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120A - 병렬 클램프 - Google Patents

병렬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120A
KR20170065120A KR1020150171165A KR20150171165A KR20170065120A KR 20170065120 A KR20170065120 A KR 20170065120A KR 1020150171165 A KR1020150171165 A KR 1020150171165A KR 20150171165 A KR20150171165 A KR 20150171165A KR 20170065120 A KR20170065120 A KR 20170065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lamp body
insertion groove
coupl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550B1 (ko
Inventor
김수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50171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5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120A/ko
Priority to KR1020230050127A priority patent/KR102533177B1/ko
Priority to KR1020230050129A priority patent/KR102533178B1/ko
Priority to KR1020230050128A priority patent/KR102607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된 제1클램프 바디 내지 제3클램프 바디의 결함을 통해 본선과 복수의 인하선들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홀을 형성하여 전력선의 손상 및 전력 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병렬 클램프를 제시한다. 제시된 병렬 클램프는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1클램프 바디,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2클램프 바디 및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3클램프 바디를 포함하고, 제1클램프 바디 내지 제3클램프 바디가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삽입 홈들이 결합되어 본선과 복수의 인하선들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병렬 클램프{PARALLEL CLAMP}
본 발명은 병렬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송전선의 지중화를 위해 철구에서 인하되는 전력선을 피뢰기, 케이블 헤드1 및 케이블 헤드2로 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병렬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가공송전선의 지중화를 위해서는 철구에서 인하되는 전력선을 피뢰기, 케이블 헤드1(C/H(1)) 및 케이블 헤드2(C/H(2))로 인하한다. 이때, 철구에서 인하되는 전력선에는 전력선을 피뢰기, 케이블 헤드에 인하시키기 위해 병렬 클램프(Parallel Clamp. 파라렐클램프)가 설치된다. 병렬 클램프는 가공 Aℓ전선의 장력이 걸리지 않는 장소에서 Aℓ선 상호간 또는 Aℓ선과 동선을 볼트조임 방법으로 접속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병렬 클램프는 2개의 전력선만이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철구에서 인화되는 전력선에서 피뢰기, 케이블 헤드들로 전력선을 인하하는 경우, 각각 별도의 병렬 클램프(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라렐 클램프)를 취부해야 한다.
종래의 병렬 클램프는 3상 선로의 경우 각 상별로 5개씩 총 15개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종래의 병렬 클램프는 복잡한 설비 구조로 인해 설치과정에 많이 시간이 소비되고, 설비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유지보수 작업시에도 빠른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병렬 클램프는 2개의 전력선만 삽입되는 구조로 인해 한쪽 방향(즉, 인하되는 전력선 방향)으로 전력선의 휨이 발생하여 병렬 클램프와 전력선 간의 마찰로 인해 전력선 및 외피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병렬 클램프는 외피가 손상된 부분에서 전력선과 병렬 클램프의 접촉으로 인해 과열현상이 발생하여 전력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56343호(명칭: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된 제1클램프 바디 내지 제3클램프 바디의 결함을 통해 본선과 복수의 인하선들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홀을 형성하여 전력선의 손상 및 전력 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병렬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 클램프는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1클램프 바디,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2클램프 바디 및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3클램프 바디를 포함하고, 제1클램프 바디 내지 제3클램프 바디가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삽입 홈들이 결합되어 본선과 복수의 인하선들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홀이 형성된다.
제1클램프 바디는 중심부에 굴곡되어 형성되고, 본선이 삽입되는 제1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1굴곡부, 제1굴곡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2클램프 바디와 결합되고, 제1인하선이 삽입되는 제2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1바디 및 제1굴곡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3클램프 바디와 결합되고, 제2인하선이 삽입되는 제3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2바디를 포함한다.
제1바디는 제2클램프 바디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1체결 홈이 형성되고, 제2바디는 제3클램프 바디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2체결 홈이 형성된다.
제2클램프 바디는 중심부에 굴곡되어 형성되고, 본선이 삽입되는 제4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2굴곡부, 제2굴곡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클램프 바디와 결합되고, 제1인하선이 삽입되는 제5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3바디 및 제2굴곡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3클램프 바디와 결합되고, 제2인하선이 삽입되는 제6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4바디를 포함한다.
