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955A - 편조 케이블 - Google Patents

편조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955A
KR20170061955A KR1020150167182A KR20150167182A KR20170061955A KR 20170061955 A KR20170061955 A KR 20170061955A KR 1020150167182 A KR1020150167182 A KR 1020150167182A KR 20150167182 A KR20150167182 A KR 20150167182A KR 20170061955 A KR20170061955 A KR 20170061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braid
vehicle body
wire
bra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4871B1 (ko
Inventor
이호열
방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167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8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2Metal wires or tapes, e.g. made of steel
    • H01B7/228Metal bra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 H01B13/260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by brai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차체에 설치되는 방지하는 편조 케이블은, 상기 차체에 접지되며, 일 단 외면에 가열에 의해 납재가 융해된 편조선 커버를 포함하는 편조선과, 상기 편조선 일 단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편조선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편조선 및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편조선 및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차체에 설치하는 차체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편조 케이블{A BRAIDED CABLE}
본 발명은 편조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편조선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내구 수명이 향상되는 편조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 변속기 등에는 차체로 접지되기 위하여 그라운드류 편조선(編粗線)이 설치된다.
상기 차체에 접지되는 편조선을 차량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설치되는 대전류 단자(2)의 바렐(Barrel)(4)과 편조선(6)의 일 단을 클램핑(Clamping_압착)한 뒤 대전류 단자(2)의 차체고정부를 이용하여 차체에 설치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편조선(6)을 차량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바렐(4)을 포함하는 대전류 단자(2)가 설치되는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었다. 이로 인하여 차체 내부의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전류 단자(2)의 바렐(4)과 편조선(6)의 끝 단을 클램핑한 뒤 차체에 장착하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 사용 시, 바렐(4)과 클램핑 과정에서 플랫 케이블의 심선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바렐(4)과 편조선(5)의 끝 단이 기계적 압착은 클램핑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바렐(4)과 편조선(5)이 맞물리는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편조선의 파손 없이 차량 차체에 편조선을 설치하여 편조선의 내구성이 향상된 편조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조선을 설치하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조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차량 차체에 설치되는 편조 케이블은, 상기 차체에 접지되며, 일 단 외면에 가열에 의해 납재가 융해된 편조선 커버를 포함하는 편조선, 상기 편조선 일 단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편조선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편조선 및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편조선 및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차체에 설치하는 차체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편조선을 차체에 장착하기 위하여 별도의 바렐(barrel)에 편조선을 고정하지 않고도 차체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즉, 바렐에 편조선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바렐에 편조선이 장착된 상태에서 편조선과 바렐을 압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납재의 편조선 커버가 편조선의 일 단에 함침되어 편조선의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편조선이 변형 및 파손 없이 차체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편조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편조 케이블과 차량 차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편조 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고정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편조 케이블의 공정 순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편조 케이블과 차량 차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편조 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고정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편조 케이블의 공정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차체(50)에 설치되는 편조 케이블(10)은, 상기 차체(50)와 접지되며, 일 단 외면에 가열에 의해 납재의 편조선 커버(120)가 융해된 편조선(100)과, 편조선(100) 일 단 내부에 마련되어 편조선(10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200) 및 편조선 및 고정부재(200)를 관통하며, 편조선(100) 및 고정부재(200)를 차체(50)에 설치하는 차체고정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조선(100)은 차량의 엔진룸, 변속기 등의 차체에 접지되도록 설치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편조선(100)을 차량의 차체(50)에 용이하게 설치되기 위하여 편조선(100)의 선단이 일정하도록 절단한 뒤, 편조선(100)의 선단 외면에 플럭스(Flux) 용액을 도포한다(도 7의 (a)). 상기 편조선(100) 선단 외면에 도포되는 플럭스 용액은, 편조선(100) 표면의 산화물을 제거, 보전하여 재 산화를 방지하고, 후술할 납재가 함침된 편조선 커버(120)가 편조선(100)의 외면에 장착된 후, 유도 가열 작업을 시행할 때, 편조선(100)과 편조선 커버(120) 사이의 열을 조정하여 솔더링(Soldering)효과를 최대화하게 하는 촉진제이다. 상기 플럭스 용액은 편조선(100) 외면에 장착되는 편조선 커버(120)의 재질 및 유도 가열의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성분의 용액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플럭스 용액의 종류에 의해 발명이 제한되는 것을 아니다.
