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06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065A
KR20170059065A KR1020150162738A KR20150162738A KR20170059065A KR 20170059065 A KR20170059065 A KR 20170059065A KR 1020150162738 A KR1020150162738 A KR 1020150162738A KR 20150162738 A KR20150162738 A KR 20150162738A KR 20170059065 A KR20170059065 A KR 20170059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b
color
pattern
col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439B1 (ko
Inventor
진경빈
김민수
성수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439B1/ko
Priority to US15/236,134 priority patent/US10254451B2/en
Publication of KR20170059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01L27/322
    • H01L27/323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된 윈도우 모듈을 포함하고, 윈도우 모듈은 표시부 및 비표시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 기판, 비표시부 하부에 제공된 수지층, 수지층의 하부에 제공된 UV 패턴층, UV 패턴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1 개구부가 정의되는 제1 컬러층, 제1 컬러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1 개구부와 중첩하는 제2 개구부가 정의되는 제2 컬러층,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제공되고 UV 패턴층의 하부에 제공된 커버층 및 커버층의 하부에 제공된 로고층을 포함하는 장식층, 및 제2 컬러층의 하부 및 장식층의 하부에 제공된 제3 컬러층을 포함하며, 표시 패널은 제3 컬러층의 하부에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로고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모듈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커버하는 윈도우 모듈을 포함한다.
윈도우 모듈은 영상을 투과시키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베젤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윈도우 모듈의 비표시 영역은 내부 회로나 부품들의 시인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품의 로고, 장식 등이 제공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은 로고층의 심미감이 향상된 윈도우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된 윈도우 모듈을 포함하고, 윈도우 모듈은 표시부 및 비표시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 기판, 비표시부 하부에 제공된 수지층, 수지층의 하부에 제공된 UV(Ultra Violet) 패턴층, UV 패턴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1 개구부가 정의되는 제1 컬러층, 제1 컬러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1 개구부와 중첩하는 제2 개구부가 정의되는 제2 컬러층,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제공되고, UV 패턴층의 하부에 제공된 커버층 및 커버층의 하부에 제공된 로고층을 포함하는 장식층 및 제2 컬러층의 하부 및 장식층의 하부에 제공된 제3 컬러층을 포함하며, 표시 패널은 제3 컬러층의 하부에 제공되는 것인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UV 패턴층 및 상기 커버층은 각각 광 투과율이 0.9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커버층의 최소 두께는 UV 패턴층의 최대 두께보다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커버층의 최대 두께는 제1 컬러층의 최대 두께보다 얇은 것일 수 있다.
로고층은 제2 개구부에 제공된 제1 서브 로고층 및 제1 개구부에 제공되고, 커버층 및 제1 서브 로고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로고층을 포함하고, 제1 서브 로고층 및 제2 서브 로고층은 일체인 것일 수 있다.
제1 서브 로고층의 폭은 제2 서브 로고층의 폭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커버층의 최대 두께는 제1 컬러층의 최대 두께보다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커버층은 제1 개구부에 제공된 제1 서브 커버층 및 제2 개구부에 제공되고, 제1 서브 커버층 및 로고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커버층을 포함하고, 제1 서브 커버층 및 제2 서브 커버층은 일체인 것일 수 있다.
제2 서브 커버층의 폭은 제1 서브 커버층의 폭과 동일한 값은 갖는 것일 수 있다.
제2 서브 커버층의 폭은 제1 서브 커버층의 폭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수지층의 하면 전체는 UV 패턴층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제2 개구부의 폭은 제1 개구부의 폭보다 넓고, 제2 개구부는 제1 컬러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1 컬러층은 서로 이격된 제1 서브 컬러층 및 제2 서브 컬러층을 포함하고, 제2 컬러층은 서로 이격된 제3 서브 컬러층 및 제4 서브 컬러층을 포함하며, 제1 개구부는 UV 패턴층의 하면, 제1 서브 컬러층의 내면 및 제2 서브 컬러층의 내면에 의해 정의되고, 제2 개구부는 제3 서브 컬러층의 내면, 제4 컬러층의 내면, 제2 개구부에 의해 노출되는 제1 컬러층의 일부 및 가상의 면에 의해 정의되고, 가상의 면은 제1 서브 컬러층의 내면의 UV 패턴층과 접하지 않는 일단 및 제2 서브 컬러층의 내면의 UV 패턴층과 접하지 않는 일단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면인 것일 수 있다.
