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813B1 -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813B1
KR100711813B1 KR1020070005214A KR20070005214A KR100711813B1 KR 100711813 B1 KR100711813 B1 KR 100711813B1 KR 1020070005214 A KR1020070005214 A KR 1020070005214A KR 20070005214 A KR20070005214 A KR 20070005214A KR 100711813 B1 KR100711813 B1 KR 100711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lamp
cover
grooves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인택
Original Assignee
한인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인택 filed Critical 한인택
Priority to KR102007000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F16G11/025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e.g. c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구조를 채용해서 활선 작업시 가공케이블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고, 케이블 그립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가공케이블의 국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삼각봉 형태로 된 클램프본체(30)의 모서리부분에 면취부(31)(32)(33)를 형성하고, 각 면취부(31)(32)(33)에 가공케이블(40)(42)(44)의 일측 절반을 삽입하기 위한 본체측반원홈(34)(35)(36)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며, 본체측반원홈(34)(35)(36)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복수의 걸림홈(37)을 형성하고, 가공케이블(40)(42)(44)을 본체측반원홈(34)(35)(36)을 향해 가압하기 위한 케이블커버(50)(52)(54)의 일측에 힌지결합봉(56)(57)을 형성하며, 클램프본체(30)에 형성된 U형클레비스(38)(39)에 힌지결합봉(56)(57)을 삽입하여 힌지핀(58)(59)으로 결합하고, 체결공(92)이 형성된 볼트결합부(90)를 케이블커버(50)(52)(54)로부터 돌출 형성하며, 케이블커버(50)(52)(54)가 닫힌 상태에서 체결공(92)의 구멍중심과 일치하는 나사구멍(94)을 클램프본체(30)에 형성하여 커버고정볼트(96)에 의해 볼트결합부(90)를 클램프본체(30)에 고정하고, 가공케이블(40)(42)(44)의 타측 절반을 덮는 커버측반원홈(51)(53)(55)을 케이블커버(50)(52)(54)의 대합면에 형성하며, 걸림홈(37)으로 삽입되는 반원리브(60)를 커버측반원홈(51)(53)(55)의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형성하고, 클램프본체(30)의 전후방 중심에 "L"자 모양으로 절곡된 조가선연결봉(70)(72)을 설치하며, 조가선(48)의 하면에 결합되는 반원형태 의 하부브래킷(74)을 조가선연결봉(70)(72)의 상단에 용접하고, 조가선(48)의 상면을 덮는 반원형태의 상부브래킷(76)과 하부브래킷(7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76a)(74a)를 볼트(80)와 너트(82)로 고정하여 구성된 것이다.
가공선,클램프,힌지,조가선,반원,걸림홈,삼각

Description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Aerial distribution electric supply cable clamp}
도 1은 종래 ABC 배전용 클램프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ABC 배전용 클램프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상·하부브래킷과 조가선 연결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케이블커버가 개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클램프본체와 케이블커버의 힌지결합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30 : 클램프본체 31,32,33 : 면취부
34,35,36 : 본체측반원홈 37 : 걸림홈
38,39 : U형클레비스 40,42,44 : 가공케이블
48 : 조가선 50,52,54 : 케이블커버
51,53,55 : 커버측반원홈 56,57 : 힌지결합봉
58,59 : 힌지핀 60 : 반원리브
70,72 : 조가선연결봉 74 : 하부브래킷
76 : 상부브래킷 76a,74a : 플랜지
80 : 볼트 82 : 너트
92 : 체결공 90 : 볼트결합부
94 : 나사구멍 96 : 커버고정볼트
100,102 : 쐐기
본 발명은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구조를 채용해서 활선 작업시 가공케이블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고, 케이블 그립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가공케이블의 국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전지가 곤란한 지역, 염해지역, 조류사고 다발지역 등에서 자연 여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ABC(Aerial Bundle Cable) 배전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ABC 배전방식은 완전절연이 가능한 전력케이블 3상을 중성선으로 접지되는 1개의 조가선 주위에 설치함으로써 공간 확보가 용이하며, 수목 등 다른 물체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안전한 전력수송이 가능하고, 수목전지 및 선로보수 등이 불요한 이점을 