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980A -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 Google Patents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980A
KR20170058980A KR1020177010501A KR20177010501A KR20170058980A KR 20170058980 A KR20170058980 A KR 20170058980A KR 1020177010501 A KR1020177010501 A KR 1020177010501A KR 20177010501 A KR20177010501 A KR 20177010501A KR 20170058980 A KR20170058980 A KR 20170058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containing water
beverage
days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쉐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쉐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쉐프코
Publication of KR20170058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not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65B3/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mechanically, e.g. by piston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B65B61/20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for adding drinking straws to a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heating or cooling articles or materials to facilitat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 B65D81/208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in a flexible container
    • B65D81/209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in a flexible container with one or several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0Gas
    • A23V2250/12Hyd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제조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해도 산화 환원 전위가 낮은 값으로 유지되는 수소 함유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개구부에 밀봉 캡이 부착되는 빨대 내장 포장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가압 충전된 수소 함유수와, 상기 용기 내의 수소 함유수보다 위쪽의 공간에, 가압 충전 후의 가열 처리에 의해 생성되고, 생성된 후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도 존재하는 가스 분위기를 갖는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으로서, 상기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제조 후 상온 보존하에서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T FOR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에 수소 가스를 용해시킨 수소 함유수(간단히 수소수라고도 한다)는 높은 환원성을 갖는 점에서, 금속의 산화나 식품류의 부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음용으로 전용한 경우에는 여러 가지 건강 장애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하여 주목받고 있다.
전술한 음용의 수소 용해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가스 봄베로부터의 수소 가스를 원수(原水)에 용해시키거나 또는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한 수소 가스를 원수에 용해시키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단, 단순히 수소 가스를 원수 중에 공급하는 것만으로는, 실온·대기압하에서는 원수 중에 용존되어 있는 질소 가스, 산소 가스 등이 수소 가스의 용해를 방해하기 때문에, 용존 수소 농도가 수소의 포화 농도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
또한, 예를 들면 공기를 제거한 압력 용기 내에 수소 가스를 충전하고, 압력 용기 내에서의 수소 가스의 압력을 2 내지 10 기압으로 유지한 채로, 압력 용기 내에 원수를 샤워 형태로 살수해 수소 가스와 접촉시킴으로써 수소 가스를 효율적으로 용해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혹은, 물에 고압으로 수소 가스를 분사해 초미세 기포(소위 '나노 버블', '마이크로 버블')를 발생시켜, 이것을 물에 용해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3).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2-25407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3606466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공개 2011-230055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보다 높은 용존 수소 농도를 실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수소 함유수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고, 또한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수소 함유수를 주로 캡이 부착된 빨대 내장 포장 용기 등에 충전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고농도의 용존 수소 농도를 실현한 수소 함유수를 제조할 수 있다고 해도, 그 수소 함유수를 빨대 내장 포장 용기 등의 보존 용기에 충전·밀봉하는 동안 혹은 밀봉 후의 보존 용기 내에서 수소 함유수와 공기가 접촉하게 되면, 공기가 수소 함유수에 용해되어 수소 함유수 중의 용존 수소 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빨대 내장 포장 용기에 용존 수소 농도를 높인 수소 함유수를 가압 충전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비교해 높은 용존 수소 농도를 유지한 채로 수소 함유수를 용기에 충전·밀봉할 수 있고, 그 결과, 가열 처리 후에 용기 내부에 생성되는 수소 가스량을 지금까지 이상으로 풍부하게 하고, 이에 따라 제조 후 장기간 보존해도 용기 내부에 가스 분위기를 갖는 수소 함유수 제품을 제작했다. 이러한 가스 분위기의 존재에 의해, 제조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해도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를 낮은 값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용존 수소 농도를 높은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개구부에 밀봉 캡이 부착되는 빨대 내장 포장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가압 충전된 수소 함유수와,
상기 용기 내의 수소 함유수보다 위쪽의 공간에, 가압 충전 후의 가열 처리에 의해 생성되고, 생성된 후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도 존재하는 가스 분위기를 갖는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으로서,
상기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제조 후 상온 보존하에서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위기는 수소 가스 분압이 분위기 전체압에 대해 90% 이상의 분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소 함유수는 충전시의 용존 수소 농도가, 대기압하에서, 충전시의 수소 함유수 수온에서의 물에 대한 수소의 포화 농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서, 상기 용기의 제품 용량은 150㎖ 내지 55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 있어서는, 제조 후 상온 보존하에서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의 상기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당해 산화 환원 전위가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제조 방법도 대상으로 하고, 상세하게는,
개구부에 밀봉 캡이 부착되는 빨대 내장 포장 용기에 수소 함유수를 가압 충전하는 충전 공정,
수소 함유수가 충전된 빨대 내장 포장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 캡으로 밀봉하는 밀봉 공정, 및
충전·밀봉된 제품을 가열 처리하는 가열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은, 상기 용기 내의 수소 함유수보다 위쪽의 공간에, 가압 충전 후의 가열 처리에 의해 생성되고, 생성된 후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도 존재하는 가스 분위기를 갖고,
상기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제조 후 상온 보존하에서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70}㎷ 이하인,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제조 방법을 대상으로 한다.
그 중에서도, 상기 충전 공정에서, 상기 수소 함유수는 0.1㎫ 내지 0.5㎫의 부하 압력으로 상기 빨대 내장 포장 용기 내에 가압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 처리 공정에서, 상기 가열 처리는 85℃ 내지 90℃의 온도로 20분 내지 1시간의 가열 조건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은, 상온 보존하에서 제조후 적어도 90일이 경과한 후에도, 용기 내부의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70}㎷ 이하로서, 품질이 안정된 수소 함유수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제조 방법은, 상온 보존하에서 제조후 적어도 90일이 경과한 후에도, 용기 내부의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70}㎷ 이하로서, 품질이 안정된 수소 함유수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서의 빨대의 개구부 주변(A)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예 5에서 제작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제조 후 경과일수에 대한 용존 수소 농도 dH(ppm)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예 5에서 제작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제조 후 경과일수에 대한 산화 환원 전위 ORP(㎷)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여러 가지 수소 함유수의 제조 방법이 검토되어 왔지만, 설령 고농도의 용존 수소 농도가 실현 가능하다고 해도, 수소 함유수의 충전·밀봉·보관 중에 수소 함유수와 공기가 접촉해 수소 함유수 중의 용존 수소 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겼다.
