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928A -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928A
KR20160097928A KR1020150020422A KR20150020422A KR20160097928A KR 20160097928 A KR20160097928 A KR 20160097928A KR 1020150020422 A KR1020150020422 A KR 1020150020422A KR 20150020422 A KR20150020422 A KR 20150020422A KR 20160097928 A KR20160097928 A KR 20160097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pick
skew
detect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0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7928A/ko
Publication of KR2016009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18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sheet in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2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electr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부에 안착된 용지를 이송하는 픽업롤러 및 소정의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개시 시, 상기 픽업롤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PHOTO PRIN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토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가능한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소형화된 카메라가 이동 단말기를 비롯한 각종 휴대 기기에 장착되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촬영한 사진을 어디서든 바로 출력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 가능한 인쇄 방식을 채용하는 휴대 가능한 프린터가 개발되었다.
이 중 하나인 염료 승화 방식은 인쇄 헤드에 열을 가해 열전사용 잉크리본을 녹인 후 이를 전사하여 용지에 소정 형상을 인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염료 승화 방식은 포토 프린터 내에 잉크 리본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 및 이를 구동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열에 반응하여 소정의 색상을 발현하는 특수한 용지인 감열지를 이용하는 방식인 감열 방식은 감열지에 이미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가 적층되어 있는 관계로 잉크 리본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술한 열전사 프린터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을 비롯한 각종 방식을 통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포토 프린터에는, 투입된 용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인쇄 개시에 따라 용지를 한 장씩 공급하는 적재부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적재부에는 용지의 양 측단과 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의 단차가 형성되는데, 적재부에 투입된 용지의 후단은 적재부의 후측 단차면에 의해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다.
한편, 용지의 사이즈는 제작 과정에 따라 소정 수준의 공차를 가지게 되므로, 적재부는 이러한 공차를 가지는 용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용지의 규격 사이즈보다 크게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용지의 규격 사이즈가 2"ⅹ3"인 경우, 적재부는 2.1"ⅹ3.1" 사이즈의 용지까지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적재부의 크기를 용지의 규격 사이즈보다 크도록 설계되는 경우, 공차를 가지는 용지까지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적재부와 용지 사이의 크기 차이에 따라, 스큐(skew)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즉, 적재부에 안착된 용지가 적재부 내에서 외력이나 지면과의 기울기에 의해 전후좌우로 유동함에 따라, 화상이 비스듬히 형성되어 인쇄 품질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부에 안착되는 용지의 스큐(skew)를 저감할 수 있는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부에 안착된 용지를 이송하는 픽업롤러 및 소정의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개시 시, 상기 픽업롤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용지에 스큐(skew)가 발생한 경우 이를 저감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인쇄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적재부에 포함된 둘 이상의 영역에서의 용지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용지에 발생한 스큐(skew)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용지에 발생한 스큐(skew)의 방향에 따라 픽업 롤러의 회전에 관련된 값을 조절함으로써, 스큐(skew) 제거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큐(skew)의 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픽업 롤러를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인쇄 개시에 따른 화상 형성 과정에 진입하기 전에 용지를 보다 가지런히 정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를 외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의 용지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에 도시된 A-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가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가 용지의 스큐(skew)를 제거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가 용지의 스큐(skew)를 검출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가 용지에 발생한 스큐(skew)의 방향에 따라 픽업 롤러를 제어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가 용지에 발생한 스큐(skew)의 방향에 따라 픽업 롤러를 제어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는 통신부(110), 조작부(120), 출력부(130), 센싱부(140), 메모리(150), 전원부(160), 이송부(170), 화상 형성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포토 프린터(100)를 외부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는 물론 데스크탑과 같이 고정형 전자기기일 수 있는바, 포토 프린터(100)와 통신이 가능한 기기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예, 촬영한 사진 파일)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근거리통신 모듈(111) 및 유선 통신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111)은 외부 장치와의 비접촉식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근거리통신 모듈(111)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외부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 및 포토 프린터(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명령 내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12)은 외부 장치와의 접촉식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유선 통신 모듈(112)에는 메모리(150) 카드 포트, USB 포트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기기와 직접 연결되어 근거리통신 모듈(111)과 마찬가지로 화상 데이터를 비롯한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한다.
조작부(120)는 포토 프린터(100)의 동작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 모듈을 포함한다. 예컨대, 조작부(120)는 제1 조작 모듈(121) 및 제2 조작 모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작 모듈(121)은 포토 프린터(100)의 전원 온/오프 기능과 연동될 수 있다. 제1 조작 모듈(121)은 슬라이드 스위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 등의 물리적 방식으로 포토 프린터(100)의 전원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조작 모듈(121)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포토 프린터(100)의 전원을 켜거나, 우측으로 이동 시켜 전원을 끌 수 있다. 제2 조작 모듈(122)은 리셋 버튼일 수 있다.