비표시부 및 수지층 상에 제공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UV 패턴층은 렌티큘러 형상을 갖는 패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UV 패턴층 하부에 제공된 반사층을 더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UV 패턴층은 제1 컬러층과 중첩하는 중첩 영역 및 제1 컬러층과 중첩하지 않는 비중첩 영역으로 구분되며, 반사층은 중첩 영역에 위치하는 UV 패턴의 하부에만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된 윈도우 모듈을 포함하고, 윈도우 모듈은 표시부 및 비표시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 기판, 비표시부의 하부에 제공된 수지층, 수지층의 하부에 제공된 UV 패턴층, UV 패턴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서로 이격된 제1 서브 컬러층 및 제2 서브 컬러층을 포함하는 제1 컬러층, UV 패턴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1 서브 컬러층 및 제2 서브 컬러층 사이에 제공된 커버층, 제1 컬러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서로 이격된 제3 서브 컬러층 및 제4 서브 컬러층을 포함하는 제2 컬러층, 커버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3 서브 컬러층 및 제4 서브 컬러층 사이에 제공된 로고층 및 제2 컬러층 및 로고층의 하부에 제공된 제3 컬러층을 포함하며, 표시 패널은 제3 컬러층의 하부에 제공되는 것인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UV 패턴층 및 커버층은 각각 광 투과율이 0.9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커버층의 최소 두께는 UV 패턴층의 최대 두께보다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커버층은 제1 서브 컬러층 및 제2 서브 컬러층 각각과 접하고, 로고층은 제3 서브 컬러층 및 제4 서브 컬러층 각각과 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고부의 심미감이 향상된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윈도우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선에 대응하는 구조 중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윈도우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구조 중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구조 중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의 Ⅲ-Ⅲ'선에 대응하는 구조 중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d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윈도우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윈도우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11의 Ⅳ-Ⅳ'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1의 Ⅳ-Ⅳ'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제3, 제4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라는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부재, 층, 부, 막,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부재, 층, 부, 막,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100) 상에 제공된 윈도우 모듈(200)을 포함한다. 윈도우 모듈(200)은 표시 패널(100)의 출광면(100a) 상에 제공된다. 윈도우 모듈(200)은 표시 패널(100)의 제4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DR4)으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생성한다. 표시 패널(100)은 예를 들어, 유기발광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또는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100) 및 윈도우 모듈(200) 사이에 터치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외부입력의 좌표정보를 산출한다. 외부입력은 스타일러스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입력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입력은 실질적으로 윈도우 모듈(200)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터치패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저항식 터치패널 또는 정전 용량식 터치패널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윈도우 모듈(200)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표시 패널(10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이 표시된다. 표시 영역(DA)은 윈도우 모듈(200)의 중심부에 정의된다.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비표시 영역(NDA)는 표시 영역(DA)에 인접하여 정의된다. 비표시 영역(NDA)은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DA)을 에워싸는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표시 영역(NDA)이 표시 영역(DA)에만 인접하면 어느 하나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면상에서"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를 두께 방향(DR2)로 바라보았을 때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예를 들어, 1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은 표시 패널(100) 이외에 복수의 능동소자(미도시) 및/또는 복수의 수동소자(미도시)가 실장된 회로기판(미도시)을 더 수납한다. 또한, 표시장치의 종류에 따라 배터리와 같은 전원부(미도시)를 더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모니터, TV 등 비교적 대형의 전자기기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윈도우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선에 대응하는 구조 중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DA) 중 적어도 일부는 장식 영역(LR)으로 정의된다. 장식 영역(LR)은 표시 장치(1000)의 로고 등의 장식층(예를 들어, 도 6a의 70)이 제공되는 영역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윈도우 모듈(200)은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을 포함한다.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은 표시부(DR) 및 비표시부(NDR)을 포함한다. 표시부(DR)는 표시 장치(1000)의 표시 영역(DA)에 대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비표시부(NDR)는 표시 장치(1000)의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비표시부(NDR)는 표시부(DR)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비표시부(NDR)는 평면상에서 표시부(DR)를 에워싸는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표시부(DR)와 비표시부(NDR)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DR)는 표시 패널(10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도록 투명한 특성을 갖는다. 비표시부(NDR)에만 후술하는 수지층(30)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은 예를 들어, 강화 유리 및 강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은 가요성을 갖도록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재료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일반적인 것이라면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에 포함되는 윈도우 모듈(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윈도우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구조 중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구조 중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a를 참조하면, 윈도우 모듈(200)은 윈도우 베이스 기판(10), 수지층(30), UV 패턴층(40), 제1 컬러층(50) 및 제2 컬러층(60)을 포함한다. 윈도우 모듈(200)은 장식층(예를 들어, 도 6a의 70) 및 제3 컬러층(예를 들어, 도 6a의 80)도 필수 구성요소로 한다. 수지층(30), UV 패턴층(40), 제1 컬러층(50), 제2 컬러층(60), 장식층(70) 및 제3 컬러층(80)은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비표시부(NDR)의 하부에 제공된다. 수지층(30), UV 패턴층(40), 제1 컬러층(50), 제2 컬러층(60), 장식층(70) 및 제3 컬러층(80)은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비표시부(NDR)의 하면 상에 제공된다. 수지층(30), UV 패턴층(40), 제1 컬러층(50), 제2 컬러층(60), 장식층(70) 및 제3 컬러층(80)은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비표시부(NDR)의 표시 패널(100)과 대향하는 면 상에 제공된다. 장식층(예를 들어, 도 6a의 70) 및 제3 컬러층(예를 들어, 도 6a의 80)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수지층(30)은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비표시부(NDR)의 하부에 제공된다. 수지층(30)은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비표시부(NDR)의 하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수지층(30)은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비표시부(NDR)의 하면 전체에 제공될 수 있다. 수지층(30)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UV 패턴층(40)은 수지층(30)의 하부에 제공된다. UV 패턴층(40)은 수지층(30)의 하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UV 패턴층(40)은 수지층(30)의 하면 전체에 제공될 수 있다. UV 패턴층(40)은 수지층(30)의 하면에 직접 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UV 패턴층(40)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제1 컬러층(50)은 UV 패턴층(40)의 하부에 제공된다. 제1 컬러층(50)은 UV 패턴층(40) 하부의 일부에 제공된다. 제1 컬러층(50)은 UV 패턴층(40)의 하면에 제공된다. 제1 컬러층(50)은 UV 패턴층(40)의 하면과 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컬러층(50)은 UV 패턴층(40)의 하면 중 일부에 제공된다. 제1 컬러층(50)은 제1 개구부(OP1)를 포함한다. 즉, 윈도우 모듈(200)은 제1 개구부(OP1)가 정의되는 제1 컬러층(50)을 포함한다.