또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경우, 수소 함유수를 보존 용기에 충전·밀봉한 후, 식품위생상의 관점에서 살균을 위한 가열 처리를 거칠 필요가 있다. 이 가열 처리에 의해 용기 내부의 수소 함유수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포화 수소 농도는 저하되어, 수소 함유수에 용존되어 있던 수소가 용존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기화하게 되어, 통상, 용기의 상부가 되는 캡이나 빨대 상부의 흡입부(스파우트(spout)) 주변에 모이게 된다. 기화한 수소(가스)는 가열 처리 후에 제품을 냉각해도 즉시 수소 함유수에 재용해되지는 않고, 이 때문에 용기 내부에서 수소 함유수와 수소 가스가 일시적으로 공존한 상태가 된다. 즉, 일시적으로 용기 내의 수소 함유수의 용존 수소 농도가 크게 낮아진다. 그 후, 시간의 경과와 함께(통상 1 내지 2주 정도), 가열 처리 후에 생성된 용기 내부의 수소 가스가 수소 함유수에 재용해되어 충전시의 용존 수소 농도에 가까워지게 된다. 그러나, 보존 용기로서 빨대 내장 포장 용기를 사용했을 경우, 빨대 내장 포장 용기에서의 개구부(즉, 흡입부(스파우트))나 캡의 기밀성을 완전하게 유지하기는 힘들어, 약간이지만 용기 내부의 공간과 외부의 공간이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간의 경과와 함께 매우 조금이지만 공기가 용기 외부로부터 용기 내부로 서서히 유입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그리고 수소 함유수와 공기가 접함으로써 일어나는 용존 수소 농도의 저하는 피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수소 함유수를 빨대 내장 포장 용기에 충전·밀봉한 종래의 수소 함유수 제품은, 제조로부터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소 함유수의 용존 수소 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해, 제조로부터 장기간(예를 들면, 3 내지 6개월 정도 기간 이상) 경과한 경우라도 용존 수소 농도를 가능한 한 유지한 수소 함유수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수소 함유수를 용기 내에 가압 충전함으로써 수소 함유수의 용존 수소 농도의 저하가 가능한 한 억제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은, 개구부에 밀봉 캡이 부착되는 빨대 내장 포장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가압 충전된 수소 함유수와, 용기 내의 수소 함유수보다 위쪽의 공간에 가압 충전 후의 가열 처리에 의해 생성된 가스 분위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일 형태의 예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1)은, 용기 본체(3), 빨대(4) 및 밀봉 캡(5)으로 구성되는 빨대 내장 포장 용기(2)에 수소 함유수(6)가 충전된 후, 빨대(4)의 개구부(41)가 캡(5)으로 밀봉된 형태이다.
상기 가스 분위기는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도 존재하고, 바람직하게는 180일 경과 후도 존재한다. 이 가스 분위기는, 분위기 전체압에 대해 수소 가스 분압이 90% 이상의 분위기가 되는 형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수소 가스를 상압 충전한 종래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도 충전 후의 가열 살균 처리에 의해 수소 가스 분위기를 생성하지만, 가열 살균 후 상온으로 냉각된 단계에서 수소 가스의 재용해에 의해 수소 가스 분위기는 실질적으로 소실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서는, 가열 처리 후 상온으로 냉각된 단계에서도 수소 가스 분위기가 계속 존재한다. 즉,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은, 제조 후의 보존 기간에 용기의 내부에 수소 함유수와 가스 분위기가 계속 공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품을 상하로 가볍게 흔들면, 용기의 내벽에 수소 함유수가 부딪히는 소리(예를 들면, 찰싹찰싹, 잘각잘각 등의 소리)가 발생해, 이 소리에 의해 가스 분위기의 존재가 확인된다.
또한, 후술하는 빨대 내장 용기에서 빨대를 투명 혹은 반투명한 것으로 하면, 용기 본체와 밀봉 캡의 사이에 노출되는 빨대의 바깥쪽에서 가스 분위기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1)의 빨대(4) 개구부(41) 주변(A)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즉, 상기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서 가스 분위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빨대의 바깥쪽에서 가스 분위기(7)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거나(도 2의 (a) 참조: 수소 함유수(6), 가스 분위기(7)), 혹은, 상기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상하로 가볍게 흔들면, 용기 내에서 수소 함유수(6)가 이동하는 모습, 즉 가스 분위기(7)가 이동하는 모습을 상기 빨대의 바깥쪽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2의 (b) 참조: 수소 함유수(6), 가스 분위기(7)).
그리고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은, 충전되는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제조 후, 상온 보존하에서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은, 90일 경과 후에, 당해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에 충전된 수소 함유수의 pH가 7.0인 경우에는 그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583㎷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한 본 발명품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은, 충전되는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제조 후, 상온 보존하에서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80}㎷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산화 환원 전위는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9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서는, 충전되는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제조 후 상온 보존하에서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 상기 식을 만족하고, 동시에, 90일 경과 후에 그 제품을 상하로 가볍게 흔들면, 용기의 내벽에 그 수소 함유수가 부딪히는 소리가 발생해 가스 분위기의 존재가 확인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산화 환원 전위(ORP)의 값은, 은-염화은 전극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했을 때의 값(vs. Ag/AgCl)을 지칭하고, 표준:수소 전극(SHE)에 대한 은-염화은 전극(Ag/AgCl)의 전위는 25℃에서 +0.199V(vs. SHE)이다.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 사용하는 빨대 내장 용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가요성을 갖는 주머니 형태의 용기 본체에 관 형태의 빨대를 장착하고, 그 빨대의 개구부(즉, 흡입부(스파우트))에 밀봉 캡이 부착되는 주머니 형태의 용기, 소위 '알루미늄 파우치' 형태의 용기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용기 본체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제의 용기 본체, 소위 파우치 용기가 기밀성이 높아 수소의 유출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파우치 용기의 형태로는, 이미 시판되고 있는 (주름이 있는) 거싯(gusset) 형태, (주름이 없는) 스탠드 형태 등 각종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에서 사용하는 빨대로는 배리어재를 사용해 제조된 빨대 내장 배리어 스파우트(barrier spout)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의 제품 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0㎖ 내지 2000㎖, 특히 150㎖ 내지 550㎖, 구체적으로는 150㎖, 180㎖, 200㎖, 220㎖, 250㎖, 280㎖, 300㎖, 350㎖, 400㎖, 450㎖, 500㎖, 550㎖ 정도 용량의 용기를 바랍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품 용량'이란, 제품이 유통·판매될 때의 규격 용량(적정 충전량, 표시 내용량이라고도 칭한다)으로서, 통상, 용기에 충전할 수 있는 최대 용량보다 수% 내지 15% 정도 적다.
