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850A -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850A
KR20170064850A KR1020150170830A KR20150170830A KR20170064850A KR 20170064850 A KR20170064850 A KR 20170064850A KR 1020150170830 A KR1020150170830 A KR 1020150170830A KR 20150170830 A KR20150170830 A KR 20150170830A KR 20170064850 A KR20170064850 A KR 20170064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ront surface
portable terminal
adhesive laye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0701B1 (ko
Inventor
홍진
Original Assignee
(주)타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타라테크 filed Critical (주)타라테크
Priority to KR102015017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7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특히 이미지나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의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밀착되어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은, 가장자리의 일부 또는 전체가 곡면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투명 재질의 제1 필름; 상기 제1 필름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필름을 상기 전면에 부착시키는 제1 점착층; 상기 제1 필름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전면을 덮는 투명 재질의 제2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접착시키는 제2 점착층; 상기 제2 필름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전면을 덮는 투명 재질의 제3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과 제3 필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필름과 제3 필름을 접착시키는 제3 점착층을 포함하며, 서로 접착된 상기 제1 필름, 제2 필름, 제3 필름의 가장자리에는 하방향으로 절곡된 곡면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Film for protecting front part of portab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특히 이미지나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의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밀착되어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액정 표시장치나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등을 이용하여 화면을 형성하고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잦은 화면 터치 또는 충돌이나 긁힘 등에 의하여 화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 필름을 화면에 부착하는 것이 요구된다.
위와 같은 요구에 따라 등록특허공보 제10-1200451호에는 모바일 단말 화면 보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모바일 단말 화면 보호 필름은 필름층, 코팅층, 점착층 및 패턴층을 포함한다. 필름층은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외곽에 테두리를 이루며 문양이 디자인된 인쇄면으로 구분되고, 상기 인쇄면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형성된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 등의 구성요소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된다. 코팅층은 상기 필름층의 상면의 전면에 형성된다. 인쇄 점착층은 상기 인쇄면에 대응하는 상기 필름층의 저면에 형성되며 점착성을 갖는다. 패턴층은 상기 윈도우에 대응하는 상기 필름층의 저면의 상기 인쇄 점착층 내측에 형성되며 자외선 조사 또는 열경화 방법에 의하여 엠보싱 형상을 갖도록 패턴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필름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PMMA)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패턴층은 내마모성을 갖는 아크릴, 우레탄, 에폭시 중 어느 하나의 수지의 몰리머 조성물로 형성되거나, 상기 필름층과 상기 패턴층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 점착층은 잉크와 점착제가 혼합된 것으로 상기 필름층에 인쇄되는 인쇄층과 점착성을 가지며 상기 인쇄층 하부에 도포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인쇄층은 칼라의 하나 또는 두개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에는 화면(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 가장자리의 일부 또는 전체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가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면 보호 필름은 기존 휴대단말기의 평면 화면에 맞춰 평면 형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휴대단말기 화면의 곡면 부분에 부착이 가능하지만 휨 변형에 따른 필름 자체의 반력에 의해 곡면 부분에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화면의 가장자리 일부 또는 전체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보호 필름을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보호 필름 또한 휴대단말기의 전면 형상에 맞춰 가장자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곡면 형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화면의 가장자리에 좁은 폭으로 형성된 곡면에 맞춰 필름의 가장자리를 곡면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곡면 부분의 폭이 1mm 이하로 매우 좁게 형성될 경우 곡면 부분의 곡률이 크기 때문에 필름의 반력이 커지고 그 형상의 유지가 어렵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화면 보호 필름과 같이 하나의 필름층을 기본으로 필름층의 양면에 코팅층, 점착층 등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전체 필름의 형상은 필름층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필름층의 두께는 보통 100㎛ 이상이다. 