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930A -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930A
KR20160097930A KR1020150020424A KR20150020424A KR20160097930A KR 20160097930 A KR20160097930 A KR 20160097930A KR 1020150020424 A KR1020150020424 A KR 1020150020424A KR 20150020424 A KR20150020424 A KR 20150020424A KR 20160097930 A KR20160097930 A KR 20160097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per
case
sheet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0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7930A/ko
Publication of KR2016009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18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sheet in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27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printing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36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out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5/00Overturn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3Inve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지를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픽업 롤러,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픽업 롤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 상기 픽업 롤러로부터 상기 급지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는 써멀 헤드 및 상기 용지 중 상기 써멀 헤드를 통과한 부분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키는 반전 롤러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토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가능한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소형화된 카메라가 이동 단말기를 비롯한 각종 휴대 기기에 장착되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촬영한 사진을 어디서든 바로 출력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 가능한 인쇄 방식을 채용하는 휴대 가능한 프린터가 개발되었다.
이 중 하나인 염료 승화 방식은 인쇄 헤드에 열을 가해 열전사용 잉크리본을 녹인 후 이를 전사하여 용지에 소정 형상을 인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염료 승화 방식은 포토 프린터 내에 잉크 리본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 및 이를 구동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열에 반응하여 소정의 색상을 발현하는 특수한 용지인 감열지를 이용하는 방식인 감열 방식은 감열지에 이미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가 적층되어 있는 관계로 잉크 리본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술한 열전사 프린터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전술한 방식 등을 채용한 포토 프린터는 소형화를 위해 이송부와 화상 형성부가 급지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용지는 적재부에 안착된 후, 직선에 가까운 급지 경로를 따라 이송부와 화상 형성부를 거쳐게 된다.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되면서 소정의 화상 형성이 완료된 용지는, 배출구를 통해 케이스 바깥으로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용지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배출구는 먼지 등과 같은 외부의 이물질이 포토 프린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휴대 가능한 포토 프린터의 특성상, 사용자가 여러 장소에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하게 되므로, 더 많은 오염원에 노출되어 각종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며, 결국 잦은 고장과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까지 유발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오염원의 유입을 차단하여 휴대성을 향상할 수 있는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지를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픽업 롤러,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픽업 롤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 상기 픽업 롤러로부터 상기 급지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는 써멀 헤드 및 상기 용지 중 상기 써멀 헤드를 통과한 부분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키는 반전 롤러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따라 용지의 배출을 위해 형성되었던 배출구를 생략함으로써, 외부 오염원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화상 형성이 완료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대신, 케이스 내부 공간에 적재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경우에도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포토 프린터에서 활용되지 않았던 공간(예, 케이스 상면과 가압 플레이트 사이)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용지를 적재함으로써, 포토 프린터의 크기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용지의 하면에 화상을 형성하고 이를 반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케이스를 개방하지 않고도,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는 투명 부재를 통해 인쇄 과정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를 외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의 용지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에 도시된 A-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가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에서 용지의 매수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가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에서 용지가 이송되는 과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에서 용지가 이송되는 과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6 내지 10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의 커버를 통해 인쇄 결과를 확인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는 통신부(110), 조작부(120), 출력부(130), 센싱부(140), 메모리(150), 전원부(160), 이송부(170), 화상 형성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포토 프린터(100)를 외부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는 물론 데스크탑과 같이 고정형 전자기기일 수 있는바, 포토 프린터(100)와 통신이 가능한 기기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예, 촬영한 사진 파일)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근거리통신 모듈(111) 및 유선 통신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111)은 외부 장치와의 비접촉식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근거리통신 모듈(111)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 및 포토 프린터(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명령 내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12)은 외부 장치와의 접촉식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유선 통신 모듈(112)에는 메모리(150) 카드 포트, USB 포트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기기와 직접 연결되어 근거리통신 모듈(111)과 마찬가지로 화상 데이터를 비롯한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한다.
조작부(120)는 포토 프린터(100)의 동작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 모듈을 포함한다. 예컨대, 조작부(120)는 제1 조작 모듈(121) 및 제2 조작 모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작 모듈(121)은 포토 프린터(100)의 전원 온/오프 기능과 연동될 수 있다. 제1 조작 모듈(121)은 슬라이드 스위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 등의 물리적 방식으로 포토 프린터(100)의 전원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조작 모듈(121)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포토 프린터(100)의 전원을 켜거나, 우측으로 이동 시켜 전원을 끌 수 있다. 제2 조작 모듈(122)은 리셋 버튼일 수 있다.
메모리(150)는 포토 프린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50)는 포토 프린터(100)에서 구동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화상 인쇄와 관련된 여러 동작의 수행을 위한 데이터들 및 명령어들과 함께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출고 당시부터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나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50)에 저장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의하여 포토 프린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포토 프린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140)는 용지 검출 센서(141), 온도 센서(142), 개폐 센서(143), 수평 센서(144), 마크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용지 검출 센서(141)는 용지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어, 이송 경로 내에 용지의 유무를 감지한다. 일 예로, 용지 검출 센서(141)는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165)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용지에 의해 가려짐에 따라 달라지는 조도값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지 판단하여 용지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용지 검출 센서(141)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발광부를 통해 방출되는 빛이 반사되어 수광부로 되돌아오는 거리 또는 시간에 따라 적재부에 용지가 안착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90)는 용지 검출 센서(141)를 통해 용지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 출력부(130)를 통해 용지없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온도 센서(142)는 배터리 또는 모터가 정상 범위 내의 온도에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온도 센서(142)는 배터리 또는 모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온도(즉, 저온 또는 과열)에서 작동 중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90)에 전달하고, 제어부(190)는 출력부(130)를 통해 온도 센서(14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수평 센서(144)는 포토 프린터(100)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적으로 놓여진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수평 센서(144)는 중력 방향과 포토 프린터(100) 본체가 이루는 각도를 감지하고, 제어부(190)는 수평 센서(144)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포토 프린터(100)의 본체가 지면에 수평적으로 안착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의 판단 결과 포토 프린터(100)가 지면에 수평적으로 안착된 상태된 상태가 아닌 경우, 출력부(130)를 통해 소정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포토 프린터(100)의 기울기 내지는 자세를 변경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개폐 센서(143)는 후술할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 간의 체결 여부를 감지한다. 제어부(190)는 개폐 센서(143)를 통해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면, 화상 형성부(18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마크 인식 센서(미도시)는 용지에 표시된 마크를 판독하여 용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한다. 예컨대, 용지의 하면에는 용지의 특징과 관련된 정보가 바코드 형식으로 표시된 상태일 수 있으며, 마크 인식 센서는 용지의 바코드 정보를 급지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읽어들이고, 제어부(190)는 마크 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된 바코드 정보에 따라 화상 형성부(180)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용지에 맞는 최적의 화질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포토 프린터(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130)는 발광 모듈(131), 디스플레이 모듈(132), 햅틱 모듈(133), 음향 모듈(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131)은 포토 프린터(100)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로 점멸하거나 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광 모듈(131)은 포토 프린터(100) 본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포토 프린터(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인쇄 진행률, 고장 정보, 배터리 잔량, 배터리 정보, 형성할 화상의 미리보기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포토 프린터(100) 본체의 일 측을 따라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음향 모듈(134)은 포토 프린터(100)의 상태(예, 충전 완료, 용지 걸림, 용지 없음, 인쇄 완료 등)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햅틱 모듈(133)은 미리 정해진 조건 또는 입력에 따라 소정의 세기나 패턴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 모듈(212)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나 패턴은 포토 프린터(100)의 각 상태마다 다를 수 있다. 예컨대, 햅틱 모듈(133)은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제1 세기로 길게 한번 진동하고,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따른 인쇄가 종료되면 제2 세기로 짧게 두번 진동할 수 있다.
