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380A - 슬릿광원 및 그를 가지는 비전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슬릿광원 및 그를 가지는 비전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380A
KR20170062380A KR1020160150266A KR20160150266A KR20170062380A KR 20170062380 A KR20170062380 A KR 20170062380A KR 1020160150266 A KR1020160150266 A KR 1020160150266A KR 20160150266 A KR20160150266 A KR 20160150266A KR 20170062380 A KR20170062380 A KR 20170062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lit
light source
optical system
cylind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홍준
이명국
배수민
Original Assignee
(주)제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티 filed Critical (주)제이티
Publication of KR2017006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12Diffuse illumination, e.g. "sky"
    • G01N2021/8816Diffuse illumination, e.g. "sky" by using multiple sources, e.g. LE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3Illuminating optical parts
    • G01N2201/0634Diffuse illu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3Illuminating optical parts
    • G01N2201/0638Refractiv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2207/30148Semiconductor; IC; Wa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릿광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릿 형상의 광을 조사하는 슬릿광원 및 그를 가지는 비전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100)와; 상기 광원부(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100)에서 발생된 광을 슬릿형태의 광으로 변환하는 슬릿부(200)와; 상기 슬릿부(200)를 통과한 광이 피사체(10)에 미리 설정된 슬릿광으로 피사체(10)에 집광하는 광학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광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슬릿광원 및 그를 가지는 비전검사장치 {Slit light source, and vision inspe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릿광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릿 형상의 광을 조사하는 슬릿광원 및 그를 가지는 비전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 등은 공정수율의 향상 등을 위하여 공정 중, 공정 후에 다양한 검사가 수행된다.
그리고 반도체 소자 등 피검사대상에 대한 검사 중 피검사대상에 광을 조사하고 광이 조사된 피검사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2D검사 및 3D 검사 중 적어도 하나의 비전검사가 있다.
여기서 비전검사의 수행을 위한 비전검사장치는, 광원에서 소정 패턴의 광을 발생시켜 피검사대상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광원에 의하여 광이 조사된 피검사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장치(카메라 또는 스캐너)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광원은, 검사형태에 따라서 점광원, 슬릿광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광원 중 슬릿광원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1715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 텔레센트릭렌즈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슬릿부재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슬릿광원은, 광원부, 텔레센트릭렌즈 및 슬릿부재가 일체화되어 피사체에 대한 작동거리의 제어가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슬릿광원은, 광원부로서 레이저광 또는 광파이버가 사용되어 빛의 손실이 많아 광을 균일화하기 위한 확산부재의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상대적으로 출력이 큰 광원부의 사용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구성일부의 교체가 가능하여 작동거리의 제어가 가능한 슬릿광원 및 그를 가지는 비전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100)와; 상기 광원부(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100)에서 발생된 광을 슬릿형태의 광으로 변환하는 슬릿부(200)와; 상기 슬릿부(200)를 통과한 광이 피사체(10)에 미리 설정된 슬릿광으로 피사체(10)에 집광하는 광학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광원을 개시한다.
상기 광원부(100) 및 상기 슬릿부(200) 사이에는 상기 광원부(100)에 발생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부재(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확산부재(130)는, 상기 슬릿부(200) 중 상기 광원부(100)를 향하는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는, 기판(120)과, 상기 기판(120) 상에 상기 슬릿광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엘이디소자(1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계(300)는, 상기 슬릿광의 심도가 상기 광학계(3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작동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학계(300)는, 상기 슬릿부(200)를 통과하여 확산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1실린더렌즈(320)와, 상기 제1실린더렌즈(320)를 통과한 광을 상기 피사체(10)에 집광하는 제2실린더렌즈(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계(300)는, 상기 제1실린더렌즈(320) 및 상기 제2실린더렌즈(3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실린더렌즈(320)를 통과한 광에서 미리 설정된 근축광선 이외의 광을 커트하는 조리개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 상기 슬릿부(200) 및 상기 광학계(300)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광원부(100), 상기 슬릿부(200) 및 상기 광학계(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프레임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 상기 슬릿부(200) 및 상기 광학계(300)는, 상기 슬릿광의 길이방향으로 삽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피사체(10)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으로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릿광원(20)과; 상기 슬릿광원(20)에 의하여 슬릿광이 조사된 피사체(1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30)를 포함하는 비전검사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피사체(10)는, 상기 슬릿광원(2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되며, 상기 