상기 편조선(100)의 선단 외면에 플럭스 용액을 도포하면, 플럭스 용액이 도포된 편조선(100)의 외면에 편조선 커버(120)를 장착한다(도 7의 (b)). 상기 편조선 커버(120)는 내부에 편조선(100)과 후술할 고정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도 가열을 통해 편조선(100), 고정부재(200)와 솔더링되도록 납재로 형성되어 있다. 즉, 편조선 커버(120)가 납재로 형성되어 편조선 커버(120)와 편조선(100)의 유도 가열 시, 납재의 편조선 커버(120)가 융해되어 그물망으로 형성된 편조선(100)의 공극 사이로 함침(含浸: 다공질체 공간에 액체가 침투되는 현상)되어 편조선(100)의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편조선(100)을 차체(50)에 장착하기 위하여 별도의 바렐(barrel)에 편조선(100)을 고정하지 않고도 차체(50)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즉, 바렐에 편조선(10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바렐에 편조선(100)이 장착된 상태에서 편조선(100)과 바렐을 압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납재의 편조선 커버(120)가 편조선(100)의 일 단에 함침되어 편조선(100)의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편조선(100)이 변형 및 파손 없이 차체(5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편조선(100)에 납재인 편조선 커버(120)가 함침되어 있으므로, 편조선(100)의 강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편조선(100)의 내구 수명이 향상되며 나아가 편조 케이블(10)의 신뢰도가 증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편조선 커버(120)의 표면에는 플럭스 용액이 도포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럭스 용액은 편조선(100)과 편조선 커버(120) 및 고정부재(200)를 유도 가열할 때 솔더링의 효과가 최대화되도록 하기 위한 촉매제이다. 상기 편조선 커버(120) 표면에 도포되는 플럭스 용액은 편조선(100) 외면에 편조선 커버(120)를 장착하기 전에 도포하거나 이와 다르게 편조선(100)에 편조선 커버(120)를 장착 한 후, 편조선 커버(120)에 플럭스 용액을 도포할 수도 있다.
한편, 편조선 커버(120)는 편조선(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재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편조선 커버(120)가 편조선(100) 외면을 감싸며 편조선(100) 일 단에 설치되므로, 편조선(100)을 충분히 감싸도록 편조선(10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편조선(100) 외면에 편조선 커버(120)가 장착되면, 편조선(100) 내에 고정부재(200)를 삽입, 장착한다(도 7의 (c)). 상기 편조선(100) 내에 삽입, 장착된 고정부재(200)는 편조선 커버(120)와 함께 편조선(100)의 일 단을 지지하고, 편조 케이블(10)을 차체(50)에 장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편조 케이블(10)을 차체(50)에 장착하기 위하여 고정부재(200)는 고정부재(200)의 일 단에서 차체를 향해 절곡 형성되며, 차체(50)에 장착되는 고정부(220)와, 고정부(220)와 인접하고, 편조선(100) 내에 고정부재(200) 삽입 시, 고정부재(200)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편조선(100) 내로 삽입되는 고정부재(200)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는 과삽입방지리브(240)와, 고정부재(200)의 일 면에서 편조선(100) 내로 삽입되는 고정부재(200)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편조선(100)의 내면과 고정부재(200)의 외면 사이의 결속을 유지시키는 슬롯(26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220)는 고정부재(200)의 일 단에서 고정부재(200)의 하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편조 케이블(10)이 차량의 차체(50)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220)는 일정 길이 이상 형성되어 차체(50)에 형성된 고정홈(5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20)에 의하여 편조 케이블(10)이 차체(50)에 완전 고정되기 전에 1차로 가 고정될 뿐 아니라, 편조 케이블(10)이 장착되어야 할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220)는, 차체(50)에 편조 케이블(10)을 설치할 때, 편조 케이블(10)의 선단을 차체(50)에 고정한다. 즉, 편조 케이블(10)은 차체고정부재(300)를 이용하여 차체(50)에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차체고정부재(300)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차체(5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220)가 차체(50)의 고정홈(5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편조 케이블(10)이 차체고정부재(300)의 회전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체(50)에 편조 케이블(10)이 조립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과삽입방지리브(240)는 고정부재(200)의 선단(도 3의 방향축 참고)에 인접하고, 고정부재(200)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과삽입방지리브(240)는 고정부재(200)가 편조선(100) 내에 삽입될 때, 편조선(100)과 편조선 커버(120)의 외측 모서리에 걸려 고정부(220)가 과도하게 편조선(100)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과삽입방지리브(240)는 차체(50)과 편조선(100)과의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인접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과삽입방지리브(240)는 고정부재(200)가 편조선(100) 내에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200)가 전, 후 방향을 따라 편조선(10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과삽입방지리브(240)는 전, 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과삽입방지리브(240)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편조선(100)에 고정부재(200)가 삽입될 때,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과삽입방지리브(240)의 일 면과 편조선(100)이 접할 때, 편조선(100)에의 고정부재(200)의 삽입이 중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과삽입방지리브(240)는 