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783A -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783A
KR20170059783A KR1020150164183A KR20150164183A KR20170059783A KR 20170059783 A KR20170059783 A KR 20170059783A KR 1020150164183 A KR1020150164183 A KR 1020150164183A KR 20150164183 A KR20150164183 A KR 20150164183A KR 20170059783 A KR20170059783 A KR 20170059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actuator
inductor
driving
lens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2277B1 (ko
Inventor
방제현
정신영
안병기
허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277B1/ko
Priority to US15/242,910 priority patent/US9804477B2/en
Priority to CN201610813988.2A priority patent/CN106791291A/zh
Publication of KR20170059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32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 H02P25/034Voice coil motors
    • H04N5/23287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는 렌즈 캐리어에 부착된 감지자성체와 대향하도록 하우징에 배치되는 감지인덕터; 상기 감지인덕터에 기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인덕터에 흐르는 인덕터전류를 검출하는 감지부; 상기 인덕터전류에 따라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 및 위치제어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내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과 렌즈 배럴을 갖는 렌즈 캐리어, 및 렌즈 캐리어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고정된 초점에 의해 사물을 촬영하는 단초점 방식의 카메라 모듈이 채용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기술 개발에 따라 자동초점(Autofocus)조절이 가능하도록 액추에이터를 포함한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은 손떨림에 따른 해상도 저하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손떨림 보정기능(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을 위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기도 한다.
상술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가 사용되며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는 렌즈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고 렌즈 캐리어의 위치 및 위치제어신호에 따라 렌즈 캐리어를 목표 위치로 이동 시키도록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킨다.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77216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감지인덕터에 흐르는 인덕터전류의 변화에 따라 렌즈 캐리어의 위치를 판단하여 정확한 액추에이터 구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는 렌즈 캐리어에 부착된 감지자성체와 대향하도록 하우징에 배치되는 감지인덕터; 상기 감지인덕터에 기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인덕터에 흐르는 인덕터전류를 검출하는 감지부; 상기 인덕터전류에 따라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 및 위치제어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에 장착되고 감지자성체가 부착되는 렌즈 캐리어; 상기 렌즈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는 상기 감지자성체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감지인덕터, 상기 감지인덕터에 기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인덕터에 흐르는 인덕터전류를 검출하는 감지부, 상기 인덕터전류에 따라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 및 위치제어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감지인덕터에 흐르는 인덕터전류에 따라 렌즈 캐리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위치센서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공간 효율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외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신호 및 인덕터전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구조 및 기능을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카메라 모듈(100)이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위한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손떨림 보정 기능을 구비하기 위해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110), 액추에이터(130), 렌즈 모듈(140), 및 센서 모듈(150)을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110)는 렌즈 캐리어(142)의 위치를 판단하고 렌즈 캐리어(142)의 위치 및 외부로부터의 위치제어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130)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예컨대, 전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110)는 제1 기판(12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110)가 구동코일(131)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11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110)는 렌즈 캐리어(142)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감지인덕터(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인덕터(111)는 제2 기판(122)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고, 감지자성체(112)와 대향하도록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인덕터(111)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타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감지자성체(112)는 렌즈 캐리어(142)의 외면 중 구동자성체(13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감지인덕터(111)는 감지자성체(112)의 위치에 따라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코일일 수 있고, 감지자성체(112)는 감지인덕터(111)의 전기장과 작용하는 알루미늄 또는 자기장을 띠는 마그넷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110)의 상세한 구성 및 기능은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액추에이터(130)는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11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렌즈 캐리어(142)를 광축(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추에이터(130)는 회전 모터, 피에조 액추에이터, 보이스 코일 모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 액추에이터(130)가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액추에이터(130)는 구동코일(131) 및 구동자성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코일(131)은 제1 기판(12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자성체(132)는 구동코일(131)과 대면하여 렌즈 캐리어(142)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131)은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코일(131)과 감지인덕터(111)가 배치된 제1 기판(121) 및 제2 기판(122)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으며, 제1 기판(121) 및 제2 기판(122)은 각각 하우징(141)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구동코일(131)과 