도 5c는 도 5의 Ⅲ-Ⅲ'선에 대응하는 구조 중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1 컬러층(50)은 서로 이격된 제1 서브 컬러층(51) 및 제2 서브 컬러층(52)을 포함한다. 제1 개구부(OP1)는 제1 서브 컬러층(51) 및 제2 서브 컬러층(52)의 이격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V 패턴층(40)의 하부 중 일부에 제1 서브 컬러층(51)이 제공되고, UV 패턴층(40)의 하부 중 일부에 제2 서브 컬러층(52)이 제1 서브 컬러층(51)과 이격되어 제공되며, 제1 개구부(OP1)는 UV 패턴층(40)의 하부 중 제1 서브 컬러층(51) 및 제2 서브 컬러층(52)이 제공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UV 패턴층(40)의 하면 중 제1 컬러층(50)이 제공되지 않은 영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개구부(OP1)는 UV 패턴층(40)의 하면(D1), 제1 서브 컬러층(51)의 내면(D2) 및 제2 서브 컬러층(52)의 내면(D4)에 의해 정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서브 컬러층(51)은 내면(D2)과 대향하는 외면(D3)을 포함하고, 제1 서브 컬러층(51)의 외면(D3)은 제1 개구부(OP1)를 정의하는 면이 아니다. 제2 서브 컬러층(52)은 내면(D4)과 대향하는 외면(D5)을 포함하고, 제2 서브 컬러층(52)의 외면(D5)은 제1 개구부(OP1)를 정의하는 면이 아니다.
제2 컬러층(60)은 제1 컬러층(50)의 하부에 제공된다. 제2 컬러층(60)은 제1 컬러층(50)의 하부의 일부에 제공된다. 제2 컬러층(60)은 제1 컬러층(50)의 하면에 제공된다. 제2 컬러층(60)은 제1 컬러층(50)의 하면에 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2 컬러층(60)은 제1 컬러층(50)의 하면 중 일부에 제공된다. 제2 컬러층(60)은 제2 개구부(OP2)를 포함한다. 즉, 윈도우 모듈(200)은 제2 개구부(OP2)가 정의되는 제2 컬러층(60)을 포함한다.
제2 개구부(OP2)는 적어도 일부가 제1 개구부(OP1)와 중첩한다. 제2 개구부(OP2)는 적어도 일부가 제1 개구부(OP1)와 대응한다. 제1 개구부(OP1)는 제2 컬러층(60)에 의해 채워지지 않는다. 제2 컬러층(60)은 서로 이격된 제3 서브 컬러층(61) 및 제4 서브 컬러층(62)을 포함한다.