한편, 캡이나 흡수구(스파우트)의 크기(구경)는 제품 용량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열 처리에 기인해 발생하여 캡이나 스파우트 주변에 모여 있는 수소 가스와 용기 내의 수소 함유수의 접촉 면적은, 저용량(150㎖나 200㎖ 등)의 제품과 비교해, 500㎖나 550㎖와 같은 대용량 제품의 경우에는 작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대용량 제품에서는, 제품 내 수소 가스의 수소 함유수로의 재용해가 저용량 제품에 비해 천천히 일어난다. 이 때문에, 대용량 제품에서는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뿐만 아니라 상압 충전된 종래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서도, 장기간, 수소 가스 분위기가 잔존하게 된다. 대용량 제품은 저용량 제품과 비교해 긴 기간, 용존 수소 농도를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 보관성이 뛰어나다고 하여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서는 이와 같은 대용량 제품에서도, 통상 3개월 정도에서 수소 가스 분위기는 실질적으로 소실되어,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과 같이, 용기 내부에 수소 함유수와 가스 분위기가 계속 공존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수소 함유수는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빨대 내장 용기 외에도, 알루미늄제나 강철제의 풀탭캔(pull-tab can)이나 보틀캔 등의 금속캔에 충전된 제품으로서도 제공된다. 이들 금속캔에 충전된 제품 중 풀탭캔은 리캡(recap)이 불가능하여, 일단 개봉하면 수소 함유수와 공기가 계속 접촉해 시간이 경과할수록 수소 함유수의 용존 수소 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한 번에 다 마실 필요가 있다. 보틀캔의 경우에는, 다 마시지 못할 때에는 리캡 가능하지만, 캔 내에 유입된 공기를 빼면서 리캡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수소 함유수의 용존 수소 농도가 저하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일단 개봉해도, 빨대 내장 용기의 용기 본체를 양측에서 눌러 내부의 공기를 방출함과 함께 수소 함유수를 흘러넘치게 하면서 캡을 끼움으로써, 용기 본체 내의 공기의 잔류를 가능한 한 억제해 리캡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마시다 남기는 경우에도, 금속캔과 비교해 수소 함유수의 용존 수소 농도의 저하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용량이 증가할수록, 예를 들면 제품 용량이 550㎖ 등인 대용량 제품에서는 한 번에 다 마시기 힘들기 때문에, 여러 차례로 나눈 음용이 상정된다. 빨대 내장 용기를 이용한 제품에서, 비록 음용시마다(개봉시마다) 내부의 수소 함유수를 흘러넘치게 하면서 캡을 끼웠다고 해도, 용기 본체 내의 공기 잔류를 제로로 하기는 힘들어, 캡 개봉시마다 용존 수소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피할 수는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용량의 수소 함유수 제품은 장기 보관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일단 개봉하면 그 장점은 사라지게 되어, 여러 차례의 개봉·리캡을 반복하는 경우에도 용존 수소 농도의 저하가 작은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이 요구에 대해, 본 발명은, 수소 함유수를 용기 내에 가압 충전함으로써 보존 기간 중의 수소 함유수의 용존 수소 농도가 종래 제품보다 높게 유지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부터, 여러 차례의 캡의 개폐 후에도 용존 수소 농도를 비교적 높은 농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은, 높은 용존 수소 농도를 유지한 채로 수차례 나누어 음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에 대해 소구력(訴求力)이 높은 제품이 된다.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 사용하는 수소 함유수의 종류, 즉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스 봄베로부터 공급되는 수소 가스를 원수에 용해시킨 버블링법,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한 수소 가스를 용해시키는 전해법, 혹은 중공사막(中空絲膜)을 이용한 막용해법 등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얻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원료가 되는 물로부터 중공사막을 통해 잔존 가스를 탈기하고, 계속해서 얻어진 탈기수 및 가압된 수소 가스를 가스 투과막 모듈에 도입해 수소 가스를 탈기수에 용해시키는 막용해법을 이용해 제조한 수소 함유수가, 용존 수소 농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예를 들면, 본 발명자들에 의한 이전 특허 출원: 일본 특허 제4551964호 명세서, PCT/JP2015/062895 등을 참조).