감지인덕터(111)가 직접 하우징에 배치되는 경우 제1 기판(121) 및 제2 기판(122)은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110)로부터의 제어신호(예컨대, 전류신호)는 액추에이터(130)가 포함하는 구동코일(131)에 공급되어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구동자성체(132)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렌즈 캐리어(142)를 광축(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자성체(132)는 구동코일(131)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자기장과 반응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자성체(132)는 제1 자성체(132a) 및 제2 자성체(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성체(132a)와 제2 자성체(132b)는 구동자성체(132)가 분극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캐리어(142)의 이동을 제어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렌즈 모듈(140)은 렌즈 배럴(143)을 갖는 렌즈 캐리어(142)를 수용하는 하우징(141)과 렌즈 캐리어(142)의 광축(1)을 따른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44) 및 하우징(141)을 감싸는 쉴드 케이스(145)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143)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접착제 또는 나사 결합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볼 베어링(146)은 하우징(141)의 내부 가이드에 배치되어 구름 동작을 통해 렌즈 캐리어(142)의 광축을 따른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볼 베어링(146)은 하우징(141)의 내부 가이드에 나누어(146a, 146b) 배치될 수 있으며, 볼 베어링(146)의 표면에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150)은 하우징(141)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 모듈(150)은 이미지 센서(151), 가요성 인쇄회로(152) 및 회로 기판(1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51)는 결상면에 배치되고 와이어 본딩(154)에 의해 회로 기판(153)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가요성 인쇄회로(152)는 회로 기판(153)으로부터 연장되어 추후에 설명할 카메라,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전자 장치의 내부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153)의 일측 단부에는 제1 기판(121)과 결합되는 결합부(156)가 마련될 수 있다. 더하여, 이미지 센서 모듈(150)은 입사되는 이미지를 필터링하여 이미지 센서(151)에 전달하는 적외선 필터(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렌즈 배럴(143)을 수용하는 렌즈 캐리어(142)의 일측면에 감지자성체(112)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일측면의 반대면인 타측면에 구동자성체(132)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감지인덕터(111)가 상기 감지자성체(112)와 대향하도록 하우징(141) 내부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구동코일(131)이 상기 일측면과 마주하는 하우징(141)의 타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코일(131) 및 감지인덕터(111)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 감지인덕터(111)에 대하여 구동코일(131)이 미치는 전기장의 영향이 최소화 될 수 있다.
감지인덕터(111)가 코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감지인덕터(111)는 렌즈 캐리어(142)의 이동에 다른 감지자성체(112)의 최대변위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자성체(112)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감지인덕터(111)의 인덕턴스 변화가 감지자성체(112)의 최대변위까지 발생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외형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카메라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100)의 렌즈는 전자 장치(10)의 개구부(10b)를 통해 외부에 개방되어 외부의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전자 장치(10)의 제어부(10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b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0c)는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에 위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IC(application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110)는 감지인덕터(111), 감지부(113), 판단부(114), 및 구동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점선 A와 같이 감지부(113), 판단부(114), 및 구동부(115)는 하나의 집적회로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두 개 이상의 집적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하드웨어와 이에 탑재되어 기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110)의 동작을 감지인덕터(111)부터 신호의 흐름에 따라 차례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감지인덕터(111)는 감지부(113)로부터 기준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감지인덕터(111)에 인덕터전류가 흐를 수 있다.
또한, 감지인덕터(111)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자성체(112, 도 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감지자성체의 위치 변화에 따라 감지인덕터(111)의 인덕턴스가 변화될 수 있고, 상기 인덕턴스의 변화에 따라 감지인덕터(111)에 흐르는 인덕터전류의 레벨이 변화될 수 있다.
감지부(113)는 감지인덕터(111)에 기준신호(S_rect)를 인가하고 감지인덕터(111)에 흐르는 인덕터전류를 검출(S_sens)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신호(S_rect)는 구형파의 전압신호일 수 있다.
판단부(114)는 인덕터전류에 따라 렌즈 캐리어(142, 도 1)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14)는 메모리(미도시)에 기저장된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덕터전류에 따른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14)는 기준신호(S_rect)의 전압레벨 및 인덕터전류의 전류레벨에 기초하여 인덕턴스를 연산하고 연산된 인덕턴스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정보를 구동부(115)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Fe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일 수 있다.
구동부(115)는 판단부(114)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정보 및 위치제어신호(Ap_cmd)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제어신호(Ap_cmd)는 어플리케이션 IC(200)으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110)에 입력되는 위치제어신호(Ap_cmd)는 사용자가 이동시키기 원하는 렌즈 캐리어의 목표 위치, 즉, 렌즈 캐리어의 목표 변위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15)는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제어신호(Ap_cmd)를 보정할 수 있다. 이후, 구동부(115)는 보정된 위치제어신호(Ap_cmd)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S_ctr)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15)가 출력하는 제어신호(S_ctr)는 전류 신호일 수 있고, 구동부(115)는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H 브리지(Bridge)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신호 및 인덕터전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감지부(114, 도 5)가 감지인덕터(111, 도 5)에 인가하는 구형파의 전압신호인 기준신호(S_rect)를 확인할 수 있다.
