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022A -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022A
KR20170063022A KR1020150168927A KR20150168927A KR20170063022A KR 20170063022 A KR20170063022 A KR 20170063022A KR 1020150168927 A KR1020150168927 A KR 1020150168927A KR 20150168927 A KR20150168927 A KR 20150168927A KR 20170063022 A KR20170063022 A KR 20170063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ear bumper
ribs
vehicl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미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3022A/ko
Publication of KR20170063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7Fastening of bumpers' side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는 차량의 후방에 측면과 하부 경사면을 갖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리브들이 상기 하부 경사면의 내측면에서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후방 범퍼 및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홀들을 가지며, 상기 리브들의 하부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홀들이 상기 리브에 끼워지면서 상기 후방 범퍼와 고정되는 브래킷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브래킷을 상기 후방 범퍼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Bracket assembling structure of rear bumper}
본 발명은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 범퍼의 내부에 브래킷을 장착하기 위한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방 범퍼를 제조하는 금형의 구조로 인해 상기 후방 범퍼의 내부에는 별도의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마운팅 형상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상기 후방 범퍼에 별도의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브래킷을 초음파 융착이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후방 범퍼의 내부에 부착한다.
사람의 발이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여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하는 시스템은 상기 후방 범퍼의 내부 최하단 부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을 상기 후방 범퍼에 장착하기 위해 초음파 융착 장비를 구동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상기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을 장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후방 범퍼의 외측면에 상기 마운팅 형상을 구현하고, 별도의 부품을 이용하여 상기 마운팅 형상을 가린다. 그러나, 상기 별도의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별도 부품으로 인해 상기 후방 범퍼의 디자인에 대한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방 범퍼의 내부에 브래킷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방 범퍼의 브래킷 체결 구조는 차량의 후방에 측면과 하부 경사면을 갖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리브들이 상기 하부 경사면의 내측면에서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후방 범퍼 및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홀들을 가지며, 상기 리브들의 하부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홀들이 상기 리브에 끼워지면서 상기 후방 범퍼와 고정되는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후방 범퍼의 브래킷 체결 구조는 상기 브래킷이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브래킷을 상기 후방 범퍼의 측면에 고정하는 체결 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은 상기 리브들의 하부면과 밀착되는 부위의 두께가 나머지 부위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리브들의 돌출 길이는 상기 브래킷에서 상기 리브들의 하부면과 밀착되는 부위의 두께보다 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방 범퍼의 브래킷 체결 구조는 상기 후방 범퍼의 리브들에 브래킷의 홀들을 끼워 상기 후방 범퍼에 대해 상기 브래킷을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후방 범퍼의 브래킷 체결 구조는 체결 나사로 상기 후방 범퍼의 측면에 상기 브래킷을 체결하여 상기 후방 범퍼에 대해 상기 브래킷을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브래킷을 상기 후방 범퍼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이 주행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격에도 상기 브래킷이 상기 후방 범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절단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절단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100)는 후방 범퍼(110)에 브래킷(120)을 체결한다.
후방 범퍼(110)는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며, 측면(112) 및 하부 경사면(114)을 갖는다. 하부 경사면(114)은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후방 범퍼(110)는 다수의 리브(116)들을 갖는다.
리브(116)들은 하부 경사면(114)의 내측면에서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다. 즉, 리브(116)들은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리브(116)들은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리브(116)들을 이용하여 브래킷(12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리브(116)들 사이의 간격이 약 100 mm을 초과하는 경우, 리브(116)들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어 리브(116)들 사이의 위치하는 브래킷(12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상하로 요동할 수 있다. 이때, 리브(116)들 사이의 간격은 약 100 mm 이내일 수 있다.
브래킷(120)은 후방 범퍼(110)의 내부에 사람의 발이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여 트렁크를 개방하는 시스템과 같은 별도의 부품을 장착하는데 이용된다.
브래킷(120)은 다수의 홀(122)들을 갖는다. 홀(122)들은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홀(122)들은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홀(122)들은 리브(116)들과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브래킷(120)을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밀어 홀(122)들을 리브(116)들에 끼울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120)이 후방 범퍼(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홀(122)들은 리브(116)들의 하부면과 밀착된다. 즉, 브래킷(120)이 리브(116)들이 하부면과 밀착된다. 리브(116)들이 상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브래킷(120)이 리브(116)들이 하부면과 밀착되므로, 브래킷(120)이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이 주행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브래킷(120)이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때, 홀(122)들은 리브(116)들의 상부면과는 약간 이격된다. 따라서, 홀(122)이 리브(116)들과의 간섭없이 리브(116)들에 끼워질 수 있다.
브래킷(120)은 리브(116)들의 하부면과 밀착되는 부위의 두께(t1)가 나머지 부위의 두께(t2)보다 두껍다. 따라서, 브래킷(120)과 리브(116)들이 접촉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그러므로, 브래킷(120)이 리브(116)들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리브(116)들의 돌출 길이는 브래킷(120)에서 리브(116)들의 하부면과 밀착되는 부위의 두께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홀(122)들이 리브(116)들에 끼워진 상태에서 리브(116)들이 브래킷(120)보다 돌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브래킷(120)이 리브(116)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브래킷(120)을 후방 범퍼(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체결 나사(130)는 브래킷(120)을 후방 범퍼(110)의 측면(112)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브래킷(120)을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밀어 홀(122)들을 리브(116)들에 끼우고, 홀(122)들이 리브(116)들의 하부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 나사(130)는 브래킷(120)과 후방 범퍼(110)를 고정한다.
브래킷(120)이 후방 범퍼(110)의 측면(112)에 고정되므로, 브래킷(120)이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20)이 후방 범퍼(110)의 측면(112)에 고정되므로, 브래킷(120)이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방 범퍼(110)의 리브(116)들과 브래킷(120)의 홀(122)들을 이용하여 후방 범퍼(110)에 대해 브래킷(120)을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체결 나사(130)를 이용하여 후방 범퍼(110)에 대해 브래킷(120)을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브래킷(120)을 후방 범퍼(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이 주행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격에도 브래킷(120)이 후방 범퍼(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방 범퍼의 브래킷 체결 구조는 상기 후방 범퍼의 리브들과 브래킷의 홀들을 이용하여 상기 후방 범퍼에 대해 상기 브래킷을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체결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후방 범퍼에 대해 상기 브래킷을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브래킷을 상기 후방 범퍼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이 주행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격에도 상기 브래킷이 상기 후방 범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브래킷을 이용하여 상기 후방 범퍼의 내부에 사람의 발이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여 트렁크를 개방하는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 110 : 후방 범퍼
112 : 측면 114 : 하부 경사면
116 : 리브 120 : 브래킷
122 : 홀