전원부(16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6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른 배터리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60)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충전 포트(161)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포트는 마이크로 USB 방식의 포트일 있다. 충전 포트는 전원 공급 외에 유선 케이블과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이송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171)와 픽업 롤러(172)를 포함한다. 픽업 롤러(172)는 모터(171)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통해 정방향(용지를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한다. 모터(171)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구동 또는 정지하거나, 구동력을 달리하여 픽업 롤러(172)의 회전 속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80)는 이송부(170)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부(180)는 복수개의 발열 저항체를 통해 전원부(16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러한 열 에너지를 용지에 인가한다. 용지는 이송부(170)를 통해 급지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화상 형성부(180)로부터 인가되는 열의 크기와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발현함으로써, 전단부터 후단까지의 화상이 차례대로 형성된다.
제어부(190)는 포토 프린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용지에 제대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부(180)에서 처리 가능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190)는 인쇄 데이터에 따라 써멀 헤드(181)의 각 발열 저항체에 적당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포토 프린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포토 프린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는 포토 프린터(100)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각종 구성요소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는 케이스의 외면을 통해 바깥으로 일부분이 노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1A) 및 제2 케이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 및 제2 케이스(101B)는 포토 프린터(100)의 가장 외측에 마련되어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함과 아울러 완충 역할을 한다.
제1 케이스(101A)는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구성 요소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킨다. 제2 케이스(101B)는 제1 케이스(101A)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케이스(101B)의 일단은 제1 케이스(101A)의 일단과 힌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101B)의 타단은 제1 케이스(101A)의 타단과 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들 전부 또는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101A)의 내부 공간에는 적재부(165), 이송부(170), 가이드부(210) 및 화상 형성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적재부(165), 이송부(170) 및 화상 형성부(180)가 하나의 열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므로, 포토 프린터(100)의 전체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적재부(165)에는 용지가 안착된다. 용지의 크기는 소정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적재부(165)는 유격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정해진 용지 크기보다 소정 값만큼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적재부(165)는 제1 케이스(101A)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를 통해 복수 장의 용지의 좌측단, 우측단 및 후단이 지지되어, 적재부(165)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단차의 높이는 한번에 안착할 수 있는 용지의 매수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송부(170)는 급지 방향을 따라 적재부(165)의 전단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170)는 모터(171), 픽업 롤러(172), 기어 어셈블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를 급지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210)를 거쳐 화상 형성부(180)까지 이송할 수 있다. 픽업 롤러(172)는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를 급지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적재부(165)의 전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적재부(165)의 길이는 용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는 전단 일부분이 폭 방향을 따라 픽업 롤러(172) 외주면에 접함과 동시에 픽업 롤러(17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모터(171)가 구동되면, 모터(171)의 구동력이 픽업 롤러(172)로 전달되고,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의해 픽업 롤러(172) 외주면에 접한 용지가 급지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기어 어셈블리는 모터(171)와 픽업 롤러(172) 사이에 개재되어, 모터(171)의 구동력을 픽업 롤러(172)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한다. 한편, 픽업 롤러(172)가 모터(171)의 구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기어 어셈블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이송 경로의 상면 중 픽업 롤러(172)의 회전축과 대략 나란한 위치에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180)와 인접한 위치에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에서의 용지 검출 여부에 따라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개시 여부를 결정하고,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서의 용지 검출 여부에 따라 이송 경로에서의 용지 걸림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01B)의 하면, 즉, 제1 케이스(101A)의 상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가압부(200)가 장착될 수 있다. 가압부(200)는 가압 플레이트(201) 및 탄성 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플레이부의 후단은 제2 케이스(101B) 후단 일측에 힌지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202)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 일측과 제2 케이스(101B) 사이에 개재되어, 가압 플레이트(20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202)는 예컨대,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가압부(200)는 탄성 부재(202)가 제2 케이스(101B)의 하단과 가압 플레이트(201) 사이에서 변형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03)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가압 플레이트(201)와 제2 케이스(101B)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203)는 탄성 부재(202)가 일정 범위를 넘어서 연장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이송부(170)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의 전단을 화상 형성부(180)로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10)의 단부는 이송부(17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며, 이송부(170)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는 가이드부(210)와 이송부(170)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화상 형성부(180)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에서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는,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를 포함하는 염료계 컬러 잉크를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한 감열지일 수 있다. 이러한 용지에는 열용융성 보호부재가 컬러 잉크 층과 함께 적층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80)는 용지에 적층된 잉크층이 반응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용지에 열을 인가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화상 형성부(180)는 써멀 헤드(181), 발열 부재 및 플래튼 롤러(18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 부재는(18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방열체(183A, 183B, 183C, 183D)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 방열체(183A)는 써멀 헤드(181)의 상면에 직접 또는 절열체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방열체(183A)의 상면 일부는 브라켓(184)에 의해 제1 케이스(101B)에 고정되며, 제1 방열체(183A)의 상면 중 브라켓(184)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부분의 상부에는 제2 방열체(183B) 및 제3 방열체(183C)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84)은 제1 방열체(183A)를 고정함과 아울러 용지에 대한 써멀 헤드(181)의 가압 강도를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방열체(183B) 및 제3 방열체(183C)는 실리콘 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속 등의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방열체(183A)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방열체(183C)의 상부에는 제4 방열체(183D)가 배치될 수 있는데, 제4 방열체(183D)는 제1 내지 3 방열체(183A, 183B, 183C)를 거쳐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확산시킨다. 