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317A -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0317A KR20170060317A KR1020150164592A KR20150164592A KR20170060317A KR 20170060317 A KR20170060317 A KR 20170060317A KR 1020150164592 A KR1020150164592 A KR 1020150164592A KR 20150164592 A KR20150164592 A KR 20150164592A KR 20170060317 A KR20170060317 A KR 201700603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battery pack
- bike
- image pickup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0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on vehicles not being driven by a motor, e.g. bicycles
-
- H04N5/2257—
-
- B62J2099/004—
-
- B62J2300/0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을 이용한 바이크용 영상촬상장치 전원공급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크의 전력발전부, 배터리팩 및 상기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입출력단자; 상기 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바이크 내 전력발전부로부터 생성된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린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바이크 내 전력발전부로부터 생성된 전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린 상태인 경우, 상기 전력발전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영상촬상장치에 공급하는 동시에 바이패스되는 전류를 통해 배터리팩을 충전하고,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상기 영상촬상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을 이용한 바이크용 영상촬상장치 전원공급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크의 전력발전부, 배터리팩 및 상기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입출력단자; 상기 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바이크 내 전력발전부로부터 생성된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린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바이크 내 전력발전부로부터 생성된 전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린 상태인 경우, 상기 전력발전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영상촬상장치에 공급하는 동시에 바이패스되는 전류를 통해 배터리팩을 충전하고,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상기 영상촬상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팩의 전원을 이용한 바이크 전원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촬상장치용 배터리팩을 이용해 바이크에 장착되는 영상촬상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이크 또는 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교통사고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교통사고의 발생시 사고자 간의 책임 소재에 대해 명확한 판단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종래에는 교통사고의 발생시 사고 당사자들 간의 주장이 엇갈리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고 당시의 상황들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로서, 블랙박스를 탑재하는 바이크 또는 차량이 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블랙박스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 등을 구비하여, 바이크 또는 차량의 여러 각도에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을 촬영하여 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블랙박스는 각종 센서들을 구비하여, 차량의 주위환경 및 차량의 상태들을 감지하고, 상기 촬영된 촬영 정보와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고 당시의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블랙박스는 대부분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탑재되고, 그 구동 전원은 차량 운행시, 시거 잭을 통한 연결 케이블을 사용하여 차량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량의 시동을 끈 경우에 차량의 상시 전원, 즉 차량 배터리를 이용하여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블랙박스는 그 전원을 상기 차량 배터리를 이용하여 상시 공급하게 될 경우, 차량의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사고가 빈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방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이 꺼지더라도 블랙박스의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팩 즉,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그 일 예로 차량 전원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블랙박스에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여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해 블랙박스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보조 배터리를 통해 영상촬상장치의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를 매번 동작시켜야만 하는 문제가 있으며, 보조 배터리를 차량 내부에 고정시키거나, 보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부분 일정한 전압으로 전원을 공급하게됨에 따라, 다양한 요구 전압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에 대하여 전원공급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차량의 배터리는 엔진의 시동을 거는데 이용되는데, 바이크는 4륜차량에 비해 엔진 시동에 필요한 전력이 적다. 따라서, 바이크 소유자들은 배터리가 방전되더라도 소모된 배터리를 교체하기보다는 킥 스타트(Kick-start: 바이크의 시동장치를 밟아서 구동하는 방식)하여 시동을 건다. 따라서,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로 바이크를 사용하므로, 블랙박스와 같은 영상촬영장치를 바이크의 자체 배터리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팩을 이용하여 바이크와 같은 바이크에 장착되는 영상촬상장치가 바이크의 주행 여부에 관계없이 원할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요구 전압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에 따라 요구 전압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영상촬상장치를 용이하게 구동시킬 뿐만 아니라, 전력손실을 최소화하여 영상촬상장치의 장시간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크의 전력발전부, 배터리팩 및 상기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입출력단자; 상기 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바이크 내 전력발전부로부터 생성된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린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바이크 내 전력발전부로부터 생성된 전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린 상태인 경우, 상기 전력발전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영상촬상장치에 공급하는 동시에 바이패스되는 전류를 통해 배터리팩을 충전하고,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상기 영상촬상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촬상장치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의 공급시점, 차단시점 또는 공급시간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대응하는 연결단자 