메모리(150)는 포토 프린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50)는 포토 프린터(100)에서 구동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화상 인쇄와 관련된 여러 동작의 수행을 위한 데이터들 및 명령어들과 함께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출고 당시부터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나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50)에 저장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의하여 포토 프린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포토 프린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140)는 용지 검출 센서(141), 온도 센서(142), 개폐 센서(143), 수평 센서(144), 마크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용지 검출 센서(141)는 용지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어, 이송 경로 내에 용지의 유무를 감지한다. 일 예로, 용지 검출 센서(141)는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165)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용지에 의해 가려짐에 따라 달라지는 조도값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지 판단하여 용지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용지 검출 센서(141)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발광부를 통해 방출되는 빛이 반사되어 수광부로 되돌아오는 거리 또는 시간에 따라 적재부에 용지가 안착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90)는 용지 검출 센서(141)를 통해 용지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 출력부(130)를 통해 용지없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온도 센서(142)는 배터리 또는 모터가 정상 범위 내의 온도에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온도 센서(142)는 배터리 또는 모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온도(즉, 저온 또는 과열)에서 작동 중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90)에 전달하고, 제어부(190)는 출력부(130)를 통해 온도 센서(14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수평 센서(144)는 포토 프린터(100)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적으로 놓여진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수평 센서(144)는 중력 방향과 포토 프린터(100) 본체가 이루는 각도를 감지하고, 제어부(190)는 수평 센서(144)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포토 프린터(100)의 본체가 지면에 수평적으로 안착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의 판단 결과 포토 프린터(100)가 지면에 수평적으로 안착된 상태된 상태가 아닌 경우, 출력부(130)를 통해 소정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포토 프린터(100)의 기울기 내지는 자세를 변경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개폐 센서(143)는 후술할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 간의 체결 여부를 감지한다. 제어부(190)는 개폐 센서(143)를 통해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면, 화상 형성부(18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마크 인식 센서(미도시)는 용지에 표시된 마크를 판독하여 용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한다. 예컨대, 용지의 하면에는 용지의 특징과 관련된 정보가 바코드 형식으로 표시된 상태일 수 있으며, 마크 인식 센서는 용지의 바코드 정보를 급지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읽어들이고, 제어부(190)는 마크 인식 센서에 의해 감지된 바코드 정보에 따라 화상 형성부(180)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용지에 맞는 최적의 화질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포토 프린터(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130)는 발광 모듈(131), 디스플레이 모듈(132), 햅틱 모듈(133), 음향 모듈(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131)은 포토 프린터(100)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로 점멸하거나 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광 모듈(131)은 포토 프린터(100) 본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포토 프린터(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인쇄 진행률, 고장 정보, 배터리 잔량, 배터리 정보, 형성할 화상의 미리보기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32)은 포토 프린터(100) 본체의 일 측을 따라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음향 모듈(134)은 포토 프린터(100)의 상태(예, 충전 완료, 용지 걸림, 용지 없음, 인쇄 완료 등)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햅틱 모듈(133)은 미리 정해진 조건 또는 입력에 따라 소정의 세기나 패턴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 모듈(212)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나 패턴은 포토 프린터(100)의 각 상태마다 다를 수 있다. 예컨대, 햅틱 모듈(133)은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제1 세기로 길게 한번 진동하고,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따른 인쇄가 종료되면 제2 세기로 짧게 두번 진동할 수 있다.
전원부(16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6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른 배터리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60)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충전 포트(161)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포트는 마이크로 USB 방식의 포트일 있다. 충전 포트는 전원 공급 외에 유선 케이블과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이송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171)와 픽업 롤러(172)를 포함한다. 픽업 롤러(172)는 모터(171)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통해 정방향(용지를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한다. 모터(171)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구동 또는 정지하거나, 구동력을 달리하여 픽업 롤러(172)의 회전 속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80)는 이송부(170)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부(180)는 복수개의 발열 저항체를 통해 전원부(16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러한 열 에너지를 용지에 인가한다. 용지는 이송부(170)를 통해 급지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화상 형성부(180)로부터 인가되는 열의 크기와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발현함으로써, 전단부터 후단까지의 화상이 차례대로 형성된다.
제어부(190)는 포토 프린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용지에 제대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부(180)에서 처리 가능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190)는 인쇄 데이터에 따라 써멀 헤드(181)의 각 발열 저항체에 적당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포토 프린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포토 프린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는 포토 프린터(100)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각종 구성요소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는 케이스의 외면을 통해 바깥으로 일부분이 노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케이스는 제1 케이스(101A) 및 제2 케이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 및 제2 케이스(101B)는 포토 프린터(100)의 가장 외측에 마련되어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함과 아울러 완충 역할을 한다.