이를 위해, 제4 방열체(183D)는 제1 내지 3 방열체(183A, 183B, 183C)에 비하여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내지 제4 방열체(183A, 183B, 183C, 183D)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이 중 일부를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방열체(183B) 및 제3 방열체(183C)는 일체로 제작되거나, 제2 방열체(183B) 또는 제3 방열체(183C) 중 어느 하나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화상 형성부(180)에 대한 더욱 상세한 구조는 이하 도 4 등을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케이스(101A) 또는 제2 케이스(101B)에는 배출구(H)가 형성될 수 있다. 용지는 화상 형성부(180)에 의한 인쇄(즉, 화상 형성)가 가장 먼저 완료되는 전단부터 배출구(H)를 거쳐 케이스 바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100)를 외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후단이 결합된 상태(즉, 커버가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의 (b)는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후단이 분리된 상태(즉, 커버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101B)는 포토 프린터(100)의 커버로 기능할 수 있으며, 커버 고정 상태에서 용지의 이탈 내지 이물질(예, 먼지, 수분 등)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일단이 상호 힌지 결합한 상태인 경우,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타단에는 암수 형태로 맞물리는 고정 고리(102)와 고정 홈(103)이 각각 하나 이상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01A)의 외측에는 고정 고리(102)와 연결된 고정 해제 버튼(104)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해제 버튼(104)이 가압되면 고정 고리(102)와 고정 홈(103)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어, 제2 케이스(101B)의 타단이 제1 케이스(101A)의 타단으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된다.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적재부(165)에 용지를 투입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1 케이스(101A)에 고정 고리(102) 및 고정 해제 버튼(104)이 형성되고, 제2 케이스(101B)에 고정 홈(103)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제1 케이스(101A)에 고정 홈(103)에 형성되고, 제2 케이스(101B)에 고정 고리(102)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에는 각각 수용홈(105)과 삽입돌기(106)가 형성되고, 수용홈(105)의 내측에는 개폐 센서(14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의 타단이 제2 케이스(101B)의 타단과 결합하면, 제2 케이스(101B)에 형성된 삽입돌기(106)가 제1 케이스(101A)에 형성되 수용홈(105)으로 삽입된다. 삽입돌기(106)가 수용홈(105)에 삽입됨에 따라 수용홈(105) 내측에 구비된 개폐 센서(143)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개폐 센서(143)는 제1 케이스(101A)가 현재 제2 케이스(101B)에 닫힌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131)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모듈(131)이 제1 케이스(101A)의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케이스(101B)에는 제1 케이스(101A)의 발광 모듈(131)에 대향하는 위치에 투과홀(10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케이스(101A)에 대한 제2 케이스(101B)의 개폐 여부에 무관하게, 제1 케이스(101A)의 발광 모듈(131)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제2 케이스(101B)의 투과홀(107)을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1 발광 모듈(131A)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화상 인쇄 중인 경우 빛을 방출하고, 화상 인쇄가 종료되면 빛의 방출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제1 발광 모듈(131A)은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가 시작된 시점부터 배출구(H)를 통해 해당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가 종료된 용지가 배출될 때까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발광 모듈(131B)은 전원부(160)와 연동하여, 전원부(160)의 배터리 잔량 또는 배터리 온도에 따라 깜빡이거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발광 모듈(131B)은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색상의 빛을 방출하고, 배터리 온도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과열 상태에서 제1 색상과는 다른 제2 색상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제3 발광 모듈(131C)은 인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소정 횟수 깜빡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각 발광 모듈은 포토 프린터의 상태 또는 인쇄 과정에 관한 정보를 빛을 통해 그 밖의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전술한 발광 모듈(131)은 LED, LC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빛의 점멸 또는 빛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케이스(101A)의 일측에는 제1 조작 모듈(121), 제2 조작 모듈(122) 및 전원 포트(161)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조작 모듈(121)을 조작하여, 포토 프린터(100)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으며, 제2 조작 모듈(122)을 조작하여, 포토 프린터(100)를 리셋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포트(161)는 USB 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100)의 용지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에 도시된 A-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재부(165)의 상면에 복수개의 용지들이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재부(165)는 용지가 안착되는 상면과, 상면에 안착된 용지의 좌측, 우측 및 후단을 지지하는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적재부(165)의 길이는 용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 전단의 일부 영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70)에 구비되는 픽업 롤러(172)의 외주면과 접하게 된다. 즉, 픽업 롤러(172)는 인쇄가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적재부(165)의 기능을 일부 담당할 수도 있다.
제2 케이스(101B)의 후단이 제1 케이스(101A)의 후단에 체결되는 경우(즉, 커버 닫힘 상태),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은 급지 방향에 직교하는 라인 상에서 픽업 롤러(172)을 일측을 향하게 되며, 탄성 부재(202)의 탄성력을 통해 픽업 롤러(172) 외주면의 일 영역을 픽업 롤러(172)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201)와 픽업 롤러(172) 사이에 위치하는 용지는 탄성 부재(202)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적재부(165)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포토 프린터(100)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경우에도 용지는 가압부(200)의 가압력에 의해 적재부(165)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픽업 롤러(172)가 회전하면, 적재부(165)의 상면에 상하로 안착된 복수개의 용지 중 픽업 롤러(172)에 직접적으로 접한 용지(P1)는 픽업 롤러(172)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부(210)의 안내를 따라 화상 형성부(180)로 이송된다.
화상 형성부(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의 급지 경로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써멀 헤드(181)와 하부에 배치되는 플래튼 롤러(182)를 포함한다. 도 4의 (b)와 같이 가이드부(210)를 거쳐 화상 형성부(180)로 이송된 용지(P1)는 써멀 헤드(181)와 플래튼 롤러(182) 사이에 개재되며, 급지 방향을 따라 써멀 헤드(181)에서 방출하는 열을 인가받으면서 화상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써멀 헤드(181)는 가이드부(210)를 거쳐 이송된 용지(P1)에 열을 가하고, 열이 가해진 부분을 변색시켜 용지(P1)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써멀 헤드(181)는 기판 상에 발열 저항체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발열 저항체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발열 저항체는 급지 방향에 직교하는 라인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각 발열 저항체에는 기판에 형성된 전극이 연결되며, 제어부(190)는 각 발열 저항체를 통해 용지에 형성하고자 하는 색상에 따라 각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발열 저항체가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90)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발열 저항체를 통해 발생시킬 열을 산출하며, 산출된 열에 대응하는 전력을 각 발열 저항체로 전달하도록 전원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방열 부재(183)는 써멀 헤드(18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구성인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방열 부재(183)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래튼 롤러(182)는 써멀 헤드(181)의 하부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플래튼 롤러(182)와 발열 저항체는 급지 방향에 직교하는 라인을 따라 서로 상하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래튼 롤러(182)는 용지의 하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용지를 써멀 헤드(181)를 향하여 상부로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써멀 헤드(181)와 플래픈 픽업 롤러(172) 사이에 개재된 용지에 써멀 헤드(181)의 발열 저항체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인가될 수 있다.
