하는 "+" 전압의 셀 플레이트와 접지측과 접촉을 이루는 "-" 전압의 셀 플레이트로 나뉘어져 상호 교번적으로 중첩하여 스페이서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각각의 바에 순차적으로 끼워 양단에 앤드 플레이트와 넛트로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셀 플레이트(400)를 소폭으로 이루어 같은 규격의 스페이서(500)로 이격시켜 단일 간극을 갖도록 적층하고, 상기 셀 플레이트(400)의 양단을 앤드 플레이트(300)로 마감하고 양단의 앤드 플레이트(300)를 앵글(310)로 체결하여 독립된 컬렉터 셀 유닛(200)을 복수 이상 다수로 형성하여 이루되, 상기 컬렉터 셀 유닛(200)은 셀 플레이트 간극이 서로 다른 간극을 갖는 제 1, 2, 3 컬렉터 셀 유닛(210, 220, 230)으로 독립 구성하여 상기 제 1 ~ 제 3 컬렉터 셀 유닛 중 하나 또는 복수 이상 다수의 셀 유닛을 집진기 하우징(100)에 끼워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집진기 하우징(100)의 셀 유닛 삽입부에는 각 컬렉터 셀 유닛을 내장하는 가이드 레일(520)을 복수 이상 다수 마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 제 3 컬렉터 셀 유닛(210, 220, 230)은 서로 다른 셀 플레이트 간극을 유지하도록 길이가 다른 내장 스페이서(500)를 끼워 구분 조립하여 이루어지며 집진기 하우징(100)의 셀 유닛 삽입부에 어느 하나의 셀 플레이트 간극을 갖는 컬렉터 셀 유닛을 중첩 삽입하여 이루어지거나 순차적으로 좁아지는 간극의 셀 플레이트를 갖는 컬렉터 셀 유닛을 중첩 삽입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컬렉터 셀 플레이트 간극은 예를 들어 6mm, 5.8mm, 5.6mm와 같이 각각 상이한 간극을 갖는 독립된 컬렉터 셀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입 단으로부터 차츰 좁아지는 간극의 셀 플레이트를 갖는 셀 유닛을 중첩시켜 조합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는 각종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 공기가 프리필터(20)에 의해 물리적으로 제거된 후 이온아이저(30)에서 대전 되고 유입될 때 초단에 위치하는 셀 유닛의 셀 플레이트 간극을 가장 넓은 것으로 선택하고 후단으로 갈수록 셀 플레이트 간극이 좁아지는 조합을 이루는 것이 오염물질 흡착에 유용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제 1 ~ 제 3 컬렉터 셀 유닛(210, 220, 230)의 조합은 복수 이상 다수의 셀 유닛을 중첩 조합할 때 셀 플레이트 간극이 모두 동일한 규격으로 이루어진 셀 유닛을 조합하여 셀 유닛 삽입부에 끼워 중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컬렉터 셀 유닛의 셀 플레이트 간극 채택은 전기 집진기가 설치되는 현장의 여건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집진기 하우징(100)의 셀 유닛 삽입부에는 편의상 3개의 셀 유닛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셀 유닛을 단수 또는 복수로 한정하여 설치하여도 기본적인 전기 집진은 이루어지게 되며 다수를 중첩하여 설치하는 것은 집진 효율의 극대화와 관련된다.
상기와 같이 전기 집진을 이루는 셀 플레이트 간극이 서로 다른 다수의 셀 유닛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전기 집진기(100)의 셀 유닛 삽입부 가이드 레일(520)에 끼워 도 8 도시 같이 3개의 셀 유닛을 설치하면 각 셀 유닛의 셀 플레이트 첨단부(공기 유입방향 측의 엣지부)에 대전 된 이물질이 흡착되고 중첩 설치된 다수의 셀 플레이트 첨단 부에는 전단에서 미 제거된 이물질 흡착이 연속하여 이루어져 집진 효율이 극대화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폭의 셀 플레이트를 갖으며 다수로 독립 구획되는 제 1 ~ 제 3 컬렉터 셀 유닛(210, 220, 230)은 현장의 필요성에 따라 그 조합을 달리하여 중첩시켜 끼워 설치하여 집진효율을 높이며 현장 여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경시켜 추가하거나 일부 제거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이러한 사용은 부분적인 파손과 같이 일부 교체를 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전기 집진기 운전을 중단함이 없이 파손 부분의 컬렉터 셀 유니만 제거한 후 운전이 가능하고 수리된 셀 유닛을 추후 재 삽입 조립하면 동일한 집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셀 플레이트가 소폭이라 함은 종래 셀 플레이트 표면적에 비하여 적어도 1/3 이하의 표면적을 갖는 것을 의미하며 전술한 셀 플레이트 간극(6mm, 5.8mm, 5.6mm)은 송풍압과 이물질 흡착 간극을 고려한 거리이며 이 거리의 한정이 필수적 요소는 아니며 바람직한 예로서 이해하면 되고 이 거리에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가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100: 집진기 하우징 210: 제 1 컬렉터 셀 유닛
220: 제 2 컬렉터 셀 유닛 230: 제 3 컬렉터 셀 유닛
300: 앤드 플레이트 310: 앵글
400: 셀 플레이트 500: 스페이서
520: 가이드 레일

Claims (3)

