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321A -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321A
KR20170068321A KR1020150175375A KR20150175375A KR20170068321A KR 20170068321 A KR20170068321 A KR 20170068321A KR 1020150175375 A KR1020150175375 A KR 1020150175375A KR 20150175375 A KR20150175375 A KR 20150175375A KR 20170068321 A KR20170068321 A KR 20170068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aser beam
hole
slav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2051B1 (ko
Inventor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Original Assignee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filed Critical 임성규
Priority to KR102015017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0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40Golf cups or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505Hole information stands, e.g. tee-box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86Timers, rhythm indicators or pac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을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을 통해 공중(하늘)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서, 홀핀방향 확인요구에 따라 홀핀(8)의 상방의 공중(하늘)에 원격작동단말(10)에서 조사되는 가시광 레이저빔(12)을 조사함으로써 골퍼가 홀핀방향을 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골프장에서 골퍼가 타격할 위치에 있는 골프공에서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마스터 휴대단말(6), 슬레이브 단말(16),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과 같은 3대 이상의 단말을 이용한 삼각측량방식으로 측정한 후 측정거리를 홀핀 상방의 공중에 가시광 레이저빔(12)으로 조사하여 레이저빔이나 숫자 등과 같은 레이저빔 가식표식(14)으로 공중(하늘)에 표현해 줌으로써 골퍼가 편리하고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 홀핀(8)의 위치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DIRECTION OF HOLE PIN AND DISTANCE BETWEEN GLOF BALL TO HOLE CUP}
본 발명은 골프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장에서 골퍼가 있는 골프공 위치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편리하게 제공해 주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골프의 인기가 높고 국제 대회에서 우리나라 골프선수들의 선전과 아울러 건강에 대한 관심까지 더해지면서 우리나라의 골프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골프는 공을 가지고 경기하는 운동중에서 가장 자연과 가깝고 그라운드가 대단히 넓고 다양한 지형과 주위 환경에서 할 수 있는 유일한 운동이다.
통상적인 공식 골프코스는 티그라운드, 페어웨어, 러프, 그린, 홀, 다수의 해저드 및 벙커가 구비된 18홀이 기본이며, 18홀은 롱홀(long hole) 4개과 미들홀(middle hole) 10개와 숏홀(short hole) 4개로 구성된다.
숏홀은 티잉 그라운드(teeing ground)의 티샷지점으로부터 퍼팅그린의 홀컵(hole cup)까지의 거리가 대개 229미터 이하, 미들홀은 230미터 내지 430미터, 롱홀은 431미터 이상이다.
골퍼들은 숏홀인 경우에는 1타만에 퍼팅그린 위에 골프공을 올려 놓을 수 있으나 미들홀이나 롱홀의 경우에는 티샷한 골프공을 300미터이상 보내기가 쉽지 않다. 대개가 실수를 최소한 줄이는 티샷을 하게되므로 일류 프로골퍼라할지라도 평균 티샷거리는 270미터 내지 280미터에 머무른다. 프로골퍼에 버금가는 아마추어의 경우는 240미터 내지 250미터 정도까지 티샷 볼을 보낼 수 있다.
그러므로 미들홀이나 롱홀에서 티샷을 하고 그 다음 샷(두번째 또는 세번째 샷)을 할 때나 또는 숏홀에서 티샷(또는 두번째 샷)을 할 때에는 가깝게는 백 수십미터 멀게는 이백 수십미터나 되는 먼거리에서 퍼팅그린의 홀컵에 꽂혀 있는 홀핀의 최상단 깃발을 확인하고 샷을 하게 된다.
골프코스는 백 수십미터의 코스로부터 수백미터(300~500M) 정도까지나 되는 다양한 넓은 코스에서 경기를 하기 때문에 지형의 높낮이나 굴곡 그리고 나무(코스 자체내 환경) 등으로 인해 현재 골프공이 놓인 지점의 관점에서 홀핀이 보이지 않는 코스가 여럿 있을 수 있고 실제로도 있다. 이러한 코스를 골퍼들은 더 재미있어 하고 또 매력적인 코스로 여기는 경향도 있다.