제3바디는 제1클램프 바디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3체결 홈이 형성되고, 제4바디는 제3클램프 바디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4체결 홈이 형성된다.
제3클램프 바디는 중심부에 굴곡되어 형성되고, 본선이 삽입되는 제7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3굴곡부, 제3굴곡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클램프 바디와 결합되고, 제2인하선이 삽입되는 제7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5바디 및 제3굴곡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2클램프 바디와 결합되고, 제3인하선이 삽입되는 제8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6바디를 포함한다.
제5바디는 제1클램프 바디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5체결 홈이 형성되고, 제6바디는 제2클램프 바디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6체결 홈이 형성된다.
제1클램프 바디 내지 제3클램프 바디가 결합되면, 제1삽입 홈과 제4삽입 홈 및 제7삽입 홈이 결합되어 본선이 삽입되는 제1삽입 홀을 형성하고, 제2삽입 홈 및 제5삽입 홈이 결합되어 제1인하선이 삽입되는 제2삽입 홀을 형성하고, 제3삽입 홈 및 제8삽입 홈이 결합되어 제2인하선이 삽입되는 제3삽입 홀을 형성하고, 제6삽입 홈 및 제9삽입 홈이 결합되어 제3인하선이 삽입되는 제4삽입 홀을 형성한다.
제1굴곡부 내지 제3굴곡부는 동일한 각도로 굴곡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병렬 클램프는 복수의 인하선들에서 동일한 장력이 형성되어 인하선에 의한 본선의 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병렬 클램프와 전력선 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전력선 및 외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렬 클램프는 전력선 및 외피의 손상을 방지하여 전력선과 병렬 클램프의 접촉으로 인한 과열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렬 클램프는 1개 지점에서 3개의 전력선을 동시에 인하함으로써, 3개 지점에서 전력선을 각각 인하하던 종래의 병렬 클램프에 비해 전력선의 구성을 간략 단순화하여 설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렬 클램프는 3상 선로에서 각 상별로 하나만 설치하여 종래의 병렬 클램프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3상 선로에서 15개가 설치되는 종래의 병렬 클램프에 비해 설치과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구조를 간략화하여 자재비 및 공사비를 절감하고 유지보수 작업시에 빠른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1클램프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제2클램프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제3클램프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 클램프를 이용한 인하선 인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 클램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클램프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제2클램프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제3클램프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 클램프를 이용한 인하선 인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 클램프(100)는 본선(10)이 삽입되는 제1삽입 홀(120), 제1인하선(20)이 삽입되는 제2삽입 홀(140), 제2인하선(30)이 삽입되는 제3삽입 홀(160) 및 제3인하선(40)이 삽입되는 제4삽입 홀(180)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병렬 클램프(100)는 제1클램프 바디(200), 제2클램프 바디(300) 및 제3클램프 바디(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클램프 바디(200)는 소정 각도로 굴곡되어 제2클램프 바디(300) 및 제3클램프 바디(400)와 결합된다. 이때, 제1클램프 바디(200)는 본선(10) 및 복수의 인하선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클램프 바디(200)는 중심부에 소정 각도로 굴곡된 제1굴곡부(220)와 제1굴곡부(2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바디(240) 및 제2바디(260)로 구성된다. 즉, 제1클램프 바디(200)는 중심부에서 소정 각도로 굴곡된 제1굴곡부(220)와, 제1굴곡부(220)를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되어 제2클램프 바디(300)와 결합되는 제1바디(240)와 타측에 형성되어 제3클램프 바디(400)와 결합되는 제2바디(260)로 구성된다.
이때, 제1굴곡부(220)에는 내측에 본선(10)이 삽입되는 제1삽입 홈(222)이 형성된다. 제1굴곡부(220)에는 제1삽입 홈(22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외측에 제1돌출부(2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삽입 홈(222)은 제1클램프 바디(200)가 제2클램프 바디(300) 및 제3클램프 바디(400)와 결합됨에 따라 제1삽입 홀(120)을 형성한다.