제1 케이스(101A)는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구성 요소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킨다. 제2 케이스(101B)는 제1 케이스(101A)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케이스(101B)의 일단은 제1 케이스(101A)의 일단과 힌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101B)의 타단은 제1 케이스(101A)의 타단과 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들 전부 또는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101A)의 내부 공간에는 적재부(165), 이송부(170), 가이드부(210) 및 화상 형성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적재부(165), 이송부(170) 및 화상 형성부(180)가 하나의 열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므로, 포토 프린터(100)의 전체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적재부(165)에는 용지가 안착된다. 용지의 크기는 소정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적재부(165)는 유격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정해진 용지 크기보다 소정 값만큼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적재부(165)는 제1 케이스(101A)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를 통해 복수 장의 용지의 좌측단, 우측단 및 후단이 지지되어, 적재부(165)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단차의 높이는 한번에 안착할 수 있는 용지의 매수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송부(170)는 급지 방향을 따라 적재부(165)의 전단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170)는 모터(171), 픽업 롤러(172), 기어 어셈블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를 급지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210)를 거쳐 화상 형성부(180)까지 이송할 수 있다. 픽업 롤러(172)는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를 급지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적재부(165)의 전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적재부(165)의 길이는 용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는 전단 일부분이 폭 방향을 따라 픽업 롤러(172) 외주면에 접함과 동시에 픽업 롤러(17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모터(171)가 구동되면, 모터(171)의 구동력이 픽업 롤러(172)로 전달되고, 픽업 롤러(172)의 회전에 의해 픽업 롤러(172) 외주면에 접한 용지가 급지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기어 어셈블리는 모터(171)와 픽업 롤러(172) 사이에 개재되어, 모터(171)의 구동력을 픽업 롤러(172)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한다. 한편, 픽업 롤러(172)가 모터(171)의 구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기어 어셈블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이송 경로의 상면 중 픽업 롤러(172)의 회전축과 대략 나란한 위치에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180)와 인접한 위치에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에서의 용지 검출 여부에 따라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개시 여부를 결정하고,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서의 용지 검출 여부에 따라 이송 경로에서의 용지 걸림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01B)의 하면, 즉, 제1 케이스(101A)의 상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가압부(200)가 장착될 수 있다. 가압부(200)는 가압 플레이트(201) 및 탄성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플레이부의 후단은 제2 케이스(101B) 후단 일측에 힌지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202)는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 일측과 제2 케이스(101B) 사이에 개재되어, 가압 플레이트(20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02)는 예컨대,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가압부(200)는 탄성부재(202)가 제2 케이스(101B)의 하단과 가압 플레이트(201) 사이에서 변형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03)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가압 플레이트(201)와 제2 케이스(101B)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203)는 탄성부재(202)가 일정 범위를 넘어서 연장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이송부(170)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의 전단을 화상 형성부(180)로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10)의 단부는 이송부(17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며, 이송부(170)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는 가이드부(210)와 이송부(170)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화상 형성부(180)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에서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는,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를 포함하는 염료계 컬러 잉크를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한 감열지일 수 있다. 이러한 용지에는 열용융성 보호부재가 컬러 잉크 층과 함께 적층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80)는 용지에 적층된 잉크층이 반응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용지에 열을 인가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화상 형성부(180)는 써멀 헤드(181), 발열 부재 및 플래튼 롤러(18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 부재는(18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방열체(183A, 183B, 183C, 183D)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 방열체(183A)는 써멀 헤드(181)의 상면에 직접 또는 절열체를 사이에 두고 접하여,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방열체(183A)의 상면 일부는 브라켓(184)에 의해 제1 케이스(101B)에 고정되며, 제1 방열체(183A)의 상면 중 브라켓(184)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부분의 상부에는 제2 방열체(183B) 및 제3 방열체(183C)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84)은 제1 방열체(183A)를 고정함과 아울러 용지에 대한 써멀 헤드(181)의 가압 강도를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방열체(183B) 및 제3 방열체(183C)는 실리콘 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속 등의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방열체(183A)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써멀 헤드(181)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방열체(183C)의 상부에는 제4 방열체(183D)가 배치될 수 있는데, 제4 방열체(183D)는 제1 내지 3 방열체(183A, 183B, 183C)를 거쳐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확산시킨다. 이를 위해, 제4 방열체(183D)는 제1 내지 3 방열체(183A, 183B, 183C)에 비하여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내지 제4 방열체(183A, 183B, 183C, 183D)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이 중 일부를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방열체(183B) 및 제3 방열체(183C)는 일체로 제작되거나, 제2 방열체(183B) 또는 제3 방열체(183C) 중 어느 하나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화상 형성부(180)에 대한 더욱 상세한 구조는 이하 도 4 등을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케이스(101A) 또는 제2 케이스(101B)에는 배출구(H)가 형성될 수 있다. 