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223A -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223A
KR20170059223A KR1020150163301A KR20150163301A KR20170059223A KR 20170059223 A KR20170059223 A KR 20170059223A KR 1020150163301 A KR1020150163301 A KR 1020150163301A KR 20150163301 A KR20150163301 A KR 20150163301A KR 20170059223 A KR20170059223 A KR 20170059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berry
root
smoking
leaf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옥
Original Assignee
정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옥 filed Critical 정병옥
Priority to KR1020150163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9223A/ko
Publication of KR20170059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2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를 1차 열수 추출하여, 각각 칠해목 줄기 추출물, 청미래 뿌리 추출물 및 뽕나무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혼합하여 진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진액에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의 가공물을 첨가하여, 가공물 및 진액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혼합물을 2차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PREPARATION MEHTOD OF COMPOSITION FOR HELPING STOP SMOKING}
본 발명은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흡연의 폐해에 대하여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흡연자 뿐 아니라 주위 사람들의 간접 흡연으로 인한 피해 역시 주목받고 있다. 이에 흡연 인구를 줄이거나, 흡연자의 흡연량을 줄이려는 사회적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10-0317426호에는 니코틴 용액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흡연 대용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10-1257828호에는 다마스콘을 함유한 금연 보조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발암물질, 즉 타르 뿐 아니라 니코틴으로 인한 중독성이 있는 담배의 특성 상 금연의 유도는 쉽지 않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 역시 상당히 큰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금연 보조제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칠해목, 청미래 및 뽕나무를 적절히 가공하여 이용하는 경우, 흡연 충동을 억제하며 흡연 시 거부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금연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를 1차 열수 추출하여, 각각 칠해목 줄기 추출물, 청미래 뿌리 추출물 및 뽕나무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혼합하여 진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진액에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의 가공물을 첨가하여, 가공물 및 진액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혼합물을 2차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금연 보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은 흡연 시 구토, 속부대낌, 메스꺼움, 두통 등을 유도하여 흡연 욕구를 저하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은 체내 니코틴, 타르,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물질 및 발암 물질 등으로 인한 금단 현상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를 1차 열수 추출하여, 각각 칠해목 줄기 추출물, 청미래 뿌리 추출물 및 뽕나무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혼합하여 진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진액에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의 가공물을 첨가하여, 가공물 및 진액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혼합물을 2차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금연 보조제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의 준비 단계
상기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는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야생 또는 농장에서 채취하여 사용하여도 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는 세척 후 음건한 후 세절하여 이용하는 것이 위생 및 추출 효율 상 바람직하다.
진액 제조 단계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를 1차 열수 추출하여, 각각 칠해목 줄기 추출물, 청미래 뿌리 추출물 및 뽕나무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혼합하여 진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칠해목 줄기 추출물은 칠해목 줄기 세절물 및 물을 1: 5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물과 상기 열수 추출물은 20 : 8 내지 13의 중량비를 갖도록 열수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미래 뿌리 추출물은 청미래 뿌리 세절물 및 물을 1: 5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물과 상기 열수 추출물은 20 : 8 내지 13의 중량비를 갖도록 열수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뽕나무 뿌리 추출물은 뽕나무 뿌리 세절물 및 물을 1: 5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물과 상기 열수 추출물은 20 : 8 내지 13의 중량비를 갖도록 열수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뽕나무 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칠해목 줄기는 100 내지 20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뽕나무 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청미래 뿌리는 100 내지 20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잎 가공물의 제조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진액에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의 가공물을 첨가하여, 가공물 및 진액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의 가공물, 즉 잎 가공물은 청미래 잎 및 뽕나무 잎의 분말을 혼합한 후 열수에 넣어 끓이고, 분말들을 건져 내어 제조한다. 즉, 상기 잎 가공물은 청미래 잎 및 뽕나무 잎의 분말을 혼합한 후 열수에 넣어 끓이고, 분말들을 건져 내어 제조한, 상기 건져낸 분말들이며, 액체인 열수 추출물이 아니다.
상기 청미래 잎 분말, 뽕나무 잎 분말 및 열수는 10 : 10 내지 20 : 200 내지 400 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잎 가공물 및 진액 혼합물의 제조 단계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진액에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의 가공물을 첨가하여, 가공물 및 진액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뽕나무 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뽕나무 잎은 15 내지 40 중량부 사용하여 잎 가공물을 제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뽕나무 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청미래 잎은 25 내지 55 중량부 사용하여 잎 가공물을 제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한다.
