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62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621A
KR20170066621A KR1020177012594A KR20177012594A KR20170066621A KR 20170066621 A KR20170066621 A KR 20170066621A KR 1020177012594 A KR1020177012594 A KR 1020177012594A KR 20177012594 A KR20177012594 A KR 20177012594A KR 20170066621 A KR20170066621 A KR 20170066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contact group
upper contac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헤이 요코야마
유이치 사이토
린타로 가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에이이 홍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에이이 홍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01R13/504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different pieces being assembled by press-f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상단 컨택트군, 하단 컨택트군을 끼워맞춤 방향의 전방으로 압입하는 본체 성형 부품, 상단 컨택트군과 인서트 몰드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을 구비하는 커넥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은 하단 컨택트군의 후방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평판상의 신호 전송 매체를 일방의 접속 대상물로 하고, 신호 전송 매체를 다른 접속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특히, 서로 평행한 2 평면 각각에 복수의 컨택트를 배치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USB (Universal Serial Bus) 규격, HDMI (등록상표)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의 커넥터가 있다. 종래의 이 종류의 커넥터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커넥터에 관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 자 (自) 커넥터와 미리 끼워맞춰진 상대 커넥터를 자(自)커넥터로부터 발거하는 방향을 D1 로 한다. D1 의 역방향으로서,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출 때에 상대 커넥터가 자커넥터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을 D2 로 한다. 자커넥터를 장착하는 기판이 있는 방향을 D3 으로 한다. D3 의 역방향을 D4 로 한다. D1 을 전방, D2 를 후방, D3 을 상방, D4 를 하방으로 했을 때, 커넥터의 좌측 방향을 D5 로 하고, 우측 방향을 D6 으로 한다. 또한, 커넥터에 관한 방향에 대해서는 도 1 등을 참조했으면 한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커넥터 (300) 는, 쉘 (301), 본체 성형 부품 (특허문헌 1 에 말하는 커넥터 하우징) (302), 하단 (下段) 컨택트군 (303), 상단 (上段) 컨택트군 (304) (특허문헌 1 에 말하는 단자) 을 구비한다. 본체 성형 부품 (302) 은 기부 (305) 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단자대 (306) 를 구비하고, 단자대 (306) 의 상면의 조인트 부분에는, 기부 (305) 를 관통하는 단자 삽입공 (307) 이 단자대 (306) 의 상면을 따르도록 하여 복수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중, 상단 컨택트군 (304) 은 이들의 단자 삽입공 (307) 에 압입되어, 단자대 (306) 의 상면 (방향 (D3) 측의 면) 에 서로 평행해지도록 소정의 피치로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단자대 (306) 의 도시하지 않은 하면 (방향 (D4) 측의 면) 의 조인트 부분에는, 기부 (305) 를 관통하는 단자 삽입공 (308) (도시하지 않음) 이 단자대 (306) 를 따라 복수 형성되고, 단자 삽입공 (308) 에 압입된 하단 컨택트군 (303) 은, 단자대 (306) 의 하면에 서로 평행해지도록 소정의 피치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 (300) 에서는, 단자 삽입공 (307, 308) 에 압입함으로써 하단 컨택트군 (303), 상단 컨택트군 (304) 을 커넥터 (300) 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에서는, 하단 컨택트군 (303), 상단 컨택트군 (304) 을 압입할 때에 단자 삽입공 (307, 308) 에서 유지되는 컨택트의 일부, 즉, 압입부 (311) 의 하면에, 도 17 에 나타내는 걸림 돌출부 (312) 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커넥터 (300) 는, 단자 삽입공 (307, 308) 의 상하 좌우를 둘러싸는 4 개의 벽면 중, 하면과 압입부 (311) 사이에 작용하는 유지력을 높이고 있다.