간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팩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연결단자 간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상기 배터리팩을 고정시키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촬상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력발전부와 상기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인 전원유형, 상기 영상촬상장치의 구동상태 또는 상기 배터리팩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정보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바이크의 상기 전력발전부로부터 생성되는 전원을 제공받는 제1 전원모듈;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제2 전원모듈;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전원모듈 또는 상기 제2 전원모듈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1 전원모듈과 연결 시, 제1 전원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일부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배터리팩의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제1 전원모듈 또는 상기 제2 전원모듈과 연결 시, 상기 영상촬상장치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스위치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의 전압을 특정한 전압값으로 조절하는 전압조절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조절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발생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배터리팩이 완충된 경우,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배터리팩으로 전류를 제공하는 바이패스 회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팩을 이용하여 바이크와 같은 바이크에 장착되는 영상촬상장치의 전원을 상시 용이하게 공급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바이크의 자체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도, 자체배터리의 교체없이 저렴한 배터리팩(즉, USB를 통해 연결이 가능한 보조배터리)을 이용하여 바이크를 주행하지 않는 상황(즉, 바이크의 주차 시)에서도 영상촬상장치를 통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요구 전압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에 따라 요구 전압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영상촬상장치를 용이하게 구동시킬 뿐만 아니라, 전력손실을 최소화하여 영상촬상장치의 장시간 구동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바이크 주행 시에 영상촬상장치의 구동뿐만 아니라 배터리팩(즉, USB단자를 통해 연결 가능한 보조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보조배터리를 주기적으로 충전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팩트(Compact)하게 구성되어 바이크에 자체 탑재되는 배터리가 없더라도 휴대가 용이한 배터리팩을 편리하게 탈부착하도록 하여 영상촬상장치의 전원공급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자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차 시 영상촬상장치(예를 들어, 바이크량에 설치된 블랙박스)를 구동하기 위해, 보조배터리를 탈착하여 가정에서 충전을 수행한 후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특정상황(예를 들어, 장기 출장에 따라 바이크량 구동을 오랫동안 하지 않아서 배터리팩의 충전을 장기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에 부합하는 전력공급 조건(예를 들어, 일당 촬상을 수행할 최대시간 또는 시간범위 등)을 설정할 수 있어서, 보조배터리의 전력용량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영상촬상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영상촬상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바이크 전력발전부 사이의 연결관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체부와 장착부를 포함한 전원공급장치 외형의 예시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중, 전원관리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원관리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스위치모듈을 거치지 않고 전력발전부로부터 배터리팩으로 전류가 공급되는 예시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전원관리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력발전부로부터 전류공급 시에 스위치모듈을 통해 배터리팩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예시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전원관리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압조절된 전류를 영상촬상장치로 공급하는 예시도면이다.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을 이용한 바이크용 영상촬상장치 전원공급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체부와 장착부를 포함한 전원공급장치 외형의 예시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중, 전원관리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원관리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스위치모듈을 거치지 않고 전력발전부로부터 배터리팩으로 전류가 공급되는 예시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전원관리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력발전부로부터 전류공급 시에 스위치모듈을 통해 배터리팩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예시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전원관리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압조절된 전류를 영상촬상장치로 공급하는 예시도면이다.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을 이용한 바이크용 영상촬상장치 전원공급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울러,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영상촬상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바이크 전력발전부 사이의 연결관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체부와 장착부를 포함한 전원공급장치 외형의 예시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중, 전원관리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원관리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스위치모듈을 거치지 않고 전력발전부로부터 배터리팩으로 전류가 공급되는 예시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전원관리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력발전부로부터 전류공급 시에 스위치모듈을 통해 배터리팩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예시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전원관리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압조절된 전류를 영상촬상장치로 공급하는 예시도면이다.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을 이용한 바이크용 영상촬상장치 전원공급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팩을 이용한 바이크용 영상촬상장치 전원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을 이용한 바이크용 영상촬상장치 전원공급장치(100)는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 배터리팩(200) 및 영상촬상장치(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촬상장치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영상촬상장치(400)는, 블랙박스와 같은 전자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테블릿PC, 스마트폰, 액션캠(Action Cam)과 같은 다양한 휴대기기일 수도 있다.