이러한 골프코스에서 경기를 진행할 때 골퍼가 골프공의 현재 위치에서 홀핀이 어느 방향에 있는지를 제일 먼저 궁금해 한다. 홀핀의 방향을 알기 위해 경기 보조원에게 물으면 예컨대 저기 큰 나무가 있는 방향이라던가 야간 조명탑을 보고 샷을 하라는 등의 대답을 듣는데 경기보조원들은 대부분 그린의 방향을 대략적으로 말해주는바, 골퍼 본인이 홀핀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여 홀핀에 좀더 가깝고 정확한 샷을 하고 싶은 것이 골퍼들의 보편적인 심리이기에 홀핀의 위치를 직접 확인 못하면 답답한 마음을 갖게 된다. 그래서 골퍼들은 언덕이나 나무 등으로 홀핀이 보이질 않을 때 골프공이 있는 곳에서 홀핀 쪽의 방향이나 골프공이 있는 곳에서 좌우로 길게는 십수미터를 움직이면서도 홀핀방향을 확인하고 샷을 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이다. 불확실하게 대충 방향을 잡고 샷을 하기보다는 확실한 방향을 확인하고 샷을 하려는 것이 골퍼의 공통적인 심리상태인 것이다.
모든 운동이 다 심리적(정신적)인 면이 중요하지만 골프스윙은 골퍼 자신은 모르나 심리적 요소가 골프스윙에 특히 영향을 많이 미치게 된다. 또한 보통 홀컵에는 2~3미터 높이의 홀핀이 꽂혀 있는데 홀핀 상단부에는 골퍼들에게 잘 식별되도록 밝은 색깔의 천(섬유)재질 깃발을 달아 놓는다. 그렇지만 이러한 깃발은 지형 또는 기후 환경적 요인으로 잘보이지 않을 경우가 수시로 생긴다.
골퍼들은 날아가는(flying) 골프공이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바람이 부는 것을 매우 싫어하지만 깃발은 바람에 휘날려야 잘 보이는 특성이 있다. 만일 바람이 불지 않게 되면 홀핀의 깃발이 축쳐져서 식별능력을 상실하게 되며, 또 깃발주위의 색(色) 환경적 요인(단풍이나 꽃의 만개 등), 거리가 150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서 봐야하는 시력이 약하거나 새벽이나 옅은 안개 또는 야간 조명을 이용한 경기를 할 경우 등에는 깃발이 잘 보이지 않아 홀핀 확인에 대한 애로가 비일비재하다.
또한 이러한 골프 경기를 진행함에 있어 골퍼가 골프공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파악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즉, 골퍼가 골프공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컵까지의 잔여 거리를 정확하게 알아야만 그에 적합한 골프채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기존에는 골프코스를 잘 아는 경기보조원(캐디)에게 묻거나 거리표시용 고정 구조물 등에 근거한 골퍼 본인의 눈대중으로 골프공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잔여 거리를 가늠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골프채를 선택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게 된다. 그러나 캐디의 경험이나 골퍼의 눈대중 등으로 측정하는 홀컵까지의 잔여 거리가 실제 거리와 차이나는 것이 즉 거리에 대한 착각이 일어나는 것이 상식적인 것이다. 그러한 연고로 대부분의 프로 골퍼들은 일정한 거리 예컨대 20~30미터 정도는 수고롭게 직접 답사를 하고 샷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홀컵까지의 잔여 거리에 대한 오측정으로 인해서 타격되어진 골프공이 목표지점로부터 너무 멀리 보내지거나 또는 짧게 보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오측정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인해서 플레이 시간도 길어지게 된다.
골퍼가 골프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게임을 즐기고 경기내용도 개선하도록 하는 기술 지원(플레이 속도를 높여보려는 차원)의 하나로 거리측정을 로컬룰로 허용하기에 이르렀고, 이에 따라 골프공에서 홀컵까지의 잔여 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해서 골퍼에게 알려주는 골프장 거리 측정기가 개발되어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일예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거리측정기이다.
GPS를 이용한 거리측정기는 골프 게임을 하기 전에 먼저 각각의 홀 내에 설치되는 홀 컵의 위치정보들을 기기마다 저장하여야 한다. 그런데 골프장의 각각의 홀 내에서 홀 컵의 위치는 어느 한 곳에 고정 매설되는 것이 아니다. 홀컵이 어느 한 곳에만 매설된 상태로 골퍼들이 많이 사용하게 되면 홀컵 주위의 잔디가 죽어버리기 때문에, 관리자는 적절한 시기에 홀 컵의 위치를 임의 변경하게 된다.
