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933A -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933A
KR20170061933A KR1020150167128A KR20150167128A KR20170061933A KR 20170061933 A KR20170061933 A KR 20170061933A KR 1020150167128 A KR1020150167128 A KR 1020150167128A KR 20150167128 A KR20150167128 A KR 20150167128A KR 20170061933 A KR20170061933 A KR 20170061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hole
plate
wing plate
m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023B1 (ko
Inventor
양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5016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0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60N2/449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플레이트(20)의 양단에 설치된 세로 방향 힌지축(30)에 윙플레이트(4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윙플레이트(40)의 회동 위치를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핀(60)이 구비된다. 윙플레이트(40)를 메인플레이트(20)와 평평하게 고정하여 다리 지지 면적을 확장하거나,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고정하여 선회 주행시 다리가 메인플레이트(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Leg support device of seat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쿠션의 앞쪽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시 승객의 다리를 받쳐줌으로써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에 앉았을 때 다리를 펴서 별도로 마련된 다리받침에 올려 놓으면 한결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소파의 쿠션부 앞쪽에 레그 서포트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 종아리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파의 편의성 및 안락함을 배가시키고 있다.
동일한 목적으로 차량 특히 고급 승용차량의 후석 시트에도 레그 서포트 장치가 설치되었다. 그런데 차량은 정지해 있지 않고 주행 중 좌우로 선회를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레그 서포트 쿠션의 양측 방향으로 선회 관성에 의해 다리가 떨어짐으로써 편의성 및 안락함이 저해된다.
따라서, 등록특허 제10-0821101호(2008.04.02. 등록,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다리받침대)와 같이, 메인지지쿠션의 양측 단부에 가이드쿠션을 설치하고, 필요시 가이드쿠션을 회동시켜 메인지지쿠션의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선회시 메인지지쿠션으로부터 승객의 다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그 서포트 장치는 메인지지쿠션을 관통하여 파이프부재(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됨)가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부재에 가이드쿠션을 관통한 고정부재(일종의 볼트임)가 나사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이드쿠션이 메인지지쿠션의 폭방향선에 대해 수직인 평면상에서 파이프부재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하여 메인지지쿠션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다리 지지면을 형성하거나, 그 상태에서 원위치로 하향 회동하여 메인지지쿠션의 평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복귀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가이드쿠션은 메인지지쿠션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된 사용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주행중의 진동이나 승객의 다리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하향 회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경우 승객의 다리를 메인지지쿠션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해줄 수 없었다.
또한 가이드쿠션은 사용하지 않는 보관 상태에서 메인지지쿠션과 벨크로테이프로 연결되어 보관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그 위치 유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주행 진동 등에 의해 회동되어 메인지지쿠션과 정확히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지 못하고 소정량 돌출됨으로써 시트의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체구가 큰 승객의 경우 메인지지쿠션의 폭 만으로 승객의 두 다리를 지지하기에 불충분한 경우가 있는데, 상기 종래의 레그 서포트 장치는 메인지지쿠션의 폭방향 면적을 증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체구가 큰 승객은 레그 서포트 장치의 편의성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 위치 및 보관 위치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 선회 주행시 승객의 다리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보관 상태에서 시트의 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며, 다리 지지면의 폭방향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체구가 큰 승객도 정상적으로 다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프레임에 레버어셈블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 양단의 세로 방향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윙플레이트와, 상기 윙플레이트의 회동 위치를 고정 및 해제하는 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측 단부 상/하부에 마운팅부가 돌출 형성되고, 각 마운팅부에 힌지축홀이 형성된 마운팅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윙플레이트의 기단부에 힌지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힌지축홀과 윙플레이트의 힌지축홀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축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마운팅부에 형성된 고정핀홀과, 마운팅부의 고정핀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고정핀홀과, 상기 윙플레이트의 힌지축홀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상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정홀과, 상기 