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831A - 인덕션 레인지 - Google Patents

인덕션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831A
KR20170061831A KR1020150166887A KR20150166887A KR20170061831A KR 20170061831 A KR20170061831 A KR 20170061831A KR 1020150166887 A KR1020150166887 A KR 1020150166887A KR 20150166887 A KR20150166887 A KR 20150166887A KR 20170061831 A KR20170061831 A KR 20170061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cooking vessel
heating
upper pl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정
Original Assignee
정훈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훈정 filed Critical 정훈정
Priority to KR1020150166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1831A/ko
Publication of KR20170061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27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for wok pans and wok pans supports for induction cook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가열 시 복사열에 의한 내부 부품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조리용기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조리용기를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히팅부와 상기 히팅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그릴존이 구비된 상판을 포함하는 인덕션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그릴존의 중앙부와 상기 그릴존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사이에 유격공간이 존재하도록 지지그릴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인덕션 레인지{Induction stove}
본 발명은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가열 시 복사열에 의한 부품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조리용기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레인지(Induction range)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전압이 인가되어 자장을 발생하기 위한 코일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덕션 레인지는 코일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자장이 유도되고, 이 자장이 미치는 영역에 있는 금속체가 가열되는 원리를 이용한 가열장치를 말한다.
인덕션 레인지는 불꽃이나 유해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없으며,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할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를 방지할 수 있고, 실내 산소의 소모가 적어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덕션 레인지는 용기를 가열하는 도중에 그릴에 손이 닿아도 화상의 우려가 없으며 불꽃이 없기 때문에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없으며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그릴에 신체부위가 접촉되어도 화상을 입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인덕션 레인지에서는 불꽃을 이용하는 통상의 조리용기를 사용할 수 없다.
인덕션 레인지는 내부에 설치된 자석과 코일을 통해 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때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자기 유도가 진행됨에 따라 그릴에 닿는 부분인 바닥면이 전도체로 형성된 조리용기로만 사용할 수 있어 유도가열 조리용기라 한다.
유도가열 조리용기는 자기장의 유도를 위해 바닥면이 철(Fe)성분을 함유한 금속, 즉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인덕션 레인지에서는 고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자기감응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조리용기만 사용할 수 있고, 조리용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나 석기 및 도자기 종류로 이루어진 조리용기는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인덕션 레인지에서 냄비나 후라이팬, 주전자 및 압력밥솥과 같은 조리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전열판 본체의 바닥면에 철 성분을 함유한 전열판을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인덕션 레인지는 그릴 상면에 조리용기가 안착된 후 자기장에 의한 전류를 통해 조리가 진행되지만, 장기간 사용 시 조리용기의 복사열에 의해 인덕션 레인지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덕션 레인지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조리용기의 가열 과정에서 조리용기의 복사열에 의해 그릴 표면에 백화현상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 2006-00815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리용기와 그릴 사이에 이격공간을 제공하여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조리용기의 복사열이 내부 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인덕션 레인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용기의 가열과정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이 히팅코일에 전도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열차단판이 내부에 설치된 인덕션레인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리용기를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히팅부와 상기 히팅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그릴존이 구비된 상판을 포함하는 인덕션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그릴존의 중앙부와 상기 그릴존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사이에 유격공간이 존재하도록 지지그릴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그릴은 복수개의 레그가 상향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기 레그의 선단부에 자석이 설치된다.
상기 자석은 복수개의 레그 중 적어도 한 쌍에 마주보며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그릴은 상기 상판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그릴은 비자성체로 구성된다.
또한 테이블에 배치되어 조리용기를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히팅부와 상기 히팅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그릴존이 구비된 상판을 포함하는 인덕션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그릴존의 중앙부와 상기 그릴존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사이에 유격공간이 존재하도록 지지그릴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 또는 본체에는 가열된 상기 조리용기의 복사열이 차단되도록 열차단판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는 조리용기와 그릴 사이에 이격공간을 제공하여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조리용기의 복사열이 내부 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열차단판이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된 인덕션 레인지의 내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상판과 본체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작용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다른 실시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상판과 본체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작용 상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의 다른 실시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는 테이블의 상판 아래에 설치된다.
