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543A - 윈도우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543A
KR20170059543A KR1020150163498A KR20150163498A KR20170059543A KR 20170059543 A KR20170059543 A KR 20170059543A KR 1020150163498 A KR1020150163498 A KR 1020150163498A KR 20150163498 A KR20150163498 A KR 20150163498A KR 20170059543 A KR20170059543 A KR 20170059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decor
disposed
area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만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3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9543A/ko
Priority to US15/237,472 priority patent/US9857506B2/en
Publication of KR20170059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01L51/5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윈도우 부재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며, 투과영역과 차광영역으로 구분된다. 제1 부재는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1 데코부재를 포함한다. 제2 부재는 제2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투과영역과 상기 차광영역의 경계선을 제공하는 제2 데코부재를 포함한다. 제2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2 데코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차광영역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1 영역, 상기 투과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차광영역의 나버지 일부에 대응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데코부재는 상기 제3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Description

윈도우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WINDOW MEMBER, AND DI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윈도우 부재, 상기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들은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갖는 영상을 제공한다. 표시장치들은 정면상에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표시영역)과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비표시영역)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은 사용자에게 특정한 색을 갖는 테두리로 인지된다.
표시장치의 테두리는 강화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의 일면에 직접 잉크층을 인쇄(이하, 인쇄 방식)하거나, 강화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의 일면에 인쇄층이 배치된 필름을 부착(이하, 합지 방식)하여 형성된다.
인쇄 방식의 경우에는 합지방식에 비해, 강화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 각각의 표면 특성상 테두리가 다양한 색상을 갖기 어렵다. 합지 방식의 경우, 인쇄 방식에 비해 필름을 커팅하는 공정 및 필름을 부착하는 공정이 추가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조공정 오차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차(公差, narrow tolerance for error)를 줄 일 수 있는 윈도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윈도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영상을 투과키시는 투과영역 및 상기 투과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영상을 차단하는 차광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부재는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1 데코부재를 포함한다.
제2 부재는 제2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투과영역과 상기 차광영역의 경계선을 제공하는 제2 데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데코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차광영역의 일부에 대응한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투과영역에 대응한다.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차광영역의 나머지 일부에 대응한다.
상기 제1 데코부재는 상기 제3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는 플라스틱 필름이다.
상기 제1 데코부재는 광학패턴층, 증착층, 및 잉크층을 포함한다. 상기 광학패턴층은 렌티큘러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된다. 상기 증착층은 무기산화물 또는 금속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패턴층 상에 배치된다. 상기 잉크층은 상기 증착층 상에 배치된다.
상기 무기산화물은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TiO2) 또는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인듐(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층의 컬러는 블랙 또는 화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강화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일 수 있다.
상기 제2 데코부재는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코부재의 너비는 0.1mm 이상 0.6mm 이하이고, 상기 제2 데코부재의 두께는 1μm 이상 6μm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에 배치된 터치 감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윈도우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터치 감지부재를 수용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조방법은 윈도우 부재 제조 단계 및 표시패널 결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 제조 단계는 투과영역 및 상기 투과영역에 인접하는 차광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표시패널 결합단계는 표시패널이 상기 윈도우 부재와 결합되는 단계이다.
상기 윈도우 부재 제조 단계는 제1 부재 제조 단계, 제2 부재 제조 단계, 및 제1 부재 및 제2 부재 부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 제조 단계에서는, 제1 데코부재가 플라스틱 필름인 제1 베이스 부재 중 상기 차광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 부재 제조 단계에서는, 제2 데코부재가, 상기 투과영역과 상기 차광영역의 경계선을 제공하도록, 강화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인 제2 베이스 부재 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부착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데코부재와 상기 제2 데코부재가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결합된다.