상기 바이크는 전자장치의 구동을 위한 자체 배터리가 탑재된 이륜차 또는 자전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3륜 또는 4륜 오토바이(예를 들어, ATV 등)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즉, 바이크 또는 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시동은 일반적으로 오프(Off) 상태, ACC 상태, 온(ON)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온(On) 상태의 경우, 바이크의 자체 배터리는 아이솔레이션(Isolation) 상태가 되어, 통상 바이크에 탑재되는 각종 전자장치 및 엔진 등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엔진 구동에 따라 전력발전부(300)(즉, 발전기; Generator)에서 생성된 전력을 각종 전자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ACC 상태는 자체 배터리로부터 차량 내 전자장치 또는 연결되는 전원공급장치(100)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이다. 즉, ACC 전원공급이라 함은 바이크의 시동시, 바이크의 엔진을 구동하지 않고, 상기 바이크의 자체 배터리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의미한다.
또한, ACC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엔진 구동하는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차량 내 자체 배터리로부터 구동되는 전력을 이용한다. 그러나, 바이크에 자체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미포함된 경우, 킥스타트(Kick-Start) 방식을 통해 엔진에 전력을 공급하여 시동을 걸 수 있다. 킥스타트(Kick-Start) 방식을 이용하면 차량 시동을 위해 자체 배터리가 불필요하므로, 차량 보유자들은 방전된 자체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체 배터리를 이용해서 외부 연결되는 영상촬상장치를 구동할 수 없다. 따라서, 자체 배터리가 방전되어 사용할 수 없는 차량에서 영상촬상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는 별도의 전원공급부 즉, 배터리팩이 필요하다.
상기 배터리팩(200)은 충,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이루어지며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팩(200)은 바이크가 시동이 걸려 있는 경우에 전원공급장치(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을 수행하고, 바이크가 시동이 꺼져있는 경우에 충전된 전원을 전원공급장치(100)를 통해 영상촬상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팩(200)은 이동식 보조 배터리(예를 들어, 이동단말기의 충전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휴대하는 보조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200)은, 연결단자를 구비한 특정한 크래들에 하나 이상의 충전이 가능한 전지(예를 들어, 사용하지 않는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등)을 결합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팩(20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충전이 가능하며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공급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느 것이든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는 전원연결단자, US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단자가 USB 단자인 경우, 배터리팩(200)은 USB 케이블 연결을 통해 영상촬상장치의 구동 전원을 전원공급장치(100)로 공급하거나, 전원공급장치(100)가 바이크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달받아 제공하는 전력을 통해 전원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장치(100)는 자체배터리를 활용할 수 없는 차량에 부착되는 영상촬상장치에 시동이 걸린 상태와 시동이 꺼진 상태에 적합하게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팩(200), 영상촬상장치,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팩을 이용한 바이크용 영상촬상장치 전원공급장치가 포함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을 이용한 바이크용 영상촬상장치 전원공급장치(100)는, 본체부(110); 장착부(120); 입출력단자(130); 전원관리부(140); 제어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및 정보출력부(17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을 이용한 바이크용 영상촬상장치 전원공급장치의 각 구성요소가 내장되는 하우징 형태이다. 즉, 본체부(110)는 수용형태로 이루어지며, 배터리팩 등이 연결될 수 있는 후술하는 입출력단자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부(110) 상부에는 상기 배터리팩(200)을 커버하도록 암수 결합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외부 충격요소에 대하여 상기 배터리팩(200)의 파손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면에는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발광하는 발광소재가 부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팩을 이용한 바이크용 영상촬상장치 전원공급장치가 특히 바이크에 탑재되는 경우, 야간의 식별이 용이할 수가 있다.