그런데 홀 컵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GPS를 이용하는 거리 측정기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지도 상에 홀 컵의 위치를 재설정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며, 실제 운영상 금방 반영도 되지 않기 때문에 거리측정에 오차가 많이 생긴다. 또 거리측정기에 수신되는 GPS 정보에도 오차가 있으므로 골퍼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도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 거리측정기로 측정거리가 표시부에 표시되더라도 노안 등으로 시력이 나쁘면 쉽게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는 불리함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900068호 "골프장의 핀위치 확인장치 및 그에서의 발광구 등록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장에서 골퍼가 타격할 위치에 놓인 골프공에서 홀핀까지의 정확한 방향이나 홀컵위치까지의홀컵까지의리하게 제공해 주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제공방법에 있어서,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24)를 갖는 마스터 휴대단말(6)이나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52)를 갖는 슬레이브단말(16)이 포함된 두대 이상을 골퍼나 경기보조원이 포함된 휴대사용자(4)들에게 휴대케 하고, 홀컵(7)에 꽂히는 홀핀(8)에는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43) 및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갖는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을 장착하는 제1 과정과,
마스터 휴대단말(6)의 ID설정부(22)를 통해 마스터 휴대단말(6), 슬레이브단말(16) 및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의 삼각측량 원리로 거리측정을 원하는 단말들마다 ID를 설정하는 제2 과정과,
골퍼가 휴대한 단말(6)(16)을 이용해 홀핀방향 확인을 요구하면 요구한 단말이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로 홀핀방향 확인에 대응된 명령을 무선송신하는 제3 과정과,
홀핀방향 확인에 대응된 명령이 수신됨에 따라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은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통해 가시광 레이저빔(12)을 수직방향으로 공중 조사하여 홀핀(8)의 방향을 가시적 표시하는 제4 과정과,
골퍼가 휴대한 단말(6)(16)을 이용해 홀컵까지의 거리측정을 요구하면 ID설정된 단말들간에 삼각 측량원리의 정보전송으로 단말을 탐색하여 다수 단말(6)(10)(16)로부터 오는 단말 응답고유번호와 RF전계강도에 의한 거리를 측정하되 거리측정 요구한 골프공 위치의 단말로부터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까지의 잔여거리를 측정하고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로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정보를 무선전송하는 제5 과정과,
ID설정된 단말로부터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은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통해 가시광 레이저빔(12)을 공중 조사하여 홀핀(8)까지의 잔여거리를 가시적으로 공중 표시하는 제6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장치에 있어서,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24)를 갖는 마스터 휴대단말(6)이나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52)를 갖는 슬레이브단말(16)이 포함된 두대 이상을 골퍼나 경기보조원이 포함된 휴대사용자(4)들에게 골프장내에서 휴대케 함과 동시에, 홀컵(7)에 꽂히는 홀핀(8)에는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43) 및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갖는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을 장착하게 구성하며,
상기 마스터 휴대단말(6)은,
내부의 ID설정부(22)를 통해 마스터 휴대단말(6), 슬레이브단말(16) 및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의 삼각측량 원리로 거리측정을 원하는 단말들마다 ID를 설정하고, 근처의 슬레이브단말(16)로부터의 무선수신이나 내부 입력부를 통해 방향확인을 요구함에 따라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로 홀핀방향 확인에 대응된 명령을 무선송신하고, 근처의 슬레이브단말(16)이나 내부 입력부를 통해 거리측정을 요구하면 ID설정된 단말들간에 삼각 측량원리의 정보전송으로 단말을 탐색하여 다수 단말(6)(10)(16)로부터 오는 단말 응답고유번호와 RF전계강도를 이용하여 거리측정 요구한 마스터 휴대단말(6)로부터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까지의 잔여거리를 측정하고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로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정보를 무선전송케 구성하고,
상기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은,
홀핀방향 확인에 대응된 명령이 마스터 휴대단말(6)로부터 수신되면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통해 가시광 레이저빔(12)을 수직방향으로 공중 조사하여 홀핀(8)의 방향을 가시적 표시하고, 마스터 휴대단말(6)로부터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정보가 수신되면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이용해서 레이저빔 가식표식(14)을 가시광 레이저빔(12)의 공중 조사로 홀핀(8)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공중에 이미지 표현하여서 휴대사용자(4)가 있는 현재 골프공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휴대사용자(4)가 인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골프장에서 골퍼가 타격할 위치에 있는 골프공에서 홀컵 위치까지의 잔여 거리를 바로 측정한 후 측정거리를 홀핀 상방의 공중에 가시광 레이저빔으로 조사함으로써 비록 골퍼가 홀핀이 잘 보이지 않더라도 가시광 레이저빔을 이용해 홀핀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 레이저빔을 이용해 숫자 등과 같은 레이저빔 가식표식으로 측정거리를 공중에 표현해 줌으로써 골퍼가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레이저 표시 홀핀은 어떠한 지형이나 나무 등 주위 환경 등의 높이의 장애요소가 있어도 수직으로 수십미터 혹은 수백미터의 높이까지도 레이저빔이 올려져 정확한 홀핀의 방향을 알려주고 홀컵까지의 잔여거리에 대한 정보도 골퍼에게 알려 줄 수 있으며, 일기가 불순할 경우에는 더욱 큰 장점을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을 위한 골프코스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골퍼나 경기보조원과 같은 휴대사용자가 지닌 마스터 휴대단말의 사시 구성도,