잎 가공물 및 진액 혼합물의 2차 열수 추출 단계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잎 가공물 및 진액 혼합물을 2차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은 흡연 시 구토, 메스꺼움, 두통, 속부대낌 또는 역겨움을 유도하여 금연을 보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은 체내 니코틴, 타르,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물질 및 발암 물질 등으로 인한 금단 현상을 감소시키며, 흡연 충동을 저하시킨다.
상기 금연 보조 조성물은 액상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액상은 고형분 함량이 10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6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연 보조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금연 보조제에 대한 것이다. 상기 금연 보조제는 액상, 액즙 등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담배 한 개비에 해당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하여, 담배갑의 형상으로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흡연자에게 친숙함을 줄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금연 보조제는 85 mm의 길이 x 12 mm의 폭을 갖는 금연 보조제가 12개 들이로 1박스에 포장될 수 있다.
흡연자가 금연 보조제 포장재에 표시된 절단 부위를 뜯어내고 입으로 빨아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흡연자가 흡연과 유사한 행동을 하도록 유도한다.
흡연자는 흡연 충동이 느껴질 때 본 발명의 금연 보조제를 섭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복 섭취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은 금단 현상을 감소시키고 금연을 보조한다.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 또는 금연 보조제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식품, 가공식품, 환자식품, 일반적인 식자재 등에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 또는 금연 보조제를 첨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 또는 금연 보조제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 또는 금연 보조제는,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식품 또는 음료의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중량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금연 보조 조성물 또는 금연 보조제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제는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금연 보조 조성물 또는 금연 보조제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기타 영양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종류의 식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 또는 금연 보조제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 또는 금연 보조제는 흡연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흡연으로 인한 질환은 폐암, 후두암, 방광암, 뇌종양, 구강암, 식도암, 간암, 췌장암, 직장암 등과 같은 암일 수 있으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 또는 금연 보조제를 0.01 내지 99.99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8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 또는 금연 보조제를 90 내지 9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투약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식생활, 영양 상태, 병의 진행 정도, 뇌손상의 정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금연 보조 조성물 또는 금연 보조제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제는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가 있으며 이들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성별 및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인 1kg 당 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10 mg 내지 5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단위 제형당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1일 용량 또는 이의 1/2, 1/3 또는 1/4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재료 및 방법>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잎, 뽕나무 뿌리 및 잎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상기 뽕나무는 산뽕(야생나무)로 사용하였다.
상기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는 세척 후 음건한 후 세절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청미래 잎 및 뽕나무 잎은 세척 후 찌고, 그 후 찐 잎들을 햇볕에 말린 후 분말화하여 준비하였다.
칠해목 줄기 추출물의 제조
배출구가 있는 압력용기에 상기 칠해목 줄기 세절물 및 물을 넣고 중불로 3시간 동안 달였다. 그 후 배출구를 열고 약불로 2시간 추가로 달였다. 그 후 1시간 동안 수분을 증발시켜, 칠해목 줄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칠해목 줄기 세절물과 상기 물은 3 : 20의 중량비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때 처음 압력용기에 넣은 물과 제조된 칠해목 줄기 추출물의 부피 비는 20:10 이었다.
청미래 뿌리 추출물의 제조
배출구가 있는 압력용기에 상기 청미래 뿌리 세절물 및 물을 넣고 중불로 3시간 동안 달였다. 그 후 배출구를 열고 약불로 2시간 추가로 달였다. 그 후 1시간 동안 수분을 증발시켜, 청미래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청미래 뿌리 세절물과 상기 물은 3 : 20의 중량비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때 처음 압력용기에 넣은 물과 제조된 청미래 뿌리 추출물의 부피 비는 20:10 이었다.