복수 개 형성되어 편조선(10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200)의 일 면이 기울어짐 없이 일정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과삽입방지리브(240)는 고정부재(200)의 상면 및 하면에 모두 형성되어 편조선(10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200)가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다르게는 고정부재(200)의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슬롯(260)은 고정부재(200) 상면 및 하면에 홈으로 형성된 부분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조선(100), 편조선 커버(120)와 고정부재(200)의 유도 가열 시, 슬롯(260) 사이로 가열된 편조선 커버(120)가 그물망 형상의 편조선(100)의 공극 사이로 융해되어 편조선(100)의 강도가 증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슬롯(260)은 편조선(100) 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200)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슬롯(260)은 상기 과삽입방지리브(240)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 단은 과삽입방지리브(240)와 인접하고, 타 단은 고정부재(200)의 타 단과 인접하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롯(260)은 고정부재(200)의 좌, 우 양 단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00)의 중심에는 후술할 장착홀(400)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고정부재(200)의 타 단 측면 모서리는 편조선(100) 내로 삽입되는 고정부재(200)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80)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280)은 고정부재(200)가 편조선(100)에 삽입될 때, 편조선(100)과 가장 먼저 접하는 부분이다. 즉, 고정부재(200)의 타 면이 사각으로 형성되지 않고, 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고정부재(200)의 타 면 길이를 편조선(100)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고정부재(200)가 편조선(100) 내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경사면(280)은 고정부재(200)의 측면 어느 한 모서리에만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고정부재(200)의 양 측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고정부재(200)의 일 단 측면 모서리 또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정부재(200)의 부피를 줄이고, 고정부재(200)의 일 단 측면 모서리와 인접한 차량 내의 부품과 고정부재(200)의 일 단 측면 모서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편조선(100) 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200)의 표면에는 플럭스 용액이 도포되어 후술할 유도 가열 시 편조선 커버(120)의 납재가 용이하게 용해될 수 있다. 이때, 편조선(100), 편조선 커버(120) 및 고정부재(200)에 도포되는 플럭스 용액은 동일한 종류의 용액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플럭스 용액이 도포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고정부재(200)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재단된 편조선(1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조선(100)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부재(200) 또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고정부재(200)의 형상 및 두께 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편조선(100) 내에 고정부재(200)를 삽입하여 장착하면, 상기 편조선(100), 편조선 커버(120) 및 고정부재(200)를 유도가열(誘導加熱_전기 가열의 방식 중 하나)을 통해 가열한다(도 7의 (d)). 상기 유도가열은, 가열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통하게 하여 금속, 합금류의 용융의 경우와 같이 피 가열물인 편조선(100), 편조선 커버(120) 및 고정부재(200) 전체를 가열유닛(30)으로 균일하게 가열하는 내부 가열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의 유도가열에 의해 편조선 커버(120)가 편조선(100) 및 고정부재(200)에 용융되어 압착되어 편조선(100)의 표면이 솔더링(Soldering_납땜)될 수 있다(도 5 및 도 6의 120).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가열에 의하여 편조선 커버(120)가 융해되어 그물망 형상의 편조선(100)의 공극 사이로 융해되어 편조선의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편조선(100)은 일 단에 편조선 커버(120)와 고정부재(200)가 마련된 후, 유도 가열 후에 편조선(100)의 일 단의 강성을 향상시켜, 편조선(100) 자체가 차체(50)에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편조선 커버(120) 및 고정부재(200)는 편조선(100)의 양 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편조선(100)의 어느 한 쪽은 종래의 방식으로 바렐(4_도 1 참고)이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편조선(100)과 고정부재(200)의 유도가열 후, 유도 가열되어 편조선(100)에 함침된 편조선 커버(120)가 형성된 편조선(100)에 차체고정부재(30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홀(400)을 형성한다(도 7의 (e)). 상기 장착홀(400)을 드릴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차체고정부재(300)의 관통력을 이용하여 편조선(100)을 직접 관통할 수도 있다.
상기 편조선 커버(120)가 함침된 편조선(100)에 장착홀(400)을 형성하면, 장착홀(400)에 차체고정부재(300)를 설치한다. 상기 장착홀(400)에 설치되는 차체고정부재(300)는 장착홀(400)을 관통하며, 차체(50)에 장착되는 고정볼트(320)와, 고정볼트(320)와 편조선(100) 사이에 설치되어 편조선(100)과 고정부재(200)에서 고정볼트(3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볼트락킹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볼트(320)는 나사산(322)이 형성된 볼트이며, 유도 가열에 의해 납재가 함침된 편조선(100)과 고정부재(200)를 동시에 고정한다.