상기 제1 부재 제조 단계는 광학패턴층 제조 단계, 증착층 증착 단계, 및 잉크층 인쇄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패턴층 제조 단계에서는, 티큘러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패턴층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된다. 상기 증착층 증착 단계에서는, 무기산화물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증착층이 상기 광학패턴층 상에 배치된다. 상기 잉크층 인쇄 단계에서는 잉크층이 상기 증착층 상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패널 결합단계는, 상기 제2 데코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제안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는 투과영역과 차광영역의 경계선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차(公差, narrow tolerance for error)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제안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차(公差, narrow tolerance for error)를 줄이고, 상기 윈도우 부재에 표시패널을 정확하게 얼라인(align)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을 I-I'을 따라 절단한 제1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2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II'을 따라 절단한 제2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제1 부재와 도 8의 제2 부재가 접착부재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와 표시패널을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윈도우 부재 제조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부재 제조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표시패널 결합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성요소들 각각의 사이즈(길이, 너비, 두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휴대폰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텔레비전,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게임기 등 다양한 정보 제공장치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정면 상에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표시장치(DD)의 정면은 영상(IM)이 표시되는 면으로, 직교하는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영상(IM)이 표시되는 투과영역(AR, 또는 표시영역), 투과영역(AR)에 인접한 차광영역(NAR, 또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한다. 도 1은 영상(IM)의 일 예로 인터넷 검색창을 도시하였다. 차광영역(NAR)은 정면 상에서 데코무늬를 제공한다. 데코무늬는 단색으로 이루어진 무늬 또는 복수의 컬러가 혼합된 무늬일 수 있다.
일 예로써, 투과영역(AR)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차광영역(NAR)은 투과영역(AR)을 에워싼다. 다시 말해, 차광영역(NAR)은 정면의 테두리를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차광영역(NAR)의 형상은 변형될 수 있다. 차광영역(NAR)은 테두리를 이루지 않을 수 있고, 도 1에서 제1 방향(DR1)에서 마주하는 차광영역(NAR)의 일부분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윈도우 부재(WM), 표시패널(DP), 전원부(PSM), 회로부(CM), 및 보호부재(PM)를 포함한다. 윈도우 부재(WM) 및 표시패널(DP)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수직한 제3 방향(DR3)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2에서 접착부재는 미도시되었다. 예컨대, 윈도우 부재(WM)와 표시패널(DP) 사이에는 광 투명 접착부재(OCA, Optical Clear Adhesive)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제1 부재(SB1)와 제2 부재(SB2)를 포함한다. 제1 부재(SB1)는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윗면(SF1-U, 이하 제1 윗면)과 아랫면(SF1-D, 이하 제1 아랫면)을 포함한다. 제2 부재(SB2)는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윗면(SF2-U, 이하 제2 윗면)과 아랫면(SF2-D, 이하 제2 아랫면)을 포함한다. 윈도우 부재(WM)는 표시패널(DP)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IM)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부분을 포함하며, 이 부분은 투과영역(AR)에 대응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패널(DP)과 윈도우 부재(WM) 사이에 터치 감지 부재(TS, 또는 터치 스크린)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재(TS)는 외부입력의 좌표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외부입력은 스타일러스펜,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입력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외부입력은 윈도우 부재(WM) 상에서 발생한다. 터치 감지부재(TS)는 저항식 터치패널 또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또는 전자기 유도방식 터치패널 등이 채용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재(TS)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절연층, 및 복수 개의 도전층을 포함한다. 별도의 공정에서 제조된 터치 감지부재(TS)와 표시패널(DP)은 광투명 접착층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감지부재(TS)는 표시패널(DP)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도전층 중 어느 하나는 표시패널(DP)의 일면(도 2에서 표시패널(DP)의 상면)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감지부재(TS)는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패널(DP)은 영상(IM)을 생성한다. 표시패널(DP)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유기발광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보호부재(PM)는 표시패널(DP), 터치 감지부재(TS), 전원부(PSM), 및 회로부(CM)를 수납한다. 보호부재(PM)는 윈도우 부재(WM)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한개의 부재로 구성된 보호부재(PM)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보호부재(PM)는 서로 결합되는 2개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PSM)는 표시장치(DD)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부(PSM)는 표시패널(DP) 및 터치 감지부재(TS)에 구동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회로부(CM)는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에 연결된 전자모듈들을 포함한다. 회로기판은 복수 개의 절연층들 및 복수 개의 배선층들을 포함한다. 전자모듈들 중 일부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다른 일부는 플렉서블 회로기판에 의해 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모듈들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모듈들은 제어 모듈(10), 무선통신 모듈(20), 영상입력 모듈(30), 음향입력 모듈(40), 음향출력 모듈(50), 메모리(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0)은 표시장치(DD)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0)은 표시패널(DP) 및 터치 감지부재(TS)를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킨다. 제어 모듈(10)은 터치 감지부재(TS)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표시패널(DP), 영상입력 모듈(30), 음향입력 모듈(40), 음향출력 모듈(5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일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0)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2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24)를 포함한다.