도 3은 골퍼에게 제공될 수 있는 웨어러블기기인 슬레이브 단말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을 갖는 홀핀의 사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골퍼나 경기보조원과 같은 휴대사용자가 갖는 마스터 휴대단말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골퍼나 경기보조원과 같은 휴대사용자가 착용하는 슬레이브 단말(웨어러블기기)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홀핀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을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을 위한 골프코스에서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골퍼가 타격할 위치에 있는 골프공(2)에서 홀컵(7)의 위치 즉 홀컵(7)에 꽂힌 홀핀(8) 방향을 알려주되,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의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통해서 홀핀(8) 상방의 높은 공중(하늘)에 가시광 레이저빔(12)을 조사해주어서 지형이나 나무 등과 같은 시야 방해물에 지장을 받지 않고 골퍼가 홀핀방향을 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골퍼와 같은 휴대사용자가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요구함에 따라 3대 이상의 단말 즉 마스터 휴대단말(6),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 슬레이브 단말(16)등을 이용한 삼각측량방식으로 계산하여 획득한 샷 측정거리를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이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이용해 공중(하늘)에 가시광 레이저빔(12)을 조사하되 도 1에서와 같이 가시적으로 숫자 등의 레이저빔 가식표식(14)이 공중(하늘)에 나타나도록 표현해 줌으로써 골퍼가 홀핀(8)까지의 잔여 거리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골퍼나 경기보조원 중의 휴대사용자(4)에 제공되는 마스터 휴대단말(6)과, 홀핀(8) 위치에 장착되며 가시광 레이저빔(12)을 공중 조사함과 동시에 삼각측량에 이용되는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을 구비하며, 또 3대 이상의 단말을 이용한 삼각측량이나 홀핀방향 확인요구에 이용되는 웨어러블기기인 슬레이브 단말(16)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ISM(Industrial Science Medical)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나 무선수신기를 장착한 3대 이상의 단말들을 골프장에 있는 골퍼나 경기보조원과 같은 휴대사용자에게 휴대케 하고, 그리고 골프장에서 3대 이상의 단말을 이용한 ISM대역의 삼각측량방식으로 골프공(2)이 있는 마스터 휴대단말(6)로부터 홀핀(8)까지의 잔여 거리를 측정케 한다.
ISM 대역(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은 미국에서 규정한 FCC 규약에 산업 과학 및 의료용으로 할당된 대역으로서, 900MHz(902MHz ~ 928MHz), 2.4GHz(2.4GHz ~ 2.4835GHz), 5.8GHz(5.725GHz ~ 5.825GHz) 등이 있다. 이러한 ISM 대역은 라이센스가 필요 없는 대역이므로 무료로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고 전세계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설치가 간단하며 자유로운 이동 배치가 가능한 소규모 네트웍을 구성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ISM 대역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무선 LAN 표준에는 2.1 Bluetooth, HomeRF, IEEE802.11, IrDA, HIPERLAN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6)(10)(16)에 장착한 무선칩 형태의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 및 무선수신기는 2.45G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2.45GHz의 ISM 주파수 대역은 다른 주파수 대역과 달리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주파수 특성상 안테나를 소형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주파수 대역이다.
본 발명에서는 골퍼의 골프공(2) 위치에서부터 홀핀(8)까지의 잔여거리 즉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단말(6)(10)(16)에 장착된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 및 무선수신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되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의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도 7의 43)는 필수로 포함하여서 3대 이상의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 및 무선수신기를 이용한 삼각측량방식으로 계산하고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측정한다.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은 홀핀(8)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골프장에 단말을 휴대한 사람 경기보조원이나 골퍼를 포함한 휴대사용자(4)가 최소 두 명만 있어도 삼각측량방법이 가능하다. 한조를 이룬 여러 명의 단말(6)(16) 휴대한 골퍼가 해당 홀의 필드에 흩어져 자신의 골프공 주위에 있는 경우에는 삼각측량을 하기가 훨씬 수월하다.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의 무선신호는 프리엠블(Preamble), 싱크워드(Sync word), 렝스(Length), 어드레스(address), ID, CRC 등으로 구성되어,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 수신기로 그 신호가 송신된다.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 수신기에서는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 프로세스를 통해 캐리어 신호와 응답신호를 구분하고 송신기의 ID정보와 RSSI 값을 추출하게 되고 RSSI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추정하게 된다. RSSI 신호를 바탕으로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레인징 방식의 개념을 사용하여 3대 이상의 수신기에서 같은 프로세스를 반복하여 삼각측량 방법으로 계산함으로써 위치정보를 추정하게 된다. 송신기의 수신기 사이의 거리는 수신기에서 얻어진 RSSI 값을 바탕으로 삼각측정을 위한 소정의 수식에 대입하여 거리를 미터 단위로 환산하여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24)를 갖는 마스터 휴대단말(6)이나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52)를 갖는 슬레이브단말(16)이 포함된 두대 이상을 골퍼나 경기보조원이 포함된 휴대사용자(4)들에게 휴대케 하고, 홀컵(7)에 꽂히는 홀핀(8)에는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43) 및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갖는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을 장착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ISM대역을 사용하므로 250미터 이하까지는 삼각측량에 의한 잔여거리 측정이 가능하지만, 그 거리를 넘어서면 잔여거리의 측정 성공확률이 많이 낮아진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250미터를 넘어서 잔여거리 측정이 불가능해도 단말(6)(16)에 내장된 무선송수신부(26)를 이용한 원격제어로 홀핀방향의 확인은 언제든 가능케 해주며, 250미터 이내에서의 홀핀방향 확인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골퍼나 경기보조원과 같은 휴대사용자(4)가 지닌 마스터 휴대단말(6)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마스터 휴대단말(6)의 회로블록 구성도이다.
