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348A -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348A
KR20170073348A KR1020150182147A KR20150182147A KR20170073348A KR 20170073348 A KR20170073348 A KR 20170073348A KR 1020150182147 A KR1020150182147 A KR 1020150182147A KR 20150182147 A KR20150182147 A KR 20150182147A KR 20170073348 A KR20170073348 A KR 20170073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vehicle
molding body
mold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상준
송창영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3348A/ko
Publication of KR20170073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Panel 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하부 외형을 구성하는 몰딩 본체, 차량의 측면 형상을 결정하는 도어 패널과 상기 몰딩 본체를 결합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몰딩 본체와 일체로 제조되고 상기 몰딩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도어 패널 방향으로 돌출되며 일면이 상기 도어 패널에 접촉하는 지지 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Molding structure of do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하부를 보호하는 몰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몰딩 구조는 차량 측면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도어 패널과의 접촉에 의한 떨림 또는 진동 현상을 방지하고, 부품 간의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외형을 이루는 차체 및 상기 차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측면 형상을 결정하는 도어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은 외부로부터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들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몰딩 구조와 결합된다. 상기 몰딩 구조는 차량의 전체적인 미감을 좌우하는 구성요소로서, 최근에는 상기 몰딩 구조가 차량의 필수적인 구성 부품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08887호 문헌에는 자동차용 몰딩 장착 구조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서는, 차량의 측면 형상을 결정하는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의 하부에 결합하고 차량의 측면 하부를 보호하는 몰딩 부품의 결합 방식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몰딩 부품에는 소정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패널에는 상기 돌기의 삽입 공간을 제공하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가 상기 홀에 삽입함으로써 양 부품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걸림 결합 방식은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몰딩 부품의 견고한 결합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차량의 주행시 양 부품이 분리될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이 걸림턱을 통과하는 등 차량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도어 패널과 몰딩 부품의 접촉으로 인해 불필요한 떨림 현상 또는 원치 않는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도어 패널과 몰딩 부품의 결합 방식의 다른 예로서, 양 부품 사이에 고무 재질의 압축 패드를 삽입하여 상기 도어 패널과 몰딩 부품의 접촉에 의한 떨림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몰딩 부품은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 패널의 일 부분에 고정되게 결합하지만, 상기 몰딩 부품과 상기 도어 패널의 모든 부분이 완전하게 접촉된 상태로 결합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양 부품 사이의 이격된 부분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치 않는 떨림 또는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몰딩 부품과 상기 도어 패널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고무 재질의 압축 패드를 삽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상기 압축 패드는 상기 몰딩 부품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 패널의 전면에 여러 개가 부착되어야만 하므로, 단가가 많이 소요되고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압축 패드의 장기간 사용시 그 기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압축 패드를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몰딩 부품을 상기 도어 패널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야 하는 등의 작업이 추가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08887호(2003. 01. 2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몰딩 부품이 압축 패드 등의 별도의 부품이 사용되지 않고도 도어 패널과 견고하게 조립됨으로써,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 부품의 접촉에 의한 떨림 또는 진동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하부 외형을 구성하는 몰딩 본체, 차량의 측면 형상을 결정하는 도어 패널과 상기 몰딩 본체를 결합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몰딩 본체와 일체로 제조되고 상기 몰딩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도어 패널 방향으로 돌출되며 일면이 상기 도어 패널에 접촉하는 지지 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를 제공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패널과 몰딩 본체는 클립 등의 체결부품 또는 접착제와 같은 고정장치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몰딩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도어 패널과 접촉하는 지지 리브와, 상기 지지 리브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가 설치되므로 상기 도어 패널과 몰딩 본체의 접촉에 의한 떨림 또는 원치 않는 소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몰딩 본체 사이의 충격 완화부재로서 고가의 고무 압축 패드를 대신하여 상기 리브들이 상기 몰딩 본체와 일체로 사출되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조립 공정이 간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몰딩 본체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몰딩 본체와 도어 패널의 체결시 도 2의 Ⅰ-Ⅰ' 부분을 절개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지지 리브와 도어 패널이 중첩되는 간격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10)와, 상기 차체(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폐 가능한 도어(20) 및 유리 재질의 창문(21)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차량의 측면 형상을 결정하는 도어 패널(도 3의 도면부호 150)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 패널(150)은 차량의 측면 하부를 보호하기 위한 몰딩 구조(100)가 결합한다. 상기 몰딩 구조(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는 차량의 일 부품이다.
상기 몰딩 구조(100)는 차량의 전체적인 미감을 좌우하는 구성요소로서, 최근에는 차량의 필수적인 구성 부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상기 몰딩 구조(100)가 설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또는 차량 주행시 자갈과 같은 단단한 물질이 상기 도어 패널(150) 또는 상기 도어(20)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몰딩 본체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몰딩 구조(100)는 전체적인 외관 형상을 이루는 몰딩 본체(110), 상기 몰딩 본체(110)가 상기 도어 패널(150)에 고정되도록 결합력을 제공하는 체결부(120) 및 상기 도어 패널(150)과 상기 몰딩 본체(110)의 추가 결합력을 제공하는 접착제(1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체결부(120)와 상기 접착제(130)는, 상기 도어 패널(150)과 상기 몰딩 본체(110)가 서로 고정되도록 결합력을 제공하는 고정장치이다.