영상입력 모듈(30)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패널(DP)에 입력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입력 모듈(40)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출력 모듈(50)은 무선통신 모듈(20)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6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부재(SB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을 Ⅰ-Ⅰ'을 따라 절단한 제1 부재(SB1)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부재(SB1)는 제1 베이스 부재(BS1)와 제1 데코부재(DC1)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 부재(BS1)는 합성수지를 원료로 만든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부재(BS1)는 염화비닐리덴수지(PVDC, 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나일론(nylon),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BS1)의 두께는 약 25μm 내지 100μm 일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BS1)의 두께가 약 25μm보다 작을 경우, 너무 얇아서 제1 부재(SB1)를 다른 구성요소에 합지(lamination) 과정에서 다루기 어려울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BS1)의 두깨가 약 100μm보다 클 경우, 너무 두꺼워서 제1 베이스 부재(BS1)의 투명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BS1)는 인플레이션(inflation)법, T 다이(T-die)법, 또는 캐스트(cast)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1 데코부재(DC1)는 제1 아랫면(SF1-D) 중 차광영역(NAR)에 대응하는 부분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제1 데코부재(DC1)는 차광영역(NAR) 중에서, 제1 아랫면(SF1-D)의 끝단 부분에 배치된다.
제1 데코부재(DC1)의 너비(WD1, 이하 제1 너비)는 약 2mm 내지 4mm 일 수 있다. 제1 너비(WD1)는 차광영역(NAR)의 너비보다 작다. 제1 데코부재(DC1)의 두께(TH1, 이하 제1 두께)는 약 1μm 내지 15μm 일 수 있다. 제1 두께(TH1)가 약 1μm보다 작을 경우, 너무 얇아서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제1 두께(TH1)가 약 15μm보다 클 경우, 제1 데코부재(DC1)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양이 많아져서, 제조공정에서 이를 컨드롤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1 두께(TH1)는 제1 데코부재(DC1)의 색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데코부재(DC1)는 광학패턴층(VTC), 증착층(VC), 및 잉크층(PC)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패턴층(VTC)은 제1 베이스 부재(BS1)의 제1 아랫면(SF1-D)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증착층(VC)은 광학패턴층(VTC)의 일면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잉크층(PC)은 증착층(VC)의 일면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패턴층(VTC)은 렌티큘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렌티큘러 패턴의 단면은 삼각형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상일 수 있다. 단, 렌티큘러 패턴의 단면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의 일부 또는 타원의 일부와 같이, 곡선모양으로 볼록한 패턴일 수 있다.
광학패턴층(VTC)은 UV몰딩 기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UV몰딩 기법에 대해 설명하면, 일단 제1 베이스 부재(BS1)의 일면에 패턴 형성용 부재를 밀착하여 배치한다. 패턴 형성용 부재는 오목한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부재 및 상기 오목한 패턴에 대응하게 배치된 렌티큘러 형성용 재료를 포함한다. 밀착하여 배치된 제1 베이스 부재(BS1)와 패턴 형성용 부재에 자외선을 방사하여, 렌티큘러 형성용 재료를 경화 시킨 후, 패턴 부재를 제거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렌티큘러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패턴층(VTC)을 형성할 수 있다.
증착층(VC)은 산화무기물 및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증착층(VC) 산화무기물 및 금속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증발시켜 생성된 증기를 광학패턴층(VTC)에 부착하여 형성된다. 산화무기물은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TiO2) 또는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은 인듐(In)을 포함할 수 있다.