가진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2-0072986호(등록번호 10-0495654, 공고일자 2005년06월17일) "ABC 배전용 클램프"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으로 된 클램프본체(21)와 클램프덮개(24)의 결합면에 케이블(27a)(27b)(27c)이 끼워지는 반원홈(21g)(24g)이 상하방향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반원홈(21g)(24g)에는 요철부를 두어 케이블(27a)(27b)(27c)이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었고, 클램프덮개(24)와 클램프본체(21)의 결합을 위해 클램프덮개(24)를 관통하는 덮개고정볼트(25)(26)가 클램프본체(21)에 나사결합되어 있었으며, 조가선(20)에 결합되는 U볼트(22)(23)가 클램프본체(21)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21h)으로 끼워져 반대편에 위치한 너트(22n)로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ABC 배전용 클램프는 덮개고정볼트(25)(26)를 분리하게 되면, 클램프덮개(24)가 클램프본체(21)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케이블(27a)(27b)(27c) 고정을 위한 활선 작업시 클램프덮개(24)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고 있는 상태에서 덮개고정볼트(25)(26)를 고정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종래 ABC 배전용 클램프는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본체(21)와 클램프덮개(24)의 사이에 틈(t1)을 형성하여 덮개고정볼트(25)(26)에 의해 케이블(27a)(27b)(27c)을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고, 반원홈(21g)(24g)에 형성된 요철부가 단순형상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케이블(27a)(27b)(27c)의 피복부(27s)가 클램프본체(21)와 클램프덮개(24) 사이에 형성된 틈(t1)에 끼어 케이 블(27a)(27b)(27c)에 가해지는 압력이 케이블(27a)(27b)(27c) 전면에 고르게 작용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 그립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클램프본체(21)와 클램프덮개(24) 사이의 틈(t1)에 낀 케이블(27a)(27b)(27c)의 피복부(27s)에 압력이 집중되어 덮개고정볼트(25)(26)를 과도하게 조일 경우 케이블(27a)(27b)(27c) 피복부(27s)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공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활선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가공케이블에 가해지는 압력이 가공케이블의 전면에 고르게 작용되도록 하여 케이블 그립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가공케이블의 피복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삼각봉 형태로 된 클램프본체의 모서리부분에 면취부를 형성하고, 각 면취부에 가공케이블의 일측 절반을 삽입하기 위한 본체측반원홈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며, 본체측반원홈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복수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가공케이블을 본체측반원홈을 향해 가압하기 위한 케이블커버의 일측에 힌지결합봉을 형성하며, 클램프본체에 형성된 U형클레비스에 힌지결합봉을 삽입하여 힌지핀으로 결합하고, 체결공이 형성된 볼트결합부를 케이블커버로부터 돌출 형성하며, 케이블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체결공의 구멍중심과 일치하는 나사구멍을 클램프본체에 형성하여 커버고정볼트에 의해 볼트결합부를 클램프본체에 고정하고, 가공케이블의 타측 절반을 덮는 커 버측반원홈을 케이블커버의 대합면에 형성하며, 걸림홈으로 삽입되는 반원리브를 커버측반원홈의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형성하고, 클램프본체의 전후방 중심에 "L"자 모양으로 절곡된 조가선연결봉을 설치하며, 조가선의 하면에 결합되는 반원형태의 하부브래킷을 조가선연결봉의 상단에 용접하고, 조가선의 상면을 덮는 반원형태의 상부브래킷과 하부브래킷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를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여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봉 형태로 된 클램프본체(30)의 모서리부분에 면취부(31)(32)(33)를 형성하고, 각 면취부(31)(32)(33)에 가공케이블(40)(42)(44)의 일측 절반을 삽입하기 위한 본체측반원홈(34)(35)(36)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며, 본체측반원홈(34)(35)(36)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복수의 걸림홈(37)을 형성한다.
또한, 가공케이블(40)(42)(44)의 타측 절반을 덮기 위한 케이블커버(50)(52)(54)의 대합면에 커버측반원홈(51)(53)(55)을 형성하며, 걸림홈(37)으로 삽입되는 반원리브(60)를 커버측반원홈(51)(53)(55)의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가공케이블(40)(42)(44)을 본체측반원홈(34)(35)(36)을 향해 가압하기 위한 케이블커버(50)(52)(54)의 일측에 힌지결합봉(56)(57)을 형성하며, 클램프본체(30)에 형성된 U형클레비스(38)(39)에 힌지결합봉(56)(57)을 삽입하여 힌지 핀(58)(59)으로 결합한다.
