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645A - 휴대용 프린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645A
KR20170070645A KR1020150178432A KR20150178432A KR20170070645A KR 20170070645 A KR20170070645 A KR 20170070645A KR 1020150178432 A KR1020150178432 A KR 1020150178432A KR 20150178432 A KR20150178432 A KR 20150178432A KR 20170070645 A KR20170070645 A KR 20170070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ase
rib
she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0645A/ko
Publication of KR20170070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2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ards, envelopes, or the like, e.g. credit cards, cut visiting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Landscapes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린터는, 휴대용 프린터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제1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와, 제2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며, 적재부에 안착되는 용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적재부에 안착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고, 가압부는, 제1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적재부에 안착되는 용지를 가압하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 중 제1 리브가 용지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관통부가 형성된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적재부 내의 용지의 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프린터{Portable Printer}
본 발명은 휴대용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부 내의 용지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소형화된 카메라가 이동 단말기를 비롯한 각종 휴대 기기에 장착되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촬영한 사진을 어디서든 바로 출력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 가능한 인쇄 방식을 채용하는 휴대 가능한 프린터가 개발되었다.
이 중 하나인 염료 승화 방식은 인쇄 헤드에 열을 가해 열전사용 잉크리본을 녹인 후 이를 전사하여 용지에 소정 형상을 인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염료 승화 방식은 휴대용 프린터 내에 잉크 리본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 및 이를 구동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열에 반응하여 소정의 색상을 발현하는 특수한 용지인 감열지를 이용하는 방식인 감열 방식은 감열지에 이미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가 적층되어 있는 관계로 잉크 리본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술한 열전사 프린터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감열 방식을 채용한 휴대용 프린터는 소형화를 위해 적재부, 이송부 및 화상 형성부가 급지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한편, 전술한 구조의 휴대용 프린터에서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는 일반적으로 규격화된 사이즈의 용지만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때, 용지에 변형이 생긴 상태 또는 용지가 휘어진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 용지가 급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부 내의 용지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린터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제1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와, 제2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며, 적재부에 안착되는 용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적재부에 안착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고, 가압부는, 제1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적재부에 안착되는 용지를 가압하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 중 제1 리브가 용지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관통부가 형성된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프린터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제1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와, 제2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며, 적재부에 안착되는 용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적재부에 안착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고, 가압부는, 제1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적재부에 안착되는 용지를 가압하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 중 제1 리브가 용지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관통부가 형성된 가압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적재부 내의 용지의 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리브가 가압 부재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 용지의 휨이 가장 큰, 중앙 부분을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압 부재의 양 측면에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제2 리브, 및 제3 리브에 의해, 용지의 측면에 대한 휨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리브의 높이가, 제2 리브 및 제3 리브의 높이 보다 크도록 설계함으로써, 휨이 가장 큰, 중앙 부분에 대한 휨 방지 효과가 더 커지게 된다.
제1 리브의 단부는, 라운드(round)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제1 리브로 인한, 찍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리브의 탄성력은, 용지의 탄성력 보다 더 크도록 함으로써, 제1 리브가 용지를 누를 때의 탄성력에 의해, 용지의 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린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프린터를 외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프린터의 용지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에 도시된 A-B선을 따라 절개한 경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프린터가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린터의 가압부의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b는, 도 6의 가압부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린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린터(100)는 통신부(110), 조작부(120), 출력부(130), 센싱부(140), 메모리(150), 전원부(160), 이송부(170), 화상 형성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휴대용 프린터(100)를 외부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는 물론 데스크탑과 같이 고정형 전자기기일 수 있는바, 휴대용 프린터(100)와 통신이 가능한 기기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예, 촬영한 사진 파일)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근거리통신 모듈(111) 및 유선 통신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111)은 외부 장치와의 비접촉식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통신 모듈(111)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 및 휴대용 프린터(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명령 내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12)은 외부 장치와의 접촉식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유선 통신 모듈(112)에는 메모리(150) 카드 포트, USB 포트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기기와 직접 연결되어 근거리통신 모듈(111)과 마찬가지로 화상 데이터를 비롯한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한다.