한편, 제조 후 수소 함유수의 용존 수소 농도, 예를 들면 후술하는 빨대 내장 포장 용기에 가압 충전할 때의 수소 함유수의 용존 수소 농도는, 가능한 한 높은 값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대기압하에서, 충전시의 수소 함유수 수온에서의 물에 대한 수소의 포화 농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화 농도보다 0.4 ppm 높은 온도이며(예를 들면, 수온이 20℃이면 2.0 ppm 이상), 특히 상기 포화 농도보다 0.8 ppm 이상 높은 농도(예를 들면, 수온이 20℃이면 2.4 pp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은, 수소 함유수를 빨대 내장 포장 용기에 가압 충전해 밀봉한 후, 가열 처리를 거쳐 제조된다. 상세하게는, 개구부에 밀봉 캡이 부착되는 빨대 내장 포장 용기에 수소 함유수를 가압 충전하는 충전 공정, 수소 함유수가 충전된 빨대 내장 포장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 캡으로 밀봉하는 밀봉 공정, 및 충전·밀봉된 제품을 가열 처리하는 가열 처리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여기에서 수소 함유수의 빨대 내장 포장 용기에의 충전(충전 공정)은, 예를 들면 상기 PCT/JP2015/062895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고, 일례로 우선 포장 용기 내의 기체를 흡인해 제거하고, 여기에 적절한 부하 압력, 예를 들면 0.1㎫ 내지 0.5㎫로 수소 함유수를 포장 용기 내에 가압 주입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하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4㎫이며, 예를 들면 0.1㎫ 내지 0.3㎫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부하 압력이란, 대기압(약 0.1㎫)에 대해 더 가해지는 압력을 말한다. 단 부하 압력을 0.5㎫ 초과해 너무 높게 하면, 수소 함유수를 제조하는 장치(배관, 패킹, 계기류 등)의 파손·고장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제조 장치에서 이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막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여과막이 너무 높은 부하 압력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고, 또한 중공사막을 이용한 막용해법에 의해 수소 함유수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여과막과 마찬가지로 중공사막이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제조 장치에서의 문제의 발생을 고려해 부하 압력의 최고치를 0.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압한 상태에서 수소 함유수를 포장 용기에 충전하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비교해 높은 용존 수소 농도를 유지한 채로 수소 함유수를 용기에 충전·밀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포장 용기 내에 잔류하는 기체가 그대로 잔존하거나 수소 함유수 중에 다른 기체가 혼입되는 경우가 있다고 해도, 종래 기술과 달리, 충전한 수소 함유수의 용존 수소 농도가 장기간에 걸쳐 거의 감소되지 않아 장기간 높은 용존 수소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처리 공정에서의 가열 처리 조건은, F치(일정 온도에서 일정 수의 특정 세균 포자 또는 세균을 사멸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 통상, 기준 온도(250℉)에서의 살균 시간(분))나 제품 품질을 감안해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가열 온도: 85℃ 내지 90℃, 가열 시간: 20분 내지 1시간의 조건으로 실시할 수 있어, 예를 들면 85℃에서 30분간과 같은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은, 수소 함유수를 빨대 내장 포장 용기에 가압 충전함으로써 높은 용존 수소 농도를 유지한 채로 수소 함유수를 용기에 충전·밀봉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내에서 수소 함유수와 접촉했을 경우에 용존 수소 농도의 저하로 이어지는 여러 가지 기체, 즉, 용기 내에 잔존하는 기체나 수소 함유수 중에 혼입되는 기체의 존재가 있다고 해도, 종래 기술과 비교해 높은 용존 수소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존 수소 농도를 보다 높인 수소 함유수를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가열 처리에 의해 저하된 포화 수소 농도에 기인해 기화한 수소 가스량은, 용존 수소 농도가 보다 낮은 수소 함유수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해 증가되게 된다. 이 때문에, 가열 처리, 냉각 후에 장기간 보관한 후에도, 예를 들면 상온(20℃±15℃)에서 적어도 90일 정도 보관한 후에도,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은 용기 내부에 수소 함유수와, 수소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분위기가 공존하는 상태(제품을 상하로 가볍게 흔들면, 용기의 내벽에 그 수소 함유수가 부딪히는 소리가 발생하는 것으로 가스 분위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가 된다. 그 결과, 기화한 수소 가스의 수소 함유수로의 재용해가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기의 혼입이 있는 경우에도, 용기 내의 가스 분위기 중의 수소 가스 분압이 높은 것으로부터 수소 함유수 중의 수소의 기화가 억제되기 때문에, 혼입된 공기에 의해 산소나 질소가 물에 용해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서는, 가스 분위기의 존재에 의해, 제품 음용시, 캡을 열었을 때 수소 함유수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소 함유수를 알루미늄캔이나 강철캔 등 금속캔 제품의 풀탭캔에 충전한 경우에는, 음용시에 캔으로부터 수소 함유수가 분출해 음용할 수 있는 수소 함유수의 양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음용자의 옷이나 테이블 등에 물이 흘러 젖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에 의해, 본 발명은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 있어서, 제조 후 90일이 경과한 후에도, 종래 제품과 비교해 낮은 산화 환원 전위를 갖는 수소 함유수를 실현한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조 후 180일 이상 경과한 후에도, 예를 들면 pH 7.0의 수소 함유수에서 산화 환원 전위가 대략 -600㎷ 이하, 용존 수소 농도가 1.0 ppm 이상이라는 고품질로 유지된 수소 함유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이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제조(1)〉
실시예에 사용하는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각각 이하의 순서로 제조했다.
1) 수소 함유수를 가압 충전해 제조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본 예에서는, 개구부에 밀봉 캡이 부착되는 빨대 내장 포장 용기에 수소 함유수를 가압 충전하는 충전 공정, 수소 함유수가 충전된 빨대 내장 포장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 캡으로 밀봉하는 밀봉 공정, 및 충전·밀봉된 제품을 가열 처리하는 가열 처리 공정을 거쳐,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제조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자들에 의한 이전 특허 출원(일본 특허 제4551964호 명세서, PCT/JP2015/062895) 등에서 개시한 방법에 따라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제조했다. 즉, (1) 정화 장치에서, 원료가 되는 물을 여과 및 정화하고, 얻어진 정화수를 탈기 장치로 보내는 정화 공정과, (2) 상기 탈기 장치에서, 공급된 정화수를 중공사막을 통해 탈기하고, 얻어진 탈기수를 수소 용해 장치로 보내는 탈기 공정과, (3) 상기 수소 용해 장치에서, 공급된 탈기수에 중공사막을 통해 가압 수소 가스를 용해하고, 얻어진 수소 함유수를 충전 장치로 보내는 수소 용해 공정과, (4) 상기 충전 장치에서, 공급된 수소 함유수를 빨대 내장 포장 용기에 개구부(주입구)로부터 충전하는 충전 공정과, (5) 수소 함유수가 충전된 빨대 내장 포장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 캡으로 밀봉하는 밀봉 공정과, (6) 수소 함유수가 충전·밀봉된 제품을 가열 처리(85℃에서 30분간)하는 공정을 거쳐, 실시예 1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제조했다. 한편, 이때, (4) 충전 공정을 가압 충전(부하 압력: 0.2㎫ 내지 0.3㎫(대기압보다 0.2㎫ 내지 0.3㎫ 가압한 상태))으로 실시했다.