상기 몰딩 본체(110)의 후면이 상기 도어 패널(150)의 전면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몰딩 본체(110)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120)는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몰딩 본체(110)의 후면 중앙 부분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여러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150)에는 상기 체결부(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의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 클립 등의 체결부품이 상기 홀과 상기 체결부(1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도어 패널(150)에 대한 상기 몰딩 본체(11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에 더하여, 상기 몰딩 본체(110)의 후면 양측에는 상기 접착제(130)가 도포된다. 즉, 상기 체결부(120)에 의해 상기 도어 패널(150)에 대한 상기 몰딩 본체(110)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접착제(130)가 상기 도어 패널(150)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도어 패널(150)과 상기 몰딩 본체(11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접착제(130)는, 일 예로 접착 강도가 매우 강한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제(13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몰딩 본체(110)는 상기 체결부(120)와 접착제(130)에 의해 상기 도어 패널(150)의 중앙 부분과 양 측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다만, 상기 몰딩 본체(110)의 모든 부분이 상기 도어 패널(150)과 완전하게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양 부품 사이의 이격된 부분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치 않는 떨림 또는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몰딩 본체(110)의 후면 하측에는 상기 도어 패널(150)과 접촉하는 리브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리브부(200)는 상기 도어 패널(150)과 상기 몰딩 본체(110)의 접촉시 발생하는 떨림 또는 부품들의 변형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리브부(200)는 상기 몰딩 본체(1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여러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리브부(200)의 세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몰딩 본체와 상기 도어 패널의 체결시 도 2의 Ⅰ-Ⅰ' 부분을 절개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몰딩 본체(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11)와, 일측이 상기 제1 연장부(111)에 결합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도어 패널(150)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는 경사부(112)와, 일측이 상기 경사부(112)에 결합하고 차량을 측면에서 바라볼 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1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연장부(111), 경사부(112) 및 제2 연장부(113)는 상기 몰딩 본체(110)의 사출 성형시 일체로 제조되는 구성이다.
상기 도어 패널(150)은 상기 몰딩 본체(110)로부터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몰딩 본체(110)는 상기 도어 패널(150)로부터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는 구성이다.
상기 몰딩 본체(110)의 후면에는 상기 도어 패널(150)을 향하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지지 리브(21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리브(210)는 상기 제1 연장부(111)와 상기 경사부(112) 사이의 경계부(114)로부터 상기 도어 패널(150)을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지지 리브(210)와 상기 몰딩 본체(110)는 사출 과정에서 일체로 성형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지지 리브(210)가 상기 경계부(114)가 아닌 직선 연장되는 부분에 설치되면, 상기 몰딩 본체(110)의 제조시 상기 직선 연장되는 부분의 외면에 오목한 자국(sink mark)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자국은 차량의 전체적인 미감을 저해하고 부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 리브(210)는 상기 제1 연장부(111)와 상기 경사부(112) 사이의 굴곡이 형성되는 부분인 경계부(114)에 설치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150)은 상기 제1 연장부(111)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직선부(152)를 포함한다. 즉, 상기 도어 패널(150)의 일 부분, 예를 들어 상기 도어 패널(150)의 하측 부분은 상기 제1 연장부(111)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지지 리브(210)의 수평 길이는 상기 제1 연장부(111)와 상기 수직 직선부(152) 사이의 거리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리브(210)의 길이는 상기 제1 연장부(111)와 상기 수직 직선부(152) 사이의 수평 거리에 비해 0.3mm만큼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 리브(210)의 단부가 상기 수직 직선부(152)의 일면을 가압함으로써, 양 부품의 중첩 영역(153)에서 상기 직선부(152)가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 0.3mm만큼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150)과 상기 몰딩 본체(110)가 공차 없이 서로 완전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양 부품의 접촉에 의한 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 리브(21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 리브(210)의 강도 또는 상기 몰딩 본체(1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220)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 리브(220)는 상기 몰딩 본체의 경사부(112)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 리브(220)가 상기 지지 리브(21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지지 리브(210)와 상기 몰딩 본체(110)의 강도를 효율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220) 역시 상기 몰딩 본체(110) 및 상기 지지 리브(210)와 함께 사출 과정에서 일체로 성형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 리브(210)가 상기 도어 패널(150)에 중첩되는 적절한 간격 수치에 대하여 실제 실시한 실험 데이터를 근거로 설명한다.