다시 도 5a를 참조하면, 제2 개구부(OP2)의 폭(W2)은 제1 개구부(OP1)의 폭(W1)보다 넓은 것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개구부(OP2)는 제1 컬러층(5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컬러층(51)의 하면 중 일부에만 제3 서브 컬러층(61)이 제공되고, 제2 서브 컬러층(52)의 하면 중 일부에만 제4 서브 컬러층(62)이 제공되어, 제2 개구부(OP2)의 폭(W2)이 제1 개구부(OP1)의 폭(W1)보다 넓게 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의 폭(W1)은 예를 들어, 제1 서브 컬러층(51) 및 제2 서브 컬러층(52)이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된 거리 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2 개구부(OP2)의 폭(W2)은 예를 들어, 제3 서브 컬러층(61) 및 제4 서브 컬러층(62)이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된 거리 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5c를 참조하면, 제2 개구부(OP2)의 폭(W2)을 제1 개구부(OP1)의 폭(W2)보다 넓은 바, 제2 컬러층(60)에 의해 제1 컬러층(50)의 일부(E1, E2)가 노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서브 컬러층(61)이 제1 서브 컬러층(51)의 하면의 일부에 제공되어, 제1 서브 컬러층(51)의 하면 중 일부(E1)가 노출되고, 제4 서브 컬러층(62)이 제2 서브 컬러층(52)의 하면의 일부에 제공되어, 제2 서브 컬러층(52)의 하면 중 일부(E2)가 노출되게 된다. 이로 인해, 공정상의 공차로 인해 제1 개구부(OP1)가 제2 컬러층(60)에 의해 가려지거나 채워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개구부(OP2)는 제3 서브 컬러층(61) 및 제4 서브 컬러층(62)의 이격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컬러층(50)의 제1 서브 컬러층(51)의 하부에 제2 컬러층(60)의 제3 서브 컬러층(61)이 제공되고, 제1 컬러층(50)의 제2 서브 컬러층(52)의 하부에 제2 컬러층(60)의 제4 서브 컬러층(62)이 제3 서브 컬러층(61)과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개구부(OP2)는 제3 서브 컬러층(61)의 내면, 제4 서브 컬러층(62)의 내면, 제2 개구부(OP2)에 의해 노출되는 제1 컬러층(50)의 일부(E1, E2) 및 가상의 면(E7)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가상의 면(E7)은 제1 서브 컬러층(51)의 내면(D2)의 UV 패턴층(40)과 접하지 않는 일단 및 제2 서브 컬러층(52)의 내면(D4)의 UV 패턴층(40)과 접하지 않는 일단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면을 의미한다. 제3 서브 컬러층(61)은 내면(E3)과 대향하는 외면(E4)을 포함하고, 제3 서브 컬러층(61)의 외면(E4)은 제2 개구부(OP2)를 정의하는 면이 아니다. 제4 서브 컬러층(62)은 내면(E5)과 대향하는 외면(E6)을 포함하고, 제4 서브 컬러층(62)의 외면(E6)은 제2 개구부(OP2)를 정의하는 면이 아니다.
도 5b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구조 중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에서는 제1 서브 컬러층(51) 및 제2 서브 컬러층(52) 각각의 일단이 하나의 패턴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서브 컬러층(51) 및 제2 서브 컬러층(52) 각각의 일단은 UV 패턴층(40)에 포함되는 패턴들 사이(패턴과 패턴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는 평면상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및 도 10을 참조하여 윈도우 모듈(20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d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윈도우 모듈(200)은 장식층(70)을 포함하며, 장식층(70)은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에 제공된다.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는 장식층(70)에 의해 채워진다.
장식층(70)은 커버층(71) 및 로고층(72)을 포함한다. 커버층(71)은 UV 패턴층(40)의 하부에 제공되고, 로고층(72)은 커버층(71)의 하부에 제공된다. 커버층(71) 및 로고층(72)은 서로 접한다. 커버층(7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개구부(OP1)에 제공된다. 로고층(72)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개구부(OP2)에 제공된다.
커버층(71)은 UV 패턴층(40)의 패턴 중 로고층(72)과 평면상에서 중첩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패턴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어 표시 장치 로고의 심미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층(71)은 UV 패턴층(40)의 패턴을 커버하여 가리는 층일 수 있다. 커버층(71)이 UV 패턴층(40)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UV 패턴층(40) 및 커버층(71)의 색상이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UV 패턴층(40) 및 커버층(71)의 광 투과율 차이가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UV 패턴층(40) 및 커버층(71)은 각각 광 투과율이 약 0.9 이상인 것일 수 있다. UV 패턴층(40) 및 커버층(71)은 각각 광 투과율이 실질적으로 1.0인 것일 수 있다. UV 패턴층(40) 및 커버층(71)은 각각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커버층(71)에 포함되는 재료는 UV 패턴층(40)에 대하여 점착력을 가지고, UV 패턴층(40)과 유사한 광 투과율을 갖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층(71)은 열 경화성 또는 UV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층(71)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고층(72)은 커버층(71)의 하부에 제공된다. 로고층(72)은 로고용 잉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고용 잉크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일반적인 것이라면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다. 로고층(72)은 예를 들어, Al 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 모듈(200)은 제2 컬러층(60)의 하부 및 로고층(72)의 하부에 제공된 제3 컬러층(80)을 포함한다. 제3 컬러층(80)은 로고층(72)이 외부로 노출되어 산화 등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제3 컬러층(80)의 하부에 표시 패널(100)이 제공된다.