마스터 휴대단말(6)은, 휴대단말 마스터제어부(20), ID설정부(22),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24), 무선송수신부(26), 버튼입력부(28), 표시부(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마스터 휴대단말(6)의 구성에서, ID설정부(22)는 삼각측량 원리로 거리측정을 원하는 단말(6)(10)(16)들마다 ID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이고,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24)는 삼각측량 원리로 거리측정을 위해 이용되는 무선부이다. 그리고 무선송수신부(26)는 휴대사용자(4)의 요구에 따른 홀핀방향 확인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등에 이용된다. 그리고, 버튼입력부(28)는 휴대사용자(4)의 홀핀방향 및 거리측정 요구나 측정거리 확인요구를 입력하는 수단이고, 표시부(30)는 홀컵까지의 잔여 거리측정값 표시나 모드선택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터치스크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구비되는 마스터 휴대단말(6)은 거리측정을 원하는 단말들 간의 ID설정을 위한 주체임과 동시에 휴대사용자(4) 위치의 골프공(2)에서 홀핀(8)까지의 방향확인과 홀컵(7)까지의 거리측정을 요구하는 수단이 된다.
도 3은 골퍼에게 제공될 수 있는 웨어러블기기인 슬레이브 단말(1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슬레이브 단말(10)의 회로블록 구성도이다.
슬레이브 단말(10)은 슬레이브 제어부(50),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52), 마스터 휴대단말(6)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부(54), 버튼입력부(8), 표시부(18)를 포함한다. 그리고, 버튼입력부(8)는 휴대사용자(4)의 홀핀방향 및 거리측정 요구나 측정거리 확인요구를 입력하는 수단이고, 표시부(18)는 홀컵까지의 잔여 거리측정값 등의 표시나 모드선택을 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러한 슬레이브 단말(10)은 마스터 휴대단말(6)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삼각측량이나 홀핀방향 확인을 위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을 갖는 홀핀(8)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7은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의 회로블록 구성도이다.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은, 원격슬레이브제어부(40),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43), 무선송수신부(44), 레이저가공부(46), 가시광레이저빔 조사부(48)를 포함한다.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에서,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43)는 삼각측량 원리로 거리측정을 위해 이용되는 무선부이며, 무선송수신부(44)는 휴대사용자(4)의 요구에 따른 홀핀방향 확인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등에 이용된다.
그리고, 레이저 가공부(46)는 원격슬레이브제어부(40)의 제어 하에 휴대사용자(4)가 거리측정값 인식 및 홀핀의 방향인식이 가능한 형태로 빔 조합 및 가공하여서 가시광 레이저빔(12)을 쏘거나 레이저빔(12)을 이용해 레이저 표식정보를 형성한다. 가시광레이저빔 조사부(48)는 가시광 레이저빔(12)을 조사하는 수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홀핀방향 확인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을 위한 제어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24)를 갖는 마스터 휴대단말(6)이나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52)를 갖는 슬레이브단말(16)이 포함된 두대 이상을 골퍼나 경기보조원이 포함된 휴대사용자(4)들에게 휴대케 하고, 홀컵(7)에 꽂히는 홀핀(8)에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43) 및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갖는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을 장착한다(도 8의 100단계).