한편, 상기 탈기 공정 (2)에서 탈기 장치에 공급되는 정화수로부터 상기 충전 공정 (4)에서 포장 용기에 주입되는 수소 함유수까지의 수유로(水流路)에는, 압력 펌프의 운전에 의해 압력이 부하(상기 부하 압력: 0.2㎫ 내지 0.3㎫)됨으로써, 압력이 부하된 수소 함유수를 상기 충전 장치에 공급했다.
또한, 상기 충전 공정 (4)는, 보다 상세하게는,
축 밸브가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구를 닫아, 상기 수소 용해 공정 (3)으로부터의 압력이 부하된 수소 함유수가 충전구에 접하는 공동 내에 공급된 상태로 하는 준비 단계와,
상기 포장 용기의 주입구를 충전구와 접속하고, 계속해서 상기 축 밸브에 마련된 기체로를 통해 기체 감압 수단에 의해 상기 포장 용기 내부의 기체를 제거하는 탈기 단계와,
그 다음, 상기 기체로를 닫고, 상기 축 밸브가 상기 충전구를 열어, 압력이 부하된 수소 함유수를 상기 포장 용기 내에 직접 주입하는 주입 단계와,
계속해서 상기 축 밸브가 상기 충전구를 닫은 다음, 상기 기체로를 열어, 기체 가압 수단에 의해 상기 기체로를 통해 가압 공기를 상기 공동 내에 도입함으로써, 충전 장치 내에 남은 수소 함유수를 상기 포장 용기 내로 배출하는 배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와 상기 충전구의 접속을 해제했을 때, 즉시 상기 밀봉 공정 (5)로 이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이하, 본 공정을 간단히 '가압 충전'이라고 칭한다)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조제했다.
한편, 얻어진 실시예 1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제조로부터 7일, 14일, 30일, 그 후는 30일마다 180일 경과 후(실온(25℃±5℃)에서 보관, 비교예 1도 동일)까지의 각각에서 흔들어 본 결과, 모든 경우에서 소리가 확인되었다. 이것은 용기에 충전된 수소 함유수보다 위쪽의 공간에 가스 분위기가 존재하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2) 수소 함유수를 상압 충전해 제조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수소 가스를 미세한 거품으로 하여, 원료수에 도입해 수소 가스를 용해시켰다. 얻어진 수소 함유수를 빨대 내장 포장 용기에 상압으로 충전한 다음, 수소 함유수가 충전된 빨대 내장 포장 용기의 개구부(주입구)를 밀봉하고, 수소 함유수가 충전·밀봉된 제품을 가열 처리(85℃에서 30분간)하여 비교예 1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제조했다.
한편, 충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는, 우선 상기 제조한 수소 함유수를 일단 수소 함유수 탱크에 저장하고, 수소 함유수 탱크에 접속된 계량 장치의 피스톤을 내려 일정량의 수소 함유수를 계량했다. 여기에서 수소 함유수의 충전을 개시하기 전에, 충전 장치의 축 밸브 내의 기체로를 통해 포장 용기 내에 잔존하는 기체를 흡인 제거했다. 그 후, 충전 장치의 축 밸브과 계량 장치의 피스톤을 동기시켜 상승시킴으로써, 충전구를 통해 포장 용기 내에 수소 함유수를 충전했다(이하, 본 공정을 단순히 '상압 충전'이라고 칭한다).
얻어진 비교예 1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볍게 흔들어 본 결과, 제조(가열·냉각 처리 후) 직후에는 소리가 확인되었지만, 14일 경과 후에는 이미 소리가 확인되지 않고, 그 후 기간이 경과해도 소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용기에 충전된 수소 함유수보다 위쪽의 공간에 가스 분위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즉, 용기 내에서의 수소 함유수의 이동이 제한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모든 예에서 빨대 내장 포장 용기로서 제품 용량이 150㎖인 용기를 사용하고, 여기에 충전량 150g±5g의 양으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충전해, 이하의 측정일마다 5개의 제품 시료에 대해 다음 평가를 실시했다.
또한, 20℃, 1기압에서의 포화 수소 농도는 1.6 ppm이다.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평가(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각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 대해, 제조로부터 30일 경과 후, 60일 경과 후, 90일 경과 후, 120일 경과 후, 150일 경과 후, 180일 경과 후(실온(25℃±5℃에서 보관))의 용존 수소 농도, pH 및 산화 환원 전위(vs. Ag/AgCl)를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표 1 및 표 2에는 참고로 ORP 계산치로서 하기 식으로 산출한 값을 나타냈다.
ORP 계산치 A: {[-59×(측정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70}㎷
ORP 계산치 B: {[-59×(측정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80}㎷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제조(2)〉
빨대 내장 포장 용기로서 제품 용량이 500㎖인 용기를 사용하고, 여기에 충전량 500g±5g의 양으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충전한 것 외에는, 전술한 [1) 수소 함유수를 가압 충전해 제조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및 [2) 수소 함유수를 상압 충전해 제조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 준해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제조했다.