이미지획득부(30)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피사체(10)의 3차원 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릿광원 및 그를 가지는 비전검사장치는, 광원부, 슬릿부 및 광학계로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릿광원 및 그를 가지는 비전검사장치는, 광원으로서 슬릿광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엘이디소자를 사용함으로써 확산부재의 사용이 가능하여 보다 균일한 슬릿광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릿광원 및 그를 가지는 비전검사장치는, 광원부, 슬릿부 및 광학계로 구성하고 광학계의 구성을 2개의 실린더렌즈 및 그 사이에 설치된 조리개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전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특히 2개의 실린더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렌즈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작동거리의 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전검사장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릿광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슬릿광원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릿광원 및 비전검사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전검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10)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인 슬릿광원(20)과; 슬릿광원(20)에 의하여 슬릿광이 조사된 피사체(1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슬릿광원(20)은, 피사체(10)에 슬릿광을 조사하는 구성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이미지획득부(30)는, 슬릿광원(20)에 의하여 슬릿광이 조사된 피사체(1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구성으로서, 디지털카메라, 스캐너 등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비전검사장치는, 슬릿광원(20)에 의하여 슬릿광의 조사 및 이미지획득부(30)에 의한 이미지의 획득을 수행하고, 이미지획득부(30)와 통합되거나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평면 형상 등 2D검사, 범프의 높이, 크랙형성 여부 등 3D 검사 등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상기 피사체(10)는, 상기 슬릿광원(2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되며, 비전검사장치는, 이미지획득부(30)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피사체(10)의 3차원 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비전검사장치 등 피사체(10)에 대한 슬릿광의 조사가 필요한바 피사체(10)의 종류, 검사종류 등에 따라서 피사체(10)에 대한 작동거리(측정거리)를 가지는 슬릿광원(20)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슬릿광원(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100)와; 광원부(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광원부(100)에서 발생된 광을 슬릿형태의 광으로 변환하는 슬릿부(200)와; 슬릿부(200)를 통과한 광이 피사체(10)에 미리 설정된 슬릿광으로 피사체(10)에 집광하는 광학계(30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100)는, 슬릿광의 형성을 위한 광을 발생하는 구성으로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레이저광발생장치, 엘이디조명장치 등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광원부(100)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소자의 사용이 가능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20)과, 기판(120) 상에 슬릿광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엘이디소자(1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20)은, 엘이디소자(110)가 설치될 수 있는 기판이면 어떠한 기판도 가능하며, PCB, FPCB, 메탈PCB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소자(110)는, 기판(120) 상에 슬릿광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배치됨으로써 후술하는 광확산부재(130) 및 슬릿부(200)를 투과하여 슬릿광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소자(110)는, 비전검사 등 사용용도에 따라서 단색광, 백색광 등 다양한 엘이디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부(100)에서 발생된 광은, 슬릿광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광량(휘도)가 달라질 수 있는바 이의 개선을 위하여, 광원부(100) 및 슬릿부(200)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00)에 발생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부재(13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부재(130)는, 투과되는 광을 산란시켜 슬릿광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균일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광확산필름, 광확산물질이 도포된 투명부재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광확산부재(130)는, 다양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는바, 슬릿부(200) 중 광원부(100)를 향하는 면에 부착되거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릿부(200)는, 광원부(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광원부(100)에서 발생된 광을 슬릿형태의 광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서 설계 및 디자인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슬릿부(200)는, 슬릿광의 형성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폭의 슬릿개구(210)가 형성된 플레이트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광원부(100)로부터 많은 광량의 광이 조사되도록 광축(Y축방향)을 기준으로 광원부(100)로 향하여 상하폭(Z축방향)이 확장되도록 확장부(72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계(300)는, 슬릿부(200)를 통과한 광이 피사체(10)에 미리 설정된 슬릿광으로 피사체(10)에 집광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광학계(300)는, 슬릿부(200)를 통과하여 확산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1실린더렌즈(320)와, 제1실린더렌즈(320)를 통과한 광을 피사체(10)에 집광하는 제2실린더렌즈(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렌즈(320) 및 제2실린더렌즈(310)는, 슬릿광의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원통형의 일부를 이루는 실린더렌즈로서, 각 실린더렌즈는, 피사체에 대한 작동거리(WD)에 따라서 적절한 곡률(R1, R2)가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계(300)는, 슬릿광의 심도가 광학계(3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작동거리(WD)에 위치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작동거리(WD)의 