제1바디(240)에는 내측에 제1인하선(20)이 삽입되는 제2삽입 홈(242)이 형성된다. 이때, 제1바디(240)에는 제2삽입 홈(24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외측에 제2돌출부(24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삽입 홈(242)은 제1클램프 바디(200)가 제2클램프 바디(300)와 결합됨에 따라 제2삽입 홀(140)을 형성한다. 제1바디(240)에는 제2클램프 바디(3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볼트(50)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체결 홈(24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바디(260)에는 내측에 제2인하선(30)이 삽입되는 제3삽입 홈(262)이 형성된다. 이때, 제2바디(260)에는 제3삽입 홈(26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외측에 제3돌출부(26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3삽입 홈(262)은 제1클램프 바디(200)가 제3클램프 바디(400)와 결합됨에 따라 제3삽입 홀(160)을 형성한다. 제2바디(260)에는 제3클램프 바디(400)와의 결합을 위한 제2볼트(60)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체결 홈(26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클램프 바디(300)는 소정 각도로 굴곡되어 제1클램프 바디(200) 및 제3클램프 바디(400)와 결합된다. 이때, 제2클램프 바디(300)는 본선(10) 및 복수의 인하선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2클램프 바디(300)는 중심부에 소정 각도로 굴곡된 제2굴곡부(320)와 제2굴곡부(3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3바디(340) 및 제4바디(360)로 구성된다. 즉, 제2클램프 바디(300)는 중심부에서 소정 각도로 굴곡된 제2굴곡부(320)와, 제2굴곡부(320)를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되어 제1클램프 바디(200)와 결합되는 제3바디(340)와 타측에 형성되어 제3클램프 바디(400)와 결합되는 제4바디(360)로 구성된다.
이때, 제2굴곡부(320)에는 내측에 본선(10)이 삽입되는 제4삽입 홈(322)이 형성된다. 제2굴곡부(320)에는 제4삽입 홈(32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외측에 제4돌출부(3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4삽입 홈(322)은 제2클램프 바디(300)가 제1클램프 바디(200) 및 제3클램프 바디(400)와 결합됨에 따라 제1삽입 홀(120)을 형성한다.
제3바디(340)에는 내측에 제1인하선(20)이 삽입되는 제5삽입 홈(342)이 형성된다. 이때, 제3바디(340)에는 제5삽입 홈(34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외측에 제5돌출부(34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5삽입 홈(342)은 제2클램프 바디(300)가 제1클램프 바디(200)와 결합됨에 따라 제2삽입 홀(140)을 형성한다. 제3바디(340)에는 제1클램프 바디(2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볼트(50)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3체결 홈(34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4바디(360)에는 내측에 제3인하선(40)이 삽입되는 제6삽입 홈(362)이 형성된다. 이때, 제4바디(360)에는 제6삽입 홈(36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외측에 제6돌출부(36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6삽입 홈(362)은 제2클램프 바디(300)가 제3클램프 바디(400)와 결합됨에 따라 제4삽입 홀(180)을 형성한다. 제4바디(360)에는 제3클램프 바디(400)와의 결합을 위한 제3볼트(70)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4체결 홈(36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3클램프 바디(400)는 소정 각도로 굴곡되어 제1클램프 바디(200) 및 제2클램프 바디(300)와 결합된다. 이때, 제3클램프 바디(400)는 본선(10) 및 복수의 인하선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된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3클램프 바디(400)는 중심부에 소정 각도로 굴곡된 제3굴곡부(420)와 제3굴곡부(4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5바디(440) 및 제6바디(460)로 구성된다. 즉, 제3클램프 바디(400)는 중심부에서 소정 각도로 굴곡된 제3굴곡부(420)와, 제3굴곡부(420)를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되어 제1클램프 바디(200)와 결합되는 제5바디(440)와 타측에 형성되어 제2클램프 바디(300)와 결합되는 제6바디(460)로 구성된다.