용지는 화상 형성부(180)에 의한 인쇄(즉, 화상 형성)가 가장 먼저 완료되는 전단부터 배출구(H)를 거쳐 케이스 바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100)를 외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후단이 결합된 상태(즉, 커버가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의 (b)는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후단이 분리된 상태(즉, 커버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101B)는 포토 프린터(100)의 커버로 기능할 수 있으며, 커버 고정 상태에서 용지의 이탈 내지 이물질(예, 먼지, 수분 등)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일단이 상호 힌지 결합한 상태인 경우,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타단에는 암수 형태로 맞물리는 고정 고리(102)와 고정 홈(103)이 각각 하나 이상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01A)의 외측에는 고정 고리(102)와 연결된 고정 해제 버튼(104)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해제 버튼(104)이 가압되면 고정 고리(102)와 고정 홈(103)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어, 제2 케이스(101B)의 타단이 제1 케이스(101A)의 타단으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된다.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적재부(165)에 용지를 투입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1 케이스(101A)에 고정 고리(102) 및 고정 해제 버튼(104)이 형성되고, 제2 케이스(101B)에 고정 홈(103)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제1 케이스(101A)에 고정 홈(103)에 형성되고, 제2 케이스(101B)에 고정 고리(102)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에는 각각 수용홈(105)과 삽입돌기(106)가 형성되고, 수용홈(105)의 내측에는 개폐 센서(14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의 타단이 제2 케이스(101B)의 타단과 결합하면, 제2 케이스(101B)에 형성된 삽입돌기(106)가 제1 케이스(101A)에 형성되 수용홈(105)으로 삽입된다. 삽입돌기(106)가 수용홈(105)에 삽입됨에 따라 수용홈(105) 내측에 구비된 개폐 센서(143)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개폐 센서(143)는 제1 케이스(101A)가 현재 제2 케이스(101B)에 닫힌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A)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131)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모듈(131)이 제1 케이스(101A)의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케이스(101B)에는 제1 케이스(101A)의 발광 모듈(131)에 대향하는 위치에 투과홀(10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케이스(101A)에 대한 제2 케이스(101B)의 개폐 여부에 무관하게, 제1 케이스(101A)의 발광 모듈(131)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제2 케이스(101B)의 투과홀(107)을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1 발광 모듈(131A)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화상 인쇄 중인 경우 빛을 방출하고, 화상 인쇄가 종료되면 빛의 방출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제1 발광 모듈(131A)은 소정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가 시작된 시점부터 배출구(H)를 통해 해당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가 종료된 용지가 배출될 때까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발광 모듈(131B)은 전원부(160)와 연동하여, 전원부(160)의 배터리 잔량 또는 배터리 온도에 따라 깜빡이거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발광 모듈(131B)은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색상의 빛을 방출하고, 배터리 온도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과열 상태에서 제1 색상과는 다른 제2 색상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제3 발광 모듈(131C)은 인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소정 횟수 깜빡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각 발광 모듈은 포토 프린터의 상태 또는 인쇄 과정에 관한 정보를 빛을 통해 그 밖의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전술한 발광 모듈(131)은 LED, LC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빛의 점멸 또는 빛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케이스(101A)의 일측에는 제1 조작 모듈(121), 제2 조작 모듈(122) 및 전원 포트(161)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조작 모듈(121)을 조작하여, 포토 프린터(100)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으며, 제2 조작 모듈(122)을 조작하여, 포토 프린터(100)를 리셋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포트(161)는 USB 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100)의 용지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에 도시된 A-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재부(165)의 상면에 복수개의 용지들이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재부(165)는 용지가 안착되는 상면과, 상면에 안착된 용지의 좌측, 우측 및 후단을 지지하는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적재부(165)의 길이는 용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 전단의 일부 영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70)에 구비되는 픽업 롤러(172)의 외주면과 접하게 된다. 즉, 픽업 롤러(172)는 인쇄가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적재부(165)의 기능을 일부 담당할 수도 있다.
제2 케이스(101B)의 후단이 제1 케이스(101A)의 후단에 체결되는 경우(즉, 커버 닫힘 상태), 가압 플레이트(201)의 전단은 급지 방향에 직교하는 라인 상에서 픽업 롤러(172)을 일측을 향하게 되며, 탄성부재(202)의 탄성력을 통해 픽업 롤러(172) 외주면의 일 영역을 픽업 롤러(172)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201)와 픽업 롤러(172) 사이에 위치하는 용지는 탄성부재(202)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적재부(165)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포토 프린터(100)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경우에도 용지는 가압부(200)의 가압력에 의해 적재부(165)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픽업 롤러(172)가 회전하면, 적재부(165)의 상면에 상하로 안착된 복수개의 용지 중 픽업 롤러(172)에 직접적으로 접한 용지(P1)는 픽업 롤러(172)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부(210)의 안내를 따라 화상 형성부(180)로 이송된다.
화상 형성부(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의 급지 경로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써멀 헤드(181)와 하부에 배치되는 플래튼 롤러(182)를 포함한다. 도 4의 (b)와 같이 가이드부(210)를 거쳐 화상 형성부(180)로 이송된 용지(P1)는 써멀 헤드(181)와 플래튼 롤러(182) 사이에 개재되며, 급지 방향을 따라 써멀 헤드(181)에서 방출하는 열을 인가받으면서 화상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써멀 헤드(181)는 가이드부(210)를 거쳐 이송된 용지(P1)에 열을 가하고, 열이 가해진 부분을 변색시켜 용지(P1)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써멀 헤드(181)는 기판 상에 발열 저항체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발열 저항체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발열 저항체는 급지 방향에 직교하는 라인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각 발열 저항체에는 기판에 형성된 전극이 연결되며, 제어부(190)는 각 발열 저항체를 통해 용지에 형성하고자 하는 색상에 따라 각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발열 저항체가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90)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발열 저항체를 통해 발생시킬 열을 산출하며, 산출된 열에 대응하는 전력을 각 발열 저항체로 전달하도록 전원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방열 부재(183)는 써멀 헤드(18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구성인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방열 부재(183)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래튼 롤러(182)는 써멀 헤드(181)의 하부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플래튼 롤러(182)와 발열 저항체는 급지 방향에 직교하는 라인을 따라 서로 상하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래튼 롤러(182)는 용지의 하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용지를 써멀 헤드(181)를 향하여 상부로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써멀 헤드(181)와 플래픈 픽업 롤러(172) 사이에 개재된 용지에 써멀 헤드(181)의 발열 저항체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인가될 수 있다.