이때, 플래튼 롤러(182)는 소정 속도로 회전하여, 인쇄가 완료된 용지(P1)를 배출구(H)를 통하여 포토 프린터(10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플래튼 롤러(182)의 회전은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한 것이거나,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용지와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때, 플래튼 롤러(182)의 회전 속도는, 써멀 헤드(181)에 의한 용지의 인쇄 속도에 대응되는 속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100)가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써멀 헤드(18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발열 저항체(S) 각각에 대한 발열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소정의 해상도를 가지는 화상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m행 및 n열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써멀 헤드(181)에 n개의 발열 저항체(S)가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할 때, 인쇄 데이터는 b행(m≥b≥1)에 대한 인쇄 중에 a열(n≥a≥1)에 대응하는 a번째 발열 저항체(S)를 어느 정도로 발열시킬지에 대한 정보, 즉 각 발열 저항체(S)의 발열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써멀 헤드(181)로부터 급지 방향의 반대편의 소정 거리의 아래에는 픽업 롤러(172)가 배치되어 용지를 이송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픽업 롤러(172)와 근접한 위치에 제1 용지 검출 센서(141)가 배치되어, 급지 경로 상의 용지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어부(190)는 b행(m≥b≥1)의 제1 내지 n열에 대한 화상 형성이 완료되면, 모터를 통해 플래튼 롤러(182)를 인쇄 데이터의 단일 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회전시켜, 써멀 헤드(181)가 인쇄 데이터의 다음 행(즉, b+1행)에 대응하는 부분의 화상을 용지에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1행부터 m행까지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용지에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인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동일한 화상 데이터라고 하더라도 급지 속도(또는 인쇄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용지를 이송하면서 화상을 형성한 후 배출구(H)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화상 형성이 완료된 용지를 배출구(H)를 통해 즉시 배출하지 않고, 포토 프린터(100)의 내부 공간에 저장할수있도록 변형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 중 배출구(H)를 제외한 나머지 내용은 후술할 변형예에 대하여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는, 케이스(101), 적재부(165), 픽업 롤러(172), 가압 플레이트(201), 써멀 헤드(181) 및 반전 롤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202), 방열 부재(183) 또는 가이드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케이스(101)는 포토 프린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케이스(101)는 내부 공간에 각종 부품들을 수용함과 동시에, 수용된 각종 부품을 고정 내지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케이스(101)는 제1 케이스(101A) 및 제2 케이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01B)는 제1 케이스(101A)로부터 탈착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케이스(10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P1) 등을 통해 제1 케이스(101A)와 연결되어, 힌지(P1)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케이스(101A)를 개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케이스(101A)를 개방하여, 적재부(165)에 용지를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1)는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케이스(101)와 비교할 때, 배출구(H)가 생략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케이스(101)에 대한 설명을 동일 또는 소정의 변형을 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적재부(165), 픽업 롤러(172), 가압 플레이트(201), 써멀 헤드(181) 및 반전 롤러(220)는 케이스(10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적재부(165)에는 용지가 안착된다. 적재부(165)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용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좌측, 우측 및 후단이 대략 수직하게 상방으로 절곡되는 단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차면에 의해 용지의 좌측, 우측 및 후단이 지지되어, 적재부(165) 내에서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다.
픽업 롤러(172)는 용지를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픽업 롤러(172)가 회전하면, 픽업 롤러(172)와 접한 용지는 마찰력에 의해 급지 방향을 따라 써멀 헤드(181)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픽업 롤러(172)는 적재부(16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업 롤러(172)는 용지의 일 면과 길이방향을 따라 접하게 된다.
가압 플레이트(201)는 픽업 롤러(172)를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가압 플레이트(201)는 적재부(165)의 상부에 이격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압 플레이트(201)는 적재부(165)의 하부에 배치되는 픽업 롤러(172)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물론,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가 존재하는 경우, 가압 플레이트(201)는 용지를 픽업 롤러(172)를 향하여 가압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써멀 헤드(181)는 열을 방출하여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써멀 헤드(181)는 픽업 롤러(172)로부터 급지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는, 인쇄 개시에 따라, 픽업 롤러(172)로부터 써멀 헤드(181)까지 대략 수평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써멀 헤드(181)는 그 하부에 배치되는 방열 부재(183)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다. 방열 부재(183)는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확산시킴으로써, 써멀 헤드(181)에 의한 인쇄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반전 롤러(220)는 용지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킨다. 구체적으로, 반전 롤러(220)는 써멀 헤드(181)로부터 급지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반전 롤러(220)는,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따라 써멀 헤드(181)로 안내되는 용지 중, 써멀 헤드(181)를 통과한 부분(즉, 화상 형성이 완료된 부분)의 진행 방향이 급지 방향의 반대가 되도록 전환한다. 여기서, 급지 방향은 픽업 롤러(172)로부터 써멀 헤드(181)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용지의 진행 방향은 [픽업 롤러(172)->써멀 헤드(181)]의 구간에서는 급지 방향과 동일하고, 반전 롤러(220) 이후의 구간에서는 급지 방향과 반대가 될 수 있다.
반전 롤러(220)에 의해 진행 방향의 반전이 완료된 용지는 최종적으로 가압 플레이트(201)까지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순차적으로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적재될 수 있다.
한편, 가압 플레이트(201)에는 탄성 부재(20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202)는 가압 플레이트(20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202)는 제1 탄성 부재(202A) 및 제2 탄성 부재(20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 부재(202A)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을 하방에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202B)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후단을 상방에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202A)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 양 측에 각각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각 제1 탄성 부재(202A)의 타단은 케이스(101)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202B)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가압 플레이트(201)의 후단 양 측에 각각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202B)의 나머지 타단은 케이스(10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탄성 부재(202B)의 일단은 가압 플레이트(201)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케이스(101B)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탄성 부재(202A) 및 제2 탄성 부재(202B)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탄성력을 통해 가압 플레이트(201)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가 많아질수록, 제1 탄성 부재(202A)와 제2 탄성 부재(202B)는 인장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탄성 부재(202A)와 제2 탄성 부재(202B) 각각의 탄성력이 증가하므로, 용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가압력 역시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가 적어질수록, 제1 탄성 부재(202A)와 제2 탄성 부재(202B)는 원래의 길이로 복귀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탄성 부재(202A)와 제2 탄성 부재(202B) 각각의 탄성력이 감소하므로, 용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가압력 역시 줄어들게 된다.
이로써,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의 매수에 대응하여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용지의 이송에 요구되는 적절한 마찰력이 용지와 픽업 롤러(172)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1 탄성 부재(202A)와 제2 탄성 부재(202B)의 변형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의 매수가 변화하면, 가압 플레이트(201)의 기울기도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가 없는 경우, 가압 플레이트(201)는 급지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소정의 기울기만큼 경사지는 형태가 된다. 반대로,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가 늘어날수록, 하방을 향하던 가압 플레이트(201)의 기울기는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은 설명은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픽업 롤러(17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는 가이드부(210)와 이송 경로 사이의 틈을 거쳐 써멀 헤드(181)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픽업 롤러(172)에 의해 두 장 이상의 용지가 중복 이송되더라도, 급지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경사면(211)과 상기 틈(용지 한장의 두께 이상이고, 용지 두장의 두께 미만인 것이 바람직함)에 의해, 중복 이송된 용지의 진행은 차단되고,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용지만이 써멀 헤드(181)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써멀 헤드(181)는 픽업 롤러(17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은 용지의 제1 면에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면이란, 용지의 양 면 중 픽업 롤러(172)에 접하는 면을 의미한다. 당연히, 제1 면의 반대측 면은 제2 면으로 명명할 수 있다. 즉, 용지의 제2 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는 도 4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100)와는 다르게, 도 6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용지의 제1 면에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써멀 헤드(181)의 수직 방향에는 플래튼 롤러(182)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플래튼 롤러(182)는 픽업 롤러(17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를 써멀 헤드(181)를 향하여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플래튼 롤러(182)는 써멀 헤드(181)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픽업 롤러(17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를 상기 써멀 헤드(181)를 향하여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전의 용지는 픽업 롤러(172)와 써멀 헤드(181) 사이로 안내된 후, 픽업 롤러(172)에 의해 써멀 헤드(181)로 가압됨으로써, 인쇄 데이터에 따라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써멀 헤드(181)를 통과한 용지는 픽업 롤러(172) 또는 플래튼 롤러(182)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해, 반전 롤러(220)까지 이송된다. 반전 롤러(22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회전하면서, 용지의 진행 방향을 전단부터 후단까지 연속적으로 반전시킨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 롤러(R1)는 용지를 반전 롤러(220)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도 6에는 제1 보조 롤러(R1)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용지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해, 둘 이상의 제1 보조 롤러(R1)가 포토 프린터(100)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반전 롤러(220)에 의해 진행 방향이 전환된 용지는 플래튼 롤러(182)로 재이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지는 픽업 롤러(172)에 의해 플래튼 롤러(182)의 하부(즉, 플래튼 롤러(182)와 써멀 헤드(181)의 사이)로 이송되어 화상이 형성된 후, 반전 롤러(220)에 의해 플래튼 롤러(182)의 상부로 이송되는 것이다.