휴대사용자(4) 위치의 골프공(2)에서 홀핀(8)까지의 거리측정 요구는 마스터 휴대단말(6)이나 슬레이브단말(16)의 버튼입력부(28)(9)를 이용해 수행할 수 있으며, 그전에 마스터 휴대단말(6)의 ID설정부(22)를 통해 마스터 휴대단말(6), 슬레이브단말(16) 및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중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을 필수 포함하는 삼각측량 원리로 거리측정을 원하는 단말들마다 ID를 설정하는 절차를 거친다(도 8의 102단계).
본 발명에서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는 220미터 내에서 측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티그라운드에서는 거리측정요구를 잘 하지 않을 것이며, 티그라운드에서 티샷을 한후 필드에 골프공에 안착하게 되면 그 다음부터는 골퍼가 마음대로 거리측정을 요구하거나 홀핀방향 확인 요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퍼가 휴대한 단말(6)(16)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홀핀방향 확인을 요구하면 요구한 단말이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로 홀핀방향 확인에 대응된 명령을 무선송신한다(도 8의 104단계). 상기 요구한 단말이 마스터 휴대단말(6)이면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로 명령을 바로 무선송신하고, 상기요구한 단말이 슬레이브 단말(16)이면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로 바로 명령을 전송하거나 근처의 마스터 휴대단말(6)을 경유하여서 명령을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홀핀방향 확인에 대응된 명령이 수신됨에 따라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은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통해 가시광 레이저빔(12)을 수직방향으로 공중 조사하여 홀핀(8)의 방향을 가시적 표시한다(도 8이 106단계).
다른 일예로서, 골퍼가 휴대한 단말(6)(16)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거리측정을 요구하면 ID설정된 단말들간에 삼각 측량원리의 정보전송으로 단말을 탐색하여 다수 단말(6)(10)(16)로부터 오는 단말 응답고유번호와 RF전계강도에 의한 거리를 측정하되 거리측정 요구한 마스터 휴대단말(6)로부터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까지의 잔여거리를 측정하고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로 잔여거리 측정정보를 무선전송한다(도 8의 108단계).
거리측정 요구한 단말(6)(16)이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을 완료함에 따라 잔여거리 측정정보를 거리측정 요구한 단말(6)(16)의 표시부(30)로 표시하는 과정을 선택사항으로 가진다(도 8의 110단계).
그리고,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은 마스터 휴대단말(6)이나 슬레이브 단말(16)로부터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정보가 수신되거나 자신의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43)로부터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통해 가시광 레이저빔(12)을 공중 조사하여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가시적으로 공중 표시한다(도 8의 112단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의 원격슬레이브제어부(40)는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43)나 무선송수신부(44)를 통해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정보가 인가되면,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정보를 레이저 가공부(46)로 제공한다.
그에 따라 레이저 가공부(46)는 골퍼와 같은 휴대사용자(4)가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인식하거나 홀핀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빔 조합 및 가공하여서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로 전달하고,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는 가시광 레이저빔(12)을 공중(하늘)에 조사함으로써 공중(하늘)에 레이저 표식정보(14)가 형성되게 한다.
레이저 가공부(46)는 가시광 레이저를 이용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일예로, 레이저표식정보 가공부(46)는 레이저빔 3D형성기술로 레이저로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공기중의 산소와 질소를 플라즈마로 만들어 도 1의 "130M"와 같은 레이저빔 가식표식(14)이 플라즈마에 표현되도록 하는 레이저 표식정보를 만든다. 상기 플라즈마의 형성 위치도 레이저 가공부(46)에서 정해진다.
다른 일예로, 레이저표식정보 가공부(46)는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가 다수의 레이저포인터들을 선택 사용하여서 도 1의 "130M"와 같은 레이저빔 가식표식(14)이 표현되도록 하는 레이저표식정보를 형성한다.
또 다른 일예로, 레이저표식정보 가공부(46)는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가 갖는 다수의 레이저포인터들을 사용 갯수 제어하거나 레이저빔 색상의 선택적 표현으로 도 1의 "130M"와 같은 레이저빔 가식표식(14)이 표현되도록 하는 레이저표식정보를 형성한다. 레이저빔의 색상은 군청, 파란색그린, 노란, 적색, 주황색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한가지 색상은 백단위를, 다른 한가지 색상은 십단위를, 마지막 한가지 색상은 일단위를 나타내고, 각 단위의 숫자는 빔 갯수로 표현할 수 있다. ;
상기와 같이 레이저 가공부(46)에서 형성된 레이저 표식정보는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에 제공되며,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는 레이저표식정보 가공부(46)에 의해 가공된 레이저 표식정보를 휴대사용자(4)가 인식이 가능한 형태의 가시광 레이저빔(12)을 수직방향의 허공에 쏴올려 가시광 레이저빔(12)에 의한 홀핀방향 표시와 아울러 도 1의 "130M"와 같은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나타내는 레이저빔 가식표식(14)이 표현되도록 한다.