또,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부 (311) 의 양 측면에 돌기부 (313) 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300) 는, 단자 삽입공 (307) 의 좌우 벽면 (314, 315) 과 하단 컨택트군 (303), 상단 컨택트군 (304) 의 양 측면 사이에 작용하는 유지력을 높이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13801호, 0017 ∼ 0023 단락, 0028 ∼ 0030 단락, 도 2, 도 8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걸림 돌출부 (312) 나 돌기부 (313) 를 형성하여 유지력을 높이고 있기는 하지만, 개개의 컨택트마다의 유지력을 개별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개개의 컨택트의 유지력에 편차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출 때에는, 상대 커넥터의 컨택트가, 그 커넥터의 컨택트에 대해, 방향 (D2) 을 향하여 누르는 힘을 작용시킨다. 상대 커넥터의 각 컨택트가, 그 커넥터의 각 컨택트에 대해, 균일한 힘을 작용시키는 것으로 가정한 경우여도,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개개의 컨택트의 유지력에 편차가 있기 때문에, 유지력이 약한 컨택트는 당초에 유지한 위치로부터 방향 (D2) 으로 이동할 우려가 있다. 또한, 단순히 이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동의 결과, 그 컨택트에 좌굴이 발생할 우려, 그 컨택트가 본체 성형 부품으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있다. 실제로는, 상대 커넥터의 각 컨택트가 그 커넥터의 각 컨택트에 대해 작용시키는 힘은 균일하지 않고, 편차가 있다. 이 때문에, 유지력이 약한 컨택트에 대해, 강하게 누르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끼워맞춤시에 상대 커넥터의 컨택트가 누르는 힘으로부터 받는 영향은 한층 더 커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컨택트를 유지하는 유지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 일 양태로서, 커넥터로서, 각각 복수의 컨택트를 갖는 상단 컨택트군, 하단 컨택트군, 상기 상단 컨택트군 및 하단 컨택트군이 압입되는 본체 성형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컨택트는, 각각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계속하여, 상기 본체 성형 부품에 압입되는 압입부와, 당해 커넥터의 외부의 도체와 접속되는 단자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단자부 사이에서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굴곡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컨택트는, 상기 본체 성형 부품에 대해, 자커넥터와 미리 끼워맞춰진 상기 상대 커넥터를 자커넥터로부터 발거하는 방향으로 압입되고, 상기 본체 성형 부품은, 상기 하단 컨택트군의 상기 복수의 컨택트를, 각각의 상기 접촉부가 제 1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지지함과 함께, 상기 상단 컨택트군의 상기 복수의 컨택트를, 각각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1 평면과 상이한 제 2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고, 유전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상단 컨택트군과 인서트 몰드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출 때에 상기 상대 커넥터가 자커넥터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하단 컨택트군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이 배치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은, 상기 하단 컨택트군의 각 컨택트의 상기 굴곡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출 때에 상기 상대 커넥터가 자커넥터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상단 컨택트군의 상기 컨택트는, 각각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는 레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가 이루는 직선과, 상기 굴곡부와, 상기 레그부가 이루는 직선에 둘러싸인 영역을, 상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과 상기 하단 컨택트군 사이에, 미리 정해진 크기의 간극을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본체 성형 부품은, 상기 상단 컨택트군과 상기 하단 컨택트군 사이에 인서트 몰드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금속을 함유하는 미드 플레이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금속을 함유하는 리어 실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본체 성형 부품은, 상기 리어 실드와의 사이에 상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리어 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의 일면으로서, 상기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출 때, 상기 상대 커넥터가 자커넥터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의 측의 상기 일면에, 상기 리어 실드와 접촉하기 위한 돌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적어도 일부가 도체로 이루어지는 쉘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쉘과 상기 리어 실드를 서로 용접한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에 의해 상단의 복수의 컨택트를 일체화함으로써, 개개의 컨택트에 작용하는 힘을 모든 컨택트의 유지력의 총합으로 받아낸다. 또,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에 의해 하단 컨택트군을 뒤로부터 지지함으로써, 하단 컨택트군이 본체 성형 부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일체화된 상단 컨택트군과 뒤로부터 지지된 하단 컨택트군의 모든 컨택트의 유지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커넥터 (1)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커넥터 (1) 의 쉘 (2) 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커넥터 (1) 의 미드 플레이트 (5) 와 일체화된 본체 성형 부품 (6) 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커넥터 (1) 의 컨택트 (50) 를 압입하기 전의 본체 성형 부품 (6) 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커넥터 (1) 의 컨택트 (50) 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 은 커넥터 (1) 의 상단 컨택트군 (8) 과 일체화된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커넥터 (1) 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8 은 커넥터 (1) 에 있어서의 하단 컨택트군 (7) 의 후단 (後端) (56),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리어 실드 (10) 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 는 커넥터 (1) 에 있어서의 리어 실드 (10) 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 은 리어 실드 (10) 를 장착한 후의 커넥터 (1) 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 은 커넥터 (1) 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커넥터 (1) 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커넥터 (1) 의 육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인 커넥터 (200)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는 커넥터 (200) 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커넥터 (300)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 은 커넥터 (300) 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 은 커넥터 (300) 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커넥터 (1)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커넥터 (1) 는, 쉘 (2), 그라운드 플레이트 (3, 4), 미드 플레이트 (5), 본체 성형 부품 (6), 하단 컨택트군 (7), 상단 컨택트군 (8),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리어 실드 (10) 를 구비한다.
쉘 (2), 그라운드 플레이트 (3, 4), 미드 플레이트 (5), 리어 실드 (10) 는 적어도 일부가 도체로 이루어지고, 전형적으로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전체가 SUS301, SUS304 등의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진다. 하단 컨택트군 (7), 상단 컨택트군 (8) 의 각 컨택트 (50) 는 금속 등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본체 성형 부품 (6) 및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은 수지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본체 성형 부품 (6) 은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은 LCP (Luquid Crystal Polymer) 로 이루어진다.
도 2 를 참조하여 쉘 (2) 에 대해 설명한다. 쉘 (2) 은, 그 후단부 (방향 (D2) 측의 단부) 를 제외하고, 모서리를 둥글게 한 사각 기둥을 중공으로 한 통상 (筒狀) 의 형상을 갖는다. 쉘 (2) 은 좌측 후단부 (방향 (D2) 측 또한 방향 (D5) 측의 단부) 에 고정 레그부 (21) 를 구비한다. 도 2 에서는 쉘 (2) 에 가리워져 보이지 않지만, 동일하게 하여 우측 후단부 (방향 (D2) 측 또한 방향 (D6) 측의 단부) 에도 고정 레그부 (22) 를 갖는다.