여기서 힌지핀(58)(59)은 통상의 경우에서와 같이 일측에는 두부(58h)(59h)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나이론너트(58k)(59k)와 결합되는 나사부(58e)(59e)가 형성된다.
또, 체결공(92)이 형성된 볼트결합부(90)를 케이블커버(50)(52)(54)로부터 돌출 형성하며, 케이블커버(50)(52)(54)가 닫힌 상태에서 체결공(92)의 구멍중심과 일치하는 나사구멍(94)을 클램프본체(30)에 형성하여 커버고정볼트(96)에 의해 볼트결합부(90)를 클램프본체(30)에 고정한다.
한편, 클램프본체(30)의 전후방 중심에 "L"자 모양으로 절곡된 조가선연결봉(70)(72)을 설치하며, 조가선(48)의 하면에 결합되는 반원형태의 하부브래킷(74)을 조가선연결봉(70)(72)의 상단에 용접하고, 조가선(48)의 상면을 덮는 반원형태의 상부브래킷(76)과 하부브래킷(7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76a)(74a)를 볼트(80)와 너트(82)로 고정한다.
즉, 클램프본체(30)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홀(30k)에 접착제를 주입한 다음 일자형태의 조가선연결봉(70)(72)을 삽입한 다음 조가선연결봉(70)(72)의 양단을 상측으로 구부려서 형성한다.
또한, 조가선(48)은 도면상에서 길이를 생략하여 나타내었으며, 전주(도시 생략) 상단에 고정하며, 이러한 조가선 고정구조는 공지의 기술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반원리브(60)의 양단에 본체측반원홈(34)(35)(36)의 단부로 진입하는 사 다리꼴 형태의 쐐기(100)(102)를 형성하여 케이블커버(50)(52)(54)가 클램프본체(30)에 좀 더 정확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동시에 가공케이블(40)(42)(44)의 가압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6h,74h는 플랜지(76a)(74a)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나타낸 것이며, t2는 클램프본체(30)와 케이블커버(50)(52)(54) 사이에 형성됨 틈을 나타낸 것이고, 200은 가공케이블(40)(42)(44)의 피복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연결봉(70)(72)의 상단에 용접된 하부브래킷(74)를 전주(도시 생략)의 상단에 고정된 조가선(48)의 하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조가선(48)의 상면을 상부브래킷(76)으로 덮게 되면, 상부브래킷(76)과 하부브래킷(7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76a)(74a)가 밀착된다.
이때 플랜지(76a)(74a)에 형성된 관통구멍(76h)(74h)으로 볼트(80)를 삽입한 다음 너트(82)와 결합하여 조이게 되면, 상부브래킷(76)과 하부브래킷(74)이 조가선(48)에 결합되면서 클램프본체(30)가 조가선연결봉(70)(72)에 의해 조가선(48)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된다.
이후 케이블커버(50)(52)(54)를 닫고 있는 커버고정볼트(96)를 클램프본체(30)로부터 풀어서 분리한 다음 케이블커버(50)(52)(54)를 개방하게 되면, 케이블커버(50)(52)(54)가 힌지핀(58)(59)을 기점으로 회동하여 열리게 된다.
즉, 케이블커버(50)(52)(54)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결합봉(56)(57)이 힌지핀(58)(59)에 의해 클램프본체(30)에 형성되어 있는 U형클레비스(38)(39)에서 회동 하면서 케이블커버(50)(52)(54)의 개방을 돕게 된다.
위와 같이 케이블커버(50)(52)(54)가 개방된 상태에서 클램프본체(30)의 면취부(31)(32)(33)에 형성된 본체측반원홈(34)(35)(36)으로 가공케이블(40)(42)(44)을 삽입한 다음 케이블커버(50)(52)(54)를 닫게 되면, 케이블커버(50)(52)(54)가 힌지핀(58)(59)을 기점으로 회동하여 클램프본체(30)에 형성된 면취부(31)(32)(33)에 밀착되며, 가공케이블(40)(42)(44)은 클램프본체(30)에 형성된 본체측반원홈(34)(35)(36)과 케이블커버(50)(52)(54)에 형성된 커버측반원홈(51)(53)(55)에 끼워져 가압된다.