플래튼 롤러(182)는 반전 롤러(220)를 통과하여 재이송되는 용지를 가압 플레이트(201)로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전 롤러(220)를 통과하여 플래튼 롤러(182)로 재이송되는 용지는, 플래튼 롤러(182)의 회전에 의해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제2 보조 롤러(R2)는 반전 롤러(220)를 통과하여 플래튼 롤러(182)로 재이송되는 용지를 플래튼 롤러(182)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전에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하부에 적재되었던 용지는, 화상 형성 후에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부에 적재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부 공간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구조의 포토 프린터(100)에서는 활용되지 않았던 공간이었던 반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는 해당 공간을 인쇄 완료된 용지의 적재 공간으로 사용함으로써, 포토 프린터(100)의 소형화와 휴대성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1)의 상면 중 일 영역에는 커버(101C)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01C)는 화상 형성이 완료되어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적재되는 용지를 꺼낼 수 있도록, 케이스(101)로부터 탈착 또는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101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01B)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커버(101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P2) 등을 통해 제2 케이스(101B)와 연결되어, 힌지(P2)를 회전축으로 이동하여, 제2 케이스(101B)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커버(101C)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01C)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커버(101C)를 열지 않고도 인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를 향하던 용지의 제1 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용지가 반전 롤러(220)에 의해 반전됨에 따라, 용지는 제1 면이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적재된다. 이에 따라, 인쇄가 제대로 수행 중인지 알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101C)를 통해 용지의 인쇄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100)에서 용지의 매수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201)가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의 (a)는 적재부(165)에 용지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를 예시한다.
이 경우, 가압 플레이트(201)의 하중을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1 탄성 부재(202A)와 제2 탄성 부재(202B) 각각은 변형(예, 압축 또는 인장)되지 않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가압 플레이트(201)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제1 탄성 부재(202A)와 제2 탄성 부재(202B)는 각각 한 쌍씩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탄성 부재(202A)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 영역에서 폭 방향을 따라 용지의 너비 이상의 간격만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탄성 부재(202B)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후단 영역에서 폭 방향을 따라 용지의 너비 이상의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용지의 너비 이상의 간격만큼 이격됨으로써, 용지의 적재 및 이송 경로를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202A)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을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고, 제2 탄성 부재(202B)는 가압 플레이의 후단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므로,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과 픽업 롤러(172) 사이에 적재된 용지가 없는 경우에, 가압 플레이트(201)는 도 7의 (a)와 같이 급지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θ1)만큼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탄성 부재(202A)의 길이는 제1 길이(d1)이고, 제2 탄성 부재(202B)의 길이는 제2 길이(d2)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b)는 적재부(165)에 용지가 안착된 상태를 예시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복수장의 용지(P)가 적재부(165)에 안착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복수장의 용지가 픽업 롤러(172)의 상부에 위치함에 따라, 제1 탄성 부재(202A)는 용지들의 총 두께만큼 상방으로 인장된다. 이와 함께, 제2 탄성 부재(202B)는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인장된다. 이 경우, 제1 탄성 부재(202A)의 길이는 제1 길이(d1)보다 긴 제3 길이(d1')가 되고, 제2 탄성 부재(202B)의 길이는 제2 길이(d2)보다 긴 제4 길이(d2')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201)의 경사 각도(θ2)는 도 7의 (a)에 도시된 상태에 비하여 작아지게 된다(즉, θ2 < θ1).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적재부(165)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치의 용지가 안착되는 경우, 가압 플레이트(201)는 지면(또는 케이스(101)의 하면)과 수평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가압 플레이트(201)의 경사 각도가 0이 될 때까지 작아질 수 있다.
도 7의 (a) 및 (b)를 비교 참조하면,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과 후단 각각을 반대 방향에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202A, 202B)를 이용함으로써, 적재부(165)에 투입되는 용지의 매수에 따라, 용지에 대한 가압 플레이트(201)의 하방 가압력이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로써, 적은 매수의 용지에 대하여는 작은 가압력이 작용하고, 많은 매수의 용지에 대하여는 큰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이송에 요구되는 적절한 마찰력이 픽업 롤러(172) 및 이와 직접 맞닿는 용지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100)에서 용지가 이송되는 과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우선 도 8의 (a)는 픽업 롤러(172)로부터 써멀 헤드(181)까지의 이송 경로인 제1 구간에서의 이송 과정을 예시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적재부(165)에는 2장의 용지(P1, P2)가 위아래로 안착된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인쇄 명령에 따라, 픽업 롤러(17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 프린터(100)의 전방이 좌측을 향하고, 후방이 우측을 향하는 경우, 픽업 롤러(17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의해 제1 용지(P1)는 써멀 헤드(181)까지 이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픽업 롤러(172)의 정방향 회전은 제1 용지(P1)가 써멀 헤드(181)와 플래튼 롤러(182)의 간격에 개재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의 (b)는 써멀 헤드(181)로부터 반전 롤러(220)까지의 이송 경로인 제2 구간에서의 이송 과정을 예시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제1 용지(P1)가 써멀 헤드(181)와 플래튼 롤러(182)의 사이에 위치하면, 제어부(190)는 플래튼 롤러(18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플래튼 롤러(182)의 정방향 회전은 픽업 롤러(172)와 달리 시계 방향일 수 있다. 플래튼 롤러(182)는 용지를 기준으로 픽업 롤러(172)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때, 제어부(190)는 픽업 롤러(172)와 플래튼 롤러(182)를 함께 회전시키거나, 픽업 롤러(172)의 회전은 정지시키고 플래튼 롤러(182)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반응하여 제1 용지(P1)의 제1 면(S1)에는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면(S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용지(P1)의 양 면 중 써멀 헤드(181)와 접하는 면을 의미한다. 제1 용지(P1) 중 화상의 형성된 부분은 플래튼 롤러(182)의 회전에 의해 전진하면서 반전 롤러(220)까지 안내된다.
반전 롤러(220)로 이송된 제1 용지(P1)는 반전 롤러(220)의 정방향 회전 및 곡률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대로 전환된다. 반전 롤러(220)의 정방향 회전은 플래튼 롤러(182)와 마찬가지로 시계 방향일 수 있다. 이때, 반전 롤러(220)에 대향하는 제1 보조 롤러(R1)는 제1 용지(P1)의 진행 방향이 반전 롤러(220)의 곡률에 따라 전환될 수 있도록, 제1 용지(P1)를 반전 롤러(220)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즉, 제1 용지(P1)는 반전 롤러(220)와 제1 보조 롤러(R1)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진행 방향이 반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반전 롤러(220)로 안내되기 전에 하부를 향하던 제1 용지(P1)의 제1 면(S1)은, 반전 롤러(220)를 통과하면서 상부를 향하게 된다.