조작부(120)는 휴대용 프린터(100)의 동작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조작부(120)는 제1 조작 모듈(121) 및 제2 조작 모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작 모듈(121)은 휴대용 프린터(100)의 전원 온/오프 기능과 연동될 수 있다. 제1 조작 모듈(121)은 슬라이드 스위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 등의 물리적 방식으로 휴대용 프린터(100)의 전원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조작 모듈(121)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휴대용 프린터(100)의 전원을 켜거나, 우측으로 이동 시켜 전원을 끌 수 있다. 제2 조작 모듈(122)은 리셋 버튼일 수 있다.
메모리(150)는 휴대용 프린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휴대용 프린터(100)에서 구동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화상 인쇄와 관련된 여러 동작의 수행을 위한 데이터들 및 명령어들과 함께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출고 당시부터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50)는,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나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50)에 저장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의하여 휴대용 프린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용 프린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140)는 용지 검출 센서(141), 온도 센서(142), 개폐 센서(143), 수평 센서(144), 마크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용지 검출 센서(141)는 용지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어, 이송 경로 내에 용지의 유무를 감지한다. 일 예로, 용지 검출 센서(141)는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165)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용지에 의해 가려짐에 따라 달라지는 조도값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지 판단하여 용지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용지 검출 센서(141)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발광부를 통해 방출되는 빛이 반사되어 수광부로 되돌아오는 거리 또는 시간에 따라 적재부에 용지가 안착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90)는 용지 검출 센서(141)를 통해 용지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 출력부(130)를 통해 용지없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온도 센서(142)는 배터리 또는 모터가 정상 범위 내의 온도에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온도 센서(142)는 배터리 또는 모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온도(즉, 저온 또는 과열)에서 작동 중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90)에 전달하고, 제어부(190)는 출력부(130)를 통해 온도 센서(14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수평 센서(144)는 휴대용 프린터(100)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적으로 놓여진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 센서(144)는 중력 방향과 휴대용 프린터(100) 본체가 이루는 각도를 감지하고, 제어부(190)는 수평 센서(144)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프린터(100)의 본체가 지면에 수평적으로 안착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의 판단 결과 휴대용 프린터(100)가 지면에 수평적으로 안착된 상태된 상태가 아닌 경우, 출력부(130)를 통해 소정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프린터(100)의 기울기 내지는 자세를 변경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개폐 센서(143)는 후술할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 간의 체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개폐 센서(143)를 통해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면, 화상 형성부(18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마크 인식 센서(미도시)는 용지에 표시된 마크를 판독하여 용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용지의 하면에는 용지의 특징과 관련된 정보가 바코드 형식으로 표시된 상태일 수 있으며, 마크 인식 센서는 용지의 바코드 정보를 급지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읽어들이고, 제어부(190)는 마크 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된 바코드 정보에 따라 화상 형성부(180)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용지에 맞는 최적의 화질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휴대용 프린터(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130)는 발광 모듈(131), 디스플레이 모듈(132), 햅틱 모듈(133), 음향 모듈(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131)은 휴대용 프린터(100)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로 점멸하거나 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광 모듈(131)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휴대용 프린터(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인쇄 진행률, 고장 정보, 배터리 잔량, 배터리 정보, 형성할 화상의 미리보기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휴대용 프린터(100) 본체의 일 축을 따라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음향 모듈(134)은 휴대용 프린터(100)의 상태(예, 충전 완료, 용지 걸림, 용지 없음, 인쇄 완료 등)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진동 모듈(212)은 미리 정해진 조건 또는 입력에 따라 소정의 세기나 패턴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 모듈(212)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나 패턴은 휴대용 프린터(100)의 각 상태마다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진동 모듈(212)은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제1 세기로 한번 진동하고,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따른 인쇄가 종료되면 제2 세기로 두번 진동할 수 있다.
전원부(16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한다.
전원부(16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른 배터리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60)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충전 포트(161)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포트는 마이크로 USB 방식의 포트일 있다. 충전 포트는 전원 공급 외에 유선 케이블과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이송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171)와 픽업 롤러(172)를 포함할 수 있다.