가시광 레이저빔(12) 및 레이저빔 가식표식(14)은 공기중 먼지나 연기, 안개 등과 같은 부유물이 많을수록 더욱 잘보이게 되므로, 새벽과 같이 안개가 있어 홀핀(8)을 식별하기 어려울 경우에 아주 유용하다.
골퍼는 홀핀(8)의 상방(즉 수직방향)으로 쏴올려져 공중에 형성된 가시광 레이저빔(12)이나 그에 의해 형성된 레이저빔 가식표식(14)을 보기만 해도 현재 골프공(2) 위치에서의 홀핀 방향은 물론이고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아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으로 언급한 종래의 홀핀 발광장치는 지형이나 나무의 높낮이에 따라 보일 수도 있고 안보일 경우도 있는데, 본 발명은 지형의 높낮이나 지형 및 나무 상태와 상관없이 정확하게 홀핀의 방향을 표시해주고 홀컵까지의 잔여 거리도 표시해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 골프공 (4)-- 휴대사용자
(6)-- 마스터 휴대단말 (7)-- 홀컵
(8)-- 홀핀
(10)--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 (12)-- 가시광 레이저빔
(14)-- 레이저빔 가시표식 (16)-- 슬레이브 단말
(18)-- 터치스크린 (19)-- 버튼입력부
(20)-- 휴대단말 마스터제어부 (22)-- ID설정부
(24)--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 (26)-- 무선송신부
(28)-- 버튼입력부 (30)-- 표시부
(40)-- 원격슬레이브제어부 (42)-- 자체 거리측정부
(43)-- 측정관련 무선송수신부 (44)-- 무선송수신부
(46)-- 레이저 가공부 (48)--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
(50)-- 슬레이브 제어부 (52)--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
(54)-- 근거리 무선통신부

Claims (5)

  1.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제공방법에 있어서,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24)를 갖는 마스터 휴대단말(6)이나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52)를 갖는 슬레이브단말(16)이 포함된 두대 이상을 골퍼나 경기보조원이 포함된 휴대사용자(4)들에게 휴대케 하고, 홀컵(7)에 꽂히는 홀핀(8)에는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43) 및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갖는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을 장착하는 제1 과정과,
    마스터 휴대단말(6)의 ID설정부(22)를 통해 마스터 휴대단말(6), 슬레이브단말(16) 및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의 삼각측량 원리로 거리측정을 원하는 단말들마다 ID를 설정하는 제2 과정과,
    골퍼가 휴대한 단말(6)(16)을 이용해 홀핀방향 확인을 요구하면 요구한 단말이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로 홀핀방향 확인에 대응된 명령을 무선송신하는 제3 과정과,
    홀핀방향 확인에 대응된 명령이 수신됨에 따라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은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통해 가시광 레이저빔(12)을 수직방향으로 공중 조사하여 홀핀(8)의 방향을 가시적 표시하는 제4 과정과,
    골퍼가 휴대한 단말(6)(16)을 이용해 거리측정을 요구하면 ID설정된 단말들간에 삼각 측량원리의 정보전송으로 단말을 탐색하여 다수 단말(6)(10)(16)로부터 오는 단말 응답고유번호와 RF전계강도에 의한 거리를 측정하되 거리측정 요구한 골프공 위치의 단말로부터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까지의 잔여거리를 측정하고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로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정보를 무선전송하는 제5 과정과,
    ID설정된 단말로부터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은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통해 가시광 레이저빔(12)을 공중 조사하여 홀핀(8)까지의 잔여거리를 가시적으로 공중 표시하는 제6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과정은, 거리측정 완료가 수신됨에 따라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이 가시광 레이저 조사부(48)를 통해 가시광 레이저빔(12)을 수직방향으로 공중조사하되 거리에 대응된 색상을 갖는 레이저빔을 공중 조사하여서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공중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과정은, 거리측정 완료가 수신됨에 따라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이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통해 가시광 레이저빔(12)을 수직방향으로 공중조사하되 레이저빔 3D형성기술을 통해 레이저로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공기중의 산소와 질소를 플라즈마로 만들어 그 플라즈마에 홀컵까지의 잔여거리를 레이저표식정보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리측정 요구한 단말(6)(16)이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을 완료함에 따라 잔여거리 측정정보를 거리측정 요구한 마스터 휴대단말(6)의 표시부(30)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방법.