커넥터 (1) 를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재치할 때에는, 쉘 (2) 의 바닥면이 기판에 접촉하고, 고정 레그부 (21, 22) 의 선단은 각각 기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납땜된다. 이로써 커넥터 (1) 의 전체가 기판에 대해 고정된다. 또, 고정 레그부 (21, 22) 의 선단은 각각 기판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접지선과 접속된다. 이로써, 쉘 (2) 의 전체가 전기적으로 접지된 상태가 된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미드 플레이트 (5), 본체 성형 부품 (6) 에 대해 설명한다. 미드 플레이트 (5) 와 본체 성형 부품 (6) 은 인서트 몰드 성형에 의해 일체화하여 성형되어 있다.
본체 성형 부품 (6) 은 커넥터 (1) 를 기판에 재치할 때에 기판에 고정되는 기부 (31) 를 구비한다. 기부 (31) 로부터 수평 방향 전방 (기판과 평행한 면에서 방향 (D1) 측) 을 향하여 단자대 (32) 가 연장되어 있다. 단자대 (32) 의 후부 하면에 그라운드 플레이트 (3) 를 장착하기 위한 플레이트대 (33) (도 3 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단자대 (32) 의 후부 상면에 그라운드 플레이트 (4) 를 장착하기 위한 플레이트대 (34) 가 형성된다. 그라운드 플레이트 (3, 4) 는, 쉘 (2) 의 내부에서 쉘 (2) 과 접촉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쉘 (2) 은 접지된 상태이므로, 그라운드 플레이트 (3, 4) 는, 쉘 (2) 을 통하여 접지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쉘 (2), 그라운드 플레이트 (3, 4) 에 의해 하단 컨택트군 (7), 상단 컨택트군 (8) 은 쉘 (2) 의 외부로부터 전자적으로 차단된다.
또, 본체 성형 부품 (6) 은, 하단 컨택트군 (7), 상단 컨택트군 (8) 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단 단자 삽입공 (35), 하단 단자 유지홈 (36), 상단 단자 삽입공 (37), 상단 단자 유지홈 (38) 을 구비한다. 하단 단자 삽입공 (35) 및 하단 단자 유지홈 (36) 은, 하단 컨택트군 (7) 의 각 컨택트를, 도시하지 않은 가상적인 평면 (P1) 상에 배치하도록 하여 유지한다. 상단 단자 삽입공 (37) 및 상단 단자 유지홈 (38) 은, 상단 컨택트군 (8) 의 각 컨택트를, 도시하지 않은 가상적인 평면 (P2) 상에 배치하도록 하여 유지한다. 평면 (P1) 과 평면 (P2) 은 서로 평행한 평면이고, 도시하지 않은 기판과 평행한 평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단자 삽입공 (37) 은, 후부에 형성된 개구 (도시하지 않음) 로부터 기부 (31) 를 관통하고, 또한, 단자대 (32) 에 있어서 플레이트대 (34) 아래를 관통한 후, 상단 단자 유지홈 (38) 과 일직선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단 단자 삽입공 (37) 및 상단 단자 유지홈 (38) 의 폭은, 상단 컨택트군 (8) 의 컨택트 (50) 의 폭보다 약간 좁아져 있다. 그 때문에, 상단 단자 삽입공 (37) 및 상단 단자 유지홈 (38) 에 압입된 컨택트 (50) 는 본체 성형 부품 (6) 에 의해 유지된다. 하단 단자 삽입공 (35) 및 하단 단자 유지홈 (36)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미드 플레이트 (5) 는, 단자대 (32) 의 선단부, 좌우 양 측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 미드 플레이트 (5) 는, 도시하지 않지만 본체 성형 부품 (6) 중에서 굴곡되어 있고, 그 단부가 기부 (31) 의 하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 기부 (31) 로부터의 노출부는, 커넥터 (1) 를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재치했을 때에 기판의 접지선과 납땜되어 접속된다. 이로써, 미드 플레이트 (5) 는 하단 컨택트군 (7) 과 상단 컨택트군 (8) 사이의 전자적인 차단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성형 부품 (6) 은,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39, 40) 를 구비한다. 고정부 (39) 는, 본체 성형 부품 (6) 의 좌측 후부, 즉 방향 (D5) 측 또한 방향 (D2) 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대응하는 부분 (후술하는 끼워넣음 돌기 (61)) 보다 약간 좁은 개구를 갖고, 이 개구에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끼워넣음 돌기 (61) 를 압입함으로써 본체 성형 부품 (6) 에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을 고정시킨다. 도 3, 4 에서는 가리워져 보이지 않지만, 동일하게 고정부 (40) 는 본체 성형 부품 (6) 의 우측 후부, 즉 방향 (D6) 측 또한 방향 (D2) 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끼워넣음 돌기 (62) 가 압입된다.
하단 단자 삽입공 (35), 하단 단자 유지홈 (36) 은, 하단 컨택트군 (7) 으로서 12 개의 컨택트 (50) 를 동일 수평면 상에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유지한다. 또, 본체 성형 부품 (6) 은, 상단 컨택트군 (8) 으로서 12 개의 컨택트 (50) 를 동일 수평면 상에 서로 평행하게 소정의 피치로 유지한다. 하단 컨택트군 (7) 에 속하는 것에는, 서로 길이가 상이한 2 종류의 컨택트 (50) 가 있다. 상단 컨택트군 (8) 에 속하는 것에 대해서도 2 종류의 길이가 있다. 요컨대, 커넥터 (1) 전체적으로는 길이가 상이한 4 종류의 컨택트 (50) 를 구비하는데, 어느 종류여도, 접촉부 (51), 압입부 (52), 굴곡부 (53), 레그부 (54), 단자부 (55), 후단 (56) 을 갖는다 (도 5 및 도 6 참조).