이때, 제3굴곡부(420)에는 내측에 본선(10)이 삽입되는 제7삽입 홈(422)이 형성된다. 이때, 제3굴곡부(420)에는 제7삽입 홈(42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외측에 제7돌출부(4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7삽입 홈(422)은 제3클램프 바디(400)가 제1클램프 바디(200) 및 제2클램프 바디(300)와 결합됨에 따라 제1삽입 홀(120)을 형성한다.
제5바디(440)에는 내측에 제2인하선(30)이 삽입되는 제8삽입 홈(442)이 형성된다. 이때, 제5바디(440)에는 제8삽입 홈(44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외측에 제8돌출부(44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8삽입 홈(442)은 제3클램프 바디(400)가 제1클램프 바디(200)와 결합됨에 따라 제3삽입 홀(160)을 형성한다. 제5바디(440)에는 제1클램프 바디(200)와의 결합을 위한 제2볼트(60)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5체결 홈(44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6바디(460)에는 내측에 제3인하선(40)이 삽입되는 제9삽입 홈(462)이 형성된다. 이때, 제6바디(460)에는 제9삽입 홈(46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외측에 제9돌출부(46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9삽입 홈(462)은 제3클램프 바디(400)가 제2클램프 바디(300)와 결합됨에 따라 제4삽입 홀(180)을 형성한다. 제6바디(460)에는 제2클램프 바디(300)와의 결합을 위한 제3볼트(70)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6체결 홈(466)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병렬 클램프(100)는 상술한 구조의 제1클램프 바디(200) 내지 제3클램프 바디(400)가 결함됨에 따라 각 클램프 바디에 형성된 삽입 홈들이 결합되어 본선(10)과 인하선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홀들을 형성한다. 즉, 병렬 클램프(100)는 제1클램프 바디(200) 내지 제3클램프 바디(400)가 결합되면 제1클램프 바디(200)에 형성된 제1삽입 홈(222)과 제2클램프 바디(300)에 형성된 제4삽입 홈(322) 및 제3클램프 바디(400)에 형성된 제7삽입 홈(422)이 결합되어 본선(10)이 삽입되는 제1삽입 홀(120)을 형성한다. 병렬 클램프(100)는 제1클램프 바디(200)에 형성된 제2삽입 홈(242) 및 제2클램프 바디(300)에 형성된 제5삽입 홈(342)이 결합되어 제1인하선(20)이 삽입되는 제2삽입 홀(140)을 형성하고, 제1클램프 바디(200)에 형성된 제3삽입 홈(262) 및 제3클램프 바디(400)에 형성된 제8삽입 홈(442)이 결합되어 제2인하선(30)이 삽입되는 제3삽입 홀(160)을 형성하고, 제2클램프 바디(300)에 형성된 제6삽입 홈(362) 및 제3클램프 바디(400)에 형성된 제9삽입 홈(462)이 결합되어 제3인하선(40)이 삽입되는 제4삽입 홀(180)을 형성한다.
한편, 병렬 클램프(100)는 각 클램프 바디에 형성된 굴곡부가 동일한 각도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즉, 인하선들의 인하로 인해 본선(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하선들의 인하로 인해 발생하는 각 방향의 장력이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병렬 클램프(100)는 각 클램프 바디에 형성된 굴곡부들를 동일한 각도로 굴곡되도록 형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병렬 클램프(100)의 제1삽입 홀(120)을 통해 본선(10)이 삽입되고, 제2삽입 홀(140) 내지 제4삽입 홀(180)을 통해 제1인하선(20) 내지 제3인하선(40)이 삽입된다. 제2삽입 홀(140) 내지 제4삽입 홀(180)에 삽입된 제1인하선(20) 내지 제3인하선(40)은 피뢰기, 제1케이블 헤드 및 제2케이블 헤드로 각각 인하된다.