이러한 필름층은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가장자리를 곡면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필름층 양면의 연신률 차이가 커서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곡면으로 형성한 후 시간이 지나 곡면으로 형성된 부분이 펴지면서 들뜸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장자리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맞춰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부착되는 필름의 가장자리를 곡면으로 형성하기 용이하고, 곡면 형상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밀착되어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은, 가장자리의 일부 또는 전체가 곡면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투명 재질의 제1 필름; 상기 제1 필름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필름을 상기 전면에 부착시키는 제1 점착층; 상기 제1 필름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전면을 덮는 투명 재질의 제2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접착시키는 제2 점착층; 상기 제2 필름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전면을 덮는 투명 재질의 제3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과 제3 필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필름과 제3 필름을 접착시키는 제3 점착층을 포함하며, 서로 접착된 상기 제1 필름, 제2 필름, 제3 필름의 가장자리에는 하방향으로 절곡된 곡면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필름, 제2 필름, 제3 필름은 각각 30~40㎛ 두께의 PET필름이고, 상기 제1 점착층은 27~33㎛ 두께의 실리콘 점착제이며, 상기 제2 점착층 및 제3 점착층은 각각 5~20㎛ 두께의 아크릴 점착제이고, 상기 제3 필름의 상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점착층 및 코팅층을 포함한 상기 필름의 전체 두께는 150~195㎛이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은, 상기 제3 필름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전면을 덮는 투명 재질의 제4 필름과, 상기 제3 필름과 제4 필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필름과 제4 필름을 접착시키는 제4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4 필름의 상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필름, 제2 필름, 제3 필름, 제4 필름은 각각 20~25㎛ 두께의 PET필름이다.
한편, 가장자리의 일부 또는 전체가 곡면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어 보호하는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필름을 접합시키는 필름접합단계와, 서로 접합된 상기 필름을 가압하여 상기 필름의 가장자리를 곡면 형상으로 성형하는 포밍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포밍단계는 상기 필름을 50~90℃의 온도로 가열하며, 상기 필름의 가압 및 가열시간은 60초 이하로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포밍단계는 500~6000kgf의 압력으로 상기 필름을 가압한다.
그리고 서로 접합되는 복수의 필름 중 하단에 위치한 필름의 하면에는 상기 필름을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1 점착층이 형성되고, 서로 접합되는 복수의 필름 중 상단에 위치한 필름의 상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점착층과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필름의 하면 및 상면에는 각각 이형지가 부착되고, 상기 포밍단계는 상기 이형지와 함께 상기 필름의 가장자리를 곡면 형상으로 성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은, 두께가 얇은 복수의 필름을 접합시켜 가장자리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맞춰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부착되는 필름의 가장자리를 곡면으로 형성하기 용이하고, 곡면 형상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밀착되어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장자리 전체에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 보호 필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만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 보호 필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보호 필름이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형지를 포함한 전면 보호 필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형지를 포함한 전면 보호 필름의 단면도.
본 발명은 이미지나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의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밀착되어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두께가 얇은 복수의 필름을 접합시켜 가장자리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의 형상에 맞춰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부착되는 필름의 가장자리를 곡면으로 형성하기 용이하고, 곡면 형상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밀착되어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형태의 전면 보호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가장자리 전체에 곡면부(R)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 보호 필름(100)이고, 도 2는 양측 가장자리에만 곡면부(R)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 보호 필름(100)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전면 보호 필름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나타내었지만 적용되는 휴대단말기에 따라 스피커, 카메라 등이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전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개별 필름은 제1, 제2, 제3 및 제4 필름(110,130,150,180)으로 구분하였고, 별도의 구분 없이 필름으로 기재한 필름은 제1 내지 제3 필름 또는 제1 내지 제4 필름으로 구성된 전면 보호 필름(100)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름(110), 제1 점착층(120), 제2 필름(130), 제2 점착층(140), 제3 필름(150), 제3 점착층(160) 및 코팅층(170)으로 구성된다.
제1 필름(110), 제2 필름(130), 제3 필름(150)은 각각 30~40㎛ 두께의 PET필름이다. 이러한 제1 필름(110), 제2 필름(130), 제3 필름(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적층되어 접착된다.