도 4는 지지 리브와 도어 패널이 중첩되는 간격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좌측 전방 몰딩 본체와 우측 전방 몰딩 본체에 각각 8개의 지지 리브(210)가 설치되는 차량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y축은 지지 리브(210)와 도어 패널(150)이 중첩될 때 상기 지지 리브(210)가 상기 도어 패널의 직선부(152)로부터 차량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길이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상기 y축은 상기 지지 리브(210)의 길이와, 상기 제1 연장부(111)로부터 상기 직선부(152) 사이의 거리 차이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다만, 상기 중첩 영역(153)을 제외한 직선부(152)를 기준으로 상기 중첩 영역(153)에 속한 직선부(152)가 우측으로 돌출된다면 y축에 해당하는 수치는 양의 값을 가지고, 이와 반대라면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도 4의 y축에 도시된 양의 값과 음의 값은, 모두 상기 중첩 영역(153)을 제외한 직선부(152)와 상기 중첩 영역(153)에 속하는 직선부(152) 사이의 거리 차이의 최대치를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의 좌측 전방 몰딩 구조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지지 리브(210)의 길이와 상기 제1 연장부(111)로부터 상기 직선부(152) 사이의 거리 차이는 모두 0mm 내지 0.2mm 사이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차량의 우측 전방 몰딩 구조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지지 리브(210)의 길이와 상기 제1 연장부(111)로부터 상기 직선부(152) 사이의 거리 차이는 모두 0mm 내지 0.3mm 사이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험 데이터와 차량의 실제 설계시 조립 공차를 고려하여 볼 때, 상기 지지 리브(210)의 길이는 상기 제1 연장부(111)와 상기 수직 직선부(152) 사이의 수평 거리에 비해 0.3mm만큼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몰딩 본체(110)의 후면에는 상기 도어 패널(150)과 중첩되도록 접촉하는 지지 리브(210)가 설치되므로, 상기 도어 패널(150)과 몰딩 본체(110)의 접촉에 의한 떨림 또는 원치 않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몰딩 구조 110: 몰딩 본체
120: 체결부 130: 접착제
150: 도어 패널 153: 중첩 영역
210: 지지 리브 220: 보강 리브

Claims (5)

  1. 차량 도어의 하부 외형을 구성하는 몰딩 본체(110);
    차량의 측면 형상을 결정하는 도어 패널(150)과 상기 몰딩 본체(110)를 결합하는 고정장치(120, 130); 및
    상기 몰딩 본체(110)와 일체로 제조되고 상기 몰딩 본체(110)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도어 패널(150) 방향으로 돌출되며 일면이 상기 도어 패널(150)에 접촉하는 지지 리브(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본체(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11);
    상기 제1 연장부(111)와 일체로 제조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도어 패널(150)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구성되는 경사부(112); 및
    상기 경사부(112)와 일체로 제조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리브(210)는 상기 제1 연장부(111)와 상기 경사부(112) 사이의 경계부(114)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150)은 상기 제1 연장부(111)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직선부(15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리브(210)의 길이는 상기 제1 연장부(111)와 상기 수직 직선부(152) 사이의 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210)의 길이는, 상기 제1 연장부(111)와 상기 수직 직선부(152) 사이의 거리에 비해 0.3mm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21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 리브(2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220)가 제조되고,
    상기 보강 리브(220)는 상기 경사부(11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
KR1020150182147A 2015-12-18 2015-12-18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 KR20170073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147A KR20170073348A (ko) 2015-12-18 2015-12-18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147A KR20170073348A (ko) 2015-12-18 2015-12-18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348A true KR20170073348A (ko) 2017-06-28

Family

ID=5928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147A KR20170073348A (ko) 2015-12-18 2015-12-18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33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191B1 (ko) 충격 흡수 부재의 장착 구조 및 장착 방법
JP5810607B2 (ja) カウルトップサイドガーニッシュ
US9381948B2 (en) Cowl top cover
US10632935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JP2015203480A (ja) クリップ
KR101471758B1 (ko) 프로펠러샤프트용 장착장치
JP2016215680A (ja) 車両構造
KR101619413B1 (ko) 차량용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벨트의 모듈화 구조
JP6514658B2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
US8702155B2 (en) Cowl louver sealing structure
KR101493568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실 몰딩
KR102009795B1 (ko) 스티프너 일체형 프론트 범퍼
KR20170073348A (ko) 차량용 도어의 몰딩 구조
KR20110121224A (ko) 자동차 도어 트림의 충격 방지 구조
JP5908799B2 (ja) ベルトモール
JP6443079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の取り付け構造
JP2007223405A (ja) 車両のウィンドガラス取付構造
KR102217924B1 (ko) 모터 하우징과 플러그 연결 하우징의 조립체 및 전용 모터 케이싱
JP5474912B2 (ja) 車両用窓板の装飾部材
KR102201222B1 (ko) 레일 조립형 스트립이 구비된 차량용 사이드 실 조립체
KR101446785B1 (ko) 차량용 선바이저의 거울 조립장치
KR102010605B1 (ko) 차량용 웨더스트립의 장착구조
KR101464971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0745165B1 (ko) 차량의 범퍼구조
KR101758480B1 (ko) 자동차용 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