도 5 를 참조하여 컨택트 (50) 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5 에서는 하단 컨택트군 (7) 의 컨택트 (50) 를 예시하고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 (51) 는, 커넥터 (1) 의 끼워맞춤 방향, 즉 방향 (D1) 및 방향 (D2) 으로 이루어지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커넥터 (1) 를 상대 커넥터에 끼워맞췄을 때에 상대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하는 부분이고, 본체 성형 부품 (6) 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압입부 (52) 는 본체 성형 부품 (6) 에 압입되어 유지되는 부분이고, 커넥터 (1) 의 끼워맞춤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굴곡부 (53) 는, 커넥터 (1) 의 끼워맞춤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레그부 (54) 는 굴곡부 (53) 에서 절곡된 방향으로 기판을 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그부 (54) 는 굴곡부 (53) 로부터 연직 하방, 즉 방향 (D4) 을 향하여 절곡되고, 커넥터 (1) 의 끼워맞춤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고 있지만, 이 교차의 각도는 반드시 수직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비스듬히 후측 하방을 향하여 절곡되고, 커넥터 (1) 의 끼워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단자부 (55) 는 커넥터 (1) 의 외부의 도체, 예를 들어 기판 상의 프린트 패턴의 도선과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고, 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다. 후단 (56) 은 접촉부 (51), 압입부 (52) 와 계속되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평행한 직선부의 후단이다.
컨택트 (50) 는, 접촉부 (51) 와 단자부 (55) 사이에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한 형상을 갖는다. 도 5 에 나타내는 하단 컨택트군 (7) 의 컨택트 (50) 에서는, 레그부 (54) 및 단자부 (55) 의 중심선은, 접촉부 (51) 및 압입부 (52) 의 중심선으로부터 근소하게 우측으로 어긋나 있다. 한편, 상단 컨택트군 (8) 의 컨택트 (50) 에서는, 어긋남의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어 있고, 레그부 (54) 및 단자부 (55) 의 중심선은, 접촉부 (51) 및 압입부 (52) 의 중심선으로부터 근소하게 좌측으로 어긋나 있다.
하단 컨택트군 (7) 의 12 개의 컨택트 각각과, 상단 컨택트군 (8) 의 12 개의 컨택트 각각은, 단자대 (32) 를 사이에 두고, 서로의 접촉부 (51) 및 압입부 (52) 가 겹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어긋남을 가짐으로써, 접촉부 (51), 압입부 (52) 가 서로 겹치는 컨택트여도, 레그부 (54) 및 단자부 (55) 는 겹치지 않게 배치된다. 요컨대, 커넥터 (1) 를 도시하지 않은 상대 커넥터에서 보았을 때, 즉 방향 (D2) 의 시선에서 보았을 때, 상단 컨택트군 (8) 의 컨택트의 레그부 (54) 및 단자부 (55) 는, 하단 컨택트군 (7) 의 컨택트의 레그부 (54) 및 단자부 (55) 의 배후에 가리워지는 일 없이, 보이도록 배치된다. 도 13 의 정면도 및 바닥면도를 참조했으면 한다.
하단 컨택트군 (7) 과 상단 컨택트군 (8) 은 이와 같은 배치 관계에 있다. 하단 컨택트군 (7) 이 방향 (D2) 으로 눌려, 하단 컨택트군 (7) 의 레그부 (54) 를 방향 (D2) 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한 것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서술한 어긋남 때문에, 상단 컨택트군 (8) 의 컨택트의 레그부 (54) 는, 하단 컨택트군 (7) 의 컨택트의 레그부 (54) 가 방향 (D2) 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커넥터 (1) 에서는, 상부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이 상단 컨택트군 (8) 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하고, 하단 컨택트군 (7) 의 컨택트의 레그부 (54) 에서 보아 방향 (D2) 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하단 컨택트군 (7) 의 컨택트가 방향 (D2) 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각 컨택트 (50) 는, 본체 성형 부품 (6) 에 커넥터 (1) 의 끼워맞춤 방향의 전방, 즉 방향 (D1) 을 향하여 압입된다. 본체 성형 부품 (6) 에 압입되었을 때의 각 컨택트 (50) 상태에 대해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단 컨택트군 (7) 의 컨택트 (50) 는, 접촉부 (51) 의 하면, 즉 방향 (D4) 측의 면을 노출한 상태에서 하단 단자 유지홈 (36) 에 유지된다. 상단 컨택트군 (8) 의 컨택트 (50) 는, 접촉부 (51) 의 상면, 즉 방향 (D3) 측의 면을 노출한 상태에서 상단 단자 유지홈 (38) 에 유지된다. 하단 컨택트군 (7) 의 컨택트 (50) 의 압입부 (52) 는, 하단 단자 삽입공 (35) 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상단 컨택트군 (8) 의 컨택트 (50) 의 압입부 (52) 는, 상단 단자 삽입공 (37) 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굴곡부 (53), 레그부 (54), 단자부 (55), 후단 (56) 에 대해서는, 하단 컨택트군 (7) 및 상단 컨택트군 (8) 의 어느 컨택트 (50) 여도, 본체 성형 부품 (6) 에 의해 직접적으로는 유지되어 있지 않다.