상기 볼트락킹부(340)는 고정부재(200)의 하면과 편조선(100)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볼트(320)의 결속력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볼트락킹부(340)는, 편조선(100)의 상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부(342)를 포함한다.
상기 돌부(3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락킹부(340)가 편조선(100) 표면에 삽입되게 하여 볼트락킹부(340)가 편조선(100) 상에 고정되게 한다. 이때, 돌부(342)는 편조선(100) 표면에 삽입되며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편조선(100)의 표면에 돌부장착홈이 형성되어 돌부(342)가 돌부장착홈에 삽입,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편조 케이블(10)을 형성한 뒤, 차량의 차체(50)에 편조 케이블(10)을 설치한다(도 7의 (f)). 이때, 고정볼트(320)의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322)에 의하여 나사 결합 방식으로 차체(5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편조 케이블(10)을 차체(5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의 고정부(220)가 차체(50)의 고정홈(52)에 장착되면서 편조 케이블(10)과 차체(50)의 결속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대전류 단자의 편조선 압착 부위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20)가 차체(50)의 고정홈(52)에 장착될 수 있다. 즉, 고정부(220)가 유도가열을 통해 압착됨에 따라 별도로 압착 부위를 형성하지 않고도 편조선(100)을 차량 차체(5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편조 케이블 30: 가열유닛
50: 차체 100: 편조선
120: 편조선 커버 200: 고정부재
300: 차체고정부재

Claims (5)

  1. 차량의 차체에 설치되는 편조 케이블은,
    상기 차체에 접지되며, 일 단 외면에 가열에 의해 납재가 융해된 편조선 커버를 포함하는 편조선;
    상기 편조선 일 단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편조선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편조선 및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편조선 및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차체에 설치하는 차체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 케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 단에서 상기 차체를 향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차체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인접하고, 상기 편조선 내에 상기 고정부재 삽입 시,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편조선 내로 삽입되는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는 과삽입방지리브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 면에 상기 편조선 내로 삽입되는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편조선의 내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외면 사이의 결속을 유지시키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 케이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타 단의 측면 모서리는 상기 편조선 내로 삽입되는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 케이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고정부재는,
    상기 편조선 및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장착홀을 관통하며, 상기 차체에 장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편조선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편조선 및 상기 고정부재에서 상기 고정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볼트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 케이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볼트락킹부는,
    상기 편조선의 상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 케이블.
KR1020150167182A 2015-11-27 2015-11-27 편조 케이블 KR101754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182A KR101754871B1 (ko) 2015-11-27 2015-11-27 편조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182A KR101754871B1 (ko) 2015-11-27 2015-11-27 편조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955A true KR20170061955A (ko) 2017-06-07
KR101754871B1 KR101754871B1 (ko) 2017-07-06

Family

ID=5922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182A KR101754871B1 (ko) 2015-11-27 2015-11-27 편조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8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549A1 (ko) * 2020-03-06 2021-09-10 장국환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1096B (zh) * 2019-09-11 2020-11-20 绍兴市上虞区舜兴电力有限公司 一种输变电线路修补装置
KR20210044098A (ko)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Ffc 케이블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757B1 (ko) * 2007-12-05 2009-01-21 원황희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549A1 (ko) * 2020-03-06 2021-09-10 장국환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871B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871B1 (ko) 편조 케이블
US9633775B2 (en)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JP2010268562A (ja) シールド電線の固定構造およびその固定方法
US20210044184A1 (en) Wire holder
US10553340B2 (en) Coil component
US11784426B2 (en) Electrical cable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and electrical terminal for same
CN109923771B (zh) 定子的制造方法
CN107276277A (zh) 用于电机的定子的接触装置
US10759360B2 (en) Wire harness fixing structure and wire harness
CN111883288B (zh) 线束
JP6090141B2 (ja) 固定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2006311281A (ja) アンテナ用コイル装置
JP2015046971A (ja) 挿通用治具及び挿通方法
JP2019003728A (ja) シールドシェル、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6644226B2 (ja) シールドシェル、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7004700A (ja) 抵抗素子収納用ケース及び抵抗器
JP4697676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4506878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6877738B2 (ja) 端子
JP5371048B2 (ja) コンジットケーブル
CN212648619U (zh) 一种免焊冲接式sma射频电缆组件
JP2023087764A (ja) ワイヤハーネス
JP7115863B2 (ja) 電線挿通用治具
KR101152019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JP6504304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