픽업 롤러(172)는 모터(171)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통해 정방향(용지를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
모터(171)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구동 또는 정지하거나, 구동력을 달리하여 픽업 롤러(172)의 회전 속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80)는 이송부(170)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부(180)는 복수개의 발열 저항체를 통해 전원부(16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러한 열 에너지를 용지에 인가ㅎ할 수 있다..
용지는 이송부(170)를 통해 급지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화상 형성부(180)로부터 인가되는 열의 크기와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발현함으로써, 전단부터 후단까지의 화상이 차례대로 형성된다.
제어부(190)는 휴대용 프린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용지에 제대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부(180)에서 처리 가능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인쇄 데이터에 따라 써멀 헤드(181)의 각 발열 저항체에 적당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휴대용 프린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프린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린터(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는 휴대용 프린터(100)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각종 구성요소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는 케이스의 외면을 통해 바깥으로 일부분이 노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1A) 및 제2 케이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 및 제2 케이스(101B)는 휴대용 프린터(100)의 가장 외측에 마련되어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함과 아울러 완충 역할을 한다.
제1 케이스(101A)는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구성 요소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킨다. 제2 케이스(101B)는 제1 케이스(101A)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케이스(101B)의 일단은 제1 케이스(101A)의 일단과 힌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101B)의 타단은 제1 케이스(101A)의 타단과 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들 전부 또는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101A)의 내부 공간에는 적재부(165), 이송부(170), 가이드부(210) 및 화상 형성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적재부(165), 이송부(170) 및 화상 형성부(180)가 하나의 열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므로, 휴대용 프린터(100)의 전체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적재부(165)에는 용지가 안착된다. 용지의 크기는 소정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적재부(165)는 유격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정해진 용지 크기보다 소정 값만큼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적재부(165)는 제1 케이스(101A)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를 통해 복수 장의 용지의 좌측단, 우측단 및 후단이 지지되어, 적재부(165)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단차의 높이는 한번에 안착할 수 있는 용지의 매수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송부(170)는 급지 방향을 따라 적재부(165)의 전단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송부(170)는, 모터(171), 픽업 롤러(172), 기어 어셈블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를, 급지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210)를 거쳐 화상 형성부(180)까지 이송할 수 있다.
픽업 롤러(172)는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를 급지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적재부(165)의 전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적재부(165)의 길이는 용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는 전단 일부분이 폭 방향을 따라 픽업 롤러(172) 외주면에 접함과 동시에 픽업 롤러(17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모터(171)가 구동되면, 모터(171)의 구동력이 픽업 롤러(172)로 전달되고,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의해 픽업 롤러(172) 외주면에 접한 용지가 급지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기어 어셈블리는 모터(171)와 픽업 롤러(172) 사이에 개재되어, 모터(171)의 구동력을 픽업 롤러(172)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픽업 롤러(172)가 모터(171)의 구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기어 어셈블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이송 경로의 상면 중 픽업 롤러(172)의 회전축과 대략 나란한 위치에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180)와 인접한 위치에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에서의 용지 검출 여부에 따라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개시 여부를 결정하고,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서의 용지 검출 여부에 따라 이송 경로에서의 용지 걸림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01B)의 내면, 즉, 제1 케이스(101A)의 상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가압부(200)가 장착될 수 있다.