단, 상단 컨택트군 (8) 은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과 일체로 인서트 몰드 성형된다. 이로써, 상단 컨택트군 (8) 을 구성하는 컨택트 (50) 는 일체화되기 때문에, 개개의 컨택트에 작용하는 힘을 모든 컨택트의 유지력의 총합으로 받아내게 되고,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출 때에, 상단 컨택트군 (8) 을 구성하는 컨택트의 일부만이 뒤로 어긋나는 등의 경우가 잘 일어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단 컨택트군 (8) 의 모든 컨택트 (50) 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여,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은 그 좌우 양단, 즉 방향 (D5) 의 단부 및 방향 (D6) 의 단부에 끼워넣음 돌기 (61, 62) 를 구비한다. 도 6 에 있어서 끼워넣음 돌기 (62) 는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가리워져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상단 컨택트군 (8) 의 컨택트 (50) 를 본체 성형 부품 (6) 의 소정의 위치에 압입했을 때, 끼워넣음 돌기 (61, 62) 는, 본체 성형 부품 (6) 의 고정부 (39) 에 끼워넣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 (1) 에서는, 상단 컨택트군 (8) 의 컨택트 (50) 를, 미리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에 의해 일체화한 상태에서 본체 성형 부품 (6) 에 압입하여 유지한 후,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자신도 본체 성형 부품 (6) 에 직접 압입함으로써, 상단 컨택트군 (8) 을 유지한다. 이 때문에, 본체 성형 부품 (6) 에 대해 상단 컨택트군 (8) 을 위치 결정할 때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컨택트 (50) 는, 접촉부 (51), 압입부 (52) 로 이루어지는 직선 부분이, 굴곡부 (53) 에서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지고, 레그부 (54) 로 이루어지는 직선 부분에 계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은, 압입부 (52) 의 후부로부터 굴곡부 (53) 를 거쳐 레그부 (54) 를 덮도록 하여 형성된다. 이 구조는, 접촉부 (51), 압입부 (52) 로 이루어지는 변과, 레그부 (54) 로 이루어지는 변의 2 변에 끼워진 모서리 (굴곡부 (53)) 에 있어서, 2 변과 모서리에 둘러싸인 영역을 수지가 차지하도록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을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접촉부 (51) 에서 커넥터 (1) 의 뒤 방향으로 힘이 과잉되게 작용하여, 후단 (56) 을 소정의 위치보다 뒤로 어긋나게 하려고 하는 경우여도, 2 변의 사이에 배치한 수지가 그 힘에 반발하여, 컨택트 (50) 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단 컨택트군 (8) 이 Z 자상으로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단 컨택트군 (7) 및 상단 컨택트군 (8) 을 본체 성형 부품 (6) 의 소정의 위치에 압입했을 때, 하단 컨택트군 (7) 의 컨택트 (50) 의 후단 (56) 의 방향 (D2) 측에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을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을 하단 컨택트군 (7) 의 뒤에 배치함으로써,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에 대해, 하단 컨택트군 (7) 의 위치가 뒤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로서의 기능이 발휘되는 것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커넥터 (1) 에 도시하지 않은 상대 커넥터를 끼워맞출 때, 상대 커넥터의 컨택트가 하단 컨택트군 (7) 의 컨택트 (50) 에 대해 커넥터 (1) 의 뒤를 향하는 힘을 작용시킨 경우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단 컨택트군 (7) 의 컨택트 (50) 는, 하단 단자 삽입공 (35), 하단 단자 유지홈 (36) 에 압입함으로써 본체 성형 부품 (6) 에 유지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하단 컨택트군 (7) 에 대해 이 유지력을 상회하는 힘이 상대 커넥터측으로부터 작용하여, 하단 컨택트군 (7) 의 컨택트 (50) 의 후단 (56) 이 소정의 위치보다 방향 (D2) 측으로 어긋나는 상황이 되었을 때, 후단 (56) 은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에 접촉하고, 더 이상 후단 (56) 이 방향 (D2)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후단 (56) 과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사이에는 근소한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커넥터 (1) 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하단 컨택트군 (7) 과 상단 컨택트군 (8) 을 본체 성형 부품 (6) 에 압입하는 순서에 관계된다.
커넥터 (1) 의 제조 과정에서는, 미드 플레이트 (5) 와 본체 성형 부품 (6) 을 인서트 몰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한 후, 먼저 하단 컨택트군 (7) 을 본체 성형 부품 (6) 에 압입하여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그 후, 본체 성형 부품 (6) 의 후부 개구 (도시하지 않음) 에, 상단 컨택트군 (8) 의 선단을 삽입하고, 방향 (D1) 측을 향하여 압입해 가, 상단 컨택트군 (8) 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여기서, 하단 컨택트군 (7) 의 후단 (56) 과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이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한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을 소정의 위치까지 압입한 시점에서, 하단 컨택트군 (7) 의 후단 (56) 과 접촉한다. 위치 결정의 오차 등이 존재하는 것을 고려하면, 접촉한 그 순간에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이동이 완료된다고는 할 수 없다. 실제로는,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이 소정의 위치보다 앞으로 나아가는 경우, 하단 컨택트군 (7) 의 후단 (56) 이 소정의 위치보다 방향 (D2)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등이 생각된다. 그러한 경우에,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이 하단 컨택트군 (7) 을 방향 (D1) 측으로 압출하고, 하단 컨택트군 (7) 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와 같은 위치 어긋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 컨택트군 (7) 의 후단 (56) 과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사이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간극 (81)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극 (81) 의 길이는 예를 들어 50 마이크로미터 정도이다.