한편, 얻어진 실시예 2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후술하는 평가 기간(60일에서 최대 180일) 경과 후(실온(25℃±5℃)에서 보관, 비교예 2도 동일)의 각각에서 가볍게 흔들어 본 결과, 모든 경우에서 용기의 내벽에 수소 함유수가 부딪히는 소리가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2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마찬가지로 가볍게 흔들어 본 결과, 제조(가열 처리) 직후에는 소리가 확인되고, 60일 경과 후에는 약간의 소리가 확인된 제품도 있었지만, 90일 경과 후에는 어떤 제품에서도 소리가 전혀 확인되지 않았고, 그 후 기간이 경과해도 소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평가(2)〉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각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 대해, 제조로부터 30일 경과 후, 60일 경과 후, 90일 경과 후, 180일 경과 후(실온(25℃±5℃)에서 보관)의 용존 수소 농도, pH 및 산화 환원 전위(vs. Ag/AgCl)를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내고,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ORP 계산치를 산출해 표 3 및 표 4에 함께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실시예 1)은, 제조로부터 90일 경과 후, pH 6.91 내지 6.93에서 산화 환원 전위가 -606 내지 -608㎷였다. 즉, 산화 환원 전위의 값은 식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70}㎷〉에서의 계산치: -578 내지 579㎷ 이하의 품질은 물론, 식〈{[-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80}㎷〉에서의 계산치: -588 내지 589㎷ 이하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표 1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식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90}㎷〉에서의 계산치: -598 내지 599㎷ 이하의 품질도 유지할 수 있었다. 상세하게는, 계산치와 비교해 실측치는 19 내지 20㎷나 낮은 값이었다. 또한, 180일 경과 후에도, pH 6.90 내지 6.91에서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600㎷ 이하, 용존 수소 농도가 1.00 ppm 이상의 높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서는, 제조로부터 14일 경과 이후에는 소리가 확인되지 않아, 용기 내에 가스 분위기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 후 30일이 경과한 시점에 이미 용존 수소 농도가 1.10 ppm 전후로서, 실시예 1의 180일 경과 후와 동일한 정도의 수준이 되고, 제조로부터 90일이 경과한 후의 용존 수소 농도는 0.65 ppm 전후까지 낮아져, 실시예 1과 비교해 용존 수소 농도의 저하 속도가 빠른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90일 경과 후의 수소 함유수 제품은 pH 6.64 내지 6.70에서의 산화 환원 전위가 -573 내지 -579㎷이고, 상기 식〈{[-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80}㎷〉를 이용한 산화 환원 전위의 계산치는 -572 내지 575㎷였다. 이와 같이 산화 환원 전위의 실측치는 바람직한 계산치보다 낮기는 하지만, 그 차이가 1 내지 6㎷ 정도로 실시예 1의 결과에는 훨씬 못 미치는 것이 되고, 또한, 표 2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식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90}㎷〉에서의 계산치: -582 내지 585㎷ 이하의 품질에는 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비교예 1은, 90일 경과 후의 산화 환원 전위는 상기 계산식에서 산출되는 값보다 낮은 값을 유지하고 있지만, 14일 경과 후에는 제품을 흔들었을 때 소리가 확인되지 않고, 즉 이 시점에서 이미 용기 내에 가스 분위기가 존재하지 않고, 90일 경과 이후의 용존 수소 농도의 현저한 저하로 연결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120일 경과 후에는 산화 환원 전위가 플러스의 값을 나타내는 등, 비교예 1의 제품은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실시예 1)에 비해 크게 품질이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내에 가스 분위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밀성이 완전하다고는 할 수 없는 캡이나 빨대 주변으로부터 공기가 서서히 혼입되는 경우에도, 분위기 전체압에서의 수소 가스 분압을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소 함유수 중에 용해되어 있는 수소의 기화가 억제되고, 수소 함유수로의 공기의 용해도 억제된다.
한편, 용기 내에 가스 분위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공기가 용기 내에 혼입되었을 때, 직접 공기와 수소 함유수가 접촉해, 혼입된 공기의 수소 함유수로의 용해가 쉽게 진행된다. 이에 따라, 수소 함유수에 용해되어 있는 수소 가스가 기체로서 수소 함유수의 밖으로 방출되고, 또한 공기의 수소 함유수로의 용해가 진행되게 된다. 이 때문에 용존 수소 농도가 저하되고, 또한, 공기 중의 산소의 용해에 의해 산화 환원 전위는 플러스로 향한다.
이와 같이, 일정 기간 보관 후에도 수소 함유수 제품의 용기 내에 가스 분위기를 갖고 있는 것, 게다가,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가 낮은 산화 환원 전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특정 계산식에 의해 산출되는 계산치보다 낮은 것)이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서 높은 품질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제품 용량을 500㎖로 한 제품의 경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실시예 2)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조로부터 90일 경과 후, pH 7.04 내지 7.08에서, 산화 환원 전위가 -614 내지 -618㎷가 되어, 상기 식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80}㎷〉에 의한 계산치: -595 내지 -598㎷와 비교해 19 내지 210㎷나 낮은 실측치가 계측되고, 또한 표 3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식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90}㎷〉에서의 계산치: -605 내지 608㎷ 이하의 품질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용존 수소 농도도 제조 후 30일이 경과한 시점에는 약 1.6 ppm, 9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1.50 ppm 전후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180일 경과 후에도, pH 7.04 내지 7.06에서,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약 -610㎷, 용존 수소 농도가 약 1.30 ppm 이상의 매우 높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2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서는, 제조로부터 90일 경과 후에는 소리가 확인되지 않아, 용기 내에 가스 분위기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리고,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로부터 90일 경과 후, pH 7.08 내지 7.10에서의 산화 환원 전위(실측치)가 -595 내지 -599㎷가 되어, 상기 식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80}㎷〉에 의한 계산치와 동일한 정도의 값에 머무르고, 또한 표 4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식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90}㎷〉에서의 계산치(-608 내지 609㎷) 이하의 품질에는 미치지 못했다. 또한, 제조 후 3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이미 용존 수소 농도가 1.15 ppm 전후로서, 실시예 2의 180일 경과 후(약 1.30 ppm)와 비교해 이미 낮고, 90일 경과 후에는 약 0.75 ppm, 180일 경과 후에는 약 0.22 ppm으로 실시예 2와 비교해 용존 수소 농도의 저하 속도가 매우 빠른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500㎖의 제품에서도, 비교예의 제품은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에 비해 품질이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3: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평가(3)〉
상기 실시예 1(제품 용량 150㎖) 및 실시예 2(제품 용량 500㎖)의 제조 방법을 따라 실시예 3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그리고 비교예 1(제품 용량 150㎖) 및 비교예 2(제품 용량 500㎖)의 제조 방법을 따라 비교예 3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제조했다.
이들을 15℃, 25℃ 또는 35℃에서 보관하고, 제조로부터 30일 경과 후에 제품을 가볍게 흔들어 용기 내벽에 수소 함유수가 부딪히는 소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했다(각 온도에서의 시험수: N=3). 이후, 180일 경과 후까지 마찬가지로 시험해 소리의 발생을 확인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낸다. 표에서의 수치는 시험수(N=3)에 대해 소리의 발생이 확인된 제품의 수이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표 5 및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제품 용량 150㎖ 또는 500㎖)에서는, 제품 용량과 관계없이 또한 보관 온도와 관계없이, 제조로부터 180일 경과 후에도 소리가 확인되어, 수소 함유수 제품의 용기 내에 가스 분위기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모두에서 제품을 상하로 가볍게 흔들면 용기 내에서 수소 함유수(혹은 수소 가스 분위기)가 이동하는 모습을 빨대 바깥쪽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도 2의 (b) 참조).