이때, 플래튼 롤러(182)는 소정 속도로 회전하여, 인쇄가 완료된 용지(P1)를 배출구(H)를 통하여 포토 프린터(10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플래튼 롤러(182)의 회전은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한 것이거나,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용지와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때, 플래튼 롤러(182)의 회전 속도는, 써멀 헤드(181)에 의한 용지의 인쇄 속도에 대응되는 속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포토 프린터(100)가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써멀 헤드(18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발열 저항체(S) 각각에 대한 발열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소정의 해상도를 가지는 화상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m행 및 n열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써멀 헤드(181)에 n개의 발열 저항체(S)가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할 때, 인쇄 데이터는 b행(m≥b≥1)에 대한 인쇄 중에 a열(n≥a≥1)에 대응하는 a번째 발열 저항체(S)를 어느 정도로 발열시킬지에 대한 정보, 즉 각 발열 저항체(S)의 발열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써멀 헤드(181)로부터 급지 방향의 반대편의 소정 거리의 아래에는 픽업 롤러(172)가 배치되어 용지를 이송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픽업 롤러(172)와 근접한 위치에 제1 용지 검출 센서(141)가 배치되어, 급지 경로 상의 용지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어부(190)는 b행(m≥b≥1)의 제1 내지 n열에 대한 화상 형성이 완료되면, 모터를 통해 플래튼 롤러(182)를 인쇄 데이터의 단일 행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회전시켜, 써멀 헤드(181)가 인쇄 데이터의 다음 행(즉, b+1행)에 대응하는 부분의 화상을 용지에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1행부터 m행까지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용지에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인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동일한 화상 데이터라고 하더라도, 급지 속도(또는 인쇄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제어방법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190)는 인쇄 명령을 수신한다(S61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인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인쇄 명령에는 인쇄의 개시를 지시하는 신호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인쇄 명령에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각종 설정 정보(예, 축소 비율, 이미지 회전량, 시각 효과 등)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인쇄 명령에 포함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형성부(180)에서 처리 가능한 포맷의 인쇄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인쇄를 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픽업 롤러(17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S62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소정의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시작과 동시에, 또는 인쇄 시작 후 소정 시간(예, 써멀 헤드의 예열에 요구되는 시간)이 경과한 후에 픽업 롤러(17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픽업 롤러(172)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토크를 가지고 역방향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픽업 롤러(172)의 역방향에 대한 토크는 모터(미도시)의 토크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픽업 롤러(17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있어서, 기 설정된 속도로 기 설정된 시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190)가 픽업 롤러(17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속도와 시간은 실험을 통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한편, 단계 S620는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에 스큐(skew)가 실제 발생하였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수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만약, 용지에 스큐(skew)가 발생한 상태라면, 픽업 롤러(172)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의 후단 모서리의 일 부분부터 적재부(165)의 후측 단부면과 부딪히게 된다. 이후, 픽업 롤러(172)의 역방향 회전이 계속되어,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의 후단 모서리의 다른 부분까지 적재부(165)의 후측 단부면과 접하게 됨으로써, 용지가 적재부(165) 내에서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다.
반대로,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에 스큐(skew)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픽업 롤러의 역방향 회전과 무관하게, 용지는 적재부(165)에 대하여 비뚤어짐 없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90)는 단계 S610에서 생성한 인쇄 데이터에 따라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S630). 구체적으로, 픽업 롤러(172)에 대한 미리 정해진 속도와 시간에 따른 역방향 회전이 종료되면, 제어부(190)는 픽업 롤러(17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용지를 급지방향을 따라 이송시키고, 용지가 화상 형성부(180)까지 안내됨에 따라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열을 방출하여 소정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과정에 대한 설명은 도 5 등을 참조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가 용지의 스큐(skew)를 제거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각각 픽업 롤러(17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전과 후에 대한 용지(P1)의 상태를 보여준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7의 (a)에서는 용지(P1)에 스큐(skew)가 발생한 상태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P1)에 스큐(skew)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지(P1)의 종방향 수직축(C2)과 적재부(165)의 종방향 수직축(C1)이 서로 제1 각도(θ1)를 이루는 스큐(skew)가 발생한 상태이다. 이때, 용지(P1)의 후단 양 꼭지점(S1, S2)은 모두 적재부(165)의 후측 단차면으로부터 각각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만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용지(P1)의 스큐(skew)가 좌측을 향하고 있으므로, 제1 거리(d1)보다 제2 거리(d2)의 크기가 더 크다.
제어부(190)가 픽업 롤러(17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용지(P1)는 급지 방향의 반대측으로 우선 제1 거리(d1)만큼 이송되어, 도 7의 (b)와 같이 용지(P1)의 후단의 좌측 꼭지점(S1)부터 적재부(165)의 후측 단차면에 접하게 된다. 즉, 용지(P1)의 좌측 꼭지점(S1)과 적재부(165)의 후측 단차면의 거리는 '0'이 되고, 우측 꼭지점(S2)과 적재부(165)의 후측 단차면의 거리는 'd2-d1'이 된다.
도 7의 (b)에 도시된 상태에서, 픽업 롤러(172)의 역방향 회전이 계속됨에 따라, 용지(P1)는 좌측 꼭지점(S1)을 축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되어, 도 7의 (c)와 같이 우측 꼭지점(S2)과 적재부(165)의 후측 단차면의 거리도 '0'이 될 수 있다.