장착부(120)는, 장착되는 배터리팩(200)을 상기 본체부(1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장착부(150)는 배터리팩(200)이 본체부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배터리팩을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입출력단자(130)는, 전원공급장치(100)와 배터리팩,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 또는 영상촬상장치를 직접 또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는 구성이다. 입출력단자(130)는 전원공급단자, USB단자 등이 해당될 수 있고,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입출력단자(130)는 하나 이상의 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입출력단자(130)는 배터리팩 연결단자, 바이크 연결단자 및 영상촬상장치 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팩 연결단자는, 배터리팩(200)이 USB단자를 포함하는 경우, 직접 연결을 위해 USB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바이크 연결단자 및 영상촬상장치 연결단자는, 특정한 전원케이블에 상응하는 연결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팩 연결단자 및 바이크 연결단자는, 배터리팩(200) 또는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와 전원공급장치(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후술하는 전원관리부(14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촬상장치 연결단자는 후술하는 전원관리부(140)로부터 제공되는 특정한 전압의 전력을 영상촬상장치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관리부(140)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 또는 배터리팩(200)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영상촬상장치로 제공하거나,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으로 배터리팩(200)을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관리부(140)는 본체부(110) 내에 내장되며, 입출력단자(예를 들어, USB단자)를 통해 연결된 배터리팩(예를 들어, 보조배터리) 또는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관리부(140)는, 배터리팩을 이용하여 바이크에 장착되는 영상촬상장치의 전원을 상시 용이하게 공급하도록 하여, 전원공급 시간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조절하여 바이크에 창작되는 배터리의 방전 사고를 빈도를 저감하도록 하여 배터리 수명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구 전압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에 따라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영상촬상장치에 대하여 구동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하며, 전력손실을 최소화하여 영상촬상장치의 장시간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관리부(140)는,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에 의해 발전된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즉, 바이크에 시동이 걸린 상태인 경우), 전원공급장치(100)의 입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영상촬상장치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바이패스되는 전력을 이용해 배터리팩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관리부(140)는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의 일부를 배터리팩으로 흐르도록 하며, 전력발전부(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예를 들어, 12V)를 배터리팩에 적합한 전압(예를 들어, 5V)으로 전압강하(DC-DC converter를 이용한 전압의 Step down)를 수행하여 배터리팩(200)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관리부(140)는, 상기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자체 발전된 전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즉, 바이크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 또는 바이크가 주차 중인 경우), 충전된 배터리팩(200)의 전원을 제공받아 영상촬상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관리부(140)의 일실시예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전원모듈(141); 제2전원모듈(142); 스위치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원모듈(141)은, 상기 바이크(즉,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상기 영상촬상장치 측으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모듈(141)은, 바이크가 시동이 걸려 있는 경우, 엔진 구동에 따라 전력 생성을 수행하는 바이크 내 전력발전부(300)로부터 본체부에 구비된 특정한 입출력단자를 통해 전력을 전달받아서, 차량 시동 시에 부합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스위치모듈(143)로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인가되는 12V 전압을 가지는 전류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상기 스위치모듈(143)로 인가할 수 있다.
제2전원모듈(142)은, 배터리팩(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상기 영상촬상장치측으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전원모듈(142)은 차량의 상태가 Off 상태일 경우, 차량의 전력발전부(300)가 생성하는 배터리팩(20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스위치모듈(143)로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전원모듈(142)은 상기 배터리팩(200)으로부터 5V의 전원을 전달받아 이를 스위치모듈(143)로 인가할 수 있다.
스위치모듈(143)은, 상기 제1 및 제2 전원모듈(121,122)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에 따라, 인가받은 전원을 영상촬상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스위치모듈(143)은 제1 전원모듈(141)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면 제2 전원모듈(142) 측으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차단(즉, 회로를 개방)하여 바이크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영상촬상장치(400)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전원모듈(141)로부터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면, 스위치모듈(143)은 제2 전원모듈(142)로부터 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회로를 단락하여 배터리팩으로부터 영상촬상장치(40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모듈(143)은 인가되는 전류 중 일부를 배터리팩(200) 측으로 전달하여 배터리팩(200)의 충전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모듈(143)은 후술하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영상촬상장치의 구동전원 공급 또는 배터리팩(200)의 충전을 수행하기 위해 인가받는 전원을 자동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스위치모듈(143)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제1전원모듈(141)로부터 12V의 전원을 인가받으면 이를 상기 영상촬상장치로 인가하는 동시에 바이패스되는 전류를 통해 배터리팩(200)의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제2전원모듈(142)로부터 5V의 전원을 인가받으면 이를 영상촬상장치로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크의 시동 시에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팩(200)을 충전하는 방식은, 스위치모듈(143)의 이용여부에 따라 나누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스위치모듈(143)에 의해 바이패스(즉, 전류분배)가 이루어지는 경우, 스위치모듈(143)은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또는 전류가 인가되는 경로(예를 들어, 제1전원모듈로터 입력되는 전류인지 제2전원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인지에 따라 결정)를 바탕으로 전류분배의 수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모듈(143)에 인가되는 전압이 12V이면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인가되는 것이므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바이패스를 수행되어 배터리팩(200) 쪽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충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스위치모듈에 