  1. 장방형의 넓은 표면적을 갖는 셀 플레이트와, 셀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바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대경공이 마련되고, 또한 접촉을 이루도록 소경공이 함께 마련되며 이러한 대경공과 소경공은 상호 근접하여 1쌍을 이루도록 셀 플레이트에 다수 개소에 마련하고, 상기 셀 플레이트는 고압측에 바와 전기적으로 접촉을 유지하는 "+" 전압의 셀 플레이트와 접지측과 접촉을 이루는 "-" 전압의 셀 플레이트로 나뉘어져 상호 교번적으로 중첩하여 스페이서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각각의 바에 순차적으로 끼워 양단에 앤드 플레이트와 넛트로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셀 플레이트(400)를 소폭으로 이루어 같은 규격의 스페이서(500)로 이격시켜 단일 간극을 갖도록 적층하고,
    상기 셀 플레이트(400)의 양단을 앤드 플레이트(300)로 마감하고 양단의 앤드 플레이트(300)를 앵글(310)로 체결하여 독립된 컬렉터 셀 유닛(200)을 복수 이상 다수로 형성하여 이루되,
    상기 컬렉터 셀 유닛(200)은 셀 플레이트 간극이 서로 다른 간극을 갖는 제 1, 2, 3 컬렉터 셀 유닛(210, 220, 230)으로 독립 구성하여 상기 제 1 ~ 제 3 컬렉터 셀 유닛 중 하나 또는 복수 이상 다수의 셀 유닛을 집진기 하우징(100)에 선택적으로 끼워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 하우징(100)의 셀 유닛 삽입부에는 각 컬렉터 셀 유닛을 내장하는 가이드 레일(520)을 복수 이상 다수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 제 3 컬렉터 셀 유닛(210, 220, 230)은 서로 다른 셀 플레이트 간극을 유지하도록 길이가 다른 내장 스페이서(500)를 끼워 구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
KR1020150179972A 2015-12-16 2015-12-16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 KR101757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972A KR101757899B1 (ko) 2015-12-16 2015-12-16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
CN201680063601.4A CN108348925A (zh) 2015-12-16 2016-04-28 具有重叠式收集器巢室单元的电集尘器
PCT/KR2016/004436 WO2017104909A1 (ko) 2015-12-16 2016-04-28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972A KR101757899B1 (ko) 2015-12-16 2015-12-16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831A true KR20170071831A (ko) 2017-06-26
KR101757899B1 KR101757899B1 (ko) 2017-07-13

Family

ID=5905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972A KR101757899B1 (ko) 2015-12-16 2015-12-16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57899B1 (ko)
CN (1) CN108348925A (ko)
WO (1) WO20171049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747A (ko) * 2020-03-13 2021-09-28 한국기계연구원 지하철역사의 공기정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412B1 (ko) 2018-09-19 2020-04-23 김효수 청소가 용이한 전기 집진기
KR102209792B1 (ko) 2019-05-20 2021-01-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집진탑
CN112403168A (zh) * 2020-11-20 2021-02-26 曹飞龙 一种布袋静电复合式除尘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0788A (en) * 1979-12-05 1981-09-22 Emerson Electric Co. Electrostatic air cleaner and mounting means therefor
KR910007011Y1 (ko) * 1989-09-30 1991-09-20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다단집진장치
JP3358008B2 (ja) * 1994-01-31 2002-12-16 株式会社エルデック 電気集塵装置
US6576046B2 (en) * 2000-10-19 2003-06-10 Fedders Corporation Modular electrostatic precipitator system
KR100613012B1 (ko) * 2004-02-03 2006-08-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적 원리를 이용한 미세 분진 다단계 응집 유도장치
KR100722863B1 (ko) * 2006-02-28 2007-05-30 에어텍21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유니트
KR20120122041A (ko) * 2011-04-28 2012-11-07 이종락 전기집진기의 조립식 이온아이저
KR101283428B1 (ko) * 2011-08-16 2013-07-08 주식회사 그린솔루스 유적함유 가스처리용 전기집진장치
KR101287915B1 (ko) * 2011-09-14 2013-07-18 주식회사 리트코 허니컴대전부를 갖는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
CN202447199U (zh) * 2011-12-19 2012-09-26 广州市文宝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电离收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747A (ko) * 2020-03-13 2021-09-28 한국기계연구원 지하철역사의 공기정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48925A (zh) 2018-07-31
KR101757899B1 (ko) 2017-07-13
WO2017104909A1 (ko)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863B1 (ko)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유니트
KR101757899B1 (ko)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
US20160184834A1 (en) Portable Air Cleaner With Improved Multi-Sta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622667B1 (ko) 전기집진 장치
KR101868472B1 (ko) 집진효율이 향상된 전기집진기
CN202590958U (zh) 高吸附型静电净化器和具有该静电净化器的空气净化装置
CN107684977A (zh) 一种电净化结构及包含其的空气净化装置
KR20120122041A (ko) 전기집진기의 조립식 이온아이저
CN110068033B (zh) 一种旋转自清洁油烟净化器总成
CN209918074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20160078239A (ko)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셀 구조체 및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전극의 제조 방법
CN208482628U (zh) 一种工业级电除尘式空气净化单元、装置和系统
CN204227572U (zh) 一种静电水空气净化器
CN215389993U (zh) 电场装置和气体净化装置
JP2010240578A (ja) 集塵セル及びこれを用いたエアクリーナ
KR200193584Y1 (ko) 전기 집진기
KR200419305Y1 (ko)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유니트
JP3178634U (ja) 空気清浄機
JP2010203683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331012B1 (ko) 전기 집진기
WO2017177746A1 (zh) 一种离子化集尘装置
KR102190081B1 (ko)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5791B1 (ko) 집진기 시스템
KR101619240B1 (ko)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셀 구조체 및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전극의 제조 방법
KR20200107307A (ko)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