제어가 가능하며, 작동거리(WD)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제1실린더렌즈(320) 및 제2실린더렌즈(310)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제2실린더렌즈(310)를 교체함으로써 작동거리(WD)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실린더렌즈(320) 및 제2실린더렌즈(310) 중 적어도 하나, 특히 제2실린더렌즈(310)가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슬릿광원(20)은, 광원부(100), 슬릿부(200) 및 광학계(300)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광원부(100), 슬릿부(200) 및 광학계(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프레임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100), 슬릿부(200) 및 광학계(300)는, 프레임부재(190)에서 슬릿광의 길이방향으로 삽탈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학계(300)는, 전체가 아닌 제1실린더렌즈(320) 및 제2실린더렌즈(310) 중 적어도 하나, 특히 제2실린더렌즈(310)가 교체가 가능하도록 프레임부재(190)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계(300)는, 제1실린더렌즈(320) 및 제2실린더렌즈(310) 사이에 설치되어 제1실린더렌즈(320)를 통과한 광에서 미리 설정된 근축광선 이외의 광을 커트하는 조리개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개부재(330)는, 미리 설정된 근사치 내의 근축광선을 제외한 나머지 광을 커트하는 부재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피사체 20 : 슬릿광원
30 : 이미지획득부

Claims (17)

  1.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100)와;
    상기 광원부(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100)에서 발생된 광을 슬릿형태의 광으로 변환하는 슬릿부(200)와;
    상기 슬릿부(200)를 통과한 광이 피사체(10)에 미리 설정된 슬릿광으로 피사체(10)에 집광하는 광학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광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00) 및 상기 슬릿부(200) 사이에는 상기 광원부(100)에 발생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부재(1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광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부재(130)는, 상기 슬릿부(200) 중 상기 광원부(100)를 향하는 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광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00)는,
    기판(120)과,
    상기 기판(120) 상에 상기 슬릿광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엘이디소자(11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광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300)는,
    상기 슬릿광의 심도가 상기 광학계(3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작동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광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300)는,
    상기 슬릿부(200)를 통과하여 확산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1실린더렌즈(320)와,
    상기 제1실린더렌즈(320)를 통과한 광을 상기 피사체(10)에 집광하는 제2실린더렌즈(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광원.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300)는,
    상기 제1실린더렌즈(320) 및 상기 제2실린더렌즈(3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실린더렌즈(320)를 통과한 광에서 미리 설정된 근축광선 이외의 광을 커트하는 조리개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광원.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00), 상기 슬릿부(200) 및 상기 광학계(300)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광원부(100), 상기 슬릿부(200) 및 상기 광학계(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프레임부재(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광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00), 상기 슬릿부(200) 및 상기 광학계(300)는, 상기 슬릿광의 길이방향으로 삽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광원.
  10. 피사체(10)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으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슬릿광원(20)과;
    상기 슬릿광원(20)에 의하여 슬릿광이 조사된 피사체(1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30)를 포함하는 비전검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10)는, 상기 슬릿광원(2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되며,
    상기 이미지획득부(30)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피사체(10)의 3차원 형상을 측정하는 비전검사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00)는,
    기판(120)과,
    상기 기판(120) 상에 상기 슬릿광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엘이디소자(11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검사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300)는,
    상기 슬릿광의 심도가 상기 광학계(3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작동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검사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300)는,
    상기 슬릿부(200)를 통과하여 확산되는 광을 집광하는 제1실린더렌즈(320)와,
    상기 제1실린더렌즈(320)를 통과한 광을 상기 피사체(10)에 집광하는 제2실린더렌즈(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검사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300)는,
    상기 제1실린더렌즈(320) 및 상기 제2실린더렌즈(3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실린더렌즈(320)를 통과한 광에서 미리 설정된 근축광선 이외의 광을 커트하는 조리개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검사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00), 상기 슬릿부(200) 및 상기 광학계(300)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광원부(100), 상기 슬릿부(200) 및 상기 광학계(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프레임부재(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검사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00), 상기 슬릿부(200) 및 상기 광학계(300)는, 상기 슬릿광의 길이방향으로 삽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검사장치.