커버층(71)이 UV 패턴층(40)이 시인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커버층(71)에 의해 UV 패턴층(40)이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커버층(71)의 두께는 UV 패턴층(40)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를 참조하면, 커버층(71)의 최소 두께(t2)는 UV 패턴층(40)의 최대 두께(t1)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층(71)은 UV 패턴층(40)의 하부에 제공되는 층으로, 패턴에 의해 커버층(71)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즉, 커버층(71)은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층이다. 커버층(71)의 최소 두께(t2)란 커버층(71)의 두께 방향(DR2) 직선 거리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UV 패턴층(40)의 최대 두께(t1)란 UV 패턴층(40)의 두께 방향(DR2) 직선 거리 값 중 가장 큰 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커버층(71)의 최대 두께(t3)는 제1 컬러층(50)의 최대 두께(t4)보다 얇은 것일 수 있다. 제1 컬러층(50)은 UV 패턴층(40)의 하부에 제공되는 층으로, 패턴에 의해 제1 컬러층(50)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즉, 제1 컬러층(50)은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층이다. 커버층(71)의 최대 두께(t3)는 커버층(71)의 두께 방향(DR2) 직선 거리 값 중 가장 큰 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1 컬러층(50)의 최대 두께(t4)는 제1 컬러층(50)의 두께 방향(DR2) 직선 거리 값 중 가장 큰 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로고층(72)은 제2 개구부에 제공된 제1 서브 로고층(72a), 및 커버층(71) 및 제1 서브 로고층(72a) 사이에 제공된 제2 서브 로고층(72b)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제1 서브 로고층(72a) 및 제2 서브 로고층(72b)는 일체인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브 로고층(72a)의 폭(W3)은 제2 서브 로고층(72b)의 폭(W4)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제1 서브 로고층(72a)의 폭(W3)은 제1 개구부(도 5a의 OP1)의 폭(도 5a의 W1)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서브 로고층(72a)의 폭(W3)은 제1 서브 로고층(72a)의 제1 방향(DR1) 직선 거리 중 가장 큰 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서브 로고층(72b)의 폭(W4)은 제2 개구부(도 5a의 OP2)의 폭(도 5a의 W2)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서브 로고층(72b)의 폭(W4)은 제2 서브 로고층(72b)의 제1 방향(DR1) 직선 거리 중 가장 큰 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커버층(71)의 최대 두께(t3)는 제1 컬러층(50)의 최대 두께(t4)보다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커버층(71)의 최대 두께(t3) 및 제1 컬러층(50)의 최대 두께(t4)의 정의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 때, 커버층(71)은 제1 개구부(OP1)에 제공된 제1 서브 커버층(71a), 및 제1 서브 커버층(71a) 및 로고층(72)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커버층(71b)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제1 서브 커버층(71a) 및 제2 서브 커버층(71b)는 일체인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서브 커버층(71b)의 폭(W6)은 제1 서브 커버층(71a)의 폭(W5)과 동일한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및 도 6c를 참조하면, 커버층(71)이 일체인 제1 서브 커버층(71a) 및 제2 서브 커버층(71b)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서브 커버층(71b)의 폭(W6)은 제1 서브 커버층(71a)의 폭(W5)보다 큰 것일 수도 있다. 제2 서브 커버층(71b)의 폭(W6)은 제2 개구부(OP2)의 폭(W2)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서브 커버층(71b)의 일부는 제1 컬러층(50)의 하부에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6d를 참조하면, 커버층(71)의 최대 두께(t3)는 제1 컬러층(50)의 최대 두께(t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커버층(71)이 제1 개구부(OP1) 전체에 대응하도록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로고층(72)은 제2 개구부(OP2) 전체에 대응하도록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UV 패턴층(40)은 수지층(30) 하면(30a) 전체에 제공된다. 즉, 수지층(30)의 하면(30a)은 UV 패턴층(4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수지층(30)은 필름 형태를 갖는 필름층일 수 있다. 수지층(30)은 UV 패턴층(40), 제1 컬러층(50), 제2 컬러층(60), 장식층(70) 및 제3 컬러층(80)이 제공되는 베이스 필름층 역할을 수행한다. 수지층(30)은 예를 들어, PET, PVC, PP, PE, PC 및 PMMA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수지층(30)은 예를 들어, PET 필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윈도우 모듈(200)은 점착층(20)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점착층(20)은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점착층(20)은 윈도우 베이스 기판(10) 및 수지층(3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층(20)은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비표시부(NDR)의 하부에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점착층(20)은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비표시부(NDR) 및 수지층(30) 사이에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점착층(20)은 예를 들어,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점착층(20)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일반적인 점착 재료를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다.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비표시부(NDR) 및 수지층(30)은 점착층(20)을 점착 매개물로 하여 서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30)의 하부에 UV 패턴층(40), 제1 컬러층(50), 제2 컬러층(60), 장식층(70) 및 제3 컬러층(80)을 제공한 후, 수지층(30)의 상부에 점착층(20)을 제공하여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하면과 점착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하면에 점착층(20)을 먼저 제공한 후, 수지층(30)을 제공하여 윈도우 베이스 기판(10)과 수지층(3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UV 패턴층(40)은 UV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UV 패턴층(40)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금형을 이용해 수지층(30)의 하부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7에도시한 바와 같이 UV 패턴층(40)은 렌티큘러 형상을 갖는 패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UV 패턴층(40)에 포함되는 패턴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a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UV 패턴층(40)은 프리즘 형상을 갖는 패턴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고, 하부에 물결 무늬와 같은 패턴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UV 패턴층(40)에 포함되는 패턴을 데코레이션 패턴, 미세 헤어-라인(hair-line)으로 형성된 입체 패턴 및 몰딩 패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패턴들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9는 도 4의 Ⅱ-Ⅱ'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윈도우 모듈(200)은 UV 패턴층(40)의 하부에 제공된 반사층(90)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반사층(90)은 UV 패턴층(40)의 하부에 제공되어 UV 패턴층(40)에 컬러 및 금속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반사층(90)은 금속 등과 같은 반사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은, 금 등과 같은 반사율을 갖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반사층(90)은 UV 패턴층(40)의 하부에 직접 접하도록 금속을 증착 또는 코팅하는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사 잉크를 UV 패턴층(40)의 하부에 인쇄하는 방법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반사층(90)은 예를 들어, 1층 이상의 고반사 물질층 및 1층 이상의 저반사 물질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반사 물질층은 예를 들어, 티타늄 옥사이드(TiO2)를 포함할 수 있다. 저반사 물질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 옥사이드(SiO2-)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90)은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음은 물혼이다. 또한, 반사층(90)은 필요에 따라, 1층의 고반사 물질층으로만 이루어지거나, 1층의 저반사 물질층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UV 패턴층(40)은 평면상에서 제1 컬러층(50)과 중첩하는 중첩 영역(OA) 및 제1 컬러층(50)과 중첩하지 않는 비중첩 영역(NOA)로 구분될 수 있으며, 반사층(90)은 중첩 영역(OA)에 위치하는 UV 패턴층(40)에 존재하는 UV 패턴의 하부에만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반사층(90)이 중첩 영역(OA)에 위치하는 UV 패턴층(40)에 존재하는 UV 패턴의 하부에도 제공될 경우, UV 패턴층(40)의 광 투과율이 감소하여, 커버층(71)에 의해 UV 패턴층(40)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비하게 된다.