또한, 상단 컨택트군 (8) 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후에, 그라운드 플레이트 (3, 4) 를 장착하고, 하단 컨택트군 (7), 상단 컨택트군 (8) 을 압입한 본체 성형 부품 (6) 을 쉘 (2) 에 수납한 후, 본체 성형 부품 (6) 의 방향 (D2) 측에 리어 실드 (10) 를 고정시킴으로써 커넥터 (1) 가 완성된다.
도 9 를 참조하여, 리어 실드 (1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실드 (10) 는, 좌우의 양단에 압입편 (91, 92) 을 구비한다. 한편, 본체 성형 부품 (6) 의 후배면에는, 압입편 (91, 92) 을 각각 압입하여 리어 실드 (10) 를 유지하기 위한 압입공 (93, 94) 을 구비한다. 압입공 (93, 94) 의 개구를, 압입편 (91, 92) 의 단면보다 조금 작게 함으로써, 압입을 이용한 고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1) 에서는, 리어 실드 (10) 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압입편 (91, 92) 의 압입공 (93, 94) 으로의 압입 외에, 금속 간의 용접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실드 (10) 는 좌우의 양단, 압입편 (91, 92) 의 하측에 각각 용접편 (95, 96) 을 구비한다. 한편, 본체 성형 부품 (6) 의 기부 (31) 의 좌단부 (방향 (D5) 측의 단부),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끼워넣음 돌기 (61) 와, 쉘 (2) 의 고정 레그부 (21)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압입편 (91, 92) 을 압입공 (93, 94) 에 압입하여 리어 실드 (10) 를 장착했을 때, 이 간극에 용접편 (95) 이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본체 성형 부품 (6) 의 기부 (31) 의 우단부 (방향 (D6) 측의 단부),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끼워넣음 돌기 (62) 와 쉘 (2) 의 고정 레그부 (22)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리어 실드 (10) 를 장착했을 때, 이 간극에 용접편 (96) 이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입편 (91, 92) 을 압입공 (93, 94) 에 압입하여 리어 실드 (10) 를 장착한 후, 도 10 에 나타내는 용접 지점 (101) 에서 고정 레그부 (21) 와 용접편 (95) 을 용접한다. 동일하게, 용접 지점 (102) 에서 고정 레그부 (22) 와 용접편 (96) 을 용접한다.
이와 같이 하여, 리어 실드 (10) 를 본체 성형 부품 (6) 에 대해 고정시킴으로써, 리어 실드 (10) 에서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을 뒤로부터 누른다. 이 때의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리어 실드 (10) 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은 3 개의 돌기 (97) 를 후배면에 구비한다. 돌기 (97) 는, 예를 들어 사다리꼴의 돌기이고, 리어 실드 (10) 를 본체 성형 부품 (6) 에 고정시켰을 때에, 리어 실드 (10) 에 접촉하여,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실드 (10) 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배면에 돌기 (97) 를 형성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돌기 (97) 를 형성하지 않고,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후배면이 플랫한 것으로 한다. 이 때, 이상적으로는,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후배면과 리어 실드 (10) 의 전면 (前面) 과의 전체가 완전하게 접촉하고, 면을 사용하여 면을 지지하는 구성이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가공 오차, 위치 결정 오차 등의 오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평면과 평면이 서로 간극없이 접촉하는 것은 어렵고, 2 개의 평면이 서로 경사진 상태에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리어 실드 (10) 는, 커넥터 (1) 의 끼워맞춤 방향으로부터 어긋난 방향의 힘을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나아가서는 본체 성형 부품 (6) 에 가하게 되고, 그 결과, 하단 컨택트군 (7), 상단 컨택트군 (8) 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혹은 본체 성형 부품 (6) 의 경사에 의해 상대 컨택트와 끼워맞추기 어려워지는 등의 폐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후배면에 돌기 (97) 를 형성하는 경우여도, 가공 오차, 위치 결정 오차는 존재하지만, 상부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일부인 돌기 (97) 는 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힘을 받아 변형되고, 눌러 찌부러짐으로서 오차를 흡수한다.
이상, 실시예 1 의 커넥터 (1) 에 의하면, 상단 컨택트군 (8) 과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을 인서트 몰드 성형함으로써 일체화하고, 상단 컨택트군 (8) 의 일부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단 컨택트군 (8) 의 압입부 (52), 굴곡부 (53), 레그부 (54) 로 둘러싸인 영역에,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일부로서 수지를 배치함으로써, 상단 컨택트군 (8) 의 Z 자상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전면이, 하단 컨택트군 (7) 의 후단 (56) 의 뒤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하단 컨택트군 (7) 이 후방으로 어긋나는 경우여도, 그 어긋남을 최소한으로 억제한다.