이어서, 도 8의 (c)는 반전 롤러(220)로부터 플래튼 롤러(182)를 거쳐 가압 플레이트(201)까지의 이송 경로인 제3 구간에서의 이송 과정을 예시한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반전 롤러(220)를 통과하는 제1 용지(P1)는 제1 면(S1)이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반전 롤러(220)의 회전에 의해 플래튼 롤러(182)로 진행한다. 이때, 플래튼 롤러(182)의 상부에 대향하는 제2 보조 롤러(R2)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보조 롤러(R2)는 제1 용지(P1)가 가압 플레이트(201)를 향하여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제1 용지(P1)를 플래튼 롤러(182)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플래튼 롤러(182)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용지(P1)의 제2 면(S2)은 플래튼 롤러(182)와 접함에 따라 급지 방향의 반대로 이송된다. 플래튼 롤러(182)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해, 제1 용지(P1)는 전단부터 후단까지 연속적으로 가압 플레이트(201)로 이송된다. 제1 용지(P1)의 후단까지 플래튼 롤러(182)를 모두 통과하면, 최종적인 인쇄 결과가 반영된 제1 용지(P1)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적재된다.
제1 용지(P1)의 제1 면(S1)이 상부를 향하고, 제2 면(S2)은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마주하므로, 커버(101C)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용지(P1)에 대한 인쇄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완료된 제1 용지(P1)가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안착되면, 제1 용지(P1)의 하중에 의해 제2 탄성 부재(202B)는 하방으로 인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버(101C)와 가압 플레이트(201) 사이의 공간이 확대되는 것이다. 이로써, 인쇄 안료된 용지의 매수에 따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일정 범위 내에서 자동적으로 조절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 다른 인쇄 명령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된 제2 용지(P2) 역시 제1 용지(P1)에 대하여 설명한 과정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이송되어,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적재된 제1 용지(P1)의 위에 적재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이송 과정 상에서, 용지는 반전 롤러(220)를 거치면서 만곡 현상이 발생하여, 소정의 곡률만큼 휘어지는 컬(curl)이 생길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용지의 컬(curl)을 제거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는, 케이스(101), 적재부(165), 픽업 롤러(172), 가압 플레이트(201), 써멀 헤드(181), 반전 롤러(220) 및 복원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202), 방열 부재(183) 또는 가이드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케이스(101)는 포토 프린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케이스(101)는 내부 공간에 각종 부품들을 수용함과 동시에, 수용된 각종 부품을 고정 내지 지지할 수 있다. 즉, 적재부(165), 픽업 롤러(172), 가압 플레이트(201), 써멀 헤드(181), 반전 롤러(220) 및 복원부(230)는 케이스(10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일 예로, 케이스(101)는 제1 케이스(101A) 및 제2 케이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01B)는 제1 케이스(101A)로부터 탈착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케이스(10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P1) 등을 통해 제1 케이스(101A)와 연결되어, 힌지(P1)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케이스(101A)를 개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케이스(101A)를 개방하여, 적재부(165)에 용지를 투입할 수 있다.
적재부(165)에는 용지가 안착된다. 적재부(165)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용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좌측, 우측 및 후단이 대략 수직하게 상방으로 절곡되는 단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차면에 의해 용지의 좌측, 우측 및 후단이 지지되어, 적재부(165) 내에서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다.
픽업 롤러(172)는 용지를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픽업 롤러(172)가 회전하면, 픽업 롤러(172)와 접한 용지는 마찰력에 의해 급지 방향을 따라 써멀 헤드(181)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픽업 롤러(172)는 적재부(16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업 롤러(172)는 용지의 일 면과 길이방향을 따라 접하게 된다.
가압 플레이트(201)는 픽업 롤러(172)를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가압 플레이트(201)는 적재부(165)의 상부에 이격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압 플레이트(201)는 적재부(165)의 하부에 배치되는 픽업 롤러(172)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물론,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가 존재하는 경우, 가압 플레이트(201)는 용지를 픽업 롤러(172)를 향하여 가압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써멀 헤드(181)는 열을 방출하여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써멀 헤드(181)는 픽업 롤러(172)로부터 급지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는, 인쇄 개시에 따라, 픽업 롤러(172)로부터 써멀 헤드(181)까지 대략 수평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써멀 헤드(181)는 그 하부에 배치되는 방열 부재(183)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다. 방열 부재(183)는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확산시킴으로써, 써멀 헤드(181)에 의한 인쇄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반전 롤러(220)는 용지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킨다. 구체적으로, 반전 롤러(220)는 써멀 헤드(181)로부터 급지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반전 롤러(220)는,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따라 써멀 헤드(181)로 안내되는 용지 중, 써멀 헤드(181)를 통과한 부분(즉, 화상 형성이 완료된 부분)의 진행 방향이 급지 방향의 반대가 되도록 전환한다. 여기서, 급지 방향은 픽업 롤러(172)로부터 써멀 헤드(181)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용지의 진행 방향은 <픽업 롤러(172)->써멀 헤드(181)>의 구간에서는 급지 방향과 동일하고, 반전 롤러(220) 이후의 구간에서는 급지 방향과 반대가 된다.
반전 롤러(220)에 의해 진행 방향의 반전이 완료된 용지는 최종적으로 가압 플레이트(201)까지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순차적으로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적재될 수 있다.
복원부(230)는 복원 롤러(231)가 구비되어, 용지 중 반전 롤러(220)를 통과한 부분의 컬(curl)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복원 롤러(231)는 플래튼 롤러(182)와 반전 롤러(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원 롤러(231)의 하부 높이는 반전 롤러(220)의 상부 높이 및 플래튼 롤러(182)의 상부 높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전 롤러(220)를 통과한 용지의 컬(curl)이 반대로 상쇄될 수 있다.
또한, 복원부(230)는 발열체(232)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232)는 복원 롤러(231)의 외주면에 구비되거나, 복원 롤러(23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체(232)는 용지 중 반전 롤러(220)를 통과한 부분에 소정의 열을 인가한다. 이러한 열에 의해 용지의 컬(curl)이 더욱 효과적으로 상쇄될 수 있다. 이때, 발열체(232)로부터 방출되는 열은 용지에 형성된 화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값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실험적으로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예컨대, 발열체(232)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한 온도는, 용지에 포함된 염료층의 반응 온도보다 낮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가압 플레이트(201)에는 탄성 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는 가압 플레이트(20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는 제1 탄성 부재(202A) 및 제2 탄성 부재(20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 부재(202A)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을 하방에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202B)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후단을 상방에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202A)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 양 측에 각각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202B)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후단 양 측에 각각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202B)의 나머지 타단은 케이스(10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탄성 부재(202B)의 일단은 가압 플레이트(201)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케이스(101B)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탄성 부재(202A) 및 제2 탄성 부재(202B)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탄성력을 통해 가압 플레이트(201)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가 많아질수록, 제1 탄성 부재(202A)와 제2 탄성 부재(202B)는 인장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탄성 부재(202A)와 제2 탄성 부재(202B) 각각의 탄성력이 증가하므로, 용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가압력 역시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가 적어질수록, 제1 탄성 부재(202A)와 제2 탄성 부재(202B)는 원래의 길이로 복귀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탄성 부재(202A)와 제2 탄성 부재(202B) 각각의 탄성력이 감소하므로, 용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가압력 역시 줄어들게 된다.