이에, 용지(P1)의 종방향 중심축(C2)과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이 이루는 각도가 점차 감소하여 도 7의 (c)와 같이 서로 일치하거나, 평행하게 위치하는 관계로 변경될 수 있다. 이후, 픽업 롤러(172)의 역방향 회전이 정방향 회전으로 전환되어, 용지(P1)가 급지방향을 따라 화상 형성부(180)까지 안내된 후 배출구(H, 도 4 참조)를 통해 배출되면, 스큐(skew)에 의한 비뚤어짐 없는 질 높은 인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용지에 실제로 스큐(skew)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인쇄 개시에 따라 픽업 롤러(172)를 항상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재부(165)에 안착되는 용지를 바르게 정렬하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용지에 스큐(skew)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픽업 롤러(172)를 통해 스큐(skew)를 제거하는 방안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제어방법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190)는 인쇄 명령을 수신한다(S81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인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인쇄 명령에는 인쇄의 개시를 지시하는 신호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인쇄 명령에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각종 설정 정보(예, 축소 비율, 회전량, 시각 효과 등)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인쇄 명령에 포함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형성부(180)에서 처리 가능한 포맷의 인쇄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인쇄를 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 의한 용지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용지에 스큐(skew)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및 발생한 스큐(skew)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는 각각 적재부(165)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를 검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는 적재부(165)의 폭 방향(또는 급지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가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는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서 모두 용지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20). 각 용지 검출 센서가 용지를 검출한 경우 '1'을 출력하고, 용지가 미검출된 경우 '0'을 출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 각각이 '1'을 출력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단계 S820의 판단 결과,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서 '1'을 출력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 또는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 중 어느 하나만이 용지를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30). 예컨대,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가 '1'을 출력하고,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는 '0'을 출력하는 경우 또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가 '0'을 출력하고,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는 '1'을 출력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인지 판단한다.
단계 S830의 판단 결과,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 또는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 중 어느 하나만이 용지를 검출한 경우, 제어부(190)는 용지에 스큐(skew)가 발생한 것으로 처리하고, 발생한 스큐(skew)의 방향을 산출한다(S840). 예컨대,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만이 용지를 검출한 경우, 제어부(190)는 스큐(skew)가 제1 방향으로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만이 용지를 검출한 경우, 제어부(190)는 스큐(skew)가 제2 방향으로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90)는 단계 S840에서 산출된 스큐(skew)의 방향에 기초하여, 픽업 롤러(172)를 제어할 수 있다(S850). 이때, 제어부(190)는 픽업 롤러(172)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토크를 가지고 역방향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픽업 롤러(172)의 역방향에 대한 토크는 모터(미도시)의 토크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픽업 롤러(172)는 제1 픽업 롤러(172A) 및 제2 픽업 롤러(17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픽업 롤러(172A) 및 제2 픽업 롤러(172B)는 적재부(165)의 폭 방향(또는 급지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픽업 롤러(172A)가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 제2 픽업 롤러(172B)는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픽업 롤러(172A)와 제2 픽업 롤러(172B)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또는 회전 속도가 상이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스큐(skew) 방향이 제1 방향인 것으로 산출된 경우, 제어부(190)는 제2 픽업 롤러(172B)의 역방향 회전량이 제1 픽업 롤러(172A)의 역방향 회전량보다 크도록 설정하여, 제1 방향의 스큐(skew)를 제거할 수 있다.
반대로, 스큐(skew) 방향이 제2 방향인 것으로 산출된 경우, 제어부(190)는 제1 픽업 롤러(172A)의 역방향 회전량이 제2 픽업 롤러(172B)의 역방향 회전량보다 크도록 설정하여, 제2 방향의 스큐(skew)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픽업 롤러(172)의 역방향 회전량이란, 회전 속도 또는 회전 시간에 따른 회전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속도가 동일한 경우 회전 시간이 증가할수록 회전량이 커질 수 있다. 또는, 회전 시간이 동일한 경우 회전 속도가 증가할수록 회전량이 커질 수 있다.
즉, 제1 픽업 롤러(172A)와 제2 픽업 롤러(172B) 각각의 회전량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용지의 종방향 중심축과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 사이의 각도가 '0'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인쇄 데이터에 따라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S860).
한편, 단계 S820의 판단 결과,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 각각이 '1'을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에 스큐(skew)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전술한 단계 S830 내지 S850를 생략하고, 인쇄 데이터에 따른 화상 형성 과정인 단계 S860을 곧바로 수행할 수 있다.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 모두가 '1'을 출력한다는 것은,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에 스큐(skew)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인쇄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미미한 스큐(skew)만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한편, 단계 S830의 판단 결과,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 둘 다 '0'을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출력부(130)를 통해 "용지 없음"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서 모두 용지를 검출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적재부(165)에 안착된 용지가 한 장도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가 용지의 스큐(skew)를 검출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의 (a) 내지 (c)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와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가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을 기준으로 각각 좌측 후단과 우측 후단에 배치되고, 제1 픽업 롤러(172A)와 제2 픽업 롤러(172B)는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을 기준으로 각각 좌측 전단과 우측 전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우선 도 9의 (a)를 참조하면, 용지(P2)가 스큐(skew) 없이 적재부(165)에 올바르게 안착된 상태를 예시한다. 이 경우, 용지(P2) 후단의 양 꼭지점(S1, S2)은 모두 적재부(165)의 후측 단차면에 이격되지 않고 접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용지(P2)의 종방향 중심축(C2)은 도시된 것처럼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관계를 가지게 된다.
스큐(skew) 없는 안착 상태에서는, 적재부(165)의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용지 검출 센서(141A, 141B)가 모두 용지(P2)에 의해 가려지고, 이에 따라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와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는 용지(P2)를 검출하여 '1'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출력되는 두 개의 '1' 신호에 기초하여 용지(P2)에 스큐(skew)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픽업 롤러에 대한 역방향 회전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도시된 바와 같이 곧바로 정방향 회전 제어를 수행하여, 용지(P2)를 급지 방향을 따라 화상 형성부(180)로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의 (b)는 용지(P2)에 제1 방향의 스큐(skew)가 발생한 상태를 예시한다. 예컨대, 제1 방향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2)의 종방향 중심축(C2)이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비뚤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의 스큐(skew)에 따라, 용지(P2)의 종방향 중심축(C2)과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는 서로 제2 각도(θ2)를 이룰 수 있다.