가압부(200)는,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가 평평하게 유지되도록,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200)는, 제2 케이스(101B)의 내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리브(), 가압 부재(201) 및 탄성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부재의 후단은 제2 케이스(101B) 후단 일측에 힌지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202)는 가압 부재(201)의 전단 일측과 제2 케이스(101B) 사이에 개재되어, 가압 부재(20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02)는 예컨대,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가압부(200)는 탄성부재(202)가 제2 케이스(101B)의 하단과 가압 부재(201) 사이에서 변형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03)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가압 부재(201)와 제2 케이스(101B)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203)는 탄성부재(202)가 일정 범위를 넘어서 연장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이송부(170)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의 전단을 화상 형성부(180)로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10)의 단부는 이송부(17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며, 이송부(170)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는 가이드부(210)와 이송부(170)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화상 형성부(180)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린터(100)에서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는,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를 포함하는 염료계 컬러 잉크를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한 감열지일 수 있다. 이러한 용지에는 열용융성 보호부재가 컬러 잉크 층과 함께 적층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80)는 용지에 적층된 잉크층이 반응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용지에 열을 인가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화상 형성부(180)는 써멀 헤드(181), 발열 부재 및 플래튼 롤러(18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 부재는(18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방열체(183A, 183B, 183C, 183D)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 방열체(183A)는 써멀 헤드(181)의 상면에 직접 또는 절열체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방열체(183A)의 상면 일부는 브라켓(184)에 의해 제1 케이스(101B)에 고정되며, 제1 방열체(183A)의 상면 중 브라켓(184)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부분의 상부에는 제2 방열체(183B) 및 제3 방열체(183C)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84)은 제1 방열체(183A)를 고정함과 아울러 용지에 대한 써멀 헤드(181)의 가압 강도를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방열체(183B) 및 제3 방열체(183C)는 실리콘 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속 등의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방열체(183A)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방열체(183C)의 상부에는 제4 방열체(183D)가 배치될 수 있는데, 제4 방열체(183D)는 제1 내지 3 방열체(183A, 183B, 183C)를 거쳐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확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4 방열체(183D)는 제1 내지 3 방열체(183A, 183B, 183C)에 비하여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내지 제4 방열체(183A, 183B, 183C, 183D)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이 중 일부를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방열체(183B) 및 제3 방열체(183C)는 일체로 제작되거나, 제2 방열체(183B) 또는 제3 방열체(183C) 중 어느 하나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화상 형성부(180)에 대한 더욱 상세한 구조는 이하 도 4 등을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케이스(101A) 또는 제2 케이스(101B)에는 배출구(H)가 형성될 수 있다. 용지는 화상 형성부(180)에 의한 인쇄(즉, 화상 형성)가 가장 먼저 완료되는 전단부터 배출구(H)를 거쳐 케이스 바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프린터(100)를 외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후단이 결합된 상태(즉, 커버가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의 (b)는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후단이 분리된 상태(즉, 커버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101B)는 휴대용 프린터(100)의 커버로 기능할 수 있으며, 커버 고정 상태에서 용지의 이탈 내지 이물질(예, 먼지, 수분 등)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일단이 상호 힌지 결합한 상태인 경우,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타단에는 암수 형태로 맞물리는 고정 고리(102)와 고정 홈(103)이 각각 하나 이상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01A)의 외측에는 고정 고리(102)와 연결된 고정 해제 버튼(104)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해제 버튼(104)이 가압되면 고정 고리(102)와 고정 홈(103)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어, 제2 케이스(101B)의 타단이 제1 케이스(101A)의 타단으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된다.