증착층(VC)의 두께(TH-VC, 이하 증착층 두께)에 따라, 제1 데코부재(DC1)의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어, 증착층 두께(TH-VC)가 증가할수록, 제1 데코부재(DC1)의 명도가 작아질 수 있다.
잉크층(PC)은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안료는 물질에 색을 발현시키는 색소로서, 물이나 기름 등에 녹지 않는 미세한 분말의 고체이다. 안료는 무기안료와 유기안료로 구분된다. 무기안료는 열이나 햇볕에 안정적이고 색이 변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유기안료는 색이 선명하고 종류가 다양하다. 염료는 물에 녹는 색소로서 섬유나 종이에 스며들어 섬유 등의 분자와 결합하여 착색하는 유색물질이다. 잉크층(PC)의 컬러는 블랙 또는 화이트일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2 부재(SB2)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II'을 따라 절단한 제2 부재(SB2)의 단면도이다.
제2 부재(SB2)는 제2 베이스 부재(BS2) 및 제2 데코부재(DC2)를 포함한다.
제2 데코부재(DC2)는 제2 아랫면(SF2-D) 중 차광영역(NAR)에 대응하는 부분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제2 데코부재(DC2)는 투과영역(AR)과 차광영역(NAR)의 경계선(BDL)을 제공한다. 즉, 제2 데코부재(DC2)에 의해 투과영역(AR)과 차광영역(NAR)이 구분된다.
제2 데코부재(DC2)의 너비(WD2, 이하 제2 너비)는 약 0.1mm 내지 0.6mm 일 수 있다. 제2 너비(WD2)가 약 0.1mm보다 작은 경우, 윈도우 부재(WM) 제조공정상 발생하는 공차(公差, narrow tolerance for error)를 줄이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못할 수 있다. 제2 너비(WD2)가 약 0.6mm보다 큰 경우, 제2 데코부재(DC2)가 표시장치(DD)의 사용자에게 너무 많이 시인되어, 심미적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제2 데코부재(DC2)의 두께(TH2, 이하 제2 두께)는 약 1μm 내지 6μm일 수 있다. 제2 두께(TH2)가 약 1μm 보다 작은 경우, 너무 얇아서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제2 두께(TH2)가 약 6μm보다 클 경우, 제1 데코부재(DC1)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양이 많아져서, 제조공정에서 이를 컨드롤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BS2)는 투명한 부재로,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베이스 부재(BS2)는 강화 유리 기판, 또는 강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베이스 부재(BS2)는 플렉서블한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BS2)는 여러 개의 층이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베이스 부재(BS2)는 제1 영역(P1), 제2 영역(P2), 및 제3 영역(P3)을 포함한다. 제1 영역(P1)은 제2 데코부재(DC2)가 배치되며 차광영역(NAR)의 일부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제2 영역(P2)은 제1 영역(P1)에 인접하며, 투과영역(AR)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제3 영역(P3)은 제1 영역(P1)에 인접하며, 차광영역(NAR) 중 제1 영역(P1)과 대응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즉, 제3 방향(DR3) 상에서, 제2 베이스 부재(BS2)의 제1 영역(P1)과 제3 영역(P3)은 차광영역(NAR)에 중첩하고, 제2 베이스 부재(BS2)의 제2 영역(P2)은 투과영역(AR)에 중첩한다.