제1 방향의 스큐(skew)가 발생함에 따라, 용지(P2) 후단의 우측 꼭지점(S2)은 좌측 꼭지점(S1)에 비하여, 적재부(165)의 후측 단차면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를 용지(P2)를 검출하는 반면,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에서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에 의해 검출되는 용지(P2)가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는 '1'을 출력하는 반면,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는 '0'을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190)는 각 용지 검출 센서(141A, 141B)의 검출 결과를 기반으로, 용지(P2)에 발생한 스큐(skew)가 제1 방향인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c)는 용지(P2)에 제2 방향의 스큐(skew)가 발생한 상태를 예시한다. 예컨대, 제2 방향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2)의 종방향 중심축(C2)이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비뚤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의 스큐(skew)에 따라, 용지(P2)의 종방향 중심축(C2)과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는 서로 제3 각도(θ3)를 이룰 수 있다.
제2 방향의 스큐(skew)가 발생함에 따라, 용지(P2) 후단의 좌측 꼭지점(S1)은 우측 꼭지점(S2)에 비하여, 적재부(165)의 후측 단차면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는 용지(P2)를 검출하지 못하는 반면,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가 검출하지 못한 용지(P2)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는 '0'을 출력하는 반면,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는 '1'을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190)는 각 용지 검출 센서(141A, 141B)의 검출 결과를 기반으로, 용지(P2)에 발생한 스큐(skew)가 제2 방향인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가 용지에 발생한 스큐(skew)의 방향에 따라 픽업 롤러를 제어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의 (a)는 제1 방향의 스큐(skew)가 발생하였을 때, 제어부(190)에 의한 픽업 롤러(172A, 172B)의 구동을 예시한다.
스큐(skew)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용지(P2) 후단의 우측 꼭지점(S2)이 좌측 꼭지점(S1)에 비하여 적재부(165)의 후측 단차면으로부터 더 이격된다. 따라서, 제1 방향의 스큐(skew)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용지(P2)의 종방향 수직축(C2)을 기준으로 우측에 대한 역회전량이 좌측에 대한 역회전량보다 클 것이 요구된다.
제어부(190)는 제2 픽업 롤러(172B)의 역방향 회전량이 제1 픽업 롤러(172A)의 역방향 회전량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픽업 롤러(172A)의 역방향 회전량이 제1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제2 픽업 롤러(172B)의 역방향 회전량이 제1 값보다 큰 제2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제2 픽업 롤러(172B)가 제1 픽업 롤러(172A)보다 더 큰 회전 속도 또는 회전 시간을 가지고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지(P2)의 종방향 중심축(C2)과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이 이루는 제2 각도(θ2)의 크기가 점차 줄어들어 '0'이 됨에 따라,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2)의 종방향 중심축(C2)과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이 서로 대략 일치하거나 평행하게 될 수 있다.
용지(P2)의 종방향 중심축(C2)과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이 서로 대략 일치하거나 평행하게 변경되면, 두 용지 검출 센서(141A, 141B)에서 모두 용지(P2)를 검출하여 '1'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와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1' 신호를 수신하면, 두 픽업 롤러(172A, 172B)에 대한 역방향 회전 제어를 중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90)는 제1 픽업 롤러(172A) 및 제2 픽업 롤러(172B)에 정방향에 대한 동일한 회전량을 설정하여, 용지(P2)를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의 (a)에는 제1 픽업 롤러(172A)가 제1 값의 회전량만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과 불과할 뿐, 제어부(190)는 제1 픽업 롤러(172A)의 회전량을 '0'으로 설정하여, 제2 픽업 롤러(172B)만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가 용지에 발생한 스큐(skew)의 방향에 따라 픽업 롤러를 제어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의 (a)는 제2 방향의 스큐(skew)가 발생하였을 때, 제어부(190)에 의한 픽업 롤러(172A, 172B)의 구동을 예시한다.
스큐(skew)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용지(P2) 후단의 좌측 꼭지점(S1)이 우측 꼭지점(S2)에 비하여 적재부(165)의 후측 단차면으로부터 더 이격된다. 따라서, 제2 방향의 스큐(skew)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용지(P2)의 종방향 수직축(C2)을 기준으로 좌측에 대한 역회전량이 우측에 대한 역회전량보다 클 것이 요구된다.
제어부(190)는 제1 픽업 롤러(172A)의 역방향 회전량이 제2 픽업 롤러(172B)의 역방향 회전량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픽업 롤러(172B)의 역방향 회전량이 제4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제1 픽업 롤러(172A)의 역방향 회전량이 제4 값보다 큰 제3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제1 픽업 롤러(172A)가 제2 픽업 롤러(172B)보다 더 큰 회전 속도 또는 회전 시간을 가지고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지(P2)의 종방향 중심축(C2)과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이 이루는 제3 각도(θ3)의 크기가 점차 줄어들어 '0'이 됨에 따라,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2)의 종방향 중심축(C2)과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이 서로 대략 일치하거나 평행하게 될 수 있다.