인가되는 전압이 5V이면 배터리팩으로부터 인가되는 것이므로 영상촬상장치(400) 쪽으로만 전류를 인가하도록 스위칭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스위치모듈(143)에 의해 바이패스(즉, 전류분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인가되는 회로가 나누어져서 배터리팩 쪽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면 별도의 스위칭 과정 없이 배터리팩(200)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에서 발생되는 전압과 배터리팩에 저장되는 전압에 차이가 있는 경우, 전원관리부는, 도 5에서와 같이, 전압조절모듈(144)에 의해 전압을 조절하여 배터리팩(200)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관리부(140)의 일실시예는, 전압조절모듈(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조절모듈(144)은 회로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전압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전압조절모듈은 DC-DC Convertor(즉, CC/CV 자동 승강압모듈)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전압조절모듈은 스위치 모듈(143)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의 전압을 특정한 전압값으로 조절하여 배터리팩(도 6 참조) 또는 영상촬상장치(도 7 참조)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조절모듈은, 도 6에서와 같이, 스위칭모듈로(143)부터 배터리팩(200)으로 연결된 회로에 배치되어,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예를 들어, 12V)을 배터리팩(200)에 충전되는 전압(예를 들어, 5V)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압조절모듈의 전압 조절을 통해, 전원관리부(140)는 영상촬상장치에 특정한 정격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정격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스위치)를 조작하여 연결되는 영상촬상장치에 부합하는 정격전압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전원관리부(140)는 영상촬상장치(400)의 유형에 따라 전압조절모듈에 의 해 정격전압으로 조절을 수행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촬상장치(400)가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바이크의 상태를 판단하는 장치(즉, 12V가 인가되면 차량 주행 또는 시동이 결려있는 상태로 판단하고, 5V가 인가되면 주차 상태로 판단하는 장치)인 경우, 전원관리부(140)는 전압조절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7에서와 같이, 영상촬상장치(400)가 특정한 정격전압을 입력받는 경우에만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전원관리부(140)는 전압조절모듈(144)에 의해 영상촬상장치(400)에 적합한 전압(즉, 정격전압)으로 조절하여 영상촬상장치(400)로 공급할 수 있다.제어부(150)는, 본체부(110) 내에 구비되며, 차량의 시동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전원관리부(140)의 전원 공급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50)는 상기 바이크 내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생성된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린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바이크 내 전력발전부로부터 생성된 전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여, 그에 부합하는 전원이 영상촬상장치로 인가되도록 전원관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바이크의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일부 전류가 유입받을 수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걸려있어서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전원공급장치로 전류가 인가되면, 제어부로 유입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시동이 걸린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은 스위치모듈(143)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기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면 전원관리부의 스위치 모듈이 배터리팩(200)으로부터 제2전원모듈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제1전원모듈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영상촬상장치에 인가하도록 스위칭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걸려있지 않아서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제2전원모듈을 통해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배터리팩(200)의 전원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전원모듈로부터 전류가 인가될 때 배터리팩(200)으로 바이패스하여 충전을 수행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팩(200)이 완충되어 있는 상태에서 계속 차량의 전력발전부(30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흘리게 되면 배터리가 불필요한 충전과정을 반복하여 수명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측정하여, 완충 상태이면 전원관리부로부터 배터리팩(200)으로 바이패스되는 회로를 차단하여 전류가 배터리팩(200)에 인가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후술하는 사용자입력부 조작에 따라 영상촬상장치로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설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시동이 꺼진 상태로 주차된 경우, 장기간 차량을 사용하지 않으면 배터리팩(200)이 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사용자입력부 조작으로 입력된 시간범위만을 촬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범위 내(예를 들어, 매일 특정한 시점으로부터 2시간)에서 영상촬상장치가 동작할 수 있도록 배터리팩(200)으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영상촬상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촬상장치가 배터리팩의 전원을 통해 작동되기를 원하는 기간(즉, 차량을 연속으로 이용하지 않는 기간)을 입력받고, 연결된 배터리팩의 최대 전력량을 측정하여, 전원공급장치(100)의 동작 설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하루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을 산출하여, 산출된 하루 전략량을 바탕으로 적절한 작동 시기 및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전원공급장치(100)의 현재시간 또는 구동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일정 시간동안 상기 영상촬상장치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공급 on 또는 공급 Off하기 위해 현재시간 또는 구동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버튼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조작를 수신하여 전원공급장치(100)의 작동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장치(100)는 작동시간 설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조작하여 전원공급장치(100)의 전원공급에 따른 영상촬상장치의 작동시간범위(예를 들어, 시동이 꺼진 후 2시간, 4시간 또는 계속 작동)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원공급장치(100)는 공급 전압의 세기 설정(예를 들어, 전압조절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압값 설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60) 조작에 따라 전원공급장치(100)의 전원공급에 따른 영상촬상장치의 작동시간범위(예를 들어, 시동이 꺼진 후 2시간, 4시간 또는 계속 작동)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60)는 상기 영상촬상장치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의 공급시점, 차단시점 또는 공급시간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특정한 공급시점에 전원 공급을 시작하거나, 특정한 차단시점에 전원 공급을 종료하거나, 특정한 시간범위 동안 전원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장기간 바이크를 이용하지 않아서 엔진 구동에 따른 전력발전부(300)의 전력 생성에 따른 배터리팩(200)의 충전이 불가한 경우, 배터리팩 내에 보유된 전체전력량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정보출력부(170)는, 상기 영상촬상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력발전부와 상기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인 전원유형, 상기 영상촬상장치의 구동상태(또는 구동모드) 또는 상기 배터리팩의 충전상태를 표시한다.