제1 컬러층(50), 제2 컬러층(60) 및 제3 컬러층(80)은 실질적으로 블랙 컬러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제1 컬러층(50), 제2 컬러층(60) 및 제3 컬러층(80)은 표시 패널(100)의 전극배선(미도시)을 가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컬러층(50), 제2 컬러층(60) 및 제3 컬러층(80)은 통상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로 불리는 인쇄층일 수 있다. 제2 컬러층(60) 및 제3 컬러층(80)은 일체인 것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필요에 따라 제3 컬러층(80)의 하부에 추가의 컬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컬러층(80)의 하면에 접하게 제4 컬러층(90)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컬러층(80)의 하면에 제4 컬러층 및 제5 컬러층이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윈도우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UV 패턴층(65)의 패턴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어 표시 장치로고 심미감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로고층(75)이 제공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수지층(35)의 영역에는 UV 패턴이 제공되지 않은 구조를 이용하였다. 즉, 종래에는 수지층(35)의 하면 중 로고층(75)이 제공되는 영역에는 UV 패턴이 제공되지 않았다. 그러나, UV 패턴층(45)의 하부에 개구부를 갖는 제1 컬러층(55)를 제공할 때, 개구부를 UV 패턴이 제공되는 영역과 정확하게 매칭(matching) 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수지층(35)의 하부에 UV 패턴이 제공되지 않는 영역에 로고층(75)이 아닌 제1 컬러층(55)이 제공되는 오프셋 부분(OS1, OS2)이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오프셋 부분(OS1, OS2)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어 표시 장치 로고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잔존하였다.
한편,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수지층(30)의 하면(30a) 전체에 UV 패턴층(40)이 제공되는 바, 공정상 오프셋 부분(OS1, OS2)이 발생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로고층(72)이 제공되는 부분에 존재하는 UV 패턴의 하부 및 로고층(72) 사이에 커버층(71)을 제거하여, 로고층(72)이 제공되는 부분에 존재하는 UV 패턴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 로고의 심미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윈도우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11의 Ⅳ-Ⅳ'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1의 Ⅳ-Ⅳ'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비표시부(NDR) 중 장식 영역(LR)를 제외한 영역에는 장식층(도 6a의 70)이 제공되지 않는다. 즉, 제1 컬러층(도 6a의 50)의 제1 개구부(도 5a의 OP1) 및 제2 컬러층(도 6a의 60)의 제2 개구부(도 5a의 OP2)는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비표시부(NDR) 중 장식 영역(LR)에 위치한다.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비표시부(NDR) 중 장식 영역(LR)을 제외한 영역에는 윈도우 베이스 기판(10)의 하부에 수지층(30), UV 패턴층(40), 제1 컬러층(50), 제2 컬러층(60) 및 제3 컬러층(80)이 순차적으로 제공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층(30)은 점착층(20)을 점착 매개물로 하여 윈도우 베이스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윈도우 모듈(200)에 포함되는 제3 컬러층(80)의 하부에 제공된다. 도 13에서는 제3 컬러층(80) 및 표시 패널(100)이 서로 접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컬러층(80) 및 표시 패널(100)이 점착층을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제3 컬러층(80) 및 표시 패널(100) 사이에 제4 컬러층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관한 설명에 따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된 윈도우 모듈(200)을 포함하고, 윈도우 모듈(200)은 표시부(DR) 및 비표시부(NDR)를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 기판(10), 비표시부(NDR)의 하부에 제공된 수지층(30), 수지층(30)의 하부에 제공된 UV 패턴층(40), UV 패턴층(40)의 하부에 제공되고, 서로 이격된 제1 서브 컬러층(51) 및 제2 서브 컬러층(52)을 포함하는 제1 컬러층(50), UV 패턴층(4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1 서브 컬러층(51) 및 제2 서브 컬러층(52) 사이에 제공된 커버층(71), 제1 컬러층(50)의 하부에 제공되고, 서로 이격된 제3 서브 컬러층(61) 및 제4 서브 컬러층(62)을 포함하는 제2 컬러층(60), 커버층(71)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3 서브 컬러층(61) 및 제4 서브 컬러층(62) 사이에 제공된 로고층(72), 및 제2 컬러층(60) 및 로고층(72)의 하부에 제공된 제3 컬러층(80)을 포함하며, 표시 패널(100)은 제3 컬러층(80)의 하부에 제공되는 것인 표시 장치(1000)를 제공한다.