뽕나무 뿌리 추출물의 제조
배출구가 있는 압력용기에 상기 뽕나무 뿌리 세절물 및 물을 넣고 중불로 3시간 동안 달였다. 그 후 배출구를 열고 약불로 2시간 추가로 달였다. 그 후 1시간 동안 수분을 증발시켜, 뽕나무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뽕나무 뿌리 세절물과 상기 물은 2 : 15의 중량비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때 처음 압력용기에 넣은 물과 제조된 뽕나무 뿌리 추출물의 부피 비는 15:8 이었다.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 가공물의 제조
청미래 잎 분말 및 뽕나무 잎 분말을 혼합한 후 이를 열수에 첨가하였다. 열수에서 10분 끓인 후 불을 완전히 끄고 뜰채를 이용하여 상기 분말들을 뜰채를 이용하여 건져내었다. 그리고, 상기 건져낸 분말들을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 가공물로서 사용하였다. 이 때, 상기 청미래 잎 분말, 뽕나무 잎 분말 및 열수는 10 :16 : 300 의 중량비로 사용하였다.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 열수 추출물의 제조
청미래 잎 분말 및 뽕나무 잎 분말을 혼합한 후 이를 열수에 첨가하였다. 열수에서 10분 끓인 후 불을 완전히 끄고 뜰채를 이용하여 상기 분말들을 뜰채를 이용하여 건져내었다. 그리고 분말을 제거하고 남은 열수 추출물들을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 열수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하기 표 1의 중량비로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재료 및 방법>에 따라 이들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열수 추출물들을 각각 혼합하여, 진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하기 표 1의 중량비로 준비한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을 이용하여,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 가공물을 제조하고, 이를 상기 진액들에 각각 하기 표 1의 중량비로 첨가하였다. 그 후 상기 가공물 및 진액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80 ℃ 열수로 2차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2차 추출물들을 각각 실시예 1 내지 6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뽕나무 뿌리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칠해목 줄기 150 100 200 150 100 150
청미래 뿌리 150 100 150 200 150 100
뽕나무 잎 25 25 25 25 25 25
청미래 잎 40 40 40 40 40 40
<비교예 1 내지 6>
하기 표 2의 중량비로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재료 및 방법>에 따라 이들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열수 추출물들을 각각 혼합하여, 진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하기 표 2의 중량비로 준비한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을 이용하여,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 가공물을 제조하고, 이를 상기 진액들에 각각 하기 표 2의 중량비로 첨가하였다. 그 후 상기 가공물 및 진액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80 ℃ 열수로 2차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2차 추출물들을 각각 비교예 1 내지 4로 사용하였다. 이 때, 비교예 3 및 4는 각각 칠해목 줄기 추출물 및 청미래 뿌리 추출물을 이용하지 않은 것이다.
한편, 하기 표 2의 중량비로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재료 및 방법>에 따라 이들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열수 추출물들을 각각 혼합하여, 진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하기 표 2의 중량비로 준비한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을 이용하여,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상기 진액에 첨가하였다. 그 후 상기 열수 추출물 및 진액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80 ℃ 열수로 2차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2차 추출물들을 비교예 5로 사용하였다. 즉, 비교예 5는 잎 분말 가공물이 아닌, 잎 분말의 추출물, 즉 액체를 이용한 것이다.
한편, 하기 표 2의 중량비로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재료 및 방법>에 따라 이들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열수 추출물들을 각각 혼합하여, 진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진액을 비교예 6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2 3 4 5 6
뽕나무 뿌리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칠해목 줄기 400 150 - 150 150 150
청미래 뿌리 150 400 150 - 150 100
뽕나무 잎 25 25 25 25 25 -
청미래 잎 40 40 40 40 40 -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6을 45세 내지 70세의 남성 흡연자 48명에게 주고, 담배 생각이 날 경우 이를 30 ml 씩 섭취하게 하였다. 각 실험 대상(즉,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 당 4명의 패널이 적용되었다. 섭취 후 흡연 여부는 패널들의 재량에 맡겼다. 그리고 1달 후 금연 효과 및 흡연 시 반응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상기 흡연 시 반응은 복수 응답이 가능하다. 상기 선호도는 금연 보조 제품으로서 구입 의사 여부에 대한 응답으로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6을 복용한 사람들은 금연에 성공하였거나 흡연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6을 복용한 사람들은 흡연량에 유의한 변화가 없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으며, 흡연량이 오히려 증가한 사람도 확인되었다(표 3).