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적재부(165)에 용지를 투입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1 케이스(101A)에 고정 고리(102) 및 고정 해제 버튼(104)이 형성되고, 제2 케이스(101B)에 고정 홈(103)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제1 케이스(101A)에 고정 홈(103)에 형성되고, 제2 케이스(101B)에 고정 고리(102)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에는 각각 수용홈(105)과 삽입돌기(106)가 형성되고, 수용홈(105)의 내측에는 개폐 센서(14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의 타단이 제2 케이스(101B)의 타단과 결합하면, 제2 케이스(101B)에 형성된 삽입돌기(106)가 제1 케이스(101A)에 형성되 수용홈(105)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돌기(106)가 수용홈(105)에 삽입됨에 따라 수용홈(105) 내측에 구비된 개폐 센서(143)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개폐 센서(143)는 제1 케이스(101A)가 현재 제2 케이스(101B)에 닫힌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131)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모듈(131)이 제1 케이스(101A)의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케이스(101B)에는 제1 케이스(101A)의 발광 모듈(131)에 대향하는 위치에 투과홀(10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케이스(101A)에 대한 제2 케이스(101B)의 개폐 여부에 무관하게, 제1 케이스(101A)의 발광 모듈(131)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제2 케이스(101B)의 투과홀(107)을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1 발광 모듈(131A)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화상 인쇄 중인 경우 빛을 방출하고, 화상 인쇄가 종료되면 빛의 방출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제1 발광 모듈(131A)은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가 시작된 시점부터 배출구(H)를 통해 해당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가 종료된 용지가 배출될 때까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발광 모듈(131B)은 전원부(160)와 연동하여, 전원부(160)의 배터리 잔량 또는 배터리 온도에 따라 깜빡이거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발광 모듈(131B)은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색상의 빛을 방출하고, 배터리 온도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과열 상태에서 제1 색상과는 다른 제2 색상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제3 발광 모듈(131C)은 인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소정 횟수 깜빡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각 발광 모듈은 휴대용 프린터의 상태 또는 인쇄 과정에 관한 정보를 빛을 통해 그 밖의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전술한 발광 모듈(131)은 LED, LC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빛의 점멸 또는 빛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케이스(101A)의 일측에는 제1 조작 모듈(121), 제2 조작 모듈(122) 및 전원 포트(161)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조작 모듈(121)을 조작하여, 휴대용 프린터(100)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으며, 제2 조작 모듈(122)을 조작하여, 휴대용 프린터(100)를 리셋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포트(161)는 USB 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프린터(100)의 용지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에 도시된 A-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재부(165)의 상면에 복수개의 용지들이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재부(165)는 용지가 안착되는 상면과, 상면에 안착된 용지의 좌측, 우측 및 후단을 지지하는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적재부(165)의 길이는 용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 전단의 일부 영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70)에 구비되는 픽업 롤러(172)의 외주면과 접하게 된다.
즉, 픽업 롤러(172)는 인쇄가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적재부(165)의 기능을 일부 담당할 수도 있다.
제2 케이스(101B)의 후단이 제1 케이스(101A)의 후단에 체결되는 경우(즉, 커버 닫힘 상태), 가압 부재(201)의 전단은 급지 방향에 직교하는 라인 상에서 픽업 롤러(172)을 일측을 향하게 되며, 탄성부재(202)의 탄성력을 통해 픽업 롤러(172) 외주면의 일 영역을 픽업 롤러(172)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부재(201)와 픽업 롤러(172) 사이에 위치하는 용지는 탄성부재(202)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적재부(165)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용 프린터(100)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경우에도 용지는 가압부(200)의 가압력에 의해 적재부(165)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픽업 롤러(172)가 회전하면, 적재부(165)의 상면에 상하로 안착된 복수개의 용지 중 픽업 롤러(172)에 직접적으로 접한 용지(P1)는 픽업 롤러(172)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부(210)의 안내를 따라 화상 형성부(180)로 이송된다.
화상 형성부(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의 급지 경로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써멀 헤드(181)와 하부에 배치되는 플래튼 롤러(1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b)와 같이 가이드부(210)를 거쳐 화상 형성부(180)로 이송된 용지(P1)는 써멀 헤드(181)와 플래튼 롤러(182) 사이에 개재되며, 급지 방향을 따라 써멀 헤드(181)에서 방출하는 열을 인가받으면서 화상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써멀 헤드(181)는 가이드부(210)를 거쳐 이송된 용지(P1)에 열을 가하고, 열이 가해진 부분을 변색시켜 용지(P1)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써멀 헤드(181)는 기판 상에 발열 저항체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발열 저항체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발열 저항체는 급지 방향에 직교하는 라인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각 발열 저항체에는 기판에 형성된 전극이 연결되며, 제어부(190)는 각 발열 저항체를 통해 용지에 형성하고자 하는 색상에 따라 각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발명 저항체가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90)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발열 저항체를 통해 발생시킬 열을 산출하며, 산출된 열에 대응하는 전력을 각 발열 저항체로 전달하도록 전원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방열 부재(183)는 써멀 헤드(18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구성인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방열 부재(183)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래튼 롤러(182)는 써멀 헤드(181)의 하부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플래튼 롤러(182)와 발열 저항체는 급지 방향에 직교하는 라인을 따라 서로 상하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래튼 롤러(182)는 용지의 하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용지를 써멀 헤드(181)를 향하여 상부로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써멀 헤드(181)와 플래픈 픽업 롤러(172) 사이에 개재된 용지에 써멀 헤드(181)의 발열 저항체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인가될 수 있다.