인덕션 레인지(100)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금속물체를 가열시키는 방법인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 원리를 적용시킨 조리용 가열기구이다.
인덕션 레인지(100)는 히팅부인 코일(11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교류자기장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자기장 범위에 피가열체인 조리용기(110)가 있게 되면 투자율이 큰 조리용기(110) 쪽으로 교류자기장이 집중하게 되며,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에 따라 조리용기(110)에 와전류를 형성하게 되고 이 와전류와 조리용기(110)의 저항 때문에 줄열이 발생하여 음식이 조리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원리로 구성된 본 발명의 인덕션 레인지(100)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히팅부(20)와 히팅부(20)를 덮도록 본체(10)와 결합된 상판(30)과 상판(30)에 설치된 지지그릴(4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내구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비철금속 패널을 연결하여 일면이 개구된 박스형으로 제조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자석(22)과 코일(24)의 결합으로 구성된 히팅부(20)가 설치된다. 히팅부(20)는 조리용기(110)를 가열하기 위한 수량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가 결정된다.
히팅부(20)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크게 자석(22)과 자석(22)을 권취하며 결합된 코일(24)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히팅부(20)는 본체(10) 내부에 설치 시 본체(10)의 크기에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후 전원이 공급되면, 히팅부(20)에서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조리용기(110)를 가열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0)의 개구부에는 불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상판(30)이 결합된다. 상판(30)은 본체(10)의 개구부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본체(10)의 개구부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거나 개구부보다 조금 크게 구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판(30)에는 히팅부(20)의 위치를 쉽게 식별하고 조리용기(11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그릴존(32)이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판(30)에는 그릴존(32)의 중앙부와 그릴존(32)에 안착되는 조리용기(110) 사이에 일정한 유격이 존재하도록 지지그릴(40)이 설치된다. 지지그릴(40)은 상판(30)과 분리 가능한 형태로서 구성될 수 있는데, 상판(30)에 지지그릴(40)이 안착된 후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후크를 설치하거나 복수개의 돌기 또는 상판(30)에 언더컷을 형성하고 지지그릴의 바닥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지지그릴(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그릴(40)은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며 3-4개로 구성된 복수개의 레그(42)가 중심부를 기준으로 각각 분할된 각도마다 구성된다. 각 레그(42)들은 지지그릴(40)의 중심부를 향하여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구성된다.
또한 레그(42)는 비자성체인 비철금속재로 구성되며, 각 레그(42)의 선단부에 서브자석(44)이 설치될 수 있다. 서브자석(44)의 경우 설계사항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서브자석(44)을 레그(42)의 선단부에 설치하는 이유는 히팅부(20)가 가동되는 과정에서 히팅부(20)의 자석(22)에 더하여 교류자기장을 보다 크게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지지그릴(40)의 각 레그(42)는 하측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별도의 연결프레임(46)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판(30) 또는 본체(10)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부(20)의 가동으로 조리용기(110)가 가열되는 과정에서 조리용기(110)의 복사열이 히팅부(2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열차단판(50)이 설치될 수 있다.
열차단판(50)은 히팅부(20)의 설치위치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비교적 고열에서 내열성을 갖는 비철금속이 선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열차단판(50)은 히팅부(20)의 주변으로 본체의 바닥면에 복수개의 지지대(52)를 수직으로 설치한 후 각 지지대(52)의 상부를 덮도록 평판형 원판(54)을 설치하게 되면 히팅부(20)의 상면이 가려질 수 있어 조리용기(110)로부터 발생된 복사열이 히팅부(20)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판(30)에 열차단판(50)이 설치될 경우에는 상판(30)의 저면에 열차단판(50)을 접착수단을 통해 덧대게 되면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덕션 레인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판(30)의 상부로 지지그릴(40)을 안착시켜 고정시킨다. 지지그릴(40)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라면 지지그릴(40)에 조리용기(110)를 안착시킨다.
조리용기(110)가 안착되면, 인덕션 레인지의 컨트롤러(60)를 조작하여 히팅부(20)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을 공급받은 히팅부(20)는 전자기 유도방식에 따라 조리용기(110)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서브자석(44)은 히팅부의 자석(22)에 더하여 교류자기장을 조리용기(110)가 위치된 방향으로 더 집중시키게 된다.
이렇게 히팅부(20)에 의해 조리용기(110)가 가열되기 시작하면, 조리용기(110)의 온도상승으로 복사열이 하부와 측면으로 확산된다.
이때, 조리용기(110)의 측면으로 확산되는 복사열은 대기중에서 빠르게 냉각되지만, 조리용기(110)의 하부로 확산되는 복사열은 인덕션 레인지의 상판(30)을 가열함과 동시에 상판(30)을 통과하여 히팅부의 코일(24)을 손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열차단판(50)은 조리용기(110)로부터 확산되는 복사열이 상판(30)을 통과하여 히팅부(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다시 말해, 열차단판(50)은 조리용기의 복사열을 흡수한 상태이므로 자체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고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복사열이 직접적으로 히팅부(20)로 전달되는 것보다 복사열에 의한 손상 가능성이 매우 낮게 됨으로써 히팅부(20)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100)는 조리용기(110)와 인덕션 레인지의 상판(30) 사이에 소정의 유격공간이 존재하게 됨에 따라 가열된 조리용기(110)로부터 확산되는 복사열이 상판(30)과 직접 접촉되어 상판을 가열시키지 않아 상판(3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30)을 통과하여 진행하는 복사열을 열차단판(50)이 차단하게 됨으로써 히팅부(20)의 내구성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히팅부
22: 자석
24: 코일
30: 상판
32: 그릴존
40: 지지그릴
42: 레그
44: 서브자석
46: 연결프레임
50: 열차단판
52: 지지대
54: 원판
60: 컨트롤러
100: 인덕션 레인지