한편, 비교예 3(제품 용량 150㎖ 또는 500㎖)에서는, 제품 용량: 150㎖에서는 30일 경과 후부터 소리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제품 용량: 500㎖에서는 30일 경과 후에는 소리가 확인되었지만, 60일 경과 후에는 소리가 확인되지 않는 제품도 있고, 90일 경과 후에는 모든 제품에서 소리를 확인할 수 없어, 용기 내에 가스 분위기가 존재하지 않는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4: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평가(4)〉
상기 실시예 1(제품 용량 150㎖) 및 실시예 2(제품 용량 500㎖)의 제조 방법에 따라 실시예 4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그리고 비교예 1(제품 용량 150㎖) 및 비교예 2(제품 용량 500㎖)의 제조 방법에 따라 비교예 4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각각 제조하고, 이들을 실온(25℃±5℃)에서 보관했다.
제조로부터 60일 경과 후에, 각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캡 근처에 수소 가스 검지기(리켄(理硏) 계기(주) 제품, '스마트 타입 가스 검지부 GD-70D', 초기치: 0 ppm)를 설치하고, 제품의 캡을 돌려 개봉했다(각각의 제품수 5개).
실시예 4(제품 용량: 150㎖ 및 500㎖)에서는, 캡을 개봉한 순간에 수소 가스 검지기가 나타내는 값이 측정 상한치인 2,000 ppm을 모두 넘는 결과가 되었다. 한편, 비교예 4(제품 용량: 150㎖ 및 500㎖)에서는, 캡 개봉 후에도 수소 가스 검지기가 나타내는 값이 초기치(0 ppm)로부터 전혀 변화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제조 후 90일, 120일 경과 후에도, 실시예 4(제품 용량: 150㎖ 및 500㎖)의 제품에서는 개봉한 순간 검지기가 나타내는 값이 상한치 2,000 ppm을 넘는 결과가 되고, 한편 비교예 4(제품 용량: 150㎖ 및 500㎖)의 제품에서는 개봉 후의 검지기가 나타내는 값이 초기치(0 ppm) 그대로였다.
이와 같이, 실시예 4의 제품에서는 90일 경과 후의 수소 가스 분위기의 존재가 수소 가스 검지기에 의해 확인되는 한편, 비교예 4의 제품에서는 수소 가스 분위기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다.
〈예 5: 음료용 수소 함유수의 평가〉
상기 실시예 1(제품 용량 150㎖)의 제조 방법에 따라, 예 5의 평가에 이용하는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5종)을 각각 제조했다.
단, 제조시에, 탈기 공정 (2)에서 탈기 장치에 공급되는 정화수로부터 충전 공정 (4)에서 포장 용기에 주입되는 수소 함유수까지의 수유로에서 압력 펌프의 운전에 의해 부하되는 압력과, 수소 용해 공정에서의 가압 수소 가스의 압력을 이하의 조건에 적합하도록 여러 가지로 조정했다.
〈수유로 및 수소 가스의 압력 조정 조건〉
충전 직후의 제품을 추출해(3개), 추출 제품의 수소 함유수의 pH와 산화 환원 전위(vs. Ag/AgCl)를 측정했다. 측정한 pH치를 이용해 하기 식으로부터 얻어진 값이 측정한 산화 환원 전위치의 ±3㎷가 되도록 상기 압력 조건을 조정했다.
산출치(㎷)=[-59×측정한 pH치]-α
α=160, 170, 180, 190, 200 또는 210
한편, 본 조건은 α가 클수록, 제조 직후의 수소 함유수의 용존 수소 농도가 포화 농도에 가까운 것을 의미하고, α=210의 조건은,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압력 조건으로 제조한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90일 경과 후의 수소 함유수 제품의 산화 환원 전위가 상기 식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70}㎷ 이하이다'를 만족하는 것이다.
전술한 순서(가열 처리하는 공정까지와 동일하게 실시) 및 조건으로 제조한 5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α=160 또는 170의 조건에서는 제조로부터 15일 경과 후, 30일 경과 후 및 60일 경과 후에, α=180, 190, 200 및 210의 조건에서는 제조로부터 15일 경과 후, 30일 경과 후, 60일 경과 후 및 90일 경과 후에(모두 실온(25℃±5℃에서 보관)) 용존 수소 농도, pH 및 산화 환원 전위(vs. Ag/AgCl)를 측정했다. 각각의 조건에서 측정한 평균치를 산출했다(제품수=3). 얻어진 결과를 표 7 내지 표 9에 나타낸다. 한편, 표 9에는 참고로 ORP 계산치로서 하기 식으로 산출한 값을 나타냈다.