이때 케이블커버(50)(52)(54)의 커버측반원홈(51)(53)(55)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원리브(60)는 가공케이블(40)(42)(44)을 축의 직각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반원리브(60)에 의해 압력을 받는 부분은 반원리브(60) 반대편에 위치한 걸림홈(37)으로 약간 돌출되면서 본체측반원홈(34)(35)(36)과 커버측반원홈(51)(53)(55)에 물린 부분 표면에 요철형태의 자국이 발생되면서 가공케이블(40)(42)(4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케이블커버(50)(52)(54)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결합부(90)가 클램프본체(30)에 밀착되면서 볼트결합부(90)에 형성된 체결공(92)이 클램프본체(30)에 형성된 나사구멍(94)에 중심이 일치하게 되는데, 이때 체결공(92)을 통해 커버고정볼트(96)를 삽입한 다음 나사구멍(94)에 결합하게 되면, 케이블커버(50)(52)(54)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공케이블(40)(42)(44)을 보수하거나 이설하는 경우 커버고정볼 트(96)를 풀고 케이블커버(50)(52)(54)을 개방하게 되면, 가공케이블(40)(42)(44)을 클램프본체(3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 케이블커버(50)(52)(54)을 닫을 때 반원리브(6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사다리꼴 형태의 쐐기(100)(102)가 본체측반원홈(34)(35)(36)의 양단으로 진입하면서 케이블커버(50)(52)(54)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체측반원홈(34)(35)(36)의 양단으로 진입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쐐기(100)(102)는 가공케이블(40)(42)(44)의 피복부가 클램프본체(30)와 케이블커버(50)(52)(54) 사이에 형성된 틈(t2)으로 돌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가공케이블(40)(42)(44)의 피복부(200)를 보호하는 작용을 하는 동시에 가공케이블(40)(42)(44)의 전면에 압력이 고르게 작용되도록 하여 케이블 그립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케이블커버가 클램프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케이블을 클램프본체에 결합하거나 클램프본체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케이블커버를 개방하여 둘 때 케이블커버가 클램프본체로부터 이탈하지 않아 활선작업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반원리브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쐐기에 의해 클램프본체와 결합되는 케이블커버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램프본체와 케이블커버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가공케이블의 피복부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서 가공케이블의 피복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삼각봉 형태로 된 클램프본체(30)의 모서리부분에 면취부(31)(32)(33)를 형성하고, 각 면취부(31)(32)(33)에 가공케이블(40)(42)(44)의 일측 절반을 삽입하기 위한 본체측반원홈(34)(35)(36)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며, 본체측반원홈(34)(35)(36)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복수의 걸림홈(37)을 형성하고, 가공케이블(40)(42)(44)을 본체측반원홈(34)(35)(36)을 향해 가압하기 위한 케이블커버(50)(52)(54)의 일측에 힌지결합봉(56)(57)을 형성하며, 클램프본체(30)에 형성된 U형클레비스(38)(39)에 힌지결합봉(56)(57)을 삽입하여 힌지핀(58)(59)으로 결합하고, 체결공(92)이 형성된 볼트결합부(90)를 케이블커버(50)(52)(54)로부터 돌출 형성하며, 케이블커버(50)(52)(54)가 닫힌 상태에서 체결공(92)의 구멍중심과 일치하는 나사구멍(94)을 클램프본체(30)에 형성하여 커버고정볼트(96)에 의해 볼트결합부(90)를 클램프본체(30)에 고정하고, 가공케이블(40)(42)(44)의 타측 절반을 덮는 커버측반원홈(51)(53)(55)을 케이블커버(50)(52)(54)의 대합면에 형성하며, 걸림홈(37)으로 삽입되는 반원리브(60)를 커버측반원홈(51)(53)(55)의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형성하고, 클램프본체(30)의 전후방 중심에 "L"자 모양으로 절곡된 조가선연결봉(70)(72)을 설치하며, 조가선(48)의 하면에 결합되는 반원형태의 하부브래킷(74)을 조가선연결봉(70)(72)의 상단에 용접하고, 조가선(48)의 상면을 덮는 반원형태의 상부브래킷(76)과 하부브래킷(7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76a)(74a)를 볼 트(80)와 너트(82)로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리브(60)의 양단에 본체측반원홈(34)(35)(36)의 단부로 진입하는 쐐기(100)(102)를 추가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