이때, 플래튼 롤러(182)는 소정 속도로 회전하여, 인쇄가 완료된 용지(P1)를 배출구(H)를 통하여 휴대용 프린터(10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플래튼 롤러(182)의 회전은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한 것이거나,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용지와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때, 플래튼 롤러(182)의 회전 속도는, 써멀 헤드(181)에 의한 용지의 인쇄 속도에 대응되는 속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프린터(100)가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써멀 헤드(18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발열 저항체(S) 각각에 대한 발열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소정의 해상도를 가지는 화상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m행 및 n열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써멀 헤드(181)에 n개의 발열 저항체(S)가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할 때, 인쇄 데이터는 b행(m≥b≥1)에 대한 인쇄 중에 a열(n≥a≥1)에 대응하는 a번째 발열 저항체(S)를 어느 정도로 발열시킬지에 대한 정보, 즉 각 발열 저항체(S)의 발열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써멀 헤드(181)로부터 급지 방향의 반대편의 소정 거리의 아래에는 픽업 롤러(172)가 배치되어 용지를 이송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픽업 롤러(172)와 근접한 위치에 제1 용지 검출 센서(141)가 배치되어, 급지 경로 상의 용지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어부(190)는 b행(m≥b≥1)의 제1 내지 n열에 대한 화상 형성이 완료되면, 모터를 통해 플래튼 롤러(182)를 인쇄 데이터의 단일 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회전시켜, 써멀 헤드(181)가 인쇄 데이터의 다음 행(즉, b+1행)에 대응하는 부분의 화상을 용지에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1행부터 m행까지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용지에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인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동일한 화상 데이터라고 하더라도 급지 속도(또는 인쇄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P1)가, 온도 및 습도에 대한 환경적인 영향을 받아 횡 또는 종 방향으로 휨이 발생될 수 있다.
용지(P1)는 여러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펄프, 아크릴, PAV, 셀룰로이드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환경과 제작 방식에 따라 변형은 존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용지의 롤링 방향이나 제단 방향에 따라 휨의 방향과 변형량이 달라지게 된다.
용지(P1)에 휨이 발생되는 경우, 휨의 정도에 따라, 용지 이송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지(P1)의 휨 발생에 따라, 용지가 이송되지 못하는 경우는, 급지 부재의 마찰력이 낮거나, 가압 부재의 가압력이 낮은 경우, 또는 용지가 다른 부재에 부딪혀 슬립이 발생되어 급지가 되지 않는 경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송부(170) 내의 롤러(172)의 마찰력을 높이거나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높일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다른 문제를 유발 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용지의 휨은, 가압 부재(201)를 밀어 올리는 반발력으로 작동하게 되어 실제 가압력이 낮게 측정될 수 있다. 한편, 가압력이 낮으면 용지(P1)와 롤러(172)의 마찰력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어 용지가 급지 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용지의 변형을 억제하고 변형이 발생된 용지는 원래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최대한 변형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탄성 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201)와 달리, 고정 가이드를 사용한다. 고정 가이드는, 제1 케이스(101A)의 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201a,210b,210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상, 용지의 변형은 용지의 중앙에서 최고 만곡점을 만들어 변형된다. 이에 따라, 용지의 중앙부 영역에 고정 가이드를 구성한다.
한편, 용지의 변형이 반대 방향으로 변형될 경우, 양 모서리가 만곡점을 이루므로 양 모서리의 근접 부위에도 고정 가이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과 양 모서리에 각 한 개씩의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 종 방향 휨, 또는 횡 방향 휨 방지를 위해, 다양한 위치에 추가가 가능하다.