고정핀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위치조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고정핀홀은 힌지축홀로부터 마운팅플레이트의 전면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마운팅브라켓의 힌지축홀과 고정핀홀 사이의 거리는 윙플레이트의 힌지축홀과 위치조정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상기 위치조정홀은 고정핀이 삽입되면, 윙플레이트를 메인플레이트의 배면쪽으로 접혀진 보관 상태에 있게 하는 제1위치조정홀과, 윙플레이트를 메인플레이트와 평평한 제1사용 상태에 있게 하는 제2위치조정홀과, 윙플레이트를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직립된 상태에 있게 하는 제3위치조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에 윙플레이트를 항상 메인플레이트의 전면쪽으로 회동시키는 텐션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마운팅부에 고정핀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윙플레이트의 보관 상태와 제1사용 상태 및 제2사용 상태의 위치가 고정핀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및 유지되는 레그 서포트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윙플레이트의 보관 상태 위치 오차에 의한 외관미 저하가 방지되고, 사용 상태 위치 오차에 의한 성능 저하가 방지된다. 특히 윙플레이트가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직립된 상태(제2사용 상태)가 정확하고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차량 선회 주행시 메인플레이트로부터 승객의 다리가 이탈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그 서포트 장치는 메인플레이트의 양단에서 윙플레이트가 펼쳐져서 메인플레이트의 지지면적을 확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체구가 큰 승객도 협소함을 느끼지 않고 보다 여유롭게 다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쿠션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그 서포트 장치의 저면도로서, 윙플레이트 비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윙플레이트가 90도 상향 회동된 제1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윙플레이트가 90도 상향 회동된 제2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쿠션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레그 서포트 장치는 시트의 쿠션프레임(미도시)에 레버어셈블리(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쿠션프레임에 대해 상하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메인플레이트(20)와, 메인플레이트(20) 양단에 힌지축(30)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윙플레이트(40)와, 윙플레이트(40)의 회동 위치를 고정 및 해제하는 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20)와 양측 윙플레이트(40)는 쿠션(21,41)에 둘러 싸여 승객의 다리가 접촉할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쿠션(21,41)은 발포 폼이나 스펀지와 같은 탄성재를 가죽 등의 표피재로 포장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플레이트(20)는 레버어셈블리(10)의 마운팅레버(11)에 장착되어 있다. 메인플레이트(20)의 단부에는 윙플레이트(40)의 양측면과 마주보는 마운팅부(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양측 마운팅부(21)의 사이로 윙플레이트(40)의 기단부가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마운팅부(21)에는 각각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인 마운팅브라켓(50)이 장착된다. 마운팅브라켓(50)에는 상하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2개의 원형 홀이 형성되는데, 아래쪽 홀은 힌지축홀(51)이고 위쪽 홀은 고정핀홀(52)이다. 즉, 마운팅브라켓(50) 설치 상태에서 메인플레이트(20)의 전면쪽에 위치한 홀이 고정핀홀(52)이고 배면쪽에 위치한 홀이 힌지축홀(51)이다.
상/하 마운팅부(21)에 각각 장착된 마운팅브라켓(50)의 힌지축홀(51)에 양단이 삽입되는 상태로 힌지축(30)이 설치된다. 즉, 힌지축(30)은 메인플레이트(20)의 가로 방향 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힌지축(30)에는 윙플레이트(4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윙플레이트(40)의 기단부 양측에는 각각 힌지축홀(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힌지축홀(41)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축(30)이 설치된다.
상기 윙플레이트(40)의 기단부에는 힌지축홀(41)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 선상에 복수의 위치조정홀(42,43,44)이 형성된다. 도 4에서는 힌지축홀(41)의 좌측과 상측과 우측에 상호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제1위치조정홀(42)과 제2위치조정홀(43)과 제3위치조정홀(44)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조정홀(42,43,44)들은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과 더불어 이후 설명할 고정핀(60)이 관통 삽입됨으로써 윙플레이트(40)의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즉,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고정핀(60)과, 메인플레이트(20) 마운팅부(21)의 고정핀홀(21a; 이후 설명함.)과,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 및 윙플레이트(40)의 위치조정홀(42,43,4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윙플레이트(40)의 힌지축홀(41)과 위치조정홀(42,43,44) 사이의 거리는 마운팅브라켓(50)의 힌지축홀(51)과 고정핀홀(5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상기 메인플레이트(20)의 마운팅부(21)에는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과 마주보는 위치에 고정핀홀(21a)이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부(21)와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21a,52)에 고정핀(60)이 삽입 설치되며, 고정핀(60)의 바디 단부는 윙플레이트(40)의 위치조정홀(42,43,44)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고정핀(60)은 축방향(고정핀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할 수 있으며, 최대한 당겨졌을 때(도 4의 화살표A 방향) 바디 단부가 윙플레이트(40)의 위치조정홀(42,43,44)로부터 이탈되나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에서 빠지지는 않도록 되어 있다.
고정핀(60)의 헤드는 사용자가 당기기 용이하도록 바디로부터 둥글게 확장 성형되어 있다.
한편, 상기 힌지축(30)에는 윙플레이트(40)를 항상 상방으로 회전(메인플레이트(20)의 전면쪽으로 회전됨을 의미함.)시키는 힘을 가하는 텐션스프링(70)이 설치된다.