  5.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장치에 있어서,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송신기(24)를 갖는 마스터 휴대단말(6)이나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52)를 갖는 슬레이브단말(16)이 포함된 두대 이상을 골퍼나 경기보조원이 포함된 휴대사용자(4)들에게 골프장내에서 휴대케 함과 동시에, 홀컵(7)에 꽂히는 홀핀(8)에는 ISM대역 위치추적 무선수신기(43) 및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갖는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을 장착하게 구성하며,
    상기 마스터 휴대단말(6)은,
    내부의 ID설정부(22)를 통해 마스터 휴대단말(6), 슬레이브단말(16) 및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의 삼각측량 원리로 거리측정을 원하는 단말들마다 ID를 설정하고, 근처의 슬레이브단말(16)로부터의 무선수신이나 내부 입력부를 통해 방향확인을 요구함에 따라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로 홀핀방향 확인에 대응된 명령을 무선송신하고, 근처의 슬레이브단말(16)이나 내부 입력부를 통해 거리측정을 요구하면 ID설정된 단말들간에 삼각 측량원리의 정보전송으로 단말을 탐색하여 다수 단말(6)(10)(16)로부터 오는 단말 응답고유번호와 RF전계강도를 이용하여 거리측정 요구한 마스터 휴대단말(6)로부터 홀핀(8)에 장착된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까지의 잔여거리를 측정하고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로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정보를 무선전송케 구성하고,
    상기 슬레이브 원격작동단말(10)은,
    홀핀방향 확인에 대응된 명령이 마스터 휴대단말(6)로부터 수신되면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통해 가시광 레이저빔(12)을 수직방향으로 공중 조사하여 홀핀(8)의 방향을 가시적 표시하고, 마스터 휴대단말(6)로부터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측정정보가 수신되면 가시광 레이저빔 조사부(48)를 이용해서 레이저빔 가식표식(14)을 가시광 레이저빔(12)의 공중 조사로 홀핀(8)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공중에 이미지 표현하여서 휴대사용자(4)가 있는 현재 골프공 위치에서 홀핀(8)까지의 잔여거리를 휴대사용자(4)가 인식케 제공케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장치.
KR1020150175375A 2015-12-09 2015-12-09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72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375A KR101772051B1 (ko) 2015-12-09 2015-12-09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375A KR101772051B1 (ko) 2015-12-09 2015-12-09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321A true KR20170068321A (ko) 2017-06-19
KR101772051B1 KR101772051B1 (ko) 2017-08-28

Family

ID=5927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375A KR101772051B1 (ko) 2015-12-09 2015-12-09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0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370B1 (ko) * 2020-01-14 2023-01-30 주식회사 노바테크 골프 퍼팅 지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7791A1 (en) 2004-03-18 2005-10-13 Hbl Ltd. Virtual caddy system and method
KR100900068B1 (ko) 2007-09-20 2009-05-28 임성규 골프장의 핀위치 확인장치 및 그에서의 발광구 등록방법
KR20110017802A (ko) 2009-08-14 2011-02-22 (주)인포빌 골프장 거리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KR101246666B1 (ko) 2012-08-17 2013-04-02 에이치엔디테크 주식회사 골프용 거리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051B1 (ko) 201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5786A (en) Passive golf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JP6866534B2 (ja) ゴルフ場距離測定システム及びこれを利用した測定方法
KR101848892B1 (ko) 홀 컵과 깃대로 이루어진 홀 컵 구조물 기반의 골프장 거리 측정 시스템
US9927525B2 (en) Golf ball locating system
US9833683B2 (en) Golf ball and caddie system
CN109982754B (zh) 多功能高尔夫引导系统
US10220286B2 (en) Golf ball and caddie system
US20220111275A1 (en) System for analyzing golf club selection, swing characteristics, and golf course playability
KR20160102136A (ko) 골프 가이드 시스템
US20180236303A1 (en) Golf Ball,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Golf Ball
US20180214758A1 (en) Digital information golf ball system
KR101654080B1 (ko)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 및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장치
US10603567B2 (en) Alignment aid for a golfer
JP2013154177A (ja) ゴルフプレー情報提供システム
KR20220098298A (ko) 2-환경 게임 플레이 시스템
KR101772051B1 (ko)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이나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88370B1 (ko) 골프장 그린의 퍼팅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34264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골프 보조 방법 및 시스템
CN113750535A (zh) 高尔夫球放置系统及其操作方法
JP7058036B2 (ja) ゴルフ場の管理システム
KR100808809B1 (ko) 휴대용 골프안내 보조 단말장치
KR20090006893A (ko) 맞춤형 골프코스 공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358240B1 (ko) 골프의 홀거리 측정 방법
KR102663137B1 (ko) 골프 샷 가이드장치 및 가이드방법
KR20110118761A (ko) 맞춤형 골프코스 공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