도 9는 도 5의 제1 부재(SB1)와 도 8의 제2 부재(SB2)가 접착부재(AD)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접착부재(AD)는 제1 부재(SB1)와 제2 부재(SB2)를 결합시킨다. 접착부재(AD)는 광학 투명 접착제(OCA, Optical Clear Adhesive)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코부재(DC1)와 제2 데코부재(DC2)에 의해 차광영역(NAR)이 정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데코부재(DC1)는 렌티큘러 패턴을 가지는 광학패턴층(VTC)을 포함하는데, 렌티큘러 패턴과 같은 미세한 패턴은 강화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기 어려운 반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인 제1 베이스 부재(BM1)에는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데코부재(DC2)는 제2 베이스 부재(BM2)에 직접적으로 인쇄되므로, 투과영역(AR)과 차광영역(NAR)의 경계선(BDL)을 정교하게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와 같은 구조의 윈도우 부재(WM)는 제2 데코부재(DC2)를 이용하여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경계선(BDL)을 정의하는데 따르는 공차(公差, narrow tolerance for error)를 줄이고, 제1 데코부재(DC1)를 이용하여 렌티큘러 패턴 등에 의한 다양한 컬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WM)와 표시패널(DP)을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윈도우 부재 제조 단계(S10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부재 제조 단계(S11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표시패널 결합단계(S20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의 제조방법은 윈도우 부재 제조 단계(S100) 및 표시패널 결합단계(S200)를 포함한다. 윈도우 부재 제조 단계(S100)에서는, 투과영역(AR) 및 투과영역(AR)에 인접하는 차광영역(NAR)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WM)를 제조한다. 표시패널 결합단계(S200)에서는 표시패널(DP)이 윈도우 부재(WM)와 결합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윈도우 부재 제조 단계(S100)는 제1 부재 제조 단계(S110), 제2 부재 제조 단계(S120), 및 제1 부재 및 제2 부재 부착 단계(S130)를 포함한다.
제1 부재 제조 단계(S110)는 제1 부재(SB1)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며, 제1 부재 제조 단계(S110)는 광학패턴층 제조 단계(S111), 증착층 증착 단계(S112), 및 잉크층 인쇄 단계(S113)를 포함한다. 이는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하였다. 제2 부재 제조 단계(S120)는 제2 부재(SB2)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며, 이는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하였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 부착 단계(S130)는 제1 부재(SB1)와 제2 부재(SB2)를 결합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며, 이는 도 9에서 설명하였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패널 결합단계(S200)는 얼라인 단계(S210) 및 부착 단계(S220)를 포함한다. 얼라인 단계(S210)에서는, 제2 데코부재(DC2)를 기준으로 표시패널(DP)과 윈도우 부재(WM)를 정렬한다. 즉, 제2 데코부재(DC2)가 표시패널(DP)과 윈도우 부재(WM)를 정렬하는 얼라인 마크 기능을 한다.
제2 데코부재(DC2)는 공차(公差, narrow tolerance for error)가 작아서, 표시패널(DP)과 윈도우 부재(WM)를 정렬하는 얼라인 마크 기능을 잘 수행 할 수 있다.
부착 단계(S220)에서는 표시패널(DP)과 윈도우 부재(WM)가 광 투명 접착부재(OCA, Optical Clear Adhesive)에 의해 결합된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P: 표시패널
PM: 보호부재 WM: 윈도우 부재
SB1: 제1 부재 SB2: 제2 부재
BS1: 제1 베이스 부재 BS2: 제2 베이스 부재
DC1: 제1 데코층 DC2: 제2 데코층

Claims (20)

  1. 투과영역 및 상기 투과영역에 인접하는 차광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에 있어서,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1 데코부재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제2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투과영역과 상기 차광영역의 경계선을 제공하는 제2 데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2 데코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차광영역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투과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차광영역의 나머지 일부에 대응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코부재는 상기 제3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윈도우 부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는 플라스틱 필름인 윈도우 부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코부재는,
    렌티큘러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된 광학패턴층;
    무기산화물 또는 금속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 상에 배치된 잉크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화물은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TiO2) 또는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SiO2)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인듐(In)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의 컬러는 블랙 또는 화이트인 윈도우 부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강화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인 윈도우 부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코부재는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코부재의 너비는 0.1mm 이상 0.6mm 이하이고, 상기 제2 데코부재의 두께는 1μm 이상 6μm 이하인 윈도우 부재.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윈도우 부재.