상기 텐션스프링(70)은 코일부의 내측으로 힌지축(30)이 삽입된 상태로 힌지축(30)상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는 메인플레이트(20)와 일체로 거동하는 마운팅레버(11)에 형성된 고정홀(11a)에 삽입 고정되며, 타측 단부는 윙플레이트(40)의 배면에 이를 상방으로 미는 상태로 접촉된다. 윙플레이트(40)의 배면에 반원형 고리 형상의 고정편이 형성되어 텐션스프링(70)의 타측 단부를 고정해줄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20)의 일측(고정핀(60)이 설치되는 쪽) 마운팅부(21)에는 고정핀(60)을 당겨진 상태에서 원위치(바디 단부가 위치조정홀로 삽입되는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80)이 설치된다.
리턴스프링(80)은 상기 마운팅부(21)의 내에서 마운팅브라켓(50)과 마운팅부(21)의 벽면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핀(60)이 관통되어 고정핀(60)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단은 고정핀(60)의 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마운팅부(21)의 내측 벽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고정핀(60)을 당기면 압축되고 놓으면 이완되는 상태로 작동된다.
이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고정핀(60)이 삽입되어 걸려지는 위치조정홀(42,43,44)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마운팅브라켓(50)과 윙플레이트(40)의 개략도를 별도로 추가 도시하였다.
메인플레이트(20)는 전력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데, 액추에이터의 작동력은 메인플레이트(20)에 직접 작용하거나 또는 레버어셈블리(10)를 통해 작용할 수 있다. 메인플레이트(20)에 직접 작용하는 경우 레버어셈블리(10)는 메인플레이트(20)의 작동 경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플레이트(20)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승객의 다리를 받칠 수 있는 사용 상태가 되었을 때 윙플레이트(40)는 아직 메인플레이트(20)의 배면쪽으로 접혀진 보관 상태를 유지한다.
힌지축(30)은 마운팅브라켓(50)과 윙플레이트(40)의 힌지축홀(51,41)에 항상 삽입되어 있다. 즉, 마운팅브라켓(50)과 윙플레이트(40)의 힌지축홀(51,41)은 항상 마주본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핀(60)은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에는 항상 삽입되어 있고, 윙플레이트(40)의 회동 위치에 따라 고정핀홀(52)과 동일 선상에 놓여지는 위치조정홀(42,43,44)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윙플레이트(40)의 조정된 위치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보관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상태로서, 윙플레이트(40)가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되어 있으므로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과 윙플레이트(40)의 제1위치조정홀(42)이 상호 일치되며, 고정핀(60)이 상기 고정핀홀(52)과 제1위치조정홀(42)에 삽입된다.
따라서, 윙플레이트(40)의 하향 회동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메인플레이트(20)를 하향 회동시키면 윙플레이트(40)는 시트 쿠션 하측에 마련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깔끔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도 6은 제1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메인플레이트(20)의 좌우방향 폭을 확장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도 5의 보관 상태에서 고정핀(60)을 당기면 고정핀(60)이 제1위치조정홀(42)에서 빠지고, 텐션스프링(70)의 작용에 의해 윙플레이트(40)가 상방으로 회동된다.
이때 승객은 윙플레이트(40)를 수평 위치에서 잡고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과 윙플레이트(40)의 제2위치조정홀(43)을 일치시킨 뒤 다른 손으로 잡고 있던 고정핀(60)을 놓으면 리턴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핀(6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제2위치조정홀(43)에 삽입된다.
따라서, 윙플레이트(40)의 수평으로 회동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메인플레이트(20)의 양측 단부에 윙플레이트(40)가 펼쳐져서 메인플레이트(20)의 좌우방향 폭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체구가 큰 승객도 보다 여유 있게 두 다리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사용 상태에서, 고정핀(60)을 당기고 윙플레이트(40)를 상방(윙플레이트(20)의 전면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으로 회동시켜 메인플레이트(20)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직립 상태로 위치시킨 뒤(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과 윙플레이트(40)의 제3위치조정홀(44)의 위치가 일치된다.), 고정핀(60)을 놓으면 고정핀(60)이 윙플레이트(40)의 제3위치조정홀(44)에 삽입된다.