또, 리어 실드 (10) 를 본체 성형 부품 (6) 에 압입하거나, 혹은 리어 실드 (10) 를 쉘 (2) 에 용접하고,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을 리어 실드 (10) 와 본체 성형 부품 (6) 사이에 유지함으로써, 하단 컨택트군 (7), 상단 컨택트군 (8) 의 위치 어긋남을 간접적으로 억제한다.
또, 특히 도 7 을 보면 분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 (1) 의 상단 컨택트군 (8) 은, 압입부 (52) 로부터 레그부 (54) 에 걸쳐 본체 성형 부품 (6) 또는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의 수지에 덮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요컨대, 접촉부 (51), 단자부 (55) 와 같은 노출을 피할 수 없는 부분을 제외하고, 거의 컨택트 (50) 의 전체가 수지, 즉, 유전체에 덮여 있어, 공기에 노출되어 있는 범위가 작다. 이 때문에, 상단 컨택트군 (8) 은 공기보다 유전율이 큰 유전체에 덮이므로, 임피던스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 (1) 에 의하면, 하단 컨택트군 (7), 상단 컨택트군 (8) 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조립 후의 커넥터 (1) 를 도 11 ∼ 13 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 로서 커넥터 (20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를 참조하면, 커넥터 (200) 는, 쉘 (201), 그라운드 플레이트 (202, 203), 미드 플레이트 (204), 본체 성형 부품 (205), 하단 컨택트군 (206), 상단 컨택트군 (207),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208), 리어 실드 (209) 를 구비한다. 도 1 과 대비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의 각 부는, 커넥터 (1) 의 동명의 부재에 대응한다. 이하에서는, 커넥터 (1) 와의 상이에 관하여 설명한다. 필요에 따라 커넥터 (1) 의 대응부에 관한 설명을 참조했으면 한다.
커넥터 (1) 에서는,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은, 컨택트 (50) 를 소정의 피치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하고, 압입부 (52), 굴곡부 (53), 레그부 (54) 에 둘러싸인 영역을 수지가 차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반하여, 커넥터 (200) 에서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208) 은, 컨택트를 소정의 피치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하도록, 컨택트의 압입부 (222) 와 굴곡부 (224) 사이의 직선 부분, 즉 인서트 몰드부 (223) 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208) 이, 하단 컨택트군 (206) 의 후단 (227) 의 방향 (D2) 측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점에 대해서는, 커넥터 (1) 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208) 에서 하단 컨택트군 (206) 의 방향 (D2) 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커넥터 (1) 와 마찬가지로 얻어진다.
또, 커넥터 (1) 에서는,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9) 은, 리어 실드 (10) 에 의해 방향 (D2) 측으로부터 지지된다. 이에 반하여, 커넥터 (200) 에서는, 도 15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208) 은 리어 실드 (209) 와 접촉하고 있지 않다.
커넥터 (200) 에 의하면, 커넥터 (1) 보다 간단한 구조로, 커넥터 (1) 와 마찬가지로,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208) 에서 상단 컨택트군 (207) 을 일체적으로 유지함과 함께,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208) 에서 하단 컨택트군 (206) 의 후방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이 그 요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은, 여러 가지로 변형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예 1, 2 에서는, 하단 컨택트군 (7, 206) 및 상단 컨택트군 (8, 208) 에 있어서, 각 컨택트는 등피치로 유지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피치에 편차가 있어도 상관없다.
본 출원은, 2014년 11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4-233685호에 기초하여 그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1, 200 : 커넥터
2, 201 : 쉘
3, 4, 202, 203 : 그라운드 플레이트
5, 204 : 미드 플레이트
6, 205 : 본체 성형 부품
7, 206 : 하단 컨택트군
8, 207 : 상단 컨택트군
9, 208 :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
10, 209 : 리어 실드
21, 22 : 고정 레그부
31 : 기부
32 : 단자대
33, 34 : 플레이트대
35 : 하단 단자 삽입공
36 : 하단 단자 유지홈
37 : 상단 단자 삽입공
38 : 상단 단자 유지홈
39, 40 : 고정부
50 : 컨택트
51, 221 : 접촉부
52, 222 : 압입부
53, 224 : 굴곡부
54, 225 : 레그부
55, 226 : 단자부
56, 227 : 후단
61, 62 : 끼워넣음 돌기
81, 82 : 간극
91, 92 : 압입편
93, 94 : 압입공
95, 96 : 용접편
97 : 돌기
101, 102 : 용접 지점
223 : 인서트 몰드부

Claims (8)

  1. 각각 복수의 컨택트를 갖는 상단 컨택트군, 하단 컨택트군, 상기 상단 컨택트군 및 하단 컨택트군이 압입되는 본체 성형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컨택트는, 각각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계속하여, 상기 본체 성형 부품에 압입되는 압입부와, 당해 커넥터의 외부의 도체와 접속되는 단자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단자부 사이에서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굴곡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컨택트는, 상기 본체 성형 부품에 대해, 자커넥터와 미리 끼워맞춰진 상기 상대 커넥터를 자커넥터로부터 발거하는 방향으로 압입되고,
    상기 본체 성형 부품은, 상기 하단 컨택트군의 상기 복수의 컨택트를, 각각의 상기 접촉부가 제 1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지지함과 함께, 상기 상단 컨택트군의 상기 복수의 컨택트를, 각각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1 평면과 상이한 제 2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고,
    유전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상단 컨택트군과 인서트 몰드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출 때에 상기 상대 커넥터가 자커넥터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하단 컨택트군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이 배치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은, 상기 하단 컨택트군의 각 컨택트의 상기 굴곡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출 때에 상기 상대 커넥터가 자커넥터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컨택트군의 상기 컨택트는, 각각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는 레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가 이루는 직선과, 상기 굴곡부와, 상기 레그부가 이루는 직선에 둘러싸인 영역을, 상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과 상기 하단 컨택트군 사이에, 미리 정해진 크기의 간극을 갖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성형 부품은, 상기 상단 컨택트군과 상기 하단 컨택트군 사이에 인서트 몰드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금속을 함유하는 미드 플레이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을 함유하는 리어 실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본체 성형 부품은, 상기 리어 실드와의 사이에 상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리어 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컨택트 인서트 부품의 일면으로서, 상기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출 때, 상기 상대 커넥터가 자커넥터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의 측의 상기 일면에, 상기 리어 실드와 접촉하기 위한 돌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커넥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도체로 이루어지는 쉘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쉘과 상기 리어 실드를 서로 용접한, 커넥터.