  1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영상을 투과키시는 투과영역 및 상기 투과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영상을 차단하는 차광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는,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제1 데코부재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제2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투과영역과 상기 차광영역의 경계선을 제공하는 제2 데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2 데코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차광영역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투과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차광영역의 나머지 일부에 대응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코부재는 상기 제3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부분적으로 중접하는 표시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는 플라스틱 필름인 표시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코부재는,
    렌티큘러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된 광학패턴층;
    무기산화물 또는 금속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 상에 배치된 잉크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화물은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TiO2) 또는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SiO2)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인듐(In)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에 배치된 터치 감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터치 감지부재를 수용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투과영역 및 상기 투과영역에 인접하는 차광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를 제조하는 윈도우 부재 제조 단계; 및
    표시패널이 상기 윈도우 부재와 결합되는 표시패널 결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부재 제조 단계는,
    제1 데코부재가 플라스틱 필름인 제1 베이스 부재 중 상기 차광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제1 부재가 제조되는 제1 부재 제조 단계;
    제2 데코부재가, 상기 투과영역과 상기 차광영역의 경계선을 제공하도록, 강화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인 제2 베이스 부재 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제2 부재가 제조되는 제2 부재 제조 단계; 및
    상기 제1 데코부재와 상기 제2 데코부재가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제조 단계는,
    렌티큘러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패턴층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는 광학패턴층 제조 단계;
    무기산화물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증착층이 상기 광학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증착층 증착 단계; 및
    잉크층이 상기 증착층 상에 배치되는 잉크층 인쇄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결합단계는,
    상기 제2 데코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150163498A 2015-11-20 2015-11-20 윈도우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170059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498A KR20170059543A (ko) 2015-11-20 2015-11-20 윈도우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US15/237,472 US9857506B2 (en) 2015-11-20 2016-08-15 Window membe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498A KR20170059543A (ko) 2015-11-20 2015-11-20 윈도우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543A true KR20170059543A (ko) 2017-05-31

Family

ID=5872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498A KR20170059543A (ko) 2015-11-20 2015-11-20 윈도우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57506B2 (ko)
KR (1) KR2017005954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933A1 (ko) * 2017-12-21 2019-06-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11215737B2 (en) 2018-10-12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20118083A (ko) * 2021-02-18 2022-08-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이를 갖는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US11711901B2 (en) 2020-08-20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11901314B2 (en) 2021-05-21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548641A (ja) * 2020-10-22 2023-11-20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を含む電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802B1 (ko) 2012-05-02 2014-04-07 주식회사 송산 불투명창에 요철패턴이 표현되는 모바일 데코 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4220B1 (ko) 2012-12-03 2019-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398129B1 (ko) 2013-12-09 2014-05-29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디스플레이 기기의 글라스 패턴 전사 방법 및 장치
KR101526109B1 (ko) 2014-02-04 2015-06-04 김태훈 인쇄층이 있는 화학 강화유리
CN105446508B (zh) * 2014-06-19 2018-12-2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101512185B1 (ko) 2014-08-19 2015-04-16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패널
KR101501427B1 (ko) 2014-11-20 2015-03-12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모바일기기의 커버 윈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933A1 (ko) * 2017-12-21 2019-06-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11215737B2 (en) 2018-10-12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47521B2 (en) 2018-10-12 2023-09-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11901B2 (en) 2020-08-20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220118083A (ko) * 2021-02-18 2022-08-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이를 갖는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US11901314B2 (en) 2021-05-21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46698A1 (en) 2017-05-25
US9857506B2 (en)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641B1 (ko) 표시 장치
KR20170059543A (ko) 윈도우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US10460147B2 (en) Display scre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9874967B2 (en) Touch-panel display device
KR20150087886A (ko) 표시장치
JP2009069333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435439B1 (ko) 표시 장치
TWI550467B (zh) 觸控螢幕
JP2012150418A (ja) 表示用前面板、表示用前面板の製造方法、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2512789A (zh) 盖玻璃及包括该盖玻璃的电子装置
EP314428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ndow member
US102287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20094509A (ko) 입력 장치
KR20150051490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25610A1 (en) Touch screen panel
US20130279089A1 (en) Cover,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ver
US2012002666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80138311A (ko)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JP2017032894A (ja) 覗き見防止シート
KR102512065B1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1724183B1 (ko) 컬러필터,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컬러필터의 제조방법, 및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모듈의 제조방법
CN104347038B (zh) 显示屏感光装置、移动终端和显示屏感光装置的制造方法
US9442592B2 (en) Module structure of touch display panel
JP5960587B2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602008B (zh) 具有觸控感測器之光電顯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