커버층(71)은 제1 서브 컬러층(51) 및 제2 서브 컬러층(52) 각각과 접하는 것일 수 있다. 로고층(72)은 제3 서브 컬러층(61) 및 제4 서브 컬러층(62) 각각과 접하는 것일 수 있다. 커버층(71)의 일부는 제3 서브 컬러층(61) 및 제4 서브 컬러층(62) 각각과도 접하는 것일 수 있다. 로고층(72)의 일부는 제1 서브 컬러층(51) 및 제2 서브 컬러층(52) 각각과 접하는 것일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층(71)의 최소 두께(t2)는 UV 패턴층(40)의 최대 두께(t1)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를 들자면, UV 패턴층(40) 및 커버층(71) 각각의 광 투과율은 0.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약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각 구성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설명에 따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 로고의 심미감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표시 패널 200: 윈도우 모듈
DA: 표시 영역 10: 윈도우 베이스 기판
20: 점착층 30: 수지층
40: UV 패턴층 50: 제1 컬러층
60: 제2 컬러층 70: 장식층
71: 커버층 72: 로고층
80: 제3 컬러층 OP1: 제1 개구부
OP2: 제2 개구부

Claims (20)

  1.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된 윈도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모듈은
    표시부 및 비표시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 기판;
    상기 비표시부 하부에 제공된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하부에 제공된 UV(Ultra Violet) 패턴층;
    상기 UV 패턴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1 개구부가 정의되는 제1 컬러층;
    상기 제1 컬러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하는 제2 개구부가 정의되는 제2 컬러층;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제공되고, 상기 UV 패턴층의 하부에 제공된 커버층 및 상기 커버층의 하부에 제공된 로고층을 포함하는 장식층; 및
    상기 제2 컬러층의 하부 및 상기 장식층의 하부에 제공된 제3 컬러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3 컬러층의 하부에 제공되는 것인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패턴층 및 상기 커버층은 각각 광 투과율이 0.9 이상인 것인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의 최소 두께는
    상기 UV 패턴층의 최대 두께보다 두꺼운 것인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의 최대 두께는
    상기 제1 컬러층의 최대 두께보다 얇은 것인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층은
    상기 제2 개구부에 제공된 제1 서브 로고층; 및
    상기 제1 개구부에 제공되고, 상기 커버층 및 상기 제1 서브 로고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로고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로고층 및 상기 제2 서브 로고층은 일체인 것인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로고층의 폭은
    상기 제2 서브 로고층의 폭보다 큰 것인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의 최대 두께는
    상기 제1 컬러층의 최대 두께보다 두꺼운 것인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상기 제1 개구부에 제공된 제1 서브 커버층;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서브 커버층 및 상기 로고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커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커버층 및 상기 제2 서브 커버층은 일체인 것인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커버층의 폭은
    상기 제1 서브 커버층의 폭과 동일한 값은 갖는 것인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커버층의 폭은
    상기 제1 서브 커버층의 폭보다 큰 것인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하면 전체는
    상기 UV 패턴층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인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1 개구부의 폭보다 넓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컬러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것인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층은
    서로 이격된 제1 서브 컬러층 및 제2 서브 컬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컬러층은
    서로 이격된 제3 서브 컬러층 및 제4 서브 컬러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UV 패턴층의 하면, 상기 제1 서브 컬러층의 내면 및 상기 제2 서브 컬러층의 내면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3 서브 컬러층의 내면, 상기 제4 컬러층의 내면, 상기 제2 개구부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1 컬러층의 일부 및 가상의 면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가상의 면은 상기 제1 서브 컬러층의 내면의 상기 UV 패턴층과 접하지 않는 일단 및 상기 제2 서브 컬러층의 내면의 상기 UV 패턴층과 접하지 않는 일단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면인 것인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부 및 상기 수지층 상에 제공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패턴층은
    렌티큘러 형상을 갖는 패턴을 포함하는 것인 표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패턴층 하부에 제공된 반사층을 더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UV 패턴층은
    상기 제1 컬러층과 중첩하는 중첩 영역; 및
    상기 제1 컬러층과 중첩하지 않는 비중첩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중첩 영역에 위치하는 UV 패턴의 하부에만 제공되는 것인 표시 장치.