제1 점착층(120)은 제1 필름(110)의 하면에 형성되어 제1 필름(110)을 휴대단말기의 전면(F)에 부착시킨다. 이러한 제1 점착층(120)은 실리콘 점착제이며, 열경화방식으로 제1 필름(110)의 하면에 형성된다. 제1 필름(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점착층(120)의 두께는 27~33㎛이다.
제2 점착층(140)은 제1 필름(110)과 제2 필름(130) 사이에 형성되어 제1 필름(110)과 제2 필름(130)을 접착시킨다.
제3 점착층(160)은 제2 필름(130)과 제3 필름(150) 사이에 형성되어 제2 필름(130)과 제3 필름(150)을 접착시킨다.
제2 점착층(140) 및 제3 점착층(160)은 아크릴 점착제이다. 제1 내지 제3 필름(150)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점착층(140)과 제3 점착층(160)의 두께는 5~20㎛이다.
코팅층(170)은 제3 필름(150)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코팅층(170)은 아크릴 수지를 기본으로 불소첨가제가 포함된 것으로, UV경화방식으로 제3 필름(150)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3 필름(150)의 상면에 형성되는 코팅층(170)의 두께는 약 2㎛이다.
그리고 제1 점착층(120)과 코팅층(170)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보호 필름(100)의 하면 및 상면에는 이형지(200)가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접착된 제1 내지 제3 필름(110,130,150)의 가장자리에는 하방향으로 절곡된 곡면부(R)가 형성된다. 이러한 곡면부(R)는 가장자리의 일부 또는 전체가 곡면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F)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F)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100)은 이형지(200)를 제거한 후 휴대단말기의 전면(F)에 부착되며, 점착층(120,140,160) 및 코팅층(170)을 포함한 필름(100) 전체의 두께는 150~195㎛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전면(F)에 부착되는 전면 보호 필름(100)은 두께를 얇게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휴대단말기의 전면(F)을 보호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의 전면(F)에 부착되는 전면 보호 필름(100)은 외관상 얇을수록 좋지만, 휴대단말기의 전면(F)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 전면 보호 필름(100)의 두께는 150㎛ 이상이 되어야 한다.
전술한 제1 내지 제3 필름(110,130,150), 제1 내지 제3 점착층(120,140,160) 및 코팅층(170)의 두께는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필름(110,130,150)의 두께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필름(180)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이때, 제4 필름(180)은 제3 필름(150)의 상부에 적층되어 휴대단말기의 전면(F)을 덮고, 제4 점착층(190)을 추가하여 제3 필름(150)과 제4 필름(180)을 접착시킨다. 그리고 코팅층(170)은 제4 필름(180)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1 필름(110), 제2 필름(130), 제3 필름(150), 제4 필름(180)은 각각 20~25㎛ 두께의 PET필름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100)의 구체적인 실시예이다.
전면 보호 필름(100)이 제1 필름(110), 제2 필름(130), 제3 필름(150)으로구 구성될 경우, 제1 내지 제3 필름(110,130,150)의 두께는 각각 36㎛이고, 제1 점착층(120)의 두께는 30㎛이다. 그리고 제2 및 제3 점착층(140,160)의 두께는 20㎛이고, 코팅층(170)의 두께는 2㎛이다. 제2 및 제3 점착층(140,160)은 곡면부(R)를 성형하기 위한 필름(100)의 가압시에 압축되어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한편, 전면 보호 필름(100)이 제1 필름(110), 제2 필름(130), 제3 필름(150), 제4 필름(180)으로 구성될 경우, 제1 내지 제4 필름(110,130,150,180)의 두께는 각각 23㎛이고, 제1 점착층(120)의 두께는 30㎛이다. 그리고 제2 내지 제4 점착층(140,160,190)의 두께는 20㎛이고, 코팅층(170)의 두께는 2㎛이다. 제2 내지 제4 점착층(140,160,190)은 앞선 설명과 동일하게 곡면부(R)를 성형하기 위한 필름(100)의 가압시에 압축되어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은 크게 필름접합단계와 포밍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필름접합단계는 복수의 필름을 접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 점착제인 제2 점착제(140)와 제3 점착제(160)를 이용하여 열경화방식으로 제1 필름(110), 제2 필름(130), 제3 필름(150)을 접합시킨다.