이로써,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의 매수에 대응하여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용지의 이송에 요구되는 적절한 마찰력이 용지와 픽업 롤러(172)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1 탄성 부재(202A)와 제2 탄성 부재(202B)의 변형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의 매수가 변화하면, 가압 플레이트(201)의 기울기도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가 없는 경우, 가압 플레이트(201)는 급지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소정의 기울기만큼 경사지는 형태가 된다. 반대로,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가 늘어날수록, 하방을 향하던 가압 플레이트(201)의 기울기는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은 설명은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써멀 헤드(181)는 픽업 롤러(17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은 용지의 제1 면에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면이란, 용지의 양 면 중 픽업 롤러(172)에 접하는 면을 의미한다. 당연히, 용지의 나머지 면은 제2 면으로 명명할 수 있다. 즉, 용지의 제2 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는 도 4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100)와는 다르게, 용지의 제1 면에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써멀 헤드(181)의 수직 방향에는 플래튼 롤러(182)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플래튼 롤러(182)는 픽업 롤러(17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를 써멀 헤드(181)를 향하여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플래튼 롤러(182)는 써멀 헤드(181)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픽업 롤러(17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를 상기 써멀 헤드(181)를 향하여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전의 용지는 픽업 롤러(172)와 써멀 헤드(181) 사이로 안내된 후, 픽업 롤러(172)에 의해 써멀 헤드(181)로 가압됨으로써, 인쇄 데이터에 따라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써멀 헤드(181)를 통과한 용지는 픽업 롤러(172) 또는 플래튼 롤러(182)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해, 반전 롤러(220)까지 이송된다. 반전 롤러(22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회전하면서, 용지의 진행 방향을 전단부터 후단까지 연속적으로 반전시킨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 롤러(R1)는 용지를 반전 롤러(220)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도 6에는 제1 보조 롤러(R1)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용지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해, 둘 이상의 제1 보조 롤러(R1)가 포토 프린터(100)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반전 롤러(220)에 의해 진행 방향이 전환된 용지는 복원부(230)를 거쳐 플래튼 롤러(182)로 재이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지는 픽업 롤러(172)에 의해 플래튼 롤러(182)의 하부(즉, 플래튼 롤러(182)와 써멀 헤드(181)의 사이)로 이송되면서 화상이 형성된 후, 반전 롤러(22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되고, 복원부(230)에 의해 컬(curl)이 상쇄된 후, 플래튼 롤러(182)의 상부로 이송되는 것이다.
플래튼 롤러(182)는 반전 롤러(220)와 복원부(230)를 통과하여 재이송되는 용지를 가압 플레이트(201)로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전 롤러(220)를 통과하여 플래튼 롤러(182)로 재이송되는 용지는, 플래튼 롤러(182)의 회전에 의해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제2 보조 롤러(R2)는 반전 롤러(220)를 통과하여 플래튼 롤러(182)로 재이송되는 용지를 플래튼 롤러(182)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전에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하부에 적재되었던 용지는, 화상 형성 후에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부에 적재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부 공간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에서는 활용되지 않았던 공간이었던 반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는 해당 공간을 인쇄 완료된 용지의 적재 공간으로 사용함으로써, 포토 프린터(100)의 소형화와 휴대성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1)의 상면 중 일 영역에는 커버(101C)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101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01B)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커버(101C)는 화상 형성이 완료되어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적재되는 용지를 꺼낼 수 있도록, 케이스(101)로부터 탈착 또는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101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01B)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커버(101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P2) 등을 통해 제2 케이스(101B)와 연결되어, 힌지(P2)를 회전축으로 이동하여, 제2 케이스(101B)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커버(101C)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01C)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커버(101C)를 열지 않고도 인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를 향하던 용지의 제1 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용지가 반전 롤러(220)에 의해 반전됨에 따라, 용지는 제1 면이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적재된다. 이에 따라, 인쇄가 제대로 수행 중인지 알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101C)를 통해 용지의 제1 면을 통해 용지의 인쇄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100)에서 용지가 이송되는 과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의 (a)는 픽업 롤러(172)로부터 써멀 헤드(181)까지의 이송 경로인 제1 구간에서의 이송 과정을 예시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적재부(165)에는 2장의 용지(P3, P4)가 위아래로 안착된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190)는 인쇄 명령에 따라, 픽업 롤러(17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 프린터(100)의 전방이 좌측을 향하고, 후방이 우측을 향하는 경우, 픽업 롤러(17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의해 제3 용지(P3)는 써멀 헤드(181)까지 이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픽업 롤러(172)의 정방향 회전은 제3 용지(P3)가 써멀 헤드(181)와 플래튼 롤러(182)의 간격에 개재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의 (b)는 써멀 헤드(181)로부터 반전 롤러(220)까지의 이송 경로인 제2 구간에서의 이송 과정을 예시한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제3 용지(P3)가 써멀 헤드(181)와 플래튼 롤러(182)의 사이에 위치하면, 제어부(190)는 플래튼 롤러(18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플래튼 롤러(182)의 정방향 회전은 픽업 롤러(172)와 반대로 시계 방향일 수 있다. 플래튼 롤러(182)는 용지를 기준으로 픽업 롤러(172)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때, 제어부(190)는 픽업 롤러(172)와 플래튼 롤러(182)를 함께 회전시키거나, 픽업 롤러(172)의 회전은 정지시키고 플래튼 롤러(182)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반응하여 제3 용지(P3)의 제1 면(S1)에는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면(S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용지(P3)의 양 면 중 써멀 헤드(181)와 접하는 면을 의미한다. 제3 용지(P3) 중 화상의 형성된 부분은 플래튼 롤러(182)의 회전에 의해 전진하면서 반전 롤러(220)까지 안내된다.
반전 롤러(220)로 이송된 제3 용지(P3)는 반전 롤러(220)의 정방향 회전 및 곡률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대로 전환된다. 반전 롤러(220)의 정방향 회전은 플래튼 롤러(182)와 마찬가지로 시계 방향일 수 있다. 이때, 반전 롤러(220)에 대향하는 제1 보조 롤러(R1)는 제3 용지(P3)의 진행 방향이 반전 롤러(220)의 곡률에 따라 전환될 수 있도록, 제3 용지(P3)를 반전 롤러(220)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즉, 제3 용지(P3)는 반전 롤러(220)와 제1 보조 롤러(R1)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진행 방향이 반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반전 롤러(220)로 안내되기 전에 하부를 향하던 제3 용지(P3)의 제1 면(S1)은, 반전 롤러(220)를 통과하면서 상부를 향하게 된다.
이어서, 도 10의 (c)는 반전 롤러(220)로부터 가압 플레이트(201)까지의 이송 경로인 제3 구간에서의 이송 과정을 예시한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반전 롤러(220)를 통과하는 제3 용지(P3)는 제1 면(S1)이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반전 롤러(220)의 회전에 의해 복원부(230)로 진행한다.