그에 따라, 제2삽입 홀(140) 내지 제4삽입 홀(180)을 통과한 제1인하선(20) 내지 제3인하선(40)에 의해 3방향에서 거의 동일한 장력이 형성되어 인하선에 의한 본선(10)의 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병렬 클램프(100)와 전력선 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전력선 및 외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렬 클램프(100)는 전력선 및 외피의 손상을 방지하여 전력선과 병렬 클램프(100)의 접촉으로 인한 과열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렬 클램프(100)는 1개 지점에서 3개의 전력선을 동시에 인하함으로써, 3개 지점에서 전력선을 각각 인하하던 종래의 병렬 클램프에 비해 전력선의 구성을 간략 단순화하여 설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병렬 클램프(100)는 3상 선로에서 각 상별로 하나만 설치하여 종래의 병렬 클램프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병렬 클램프(100)는 3상 선로에서 15개가 설치되는 종래의 병렬 클램프에 비해 설치과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구조를 간략화하여 자재비 및 공사비를 절감하고 유지보수 작업시에 빠른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본선 20: 제1인하선
30: 제2인하선 40: 제3인하선
50: 제1볼트 60: 제2볼트
70: 제3볼트 100: 병렬 클램프
120: 제1삽입 홀 140: 제2삽입 홀
160: 제3삽입 홀 180: 제4삽입 홀
200: 제1클램프 바디 220: 제1굴곡부
222: 제1삽입 홈 224: 제1돌출부
240: 제1바디 242: 제2삽입 홈
244: 제2돌출부 246: 제1체결 홈
260: 제2바디 262: 제3삽입 홈
264: 제3돌출부 266: 제2체결 홈
300: 제2클램프 바디 320: 제2굴곡부
322: 제4삽입 홈 324: 제4돌출부
340: 제3바디 342: 제5삽입 홈
344: 제5돌출부 346: 제3체결 홈
360: 제4바디 362: 제6삽입 홈
364: 제6돌출부 366: 제4체결 홈
400: 제3클램프 바디 420: 제3굴곡부
422: 제7삽입 홈 424: 제7돌출부
440: 제5바디 442: 제8삽입 홈
444: 제8돌출부 446: 제5체결 홈
460: 제6바디 462: 제9삽입 홈
464: 제9돌출부 466: 제6체결 홈

Claims (9)

  1.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1클램프 바디;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2클램프 바디; 및
    복수의 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3클램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클램프 바디 내지 제3클램프 바디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삽입 홈들이 결합되어 본선과 복수의 인하선들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 바디는,
    중심부에 굴곡되어 형성되고, 본선이 삽입되는 제1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1굴곡부;
    상기 제1굴곡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클램프 바디와 결합되고, 제1인하선이 삽입되는 제2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굴곡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클램프 바디와 결합되고, 제2인하선이 삽입되는 제3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클램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2클램프 바디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1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3클램프 바디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2체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클램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 바디는,
    중심부에 굴곡되어 형성되고, 본선이 삽입되는 제4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2굴곡부;
    상기 제2굴곡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클램프 바디와 결합되고, 제1인하선이 삽입되는 제5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3바디; 및
    상기 제2굴곡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클램프 바디와 결합되고, 제2인하선이 삽입되는 제6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4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클램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바디는 상기 제1클램프 바디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3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4바디는 상기 제3클램프 바디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4체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클램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클램프 바디는,
    중심부에 굴곡되어 형성되고, 본선이 삽입되는 제7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3굴곡부;
    상기 제3굴곡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클램프 바디와 결합되고, 제2인하선이 삽입되는 제7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5바디; 및
    상기 제3굴곡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클램프 바디와 결합되고, 제3인하선이 삽입되는 제8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6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클램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5바디는 상기 제1클램프 바디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5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6바디는 상기 제2클램프 바디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6체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클램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 바디 내지 제3클램프 바디가 결합되면,
    상기 제1삽입 홈과 제4삽입 홈 및 제7삽입 홈이 결합되어 본선이 삽입되는 제1삽입 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삽입 홈 및 제5삽입 홈이 결합되어 제1인하선이 삽입되는 제2삽입 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3삽입 홈 및 제8삽입 홈이 결합되어 제2인하선이 삽입되는 제3삽입 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6삽입 홈 및 제9삽입 홈이 결합되어 제3인하선이 삽입되는 제4삽입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클램프.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굴곡부 내지 제3굴곡부는 동일한 각도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클램프.