용지(P2)의 종방향 중심축(C2)과 적재부(165)의 종방향 중심축(C1)이 서로 대략 일치하거나 평행하게 변경되면, 두 용지 검출 센서(141A, 141B)에서 모두 용지를 검출하여 '1'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용지 검출 센서(141A)와 제2 용지 검출 센서(141B)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1' 신호를 수신하면, 두 픽업 롤러(172A, 172B)에 대한 역방향 회전 제어를 중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90)는 제1 픽업 롤러(172A) 및 제2 픽업 롤러(172B)에 정방향에 대한 동일한 회전량을 설정하여, 용지(P2)를 급지 방향을 따라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1의 (a)에는 제2 픽업 롤러(172B)가 제4 값의 회전량만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과 불과할 뿐, 제어부(190)는 제2 픽업 롤러(172B)의 회전량을 '0'으로 설정하여, 제1 픽업 롤러(172A)만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 6 내지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터(100)에서, 제어부(190)는 픽업 롤러(172)에 대한 역방향 회전 제어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회전량만큼 픽업 롤러(17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중단하고, 다시 미리 정해진 회전량만큼 픽업 롤러(17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소정 횟수 되풀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지의 정렬에 대한 확실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스큐(skew)가 제거될 때까지, 픽업 롤러(172A 또는 172B)에 대한 역방향 회전 제어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두 용지 검출 센서(141A, 141B)로부터 모두 '1'이 출력될 때까지, 두 픽업 롤러(172A 또는 17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역방향 회전 제어를 계속할 수 있다.
만약, 스큐(skew) 제거를 위한 역방향 회전 제어가 수행된 후, 픽업 롤러(172)에 대한 정방향 회전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역방향 회전 제어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정방향으로의 회전 속도 또는 화상 형성부(180)를 통한 화상 형성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용지 정렬을 위해 소요된 시간을 보상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이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따른 포토 프린터(100)의 제어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포토 프린터 101A: 제1 케이스
101B: 제1 케이스 110: 통신부
111: 근거리통신 모듈 112: 유선 통신 모듈
120: 조작부 121: 제1 조작 모듈
122: 제2 조작 모듈 130: 출력부
131: 발광 모듈 132: 디스플레이 모듈
133: 햅틱 모듈 134: 음향 모듈
140: 센싱부 141: 용지 검출 센서
142: 온도 센서 143: 개폐 센서
144: 수평 센서 150: 메모리
160: 전원부 165: 적재부
170: 이송부
171: 모터 172: 픽업 롤러
180: 화상 형성부 181: 써멀 헤드
182: 플래튼 롤러 183: 방열 부재
184: 브라켓
190: 제어부 200: 가압부
201: 가압 플레이트 202: 탄성부재
203: 스토퍼 210: 가이드부
211: 경사면 212: 진동 모듈
H: 배출구 S: 발열 저항체

Claims (13)

  1. 용지가 안착되는 적재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부에 안착된 용지를 이송하는 픽업롤러; 및
    소정의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개시 시, 상기 픽업롤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업롤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속도와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에 안착되는 용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용지 검출 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검출 센서는,
    제1 용지 검출 센서; 및
    상기 적재부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용지 검출 센서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용지 검출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용지 검출 센서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스큐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용지 검출 센서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 중 어느 하나에서 용지가 미검출된 경우, 상기 용지에 스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에 스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픽업롤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에 스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용지에 발생한 스큐가 해소될 때까지 상기 픽업롤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용지 검출 센서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발생한 스큐의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용지 검출 센서에서만 용지가 검출된 경우, 상기 용지에 제1 방향의 스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용지 검출 센서에서만 용지가 검출된 경우, 상기 용지에 제2 방향의 스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는,
    제1 픽업롤러; 및
    상기 적재부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픽업롤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픽업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에 발생한 스큐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픽업롤러 또는 제2 픽업롤러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에 발생한 스큐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상기 제2 픽업롤러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 픽업롤러의 회전 속도보다 크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제2 픽업롤러의 회전 시간이 상기 제1 픽업롤러의 회전 시간보다 크도록 설정하고,
    상기 용지에 발생한 스큐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상기 제1 픽업롤러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2 픽업롤러의 회전 속도보다 크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제1 픽업롤러의 회전 시간이 상기 제2 픽업롤러의 회전 시간보다 크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KR1020150020422A 2015-02-10 2015-02-10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7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422A KR20160097928A (ko) 2015-02-10 2015-02-10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422A KR20160097928A (ko) 2015-02-10 2015-02-10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928A true KR20160097928A (ko) 2016-08-18

Family

ID=5687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422A KR20160097928A (ko) 2015-02-10 2015-02-10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9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723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7973816B2 (en) Mobile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700403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paper feeding cassette installing device
KR20170070645A (ko) 휴대용 프린터
KR20160104297A (ko) 포토 프린터
KR20160097927A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7928A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US8643688B1 (en) Printing device
JP5258401B2 (ja) プリンタ
KR20160097930A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US10987956B2 (en) Tray, adapter, and printing apparatus
US20110310156A1 (en) Moving print media in a printer
JP2017098717A (ja) 画像読取装置
US7483668B2 (en) Method for achieving accurate page margins on a media and duplex imaging apparatus thereof
KR20160097929A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US20120038728A1 (en) Printing device with marking function
JP4881243B2 (ja) ディスクレーベルプリンタ
JP7206634B2 (ja) 印刷装置
KR20160104465A (ko) 열 반응 시트
JP2018104155A (ja) シート搬送装置
JP481789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22011683A (ja) 画像読取装置
JP4881244B2 (ja) ディスクレーベルプリンタ
JP2021122958A (ja) インクカセットおよびプリンタ
JP5384048B2 (ja) カード処理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