한편, 고정 가이드는, 가압에 의해 이동가능한 가압 부재와 달리, 상호 연관 없이 간섭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가압 부재(201)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체 용지의 두께가 T 일 때, 용지 간의 사이 간극과, 용지 두께의 편차, 용지 이송에 관계 없을 정도의 미세한 휨을 감안하면, 용지 적재 두께는 T + 0.5mm 정도의 여유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지 두께 T >= 용지 적재 공간 경우, 용지를 강제로 누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눌림 부위에 용지에 눌림 자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용지 두께 T < 용지 적재 공간 경우, 용지 이송이 원활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에 따른 본 발명의 휴대용 프린터의 가압부에 대해서,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린터의 가압부의 평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1b는, 도 6의 가압부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서로 대향하는 제1 케이스(101A) 및 제2 케이스(101B) 사이에, 용지(P1)가 안착되는 적재부(165)와,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P1)를 가압하는 가압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적재부(165)가, 제1 케이스(101A)의 내부에 형성되며, 가압부(200)가, 제2 케이스(101B)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00)는, 제1 케이스(101A)의 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209a,209b,209c)와,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P1)를 가압하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209a,209b,209c) 중 제1 리브(209a)가 용지(P1)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관통부(209a)가 형성된 가압 부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하나의 리브(209a,209b,209c)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용지(P1)에 휨이 발생하더라도 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209a,209b,209c)는, 가압 부재(201)의 양 측면에 대응하는 영역, 특히 홈(201b,201c)에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제2 리브(209b), 및 제3 리브(209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리브(209a)는, 제2 리브(209b) 및 제3 리브(209c)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면과 같이, 제1 리브(209a)가 가압 부재(201)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 용지의 휨이 가장 큰, 중앙 부분을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압 부재(201)의 양 측면에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제2 리브(209b), 및 제3 리브(209c)에 의해, 용지(P1)의 측면에 대한 휨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압부(200)는, 가압 부재(201)와 제2 케이스(101B) 사이에 형성되며, 가압 부재(20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압 부재(201)의 일단은, 제2 케이스(101B)의 일측에 힌지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가압부 등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적재부(165)에 용지(P1)이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6과 같이, 가압 부재(201)와, 제2 케이스(101B)의 일면에 부착되는 리브(209c)를 예시한다. 도면 표시 상, 리브(209c)만이 도시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3개의 리브(209a,209b,209c)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리브(209a)와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P1) 사이의 간격(h1)은, 용지(P1)의 두께(h2)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리브(209a)와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P1) 사이의 간격(h1)이 용지(P1)의 두께(h2) 보다 작아야, 용지 이송시, 최상부에 위치하는 용지가, 이송부(170)에 의해 원활히 이송되기 때문이다.
도 8은, 제2 케이스(101B)가 일부 개방되며, 가압 부재(201)에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6과 같은, 고정 가이드인, 3개의 리브(209a,209b,209c)가 가압 부재 보다, 돌출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도 9는, 제2 케이스(101B)가 일부 개방되며, 가압 부재(201)에 가압력이 가해진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가압 부재(201)가, 제2 케이스(101B) 방향으로 이동하며, 결국, 고정 가이드인, 3개의 리브(209a,209b,209c)가 가압 부재 보다, 돌출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고정 가이드인, 3개의 리브(209a,209b,209c)가, 휘어진 용지(P1)가 펴지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다음, 도 10은, 제2 케이스(101B)가 일부 개방되며, 설명 편의를 위해, 가압 부재(201)가, 제거된 것을 예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지(P1)의 휨은, 측면 보다, 중앙 영역이 더 크므로, 도면과 같이, 제1 리브(209a)의 높이(ha)가, 제2 리브(209b)의 높이(hb) 및 제3 리브(209c)의 높이(hc) 보다 크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휨이 가장 큰, 중앙 부분에 대한 휨 방지 효과가 더 커지게 된다.
한편, 용지의 휨에 따라, 3개의 리브 중, 가장 큰 힘을 받게 되는, 제1 리브(209a)의 단부는, 라운드(round)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지에, 제1 리브(209a)에 의한, 찍힘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리브(209a)의 단부 외에도, 제2 리브(209b)의 단부, 및 제3 리브(209c)의 단부에도, 라운드(roun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와 유사한 원리로, 제1 리브(209a)의 탄성력이, 용지의 탄성력 보다 더 크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리브(209a)가 용지를 누를 때의 탄성력에 의해, 용지의 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1a는 용지(P1)에 휨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의 용지 이송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지(P1)에 휨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가압 부재(201)는 용지(P1)에 압력을 가하며,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의해, 용지(P1)가, 가이드부(210) 방향으로 이송된다.