그리고 서로 접합되는 복수의 필름 중 하단에 위치한 필름(제1 필름 : 110)의 하면에는 전면 보호 필름(100)을 휴대단말기의 전면(F)에 부착시키기 위한 실리콘 점착제인 제1 점착층(120)이 형성되고, 서로 접합되는 복수의 필름 중 상단에 위치한 필름(제3 필름 : 150)의 상면에는 코팅층(170)이 형성된다. 제1 점착층(120)과 코팅층(170)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100)의 하면 및 상면에는 각각 이형지(200)가 부착되어 제1 점착층(120) 및 코팅층(170)을 보호한다.
포밍단계는 서로 접합된 필름(100)을 가압하여 필름의 가장자리를 곡면 형상으로 성형한다. 이러한 포밍단계는 필름(100)을 프레스 지그에 투입한 후 500~6000kgf의 압력으로 가압한다. 이때, 이형지(200)를 포함한 전면 보호 필름(100)의 가열 온도는 50~90℃이고, 가압 및 가열 시간은 60초 이내로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 보호 필름(100)은 곡면부(R)가 필름(100) 가장자리의 1mm 이하의 폭(도 3에서 W<1mm)에서 형성될 때도 그 형상의 성형 및 유지가 용이하도록 40㎛ 이하의 두께가 얇은 복수의 개별 필름(110,130,150)을 접합시켜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전면 보호 필름(100)을 구성하는 개별 필름(110,130,150)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곡면부(R)가 형성되어 있는 개별 필름(110,130,150)의 양면의 연신율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고, 개별 필름(110,130,150)의 양면의 연신율 차이에 의한 형상의 변형 및 반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대로 두께가 두꺼운 한 장의 필름을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필름 양면의 연신율 차이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필름의 형상 변형이 더 어렵고 초기 상태로 돌아가려는 반력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필름(110,130,150)은 두께가 30~40㎛ 정도로 매우 얇기 때문에 포밍단계에서 전면 보호 필름(100)의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즉 서로 접합된 필름의 가장자리에 곡면부(R)를 형성하여 그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 온도 및 시간 이상의 조건으로 필름을 가압하여야 하지만, 필름이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름의 가열 온도 및 시간을 90℃, 60초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필름의 포밍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전면 보호 필름,
110 : 제1 필름, 120 : 제1 점착층, 130 : 제2 필름, 140 : 제2 점착층, 150 : 제3 필름, 160 : 제3 점착층, 170 : 코팅층, 180 : 제4 필름, 190 : 제4 점착층,
200 : 이형지,

Claims (6)

  1. 가장자리의 일부 또는 전체가 곡면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前面)을 덮어 보호하는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투명 재질의 제1 필름;
    상기 제1 필름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필름을 상기 전면에 부착시키는 제1 점착층;
    상기 제1 필름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전면을 덮는 투명 재질의 제2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접착시키는 제2 점착층;
    상기 제2 필름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전면을 덮는 투명 재질의 제3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과 제3 필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필름과 제3 필름을 접착시키는 제3 점착층을 포함하며,
    서로 접착된 상기 제1 필름, 제2 필름, 제3 필름의 가장자리에는 하방향으로 절곡된 곡면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제2 필름, 제3 필름은 각각 30~40㎛ 두께의 PET필름이고,
    상기 제1 점착층은 27~33㎛ 두께의 실리콘 점착제이며,
    상기 제2 점착층 및 제3 점착층은 각각 5~20㎛ 두께의 아크릴 점착제이고,
    상기 제3 필름의 상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점착층 및 코팅층을 포함한 상기 필름의 전체 두께는 150~1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필름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전면을 덮는 투명 재질의 제4 필름과,
    상기 제3 필름과 제4 필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필름과 제4 필름을 접착시키는 제4 점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필름의 상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필름, 제2 필름, 제3 필름, 제4 필름은 각각 20~25㎛ 두께의 PET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4. 가장자리의 일부 또는 전체가 곡면으로 형성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어 보호하는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필름을 접합시키는 필름접합단계와,
    서로 접합된 상기 필름을 가압하여 상기 필름의 가장자리를 곡면 형상으로 성형하는 포밍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포밍단계는 상기 필름을 50~90℃의 온도로 가열하며,
    상기 필름의 가압 및 가열시간은 60초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필름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밍단계는 500~6000kgf의 압력으로 상기 필름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필름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는 복수의 필름 중 하단에 위치한 필름의 하면에는 상기 필름을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1 점착층이 형성되고,
    서로 접합되는 복수의 필름 중 상단에 위치한 필름의 상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점착층과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필름의 하면 및 상면에는 각각 이형지가 부착되고,
    상기 포밍단계는 상기 이형지와 함께 상기 필름의 가장자리를 곡면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필름 제조방법.