기준신호(S_rect)에 의해 감지인덕터를 흐르는 인덕터전류들(I_L1, I_L2)은 감지인덕터의 상이한 인덕턴스에 따라 상이한 파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의 감지부(113, 도 5)는 이러한 인덕터전류들을 검출하여 렌즈 캐리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기준신호(S_rect)의 하이레벨(high level) 구간에서 인덕터전류를 검출하거나 기준신호(S_rert)의 하강시간에 인덕터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인덕터전류들(I_L1, I_L2)은 기준신호(S_rect)의 하이레벨(high level) 구간이 충분히 길다면 상기 구간 내에서 일정한 전류값(I_stdy)을 가지는 정상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신호(S_rect)의 하이레벨(high level) 펄스폭(P_width)이 인덕터전류의 정상상태 도달 시간(T_stdy)보다 크다면 정확한 인덕터전류 검출이 어려울 수 있다.
정확한 인덕터전류 검출 위해, 상기 기준신호(S_rect)의 하이레벨(high level) 펄스폭(P_width)은 상기 인덕터전류가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카메라 모듈
110: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111: 감지인덕터
112: 감지자성체
113: 감지부
114: 판단부
115: 구동부
130: 액추에이터
131: 구동코일
140: 렌즈 모듈
141: 하우징
142: 렌즈 캐리어
150: 센서 모듈

Claims (13)

  1. 렌즈 캐리어에 부착된 감지자성체와 대향하도록 하우징에 배치되는 감지인덕터;
    상기 감지인덕터에 기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인덕터에 흐르는 인덕터전류를 검출하는 감지부;
    상기 인덕터전류에 따라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 및 위치제어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인덕터는 상기 감지자성체의 위치에 따라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코일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지름은 상기 감지자성체의 최대변위보다 큰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는 구형파의 전압신호인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의 펄스폭은 상기 인덕터전류가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짧은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인덕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타측면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7. 하우징에 장착되고 감지자성체가 부착되는 렌즈 캐리어;
    상기 렌즈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는
    상기 감지자성체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감지인덕터, 상기 감지인덕터에 기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인덕터에 흐르는 인덕터전류를 검출하는 감지부, 상기 인덕터전류에 따라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렌즈 캐리어의 위치 및 위치제어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인덕터는 상기 감지자성체의 위치에 따라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코일인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지름은 상기 감지자성체의 최대변위보다 큰 카메라 모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는 구형파의 전압신호인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의 펄스폭은 상기 인덕터전류가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짧은 카메라 모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인덕터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타측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50164183A 2015-11-23 2015-11-23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91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83A KR101912277B1 (ko) 2015-11-23 2015-11-23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5/242,910 US9804477B2 (en) 2015-11-23 2016-08-22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201610813988.2A CN106791291A (zh) 2015-11-23 2016-09-09 致动器驱动装置及包括该致动器驱动装置的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83A KR101912277B1 (ko) 2015-11-23 2015-11-23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220A Division KR20180012839A (ko) 2018-01-25 2018-01-25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783A true KR20170059783A (ko) 2017-05-31
KR101912277B1 KR101912277B1 (ko) 2018-10-30

Family

ID=5872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183A KR101912277B1 (ko) 2015-11-23 2015-11-23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04477B2 (ko)
KR (1) KR101912277B1 (ko)
CN (1) CN1067912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023A (ko) * 2017-08-22 2019-03-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20190061439A (ko) * 2017-11-28 2019-06-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10028635A (ko) * 2018-10-17 2021-03-12 자화전자(주) 다극 마그네트 구조가 장착된 액추에이터
KR20220000785A (ko) * 2020-06-26 2022-0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803A1 (en) 2016-04-15 2017-10-19 Lg Electronics Inc. Displacement sensor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EP3457188A4 (en) * 2016-05-09 2020-01-29 LG Innotek Co., Ltd. LENS DRIVE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640659B1 (ko) * 2017-01-19 202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장치
KR102041668B1 (ko) 2017-04-17 2019-11-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센싱 유닛
KR102527720B1 (ko) * 2017-09-12 2023-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401590B2 (en) * 2017-11-07 2019-09-03 Google Llc Embeddable camera with lens actuator
KR102483619B1 (ko) * 2017-12-22 2023-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장치의 액추에이터
KR102107028B1 (ko) * 2018-03-05 2020-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233576B1 (ko) * 2018-10-17 2021-03-30 자화전자(주) 다극 마그네트 구조가 장착된 액추에이터
TWI724412B (zh) 2019-04-24 2021-04-1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模組與電子裝置
US20210405321A1 (en) * 2020-06-26 2021-12-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0347B2 (ja) 1999-03-15 2009-12-24 株式会社アミテック 位置検出装置