Claims (10)

  1. 조리용기를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히팅부와 상기 히팅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그릴존이 구비된 상판을 포함하는 인덕션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그릴존의 중앙부와 상기 그릴존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사이에 유격공간이 존재하도록 지지그릴이 설치된 인덕션 레인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그릴은 복수개의 레그가 상향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기 레그의 선단부에 자석이 설치된 인덕션 레인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복수개의 레그 중 적어도 한 쌍에 마주보며 설치된 인덕션 레인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그릴은 상기 상판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인덕션 레인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그릴은 비자성체로 구성된 인덕션 레인지.
  6. 조리용기를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히팅부와 상기 히팅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그릴존이 구비된 상판을 포함하는 인덕션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그릴존의 중앙부와 상기 그릴존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사이에 유격공간이 존재하도록 지지그릴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 또는 본체에는 가열된 상기 조리용기의 복사열이 차단되도록 열차단판이 설치된 인덕션 레인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그릴은 복수개의 레그가 상향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기 레그의 선단부에 자석이 설치된 인덕션 레인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복수개의 레그 중 적어도 한 쌍에 마주보며 설치된 인덕션 레인지.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그릴은 상기 상판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인덕션 레인지.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그릴은 비자성체로 구성된 인덕션 레인지.
KR1020150166887A 2015-11-27 2015-11-27 인덕션 레인지 KR20170061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887A KR20170061831A (ko) 2015-11-27 2015-11-27 인덕션 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887A KR20170061831A (ko) 2015-11-27 2015-11-27 인덕션 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831A true KR20170061831A (ko) 2017-06-07

Family

ID=5922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887A KR20170061831A (ko) 2015-11-27 2015-11-27 인덕션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18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336B1 (ko) 인덕션 레인지의 안전부재
JP2007026789A (ja) 電磁調理器
KR101597173B1 (ko) 언더레인지를 포함하는 인덕션 렌지용 화재발생차단장치
KR101307594B1 (ko) 유도가열 히터가 구비된 전기 조리기기
US20140124501A1 (en) Induction cooktop appliance
JP5322831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075568B1 (ko) 인덕션 렌지의 온도퓨즈 장착구조체
KR20150136893A (ko) 인덕션 조리기
US7385162B2 (en) Heater unit and electric cooker equipped therewith
JP5402358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厨房装置
KR20100104201A (ko) 인덕션 조리구용 온도센서
KR102166418B1 (ko) 인덕션 렌지용 스크래치 방지 패드
JP555838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418132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厨房装置
KR20170061831A (ko) 인덕션 레인지
KR101877394B1 (ko) 조리용기 고정 가능한 전기레인지
JP4538403B2 (ja) 加熱調理器
KR20180098470A (ko) 다열 인덕션 레인지
KR20120107727A (ko) 인덕션렌지용 보조플레이트
JP5353738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厨房装置
KR20090050482A (ko) 조리기기
KR102120175B1 (ko) 워킹 코일 조립체
CN109297057A (zh) 一种电磁加热装置的锅架组件
KR102070227B1 (ko) 조리용 용기
KR100640901B1 (ko) 전기 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