즉, 정보출력부(170)는, 상기 본체부(110)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상기 배터리팩(200)의 전원보유상태(즉, 충/방전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출력부(170)는, 전원공급장치(100)의 구동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구동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원공급장치(100)의 상태로, 영상촬상장치의 구동되는 전원 유형, 작동시간 범위, 공급전원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정보출력부(170)는 전원관리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이크로부터 전달받는 전원 또는 상기 배터리팩(200)으로부터 전달받는 전원에 따라 구동모드 또는 상기 배터리팩(200)의 충전상태를 사용자로부터 식별이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출력부는 상기 바이크의 자체 배터리로부터 전달받는 전원 또는 상기 배터리팩(200)으로부터 전달받는 전원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연결 구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발광소자로 구성될 수 있고, 이 발광소자는 공지된 발광수단 또는 LED 소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또한, 상기 정보출력부(170)는 스피커 및 음성출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촬상장치의 전원공급 상태 또는 상기 배터리팩(200)의 충전상태를 음성출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영상촬상장치의 전원공급상태 또는 배터리팩(200)의 충전 여부를 더욱 용이하게 식별 또는 인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팩을 이용하여 바이크에 장착되는 영상촬상장치의 전원을 상시 용이하게 공급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바이크의 자체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도, 자체배터리의 교체없이 저렴한 배터리팩(즉, USB를 통해 연결이 가능한 보조배터리)을 이용하여 바이크를 주행하지 않는 상황(즉, 바이크의 주차 시)에서도 영상촬상장치를 통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요구 전압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에 따라 요구 전압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영상촬상장치를 용이하게 구동시킬 뿐만 아니라, 전력손실을 최소화하여 영상촬상장치의 장시간 구동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바이크 주행 시에 영상촬상장치의 구동뿐만 아니라 배터리팩(즉, USB단자를 통해 연결 가능한 보조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보조배터리를 주기적으로 충전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팩트(Compact)하게 구성되어 바이크에 자체 탑재되는 배터리가 없더라도 휴대가 용이한 배터리팩을 편리하게 탈부착하도록 하여 영상촬상장치의 전원공급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자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차 시 영상촬상장치(예를 들어, 바이크량에 설치된 블랙박스)를 구동하기 위해, 보조배터리를 탈착하여 가정에서 충전을 수행한 후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특정상황(예를 들어, 장기 출장에 따라 바이크량 구동을 오랫동안 하지 않아서 배터리팩의 충전을 장기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에 부합하는 전력공급 조건(예를 들어, 일당 촬상을 수행할 최대시간 또는 시간범위 등)을 설정할 수 있어서, 보조배터리의 전력용량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영상촬상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전원공급장치
110 : 본체부 120 : 장착부
130 : 입출력단자 140 : 전원관리부
150 : 제어부 160 : 사용자 입력부
170 : 정보출력부
200 : 배터리팩 300 : 바이크의 전력발전부
400 : 영상촬상장치
110 : 본체부 120 : 장착부
130 : 입출력단자 140 : 전원관리부
150 : 제어부 160 : 사용자 입력부
170 : 정보출력부
200 : 배터리팩 300 : 바이크의 전력발전부
400 : 영상촬상장치
Claims (8)
- 바이크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바이크의 자체배터리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바이크에 장착되는 영상촬상장치를 구동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크의 전력발전부, 배터리팩 및 상기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입출력단자;
상기 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바이크 내 전력발전부로부터 생성된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린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바이크 내 전력발전부로부터 생성된 전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내장되며,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린 상태인 경우, 상기 전력발전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영상촬상장치에 공급하는 동시에 바이패스되는 전류를 통해 배터리팩을 충전하고,
상기 바이크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상기 영상촬상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상장치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의 공급시점, 차단시점 또는 공급시간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대응하는 연결단자 간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팩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연결단자 간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상기 배터리팩을 고정시키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상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력발전부와 상기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인 전원유형, 상기 영상촬상장치의 구동상태 또는 상기 