따라서, 양측 윙플레이트(40)는 메인플레이트(20)의 양단부에 직립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차량이 급격히 선회 주행하여 승객의 다리에 강한 회전 관성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윙플레이트(40)가 승객의 다리를 지지해줌으로써 승객의 다리가 메인플레이트(20)로부터 이탈하여 차량 실내 바닥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승객은 차량 선회 주행시에도 메인플레이트(20)로부터 다리가 떨어질 걱정 없이 편안하게 다리를 받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사용 상태 및 제2사용 상태에서의 사용이 끝나면 고정핀(60)을 뽑고 윙플레이트(40)를 하향 회동시켜 도 5와 같은 보관 상태로 만든 뒤, 고정핀(60)을 복귀시켜 윙플레이트(4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보관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플레이트(20)를 하향 회동시켜 보관 위치에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레버어셈블리 11 : 마운팅레버
11a : 고정홀 20 : 메인플레이트
21 : 마운팅부 21a : 고정핀홀
30 : 힌지축 40 : 윙플레이트
41 : 힌지축홀 42,43,44 : 위치조정홀
50 : 마운팅브라켓 51 : 힌지축홀
52 : 고정핀홀 60 : 고정핀
70 : 텐션스프링 80 : 리턴스프링

Claims (7)

  1. 시트의 쿠션프레임에 레버어셈블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 양단의 세로 방향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윙플레이트와,
    상기 윙플레이트의 회동 위치를 고정 및 해제하는 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측 단부 상/하부에 마운팅부가 돌출 형성되고, 각 마운팅부에 힌지축홀이 형성된 마운팅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윙플레이트의 기단부에 힌지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힌지축홀과 윙플레이트의 힌지축홀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축이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마운팅부에 형성된 고정핀홀과, 마운팅부의 고정핀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고정핀홀과, 상기 윙플레이트의 힌지축홀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상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정홀과, 상기 고정핀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위치조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고정핀홀은 힌지축홀로부터 마운팅플레이트의 전면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마운팅브라켓의 힌지축홀과 고정핀홀 사이의 거리는 윙플레이트의 힌지축홀과 위치조정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홀은 고정핀이 삽입되면, 윙플레이트를 메인플레이트의 배면쪽으로 접혀진 보관 상태에 있게 하는 제1위치조정홀과, 윙플레이트를 메인플레이트와 평평한 제1사용 상태에 있게 하는 제2위치조정홀과, 윙플레이트를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직립된 상태에 있게 하는 제3위치조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 윙플레이트를 항상 메인플레이트의 전면쪽으로 회동시키는 텐션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마운팅부에 고정핀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KR1020150167128A 2015-11-27 2015-11-27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KR102417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128A KR102417023B1 (ko) 2015-11-27 2015-11-27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128A KR102417023B1 (ko) 2015-11-27 2015-11-27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933A true KR20170061933A (ko) 2017-06-07
KR102417023B1 KR102417023B1 (ko) 2022-07-06

Family

ID=5922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128A KR102417023B1 (ko) 2015-11-27 2015-11-27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753A (ko)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529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시트 쿠션 사이드 볼스터의 위치 가변 장치
KR19980018813U (ko) * 1996-09-30 1998-07-06 양재신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2005096485A (ja) * 2003-09-22 2005-04-14 Tachi S Co Ltd 自動車シートに用いるアームレスト
JP2010082099A (ja) * 2008-09-30 2010-04-15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20140001003A (ko) * 2012-06-27 2014-01-06 홍순식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529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시트 쿠션 사이드 볼스터의 위치 가변 장치
KR19980018813U (ko) * 1996-09-30 1998-07-06 양재신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2005096485A (ja) * 2003-09-22 2005-04-14 Tachi S Co Ltd 自動車シートに用いるアームレスト
JP2010082099A (ja) * 2008-09-30 2010-04-15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20140001003A (ko) * 2012-06-27 2014-01-06 홍순식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753A (ko)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023B1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571B2 (en) Child safety seat
JP6264254B2 (ja) 乗物用シート
US9221370B2 (en) Vehicle seat
JP2007118706A (ja) シートの着座面長さ調整装置
JP6024646B2 (ja) 車両用シート
US11634058B2 (en) Table for seat
JP2016210272A (ja) 乗物用シート
JP2012235879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20170061933A (ko)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US11628758B2 (en) Table for seat
JP2019038431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6291816B2 (ja) 車両用ニーレスト装置
JP5378689B2 (ja) 椅子
KR102460776B1 (ko)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JP6954146B2 (ja) ヘッドレスト構造
KR101458012B1 (ko) 마사지기
JP2011020659A (ja) 乗物用シート
KR101679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JP5501593B2 (ja) ヘッドレスト及びシート
JP5271371B2 (ja) マッサージ機
JP5727635B2 (ja) ヘッドレスト及びシート
JPH11309039A (ja) 腰掛用足掛装置
JP2023026804A (ja) 乗物シート用ネックレスト
JP2001294062A (ja) チャイルドシート組込み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