KR1020177012594A 2014-11-18 2015-06-24 커넥터 KR201700666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33685A JP2016100082A (ja) 2014-11-18 2014-11-18 コネクタ
JPJP-P-2014-233685 2014-11-18
PCT/JP2015/068226 WO2016080010A1 (ja) 2014-11-18 2015-06-24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621A true KR20170066621A (ko) 2017-06-14

Family

ID=5601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594A KR20170066621A (ko) 2014-11-18 2015-06-24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331235A1 (ko)
JP (1) JP2016100082A (ko)
KR (1) KR20170066621A (ko)
CN (1) CN107112677A (ko)
TW (1) TWI549388B (ko)
WO (1) WO2016080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1667B (zh) * 2016-12-02 2020-09-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10096948B2 (en) 2016-12-07 2018-10-09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hell with mounting device and a fixing plate welded to the shielding shell internally
US10553994B2 (en) * 2016-12-21 2020-02-04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parate front and rear shielding shells
CN206727341U (zh) 2017-03-03 2017-12-08 富誉电子科技(淮安)有限公司 电连接器
WO2018168336A1 (ja) * 2017-03-13 2018-09-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信号伝送モジュール
US10243290B2 (en) * 2017-07-17 2019-03-26 Rohde & Schwarz Gmbh & Co. Kg Electric connector, printed circuit board and production method
CN110829085B (zh) 2018-08-07 2021-07-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EP3648264A1 (en) * 2018-10-31 2020-05-06 Koninklijke Philips N.V. Electrical connector with usb series a contact pad pitch
CN209169468U (zh) 2018-08-30 2019-07-26 富誉电子科技(淮安)有限公司 电连接器
CN113937538B (zh) * 2020-06-28 2023-09-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器母座、连接器及电子设备
JP7488740B2 (ja) * 2020-09-30 2024-05-22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6521B1 (en) * 2001-01-26 2001-10-0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power contacts positioned at lateral ends without increasing dimension thereof
JP2003197302A (ja) * 2001-12-27 2003-07-1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電気コネクタ組合せ
JP4439540B2 (ja) * 2006-07-14 2010-03-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0244901A (ja) * 2009-04-07 2010-10-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5342943B2 (ja) * 2009-06-29 2013-11-13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JP5614955B2 (ja) * 2009-08-07 2014-10-29 ホシデン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8262414B1 (en) * 2011-02-24 2012-09-1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CN203760758U (zh) * 2014-01-09 2014-08-06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连接器
CN203942101U (zh) * 2014-01-10 2014-11-12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4179385U (zh) * 2014-04-25 2015-02-25 宣德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接地导体的高频连接器结构
CN203859324U (zh) * 2014-05-30 2014-10-01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00082A (ja) 2016-05-30
WO2016080010A1 (ja) 2016-05-26
TW201620219A (zh) 2016-06-01
TWI549388B (zh) 2016-09-11
CN107112677A (zh) 2017-08-29
US20170331235A1 (en)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6621A (ko) 커넥터
KR101711723B1 (ko) 커넥터
TWI550962B (zh) 連接器
JP5603790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10454202B2 (en) Plug connector with a movable housing including a fitting portion inserted and fitted to a fitting portion of a mating connector
JP6349346B2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CN102904086B (zh) 连接器及包括该连接器的性能板、母板、半导体测试装置
TW200843215A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KR101105965B1 (ko) 콘택트 및 전기커넥터
JP2004356096A (ja) コンタクト構造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KR20140096943A (ko) 메모리카드용 커넥터
US20090156048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 Insertion Guide
JP2010092811A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JP5657750B2 (ja) 回路基板半田付け用コネクター及びコネクター配置
JP2007109600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US20090156044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 Insertion Guide
JP2015065147A (ja) 電子部品用ソケット
WO2008088821A2 (en) Electronic connection box and its method of assembly
JP6360939B1 (ja) 多接点コネクタ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JP4639294B2 (ja) 基板間コネクタ
JP6621625B2 (ja) 基板実装用コネクタ固定構造
US8282423B2 (en) Connector including alignment member that prevents relative movement of one row of combination ground contacts toward another row of combination ground contacts
JP2007242558A (ja) 端子構造
JP6604968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