  17.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된 윈도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모듈은
    표시부 및 비표시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베이스 기판;
    상기 비표시부의 하부에 제공된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하부에 제공된 UV 패턴층;
    상기 UV 패턴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서로 이격된 제1 서브 컬러층 및 제2 서브 컬러층을 포함하는 제1 컬러층;
    상기 UV 패턴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서브 컬러층 및 상기 제2 서브 컬러층 사이에 제공된 커버층;
    상기 제1 컬러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서로 이격된 제3 서브 컬러층 및 제4 서브 컬러층을 포함하는 제2 컬러층;
    상기 커버층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3 서브 컬러층 및 상기 제4 서브 컬러층 사이에 제공된 로고층; 및
    상기 제2 컬러층 및 상기 로고층의 하부에 제공된 제3 컬러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3 컬러층의 하부에 제공되는 것인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UV 패턴층 및 상기 커버층은 각각 광 투과율이 0.9 이상인 것인 표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의 최소 두께는
    상기 UV 패턴층의 최대 두께보다 두꺼운 것인 표시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상기 제1 서브 컬러층 및 상기 제2 서브 컬러층 각각과 접하고,
    상기 로고층은
    상기 제3 서브 컬러층 및 상기 제4 서브 컬러층 각각과 접하는 것인 표시 장치.
KR1020150162738A 2015-11-19 2015-11-19 표시 장치 KR102435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738A KR102435439B1 (ko) 2015-11-19 2015-11-19 표시 장치
US15/236,134 US10254451B2 (en) 2015-11-19 2016-08-1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738A KR102435439B1 (ko) 2015-11-19 2015-11-19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065A true KR20170059065A (ko) 2017-05-30
KR102435439B1 KR102435439B1 (ko) 2022-08-25

Family

ID=5871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738A KR102435439B1 (ko) 2015-11-19 2015-11-1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54451B2 (ko)
KR (1) KR102435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35793B (zh) * 2017-03-27 2018-09-1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背蓋
US10292286B2 (en) 2017-07-31 2019-05-14 Apple Inc. Patterned glass layers in electronic devices
CN109067939A (zh) * 2018-06-28 2018-12-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壳体及其制作方法、电子设备
KR20200042056A (ko) * 2018-10-12 2020-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6063B1 (ko) * 2019-03-12 2023-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CN110456542B (zh) * 2019-06-11 2020-12-29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333622B (zh) * 2019-06-11 2021-01-08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10022790A (ko) * 2019-08-20 2021-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37092A (ko) * 2019-09-27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1093A (ko) * 2012-12-03 2014-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501427B1 (ko) * 2014-11-20 2015-03-12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모바일기기의 커버 윈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42092A (ko) * 2013-10-10 2015-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8290A (ja) 2011-03-29 2012-10-25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プレート
KR101336935B1 (ko) 2013-03-05 2013-12-03 크루셜텍 (주)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77727B1 (ko) 2013-03-08 2013-06-24 (주)미래씨엔피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9432492B2 (en) 2013-03-11 2016-08-30 Apple Inc. Drop countermeasures for electronic device
KR101511524B1 (ko) 2013-08-19 2015-04-13 이원영 로고 라벨 제조 방법
KR101425364B1 (ko) * 2013-12-26 2014-08-05 크루셜텍 (주)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2185B1 (ko) 2014-08-19 2015-04-16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패널
KR102224083B1 (ko) * 2014-09-12 2021-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45081B1 (ko) * 2014-11-28 2018-04-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86713B1 (ko) * 2014-12-08 201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자점-고분자 복합체의 제조 방법, 양자점-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광 변환 필름,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1093A (ko) * 2012-12-03 2014-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150042092A (ko) * 2013-10-10 2015-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501427B1 (ko) * 2014-11-20 2015-03-12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모바일기기의 커버 윈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46710A1 (en) 2017-05-25
US10254451B2 (en) 2019-04-09
KR102435439B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439B1 (ko) 표시 장치
KR102397641B1 (ko) 표시 장치
US9983455B2 (en) Electronic device stack assembly
EP3176671B1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terminal
KR101639107B1 (ko) 디스플레이 백라이트용 통합 반사기를 갖춘 도광판
US20150371076A1 (en) Touch panel with function of fingerprint identification
US20160170250A1 (en) Electronic device stack assembly
KR20150039292A (ko) 모바일 기기용 화면 보호판
KR102388104B1 (ko) 표시 장치 및 커버 부재 제조방법
JP6895524B2 (ja) ディスプレイ画面組立品、ディスプレイ画面組立品の組立て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102419181B1 (ko) 표시장치 및 윈도우 부재 제조방법
KR20150087886A (ko) 표시장치
CN106847091A (zh) 显示屏组件及其制造方法与电子装置
CN106843574A (zh) 显示屏组件及其制造方法与电子装置
CN106406443A (zh) 智能终端的盖板、具有触控功能的盖板及触控显示屏
KR20150042092A (ko) 윈도우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JP2014095992A (ja) 電子機器
KR20170059543A (ko) 윈도우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81828B1 (ko) 표시 장치용 보호창 및 이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
KR20150103783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90227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KR20180128114A (ko) 표시 장치
CN109471547B (zh) 一种触控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2012098973A (ja) ガラス複合体及びそのガラス複合体を用いた入力装置
JP2004318258A (ja) 光学式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