Claims (3)

  1. 차량의 후방에 측면과 하부 경사면을 갖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리브들이 상기 하부 경사면의 내측면에서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후방 범퍼; 및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홀들을 가지며, 상기 리브들의 하부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홀들이 상기 리브에 끼워지면서 상기 후방 범퍼와 고정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이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브래킷을 상기 후방 범퍼의 측면에 고정하는 체결 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리브들의 하부면과 밀착되는 부위의 두께가 나머지 부위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리브들의 돌출 길이는 상기 브래킷에서 상기 리브들의 하부면과 밀착되는 부위의 두께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
KR1020150168927A 2015-11-30 2015-11-30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 KR20170063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927A KR20170063022A (ko) 2015-11-30 2015-11-30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927A KR20170063022A (ko) 2015-11-30 2015-11-30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022A true KR20170063022A (ko) 2017-06-08

Family

ID=5922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927A KR20170063022A (ko) 2015-11-30 2015-11-30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30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379B2 (en) Vehicle bumper structure
US20140306481A1 (en) Vehicular door trim
US9376087B2 (en) Front module of a motor vehicle
KR101619413B1 (ko) 차량용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벨트의 모듈화 구조
KR102017463B1 (ko) 차량용 에어가드 유닛과 그 제조방법
KR101493568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실 몰딩
KR20170063022A (ko) 후방 범퍼의 브래킷 장착 구조
KR101566128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쿨링 모듈 마운팅 구조
US10501126B2 (en) Mounting structure of exterior part
JP2007055496A (ja) 部品取付構造
US9675173B2 (en) Drawer sidewall assembly
JP6600165B2 (ja) カウンタ
US10894518B2 (en) Door trim
JP6443079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の取り付け構造
CN104210435B (zh) 一种用于转向柱罩的间隙遮盖装置
JP5908799B2 (ja) ベルトモール
JP5925499B2 (ja) 車両用ドアの止水構造
JP2013023177A (ja) 自動車のカウルグリル構造
JP2019116210A (ja) 駆動装置の取付構造
KR101446785B1 (ko) 차량용 선바이저의 거울 조립장치
KR20120029938A (ko) 차량용 범퍼의 바디킷 결합장치
JP5647928B2 (ja) テールライト取付構造
KR102131014B1 (ko) 차량용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벨트의 모듈화 구조
KR20170073348A (ko)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
KR101866876B1 (ko) 인테리어 판넬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