금연효과 흡연 시 반응 선호도
금연 흡연량 감소 흡연량 증가 유의한 변화 없음 두통 메스껍고 속이 부대낌 어지러움
실시예 1 3 1 0 0 2 3 1 4
실시예 2 2 1 0 1 1 3 2 3
실시예 3 1 3 0 0 3 1 4 3
실시예 4 3 1 0 0 1 3 4 4
실시예 5 2 2 0 0 2 3 1 3
실시예 6 2 2 0 0 3 1 2 3
비교예 1 0 0 1 3 0 0 0 0
비교예 2 0 0 2 2 0 0 0 1
비교예 3 0 0 1 3 0 0 0 0
비교예 4 0 0 2 2 0 0 0 0
비교예 5 0 1 1 2 1 1 0 1
비교예 6 0 1 1 2 0 2 1 1

Claims (12)

  1.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칠해목 줄기, 청미래 뿌리 및 뽕나무 뿌리를 1차 열수 추출하여, 각각 칠해목 줄기 추출물, 청미래 뿌리 추출물 및 뽕나무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혼합하여 진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진액에 청미래잎 및 뽕나무잎의 가공물을 첨가하여, 가공물 및 진액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및
    상기 혼합물을 2차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미래 잎 및 뽕나무 잎의 가공물은 청미래 잎 및 뽕나무 잎의 분말을 혼합한 후 열수에 넣어 끓이고, 분말들을 건져 내어 제조한, 상기 건져낸 분말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칠해목 줄기 추출물은 칠해목 줄기 세절물 및 물을 1: 5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미래 뿌리 추출물은 청미래 뿌리 세절물 및 물을 1: 5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뽕나무 뿌리 추출물은 뽕나무 뿌리 세절물 및 물을 1: 5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뽕나무 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칠해목 줄기는 100 내지 20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뽕나무 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청미래 뿌리는 100 내지 20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1항에 잇어서,
    상기 뽕나무 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뽕나무 잎은 15 내지 4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 1항에 잇어서,
    상기 뽕나무 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청미래 잎은 25 내지 5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연 보조 조성물은 흡연 시 구토, 메스꺼움, 두통, 속부대낌 또는 역겨움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한 금연 보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금연 보조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연 보조제는 담배갑 형상으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제.
KR1020150163301A 2015-11-20 2015-11-20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70059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301A KR20170059223A (ko) 2015-11-20 2015-11-20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301A KR20170059223A (ko) 2015-11-20 2015-11-20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223A true KR20170059223A (ko) 2017-05-30

Family

ID=5905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301A KR20170059223A (ko) 2015-11-20 2015-11-20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92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3548A (zh) * 2018-10-31 2019-03-01 王军军 一种霜桑叶烟丝及烟丝、香烟的制备方法
WO2020021585A1 (en) * 2018-07-27 2020-01-30 Alkhraisha Shahem Sphagnum moss based smoking produ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1585A1 (en) * 2018-07-27 2020-01-30 Alkhraisha Shahem Sphagnum moss based smoking product
CN109393548A (zh) * 2018-10-31 2019-03-01 王军军 一种霜桑叶烟丝及烟丝、香烟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780B1 (ko)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37693A (ko) 폐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KR101396458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CN106417464A (zh) 一种粗粮中药饼干
CN104012731A (zh) 一种百香果叶复合茶及其制作方法
WO2016067138A1 (en) A health-promoting chewable food product free of areca nuts and tobacco and the process and composition thereof
CN104560576A (zh) 玛卡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101538136B1 (ko) 가오리와 호랑가시나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용 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59223A (ko) 금연 보조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40114150A (ko) 발효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1961B1 (ko) 으름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101760692B1 (ko) 대추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1520A (ko) 남성 성기능 개선 및 불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9895421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preventative or treatment effect o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KR20150092400A (ko) 곤드레 추출물 또는 참취 추출물을 이용한 뇌신경세포 보호용 빵과 이의 제조방법
KR101614431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및 불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28557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의약 조성물
KR101953576B1 (ko) 항암 기능성 음료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6234536A (zh) 一种粗粮饼干
CN111248438A (zh) 一种具有养生功效的药膳素产品及其制备方法
KR20210008191A (ko) 수용성 규소 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기능성 조성물
KR101720927B1 (ko) 도라지 및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음료
KR20160082568A (ko)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1752547B1 (ko) 비타민 c를 이용한 생강류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588004B1 (ko) 질경이와 설견초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용 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