배터리팩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정보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바이크의 상기 전력발전부로부터 생성되는 전원을 제공받는 제1 전원모듈;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제2 전원모듈;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전원모듈 또는 상기 제2 전원모듈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1 전원모듈과 연결 시, 제1 전원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일부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배터리팩의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제1 전원모듈 또는 상기 제2 전원모듈과 연결 시, 상기 영상촬상장치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스위치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의 전압을 특정한 전압값으로 조절하는 전압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절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발전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배터리팩이 완충된 경우,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배터리팩으로 전류를 제공하는 바이패스 회로를 개방하는,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4592A KR101827299B1 (ko) | 2015-11-24 | 2015-11-24 |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4592A KR101827299B1 (ko) | 2015-11-24 | 2015-11-24 |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0317A true KR20170060317A (ko) | 2017-06-01 |
KR101827299B1 KR101827299B1 (ko) | 2018-02-08 |
Family
ID=5922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4592A KR101827299B1 (ko) | 2015-11-24 | 2015-11-24 |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729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2908B1 (ko) * | 2020-10-15 | 2021-03-29 | 주식회사 파워엘에스아이 | 시퀀스 제어가 가능한 멀티 전원 공급 장치 |
KR102386934B1 (ko) * | 2021-10-08 | 2022-04-15 | (주)도깨비 |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배터리팩 수납 구조를 갖는 전동 킥보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1506B1 (ko) * | 2013-01-28 | 2014-07-22 | 주식회사 동남 | 차량용 블랙박스 전원공급장치 |
-
2015
- 2015-11-24 KR KR1020150164592A patent/KR10182729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2908B1 (ko) * | 2020-10-15 | 2021-03-29 | 주식회사 파워엘에스아이 | 시퀀스 제어가 가능한 멀티 전원 공급 장치 |
WO2022080625A1 (ko) * | 2020-10-15 | 2022-04-21 | 주식회사 파워엘에스아이 | 시퀀스 제어가 가능한 멀티 전원 공급 장치 |
US11736008B2 (en) | 2020-10-15 | 2023-08-22 | Power LSI Co. ltd | Multi-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sequence |
KR102386934B1 (ko) * | 2021-10-08 | 2022-04-15 | (주)도깨비 |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배터리팩 수납 구조를 갖는 전동 킥보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7299B1 (ko) | 2018-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74490B2 (en) | Multifunctional battery booster | |
US9506446B2 (en) | Mobile power bank | |
US20040246341A1 (en) | Battery charger using USB and digital camera having the same | |
US20080074535A1 (en) | Imaging apparatus | |
US20060137918A1 (en) | Power supply circuit for a motor vehicle electric system | |
KR100970439B1 (ko) | 무인감시 기능이 있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 |
KR101827299B1 (ko) | 배터리팩 및 영상촬상장치를 연결하는 바이크용 전원공급장치 | |
KR101508508B1 (ko) |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 |
CN107901853A (zh) | 基于hud的多功能车载系统及车辆控制方法 | |
KR20210059092A (ko) | 전력 공급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
US20140138960A1 (en) | Method for jump starting a vehicle | |
US20050200335A1 (en) | Apparatus | |
JP2010206948A (ja) | 情報機器、及び情報機器の充電方法 | |
KR20140128834A (ko) |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 | |
US11591996B2 (en) | Emergency start | |
JP2019162015A (ja) | 車載電源、車両照明システム及びその給電方法 | |
KR102613199B1 (ko) |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 |
CN107394846A (zh) | 一种汽车应急电源 | |
JP2004134145A (ja) | 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 |
JP2006320169A (ja) | 携帯電子機器用充電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KR20150077614A (ko) | 태양광 상시 블랙박스 | |
KR102644348B1 (ko) | 이륜차용 스마트 배터리장치 | |
US20240106258A1 (en) |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 |
WO2014115547A1 (ja) | 電子機器 | |
US20190366954A1 (en) | Vehicle electronic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