JP4129411B2 (ja) 2003-05-26 2008-08-06 京セラ株式会社 レンズ位置検出装置
US20070229702A1 (en) * 2004-10-20 2007-10-04 Kyocera Corporato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Terminal with the Same
CN1773320A (zh) * 2004-11-11 2006-05-17 精工电子有限公司 镜筒驱动装置、透镜驱动模块及相机模块
JP2006317191A (ja) * 2005-05-10 2006-11-24 Konica Minolta Opto Inc 位置検出装置、電子機器
TWI306980B (en) * 2006-03-21 2009-03-01 Powergate Optical Inc Two steps lens actuating apparatus
US7432721B2 (en) * 2006-12-18 2008-10-07 Temic Automotive Of North America, Inc. Solenoid actuator motion detection
KR101295433B1 (ko) 2007-06-19 2013-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 장치 및 방법
EP2006733B1 (en) 2007-06-19 2013-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 focus apparatus and method for camera
KR100880672B1 (ko) * 2007-07-18 2009-02-02 자화전자 주식회사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20425B1 (ko) 2007-09-03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방법
JP2009156946A (ja) * 2007-12-25 2009-07-16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の防振制御回路
JP2009156945A (ja) * 2007-12-25 2009-07-16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の防振制御回路
US8363324B2 (en) * 2008-01-10 2013-01-29 Digital Imaging Systems Gmbh Lens positioning system
JP2010151986A (ja) * 2008-12-24 2010-07-08 Fujinon Corp レンズ位置検出装置及びレンズ装置
KR101058679B1 (ko) * 2009-02-16 2011-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20032353A (ko) 2010-09-28 2012-04-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싱 방법
JP2012177754A (ja) * 2011-02-25 2012-09-13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KR101921247B1 (ko) 2011-12-29 2018-11-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KR101892300B1 (ko) 2011-12-29 2018-09-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KR101991860B1 (ko) * 2012-05-07 2019-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에서 액추에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32043B1 (ko) 2012-05-30 2013-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059169B1 (ko) * 2012-07-30 2019-12-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4995556A (zh) * 2013-09-30 2015-10-21 爱斯尼克电子有限公司 具有自动调焦及补正手颤功能的便携式设备用相机促动器
US9338357B2 (en) * 2014-01-30 2016-05-10 Hoya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KR101588951B1 (ko) * 2014-04-16 2016-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TWM490014U (en) * 2014-07-30 2014-11-11 Largan Precision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KR102262676B1 (ko) * 2014-09-23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US20160178869A1 (en) * 2014-12-22 2016-06-23 Facebook,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a Camera Lens with Magnetostrictive Elements
CN106094160B (zh) * 2015-04-29 2021-10-22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单元、相机模块以及光学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023A (ko) * 2017-08-22 2019-03-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20220123195A (ko) * 2017-08-22 2022-09-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광출력 모듈 및 라이다
KR20190061439A (ko) * 2017-11-28 2019-06-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10028635A (ko) * 2018-10-17 2021-03-12 자화전자(주) 다극 마그네트 구조가 장착된 액추에이터
KR20220000785A (ko) * 2020-06-26 2022-0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46889A1 (en) 2017-05-25
KR101912277B1 (ko) 2018-10-30
US9804477B2 (en) 2017-10-31
CN106791291A (zh)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277B1 (ko)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859377B1 (ko)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20533B1 (ko) 카메라 모듈
US8982274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handshaking correcting device
KR100961127B1 (ko) 카메라 모듈
KR101892811B1 (ko)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102538913B1 (ko) 카메라 모듈
KR101681366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61934B1 (ko)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101709854B1 (ko) 액츄에이터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전자 장치 및 액츄에이터 구동 제어 방법
KR20180012839A (ko)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5015877A1 (ja) 撮像装置
KR102194710B1 (ko)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EP2372430B1 (en)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apparatus, and lens controlling method
JP5326681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KR101126295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싱 탐색 범위 설정 방법
KR102327732B1 (ko)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30137118A1 (en) Linkage apparatus,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20200143971A (ko) 카메라 모듈
KR101764433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KR102149389B1 (ko) 카메라 모듈
KR102586949B1 (ko) 카메라 모듈
KR102460751B1 (ko) 카메라 모듈
US20230161229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100714005B1 (ko) 소형 카메라 모듈의 변위 감지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