KR1020070005214A 2007-01-17 2007-01-17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 KR100711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214A KR100711813B1 (ko) 2007-01-17 2007-01-17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214A KR100711813B1 (ko) 2007-01-17 2007-01-17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813B1 true KR100711813B1 (ko) 2007-04-27

Family

ID=3818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214A KR100711813B1 (ko) 2007-01-17 2007-01-17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8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120A (ko) * 2015-12-03 2017-06-13 한국전력공사 병렬 클램프
CN107895911A (zh) * 2017-12-04 2018-04-10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怒江供电局 一种用于20kV线路带电作业的专用线夹
KR102245409B1 (ko) * 2020-09-21 2021-04-29 주식회사 민영이앤지 지중 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CN113285412A (zh) * 2021-05-17 2021-08-20 国网山东省电力公司龙口市供电公司 一种用于电力线路的高压电力金具
CN116937470A (zh) * 2023-07-26 2023-10-24 马鞍山市华能电力线路器材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防松动电力夹线金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565A (ko) * 1999-10-26 2001-05-15 이종훈 저압케이블 배전용 바인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565A (ko) * 1999-10-26 2001-05-15 이종훈 저압케이블 배전용 바인더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178B1 (ko) * 2015-12-03 2023-05-17 한국전력공사 병렬 클램프
KR102524550B1 (ko) * 2015-12-03 2023-04-24 한국전력공사 병렬 클램프
KR20230054813A (ko) * 2015-12-03 2023-04-25 한국전력공사 병렬 클램프
KR20230054812A (ko) * 2015-12-03 2023-04-25 한국전력공사 병렬 클램프
KR20230054811A (ko) * 2015-12-03 2023-04-25 한국전력공사 병렬 클램프
KR102533177B1 (ko) * 2015-12-03 2023-05-17 한국전력공사 병렬 클램프
KR20170065120A (ko) * 2015-12-03 2017-06-13 한국전력공사 병렬 클램프
KR102607229B1 (ko) * 2015-12-03 2023-11-29 한국전력공사 병렬 클램프
CN107895911A (zh) * 2017-12-04 2018-04-10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怒江供电局 一种用于20kV线路带电作业的专用线夹
KR102245409B1 (ko) * 2020-09-21 2021-04-29 주식회사 민영이앤지 지중 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CN113285412A (zh) * 2021-05-17 2021-08-20 国网山东省电力公司龙口市供电公司 一种用于电力线路的高压电力金具
CN116937470A (zh) * 2023-07-26 2023-10-24 马鞍山市华能电力线路器材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防松动电力夹线金具
CN116937470B (zh) * 2023-07-26 2024-03-26 马鞍山市华能电力线路器材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防松动电力夹线金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813B1 (ko) 가공배전용 케이블 클램프
US7635816B1 (en) Connector / bushing assembly for electrical junction boxes
KR200446357Y1 (ko) 라인포스트 애자용 커버
KR101223508B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01777379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KR101978980B1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에 의한 전력선 고정방법
KR101721540B1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US4613249A (en) Adjustable conduit clamp
KR102236448B1 (ko) 전주용 접지몰딩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주
KR101399036B1 (ko) 완금 밴드
NO880757L (no) Klemme.
US4529331A (en) Adjustable conduit clamp
KR100926836B1 (ko) 설치작업이 간편한 케이블 보호관
JP2008178181A (ja) 高圧絶縁カバー
CN205982779U (zh) 一种光缆接头盒
KR101230255B1 (ko) 드롭퍼 클램프
KR101022435B1 (ko) 건축현장용 다기능 클램프
KR100396815B1 (ko) 지중저압케이블 접속장치의 지중함부착용 행거구조
KR102187102B1 (ko) 애자 일체형 전력선 고정장치
KR101665642B1 (ko) 전주 가공지선 지지대
KR20200115970A (ko) 애자 장착형 전력선 고정장치
CN208142754U (zh) 一种结构型防腐电线桥架
KR200207464Y1 (ko)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CN214900065U (zh) 一种便于安装的锲形线夹
CN215978053U (zh) 一种便于安装线缆的预制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