KR1020150170830A 2015-12-02 2015-12-02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76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830A KR101760701B1 (ko) 2015-12-02 2015-12-02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830A KR101760701B1 (ko) 2015-12-02 2015-12-02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850A true KR20170064850A (ko) 2017-06-12
KR101760701B1 KR101760701B1 (ko) 2017-07-24

Family

ID=5921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830A KR101760701B1 (ko) 2015-12-02 2015-12-02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70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474A (ko) * 2017-06-21 2018-12-31 율촌화학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풀-커버 보호 필름
KR20190030939A (ko) * 2017-09-15 2019-03-25 창조산업 주식회사 곡면 부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필름
KR20190081537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엘엠에스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82169A (ko) 2019-05-17 2019-07-09 주식회사 엘엠에스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98970A1 (ko) * 2018-04-10 2019-10-17 코세스지티 주식회사 곡면 보호 필름 제조 방법
KR20200114613A (ko)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엘엠에스 외주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787154B2 (en) 2022-01-14 2023-10-17 Whitestone Co., Ltd. Display prot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575B1 (ko) 2017-09-13 2023-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1229B2 (ja) * 2013-06-10 2018-04-1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体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474A (ko) * 2017-06-21 2018-12-31 율촌화학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풀-커버 보호 필름
KR20190030939A (ko) * 2017-09-15 2019-03-25 창조산업 주식회사 곡면 부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필름
KR20190081537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엘엠에스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98970A1 (ko) * 2018-04-10 2019-10-17 코세스지티 주식회사 곡면 보호 필름 제조 방법
KR20200114613A (ko)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엘엠에스 외주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82169A (ko) 2019-05-17 2019-07-09 주식회사 엘엠에스 엣지부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한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787154B2 (en) 2022-01-14 2023-10-17 Whitestone Co., Ltd. Display pro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701B1 (ko)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701B1 (ko)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8249A (ko) 패널 하부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396007B (zh) Imag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451036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412721B2 (ja) 液晶表示装置
CN109873020B (zh) 贴合膜材、显示面板、显示装置、显示面板的制备方法
US1189084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bonding the same
CN109752874B (zh) 面板模块及显示装置
KR20160053923A (ko)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KR101486118B1 (ko)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097339A1 (en) Preparation Method of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JP2012022281A (ja) 画像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TW201627166A (zh) 光學膠、面板以及基板貼合方法
JP6262553B2 (ja) 熱可塑性両面粘着テープを用いた接合方法
CN104007877A (zh) 触控显示设备用的高黏着力贴合结构
JP5245003B1 (ja) 加飾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85272B2 (ja) 表示装置用フィルム、表示装置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画像表示装置
US10203450B2 (en) Backlight modu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6081473A (ja) 保護カバー貼り付け用透明粘着シート
US11720142B2 (en) Sheet for display panel
JP2017161575A (ja) 治具、および、システム
CN106507618B (zh) 外装面板及其制造方法
JP5707176B2 (ja) 装飾透明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35493A (ja) カバーフィルム、カバ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KR101762288B1 (ko) 필름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