KR1020160150266A 2015-11-27 2016-11-11 슬릿광원 및 그를 가지는 비전검사장치 KR201700623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170 2015-11-27
KR20150167170 2015-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380A true KR20170062380A (ko) 2017-06-07

Family

ID=5876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266A KR20170062380A (ko) 2015-11-27 2016-11-11 슬릿광원 및 그를 가지는 비전검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70062380A (ko)
TW (1) TWI644078B (ko)
WO (1) WO20170909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3917A (zh) * 2018-08-02 2020-02-14 宰体有限公司 狭缝光源以及包括该狭缝光源的视觉检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0215A (zh) * 2017-12-11 2018-05-04 苏州大学 线光源的聚光结构、光源系统及应用
CN111595779A (zh) * 2020-05-11 2020-08-28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一种具有净化光路功能的免调试狭缝光源模块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6431A (en) * 1978-04-28 1980-01-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Linear light source
US4232359A (en) * 1979-04-09 1980-11-04 Berkey-Colortran, Inc. Spotlight or other illuminator
US5099354A (en) * 1988-09-14 1992-03-24 Washington University Kit for converting a slit lamp biomicroscope into a single aperture confocal scanning biomicroscope
US5020891A (en) * 1988-09-14 1991-06-04 Washington University Single aperture confocal scanning biomicroscope and kit for converting single lamp biomicroscope thereto
JP2004037317A (ja) * 2002-07-04 2004-02-05 Murata Mfg Co Ltd 三次元形状測定方法、三次元形状測定装置
KR100760214B1 (ko) * 2006-08-04 2007-09-20 진 호 정 웨이퍼 검사용 광학계
US8154810B2 (en) * 2009-07-16 2012-04-10 Microscan Systems, Inc. Optical assemblies for adjusting working distance and field of view in an imaging system
KR20110017158A (ko) * 2009-08-13 2011-02-21 (주) 인텍플러스 광삼각법을 이용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140081159A (ko) * 2012-12-21 2014-07-01 에이티아이 주식회사 실린더 랜즈 및 라인광 폭 조절수단을 구비한 광삼각법 측정장치
KR101517929B1 (ko) * 2013-06-28 2015-05-06 (주)가람이앤씨 논스톱 부품 검사가 가능한 고속 로봇비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3917A (zh) * 2018-08-02 2020-02-14 宰体有限公司 狭缝光源以及包括该狭缝光源的视觉检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19114A (zh) 2017-06-01
TWI644078B (zh) 2018-12-11
WO2017090922A1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6604B2 (ja) 物体を3次元的に測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測定装置
ATE554416T1 (de) Kalibriervorrichtung und laser-scanning-mikroskop mit einer derartigen kalibriervorrichtung
TWI507660B (zh) 發光二極體元件的三維視覺檢查方法及三維視覺檢查裝置
KR20170062380A (ko) 슬릿광원 및 그를 가지는 비전검사장치
CN110389021A (zh) 透镜图像产生系统及屈光能力和厚度确定与缺陷检测方法
JP6623711B2 (ja) 検査装置
KR101550263B1 (ko) 광학검사장치
JP2015055561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欠陥検査方法及び欠陥検査装置
CN106895793A (zh) 双模式深度测量的方法与装置
CN103733019A (zh) 用于确定集成电路封装的共面性的方法和装置
KR101875467B1 (ko) 3차원 형상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TWI631313B (zh) 間隙測定裝置
KR102401059B1 (ko) 슬릿광원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전검사장치
JP2019109236A (ja) 検査装置、検査方法
TWI706122B (zh) 狹縫光源以及具有該狹縫光源的視覺檢查裝置
TWI696823B (zh) 狹縫光源以及具有該狹縫光源的視覺檢查裝置
KR102221664B1 (ko) 스트로보스코피 카메라의 불량 감지장치
KR101394436B1 (ko) 3차원 표면 형상 측정장치 및 3차원 표면 형상 측정방법
KR101269128B1 (ko) 중간시점 영상 생성기를 갖는 표면 거칠기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355523B1 (ko) 슬릿광원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전검사장치
KR101808218B1 (ko) 이미지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이미지 분석장치
WO2020059674A3 (ja) テレビカメラの映す画像の距離を計測する方法
JP6300158B2 (ja) 検査用照明方法、及び、検査用照明装置
TWI379991B (ko)
JP2015135265A (ja) 表面形状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