다음, 도 11b는 용지(P1)에 휨이 발생한 경우의 용지 이송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지(P1)에 휨이 발생한 경우, 가압 부재(201)는 탄성력에 의해, 제2 케이스(101B)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 케이스(101B)의 내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209a)가, 관통부(201) 사이를 관통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제2 케이스(101B)의 내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209a)가, 용지(P1)의 중앙 부분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지(P1)의 중앙 부분이 펴지면서,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의해, 용지(P1)가, 가이드부(210)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원하는 화상을 프린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1)

  1.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부에 안착되는 용지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적재부에 안착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
    상기 적재부에 안착되는 용지를 가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 중 제1 리브가 상기 용지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관통부가 형성된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가압 부재의 양 측면에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제2 리브, 및 제3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2 리브 및 제3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의 높이는, 상기 제2 리브 및 제3 리브의 높이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린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적재부에 안착되는 용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용지의 두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의 단부는, 라운드(round)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린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의 탄성력은, 상기 용지의 탄성력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린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린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일측에 힌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린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적재부에 안착된 용지를 이송하는 픽업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린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이송부의 회전에 의해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용지에 열을 인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린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급지 방향에 직교하는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개의 발열 저항체가 구비되는 써멀 헤드; 및
    상기 용지를 상기 써멀 헤드를 향하여 가압하는 플래튼 롤러;를 포함하는 휴대용 프린터.
KR1020150178432A 2015-12-14 2015-12-14 휴대용 프린터 KR20170070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432A KR20170070645A (ko) 2015-12-14 2015-12-14 휴대용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432A KR20170070645A (ko) 2015-12-14 2015-12-14 휴대용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645A true KR20170070645A (ko) 2017-06-22

Family

ID=5928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432A KR20170070645A (ko) 2015-12-14 2015-12-14 휴대용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06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087A1 (ko) * 2017-09-08 2019-03-14 스케치온 주식회사 스킨 프린터
US10807816B2 (en) 2017-12-22 2020-10-20 Fujitsu Component Limited Sheet cassette
KR20200145129A (ko) *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 와이엠케이 디스플레이용 필름 이송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087A1 (ko) * 2017-09-08 2019-03-14 스케치온 주식회사 스킨 프린터
CN111033553A (zh) * 2017-09-08 2020-04-17 普瑞客韩国有限公司 皮肤打印机
US10807816B2 (en) 2017-12-22 2020-10-20 Fujitsu Component Limited Sheet cassette
KR20200145129A (ko) *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 와이엠케이 디스플레이용 필름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3816B2 (en) Mobile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70070645A (ko) 휴대용 프린터
JP2008143179A (ja) ソリッドインク給送システムおよびプリンタ
CN108388091B (zh) 图像处理装置
KR20160104297A (ko) 포토 프린터
US8643688B1 (en) Printing device
US9227449B2 (en) Stamp face forming apparatus, stamp face form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60097927A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US10987956B2 (en) Tray, adapter, and printing apparatus
JP2014197257A (ja) プリントシステム、これを構成するプリンタ、その動作設定プログラム及び動作設定方法
KR20160097928A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US8730536B2 (en) Scanning apparatus with a sheet size delecting mechanism
KR20160097930A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7929A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US10882331B2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ling energy to be supplied to thermal head
JP2017098717A (ja) 画像読取装置
KR20160104465A (ko) 열 반응 시트
US20040252141A1 (en) Inkjet multi-function machine
JP2009292123A (ja) プリンタ
US20120038728A1 (en) Printing device with marking function
KR20190077768A (ko) 프린터 급지장치
JP6365023B2 (ja) シート収容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8176481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23474A (ja) プリンタおよび媒体搬送装置
US8876265B2 (en) Ink stick transpor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