복원부(230)의 복원 롤러(231)는 제3 용지(P3)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원 롤러(231)의 하부 높이(H1)는 반전 롤러(220)의 상부 높이(H2) 및 플래튼 롤러(182)의 상부 높이(H3)보다 더 낮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반전 롤러(220)의 상부 높이(H2) 및 플래튼 롤러(182)의 상부 높이(H3)는 동일(즉, H2=H3)한 것으로 가정한다.
반전 롤러(220)의 상부와 플래튼 롤러(182)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3 용지(P3)는 복원 롤러(231)의 하부에 의해 아래로 눌리는 형태로 변형된다. 이러한 제3 용지(P3)의 변형은 반전 롤러(220)의 곡률에 의한 변형(즉, 컬(curl))과는 반대되는 것이므로, 제3 용지(P3)의 컬(curl)이 상쇄되는 것이다.
복원부(230)의 발열체(232)는 복원 롤러(231)와는 별도로, 복원 롤러(231)와 반전 롤러(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용지(P3)는 발열체(232)로부터 소정의 열을 인가받은 후 복원 롤러(231)에 의해 하방으로 휘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발열체(232)는 복원 롤러(231)와 일체로 형성(예, 복원 롤러(231)의 외주면)되어, 제3 용지(P3)에 열을 인가할 수도 있다.
복원부(230)를 통과한 제3 용지(P3)는 플래튼 롤러(182)로 진행한다. 이때, 플래튼 롤러(182)의 상부에 대향하는 제2 보조 롤러(R2)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보조 롤러(R2)는 제3 용지(P3)가 가압 플레이트(201)를 향하여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제3 용지(P3)를 플래튼 롤러(182)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플래튼 롤러(182)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 용지(P3)의 제2 면(S2)은 플래튼 롤러(182)와 접함에 따라 급지 방향의 반대로 이송된다. 플래튼 롤러(182)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해, 제3 용지(P3)는 전단부터 후단까지 연속적으로 가압 플레이트(201)로 이송된다. 제3 용지(P3)의 후단까지 플래튼 롤러(182)를 모두 통과하면, 최종적인 인쇄 결과가 반영된 제3 용지(P3)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적재된다.
제3 용지(P3)의 제1 면(S1)이 상부를 향하고, 제2 면(S2)은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마주하므로, 커버(101C)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3 용지(P3)에 대한 인쇄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완료된 제3 용지(P3)가 가압 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안착되면, 제3 용지(P3)의 하중에 의해 제2 탄성 부재(202B)는 하방으로 인장된다. 결과적으로, 커버(101C)와 가압 플레이트(201) 사이의 공간이 확대되는 것이다. 이로써, 인쇄 안료된 용지의 매수에 따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일정 범위 내에서 자동적으로 조절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1은 도 6 내지 10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100)의 커버(101C)를 통해 인쇄 결과를 확인하는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a)는 인쇄 과정 중을 예시하고, 도 11의 (b)는 인쇄 종료 상태를 예시한다.
도 11의 (a) 및 (b)를 참조하면, 케이스(101)는 제1 케이스(101A) 및 제2 케이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01B)는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P1)를 통해 제1 케이스(101A)와 연결되어, 힌지(P1)를 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케이스(101B)를 회전시켜 제1 케이스(101A)를 개방함으로써, 인쇄할 용지를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제2 케이스(101B)의 일 영역에는 커버(101C)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101C)는 힌지(P2)를 통해 제2 케이스(101B)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1C)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인쇄 데이터에 따른 화상 형성이 완료되어 가압 플레이트(미도시)의 상면에 적재 중인 또는 적재 완료된 용지(Pc)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커버(101C)를 통해 용지(Pc)의 인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힌지(P2)를 축으로 커버(101C)를 들어올려, 용지(Pc)를 바깥으로 꺼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용지(Pc)는 인쇄가 완료된 경우라도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케이스(101)의 내부 공간에 보관되므로,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인쇄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101C)에 의해 외부 이물질이 용지(Pc)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용지(Pc)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이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제어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포토 프린터 101A: 제1 케이스
101B: 제1 케이스 110: 통신부
111: 근거리통신 모듈 112: 유선 통신 모듈
120: 조작부 121: 제1 조작 모듈
122: 제2 조작 모듈 130: 출력부
131: 발광 모듈 132: 디스플레이 모듈
133: 햅틱 모듈 134: 음향 모듈
140: 센싱부 141: 용지 검출 센서
142: 온도 센서 143: 개폐 센서
144: 수평 센서 150: 메모리
160: 전원부 165: 적재부
170: 이송부
171: 모터 172: 픽업 롤러
180: 화상 형성부 181: 써멀 헤드
182: 플래튼 롤러 183: 방열 부재
184: 브라켓
190: 제어부 200: 가압부
201: 가압 플레이트 202: 탄성 부재
203: 스토퍼 210: 가이드부
211: 경사면 212: 진동 모듈
220: 반전 롤러 230: 복원부
231: 복원 롤러 232: 발열체

Claims (13)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지를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픽업 롤러;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픽업 롤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
    상기 픽업 롤러로부터 상기 급지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는 써멀 헤드; 및
    상기 용지 중 상기 써멀 헤드를 통과한 부분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키는 반전 롤러;
    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는, 포토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전단을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후단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전단 양 측에 각각 하나씩 연결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후단 양 측에 각각 하나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써멀 헤드로부터 수직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픽업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지를 상기 써멀 헤드를 향하여 가압하는 플래튼 롤러;
    를 더 포함하는, 포토 프린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는,
    상기 써멀 헤드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픽업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지를 상기 써멀 헤드를 향하여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는,
    상기 용지 중 상기 반전 롤러를 통과한 부분을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반전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복원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용지 중 상기 반전 롤러를 통과한 부분의 컬(curl)을 제거하는 복원부;
    를 더 포함하는, 포토 프린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롤러는,
    상기 복원 롤러의 하부 높이가 상기 반전 롤러의 상부 높이보다 더 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용지 중 상기 반전 롤러를 통과한 부분으로 소정의 열을 인가하는 발열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용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착 또는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KR1020150020424A 2015-02-10 2015-02-10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7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424A KR20160097930A (ko) 2015-02-10 2015-02-10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424A KR20160097930A (ko) 2015-02-10 2015-02-10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930A true KR20160097930A (ko) 2016-08-18

Family

ID=5687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424A KR20160097930A (ko) 2015-02-10 2015-02-10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9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723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7973816B2 (en) Mobile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700403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paper feeding cassette installing device
JP3882346B2 (ja) プリンタ
CN105082739B (zh) 转印装置
JP2010000616A (ja) 印刷装置
US8454252B2 (en) Cassette for a printer
US10097703B2 (en) Image printing device and method using display device
KR20170070645A (ko) 휴대용 프린터
US8256974B2 (en) Cassette for a printer
KR20160104297A (ko) 포토 프린터
KR20160097930A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US20080219735A1 (en) Printhead Assembly for a Credential Production Device
US8643688B1 (en) Printing device
KR20160097927A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KR100806877B1 (ko) 화상형성장치
JP2017128132A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2015210359A (ja) 媒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媒体搬送装置の組み立て方法
JP6114117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200824693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7098717A (ja) 画像読取装置
KR20160097928A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4465A (ko) 열 반응 시트
JP6750939B2 (ja) 画像読取装置
KR20160097929A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