KR1020150171165A 2015-12-03 2015-12-03 병렬 클램프 KR102524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165A KR102524550B1 (ko) 2015-12-03 2015-12-03 병렬 클램프
KR1020230050127A KR102533177B1 (ko) 2015-12-03 2023-04-17 병렬 클램프
KR1020230050129A KR102533178B1 (ko) 2015-12-03 2023-04-17 병렬 클램프
KR1020230050128A KR102607229B1 (ko) 2015-12-03 2023-04-17 병렬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165A KR102524550B1 (ko) 2015-12-03 2015-12-03 병렬 클램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127A Division KR102533177B1 (ko) 2015-12-03 2023-04-17 병렬 클램프
KR1020230050129A Division KR102533178B1 (ko) 2015-12-03 2023-04-17 병렬 클램프
KR1020230050128A Division KR102607229B1 (ko) 2015-12-03 2023-04-17 병렬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120A true KR20170065120A (ko) 2017-06-13
KR102524550B1 KR102524550B1 (ko) 2023-04-24

Family

ID=5921895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165A KR102524550B1 (ko) 2015-12-03 2015-12-03 병렬 클램프
KR1020230050127A KR102533177B1 (ko) 2015-12-03 2023-04-17 병렬 클램프
KR1020230050128A KR102607229B1 (ko) 2015-12-03 2023-04-17 병렬 클램프
KR1020230050129A KR102533178B1 (ko) 2015-12-03 2023-04-17 병렬 클램프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127A KR102533177B1 (ko) 2015-12-03 2023-04-17 병렬 클램프
KR1020230050128A KR102607229B1 (ko) 2015-12-03 2023-04-17 병렬 클램프
KR1020230050129A KR102533178B1 (ko) 2015-12-03 2023-04-17 병렬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5245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343B1 (ko) 2002-02-06 2004-11-09 주식회사 쓰리비 시스템 전자용돈화폐 발행 및 거래시스템
KR100711813B1 (ko) * 2007-01-17 2007-04-27 한인택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343B1 (ko) 2002-02-06 2004-11-09 주식회사 쓰리비 시스템 전자용돈화폐 발행 및 거래시스템
KR100711813B1 (ko) * 2007-01-17 2007-04-27 한인택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177B1 (ko) 2023-05-17
KR20230054812A (ko) 2023-04-25
KR102607229B1 (ko) 2023-11-29
KR20230054811A (ko) 2023-04-25
KR20230054813A (ko) 2023-04-25
KR102524550B1 (ko) 2023-04-24
KR102533178B1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5942B2 (en) Assemblies and methods for electrical splice connections of cables
KR20190000870U (ko) 케이블 받침대
JP5274693B1 (ja) 電力ケーブル用接続器
CN109038434B (zh) 一种楔形直通耐张线夹
JP2010178613A (ja) ケーブルの外装鉄線連結装置
KR20170018132A (ko) 압축인류클램프
KR20170065120A (ko) 병렬 클램프
KR100897341B1 (ko) 판형 회전방지구가 적용된 부스 덕트 연결용 조인트 키트
KR20210023517A (ko) 고전압 전선 방호관
CN100449896C (zh) 母线紧固和接触装置
KR102387208B1 (ko)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절연손잡이 구조체
CN1122350C (zh) 制冷压缩机电机定子的改进
JP6857901B2 (ja) ストラップ押上工具
JP2010166640A (ja) 架空送電線路及び鉄塔周辺の工事方法
JP5118329B2 (ja) 緊線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バーニア金具
JP4934410B2 (ja) 緊線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カマレス金具
JP7321449B2 (ja) 万力型アース具
JP5875187B2 (ja) 鉄線外装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及び外装鉄線接続方法
KR200458046Y1 (ko) 티분기용 클램프
KR102398098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점퍼선 클램프장치
KR20110052837A (ko) 전선 보호관
KR20240012708A (ko) 분기고리형 인장클램프 구조체
JP5020108B2 (ja) 耐張クランプ用分岐アダプタ
KR200176387Y1 (ko) 교체용 압축인류클램프
KR20050093282A (ko) 조가선 고정용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