ORP 계산치 A: {[-59×(측정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70}㎷
ORP 계산치 B: {[-59×(측정한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80}㎷
또한, 경과일수에 대한 용존 수소 농도의 변화 및 산화 환원 전위의 변화에 대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90일 경과 제품에서 참고 ORP값(A)을 밑도는 제품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존 수소 농도 및 산화 환원 전위의 경시 변화량이 적고, 특히 참고 ORP값(B)을 밑도는 제품(α=210에 상당)에서는 용존 수소 농도 및 산화 환원 전위의 경시 변화가 작을 뿐만 아니라, 용존 수소 농도를 높은 값으로 유지할 수 있어, 즉 높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한편, 다른 제품에서는, 용존 수소 농도 및 산화 환원 전위의 경시 변화가 크고, 또한 용존 수소 농도의 값도 낮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상의 결과는, 제조 후 상온 보존하에서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의,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70}㎷ 이하인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이, 제조 직후부터 장기간에 걸쳐 높은 용존 수소 농도 및 낮은 산화 환원 전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은, 비교예의 제품과 비교해, 장기간 품질이 안정적인 수소 함유수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1…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2…빨대 내장 포장 용기
3…용기 본체
4…빨대
41…개구부
5…밀봉 캡
6…수소 함유수
7…분위기

Claims (9)

  1. 개구부에 밀봉 캡이 부착되는 빨대 내장 포장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가압 충전된 수소 함유수와,
    상기 용기 내의 수소 함유수보다 위쪽의 공간에, 가압 충전 후의 가열 처리에 의해 생성되고, 생성된 후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도 존재하는 가스 분위기를 갖는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으로서,
    상기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제조 후 상온 보존하에서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위기는, 수소 가스 분압이 분위기 전체압에 대해 90% 이상의 분위기인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함유수는, 충전시의 용존 수소 농도가 대기압하에서, 충전시의 수소 함유수 수온에서의 물에 대한 수소의 포화 농도 이상인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제품 용량은 150㎖ 내지 550㎖인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제조 후 상온 보존하에서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80}㎷ 이하인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제조 후 상온 보존하에서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90}㎷ 이하인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7. 개구부에 밀봉 캡이 부착되는 빨대 내장 포장 용기에 수소 함유수를 가압 충전하는 충전 공정과,
    수소 함유수가 충전된 빨대 내장 포장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 캡으로 밀봉하는 밀봉 공정과,
    충전·밀봉된 제품을 가열 처리하는 가열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은, 상기 용기 내의 수소 함유수보다 위쪽의 공간에, 상기 가압 충전 후의 가열 처리에 의해 생성되고, 생성된 후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도 존재하는 가스 분위기를 갖고,
    상기 수소 함유수의 산화 환원 전위가, 제조 후 상온 보존하에서 적어도 90일 경과한 후에 {[-59×(90일 경과 후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중의 수소 함유수의 pH치)]-170}㎷ 이하인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공정에서, 상기 수소 함유수는 0.1㎫ 내지 0.5㎫의 부하 압력으로 상기 빨대 내장 포장 용기 내에 가압 충전되는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제조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처리 공정에서, 상기 가열 처리는 85℃ 내지 90℃의 온도로 20분 내지 1시간의 가열 조건으로 행해지는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의 제조 방법.
KR1020177010501A 2014-09-25 2015-09-25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KR201700589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5585 2014-09-25
JP2014195585 2014-09-25
PCT/JP2015/077114 WO2016047758A1 (ja) 2014-09-25 2015-09-25 飲料用水素含有水製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980A true KR20170058980A (ko) 2017-05-29

Family

ID=5558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501A KR20170058980A (ko) 2014-09-25 2015-09-25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280748A1 (ko)
JP (2) JPWO2016047758A1 (ko)
KR (1) KR20170058980A (ko)
CN (1) CN107072256A (ko)
CA (1) CA2962376A1 (ko)
WO (1) WO2016047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80748A1 (en) * 2014-09-25 2017-10-05 Shefco Co., Ltd.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t for Beverage
TWI673210B (zh) * 2014-10-24 2019-10-01 日商美樂迪安股份有限公司 附有流出口之容器及其製造方法
TWI687352B (zh) * 2015-06-08 2020-03-11 日商美樂迪安股份有限公司 附有流出口之容器及其製造方法
JP6010716B1 (ja) * 2016-06-10 2016-10-19 浩章 皆川 水素水製造装置及び水素水製造方法
US11129848B2 (en) 2017-08-08 2021-09-28 Perricone Hydrogen Water Company, Llc Medication enhancement using hydrogen
CN108438518B (zh) * 2018-03-30 2021-07-09 北京水素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玻璃瓶灌装的氢气水产品及其制作方法
USD1011183S1 (en) * 2019-08-14 2024-01-16 Saint-Gobain Placo Sas Powder packaging
US11123365B2 (en) 2019-11-18 2021-09-21 Perricone Hydrogen Water Company, Llc Compositions comprising palmitoylethanolamide and hydrogen water, and method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9348B2 (ja) * 2003-08-22 2008-01-09 広島化成株式会社 酸化還元電位が−400mV〜−600mVの水を殺菌する方法
JP3606466B1 (ja) * 2004-04-12 2005-01-05 株式会社ティーイーディー 水素還元水の製造方法
JPWO2006103789A1 (ja) * 2005-03-28 2008-09-04 渉 室田 酸素含有還元性水性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4249799B1 (ja) * 2008-02-04 2009-04-08 株式会社ティー・イー・ディー 水素還元水の製造方法
JP4551964B1 (ja) * 2009-05-21 2010-09-29 株式会社シェフコ 飲料用水素含有水を製造する方法
JP3161567U (ja) * 2010-04-27 2010-08-05 株式会社バイオリサーチ 飲料用水素含有水の製造装置
JP4652479B1 (ja) * 2010-07-14 2011-03-16 ミズ株式会社 生体適用液への選択的水素添加器具
JP2012076076A (ja) * 2010-09-09 2012-04-19 Shefco Co Ltd 飲料用水素含有水を製造する方法
JP5416246B2 (ja) * 2011-11-15 2014-02-12 株式会社ヒロマイト 水素水の生水方法
US20150069056A1 (en) 2012-04-20 2015-03-12 Hydrogen Health Medical Labo Co., Ltd. Container superior in air-tightness and a method of keeping gas molecules or volatile components in the container
US20170280748A1 (en) * 2014-09-25 2017-10-05 Shefco Co., Ltd.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t for Be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2256A (zh) 2017-08-18
CA2962376A1 (en) 2016-03-31
WO2016047758A1 (ja) 2016-03-31
JPWO2016047758A1 (ja) 2017-07-20
JP7462174B2 (ja) 2024-04-05
JP2020168022A (ja) 2020-10-15
US20170280748A1 (en)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8980A (ko) 음료용 수소 함유수 제품
JP3606466B1 (ja) 水素還元水の製造方法
TW200533607A (en) Hydrogen reduced wat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6052948B2 (ja) 飲料用水素含有水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17018058A (ja) ボトル入り水素豊富水飲料、ボトル入り水素豊富水飲料の製造システム及び製造方法
CN102026923A (zh) 饮料、氢还原水以及其制造方法及保存方法
JP4023970B2 (ja) 液状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587314B2 (ja) 飲料用水素含有水製品及び箱詰めキット
JP6456011B1 (ja) 飲料用水素含有水製品の製造方法
JP4383317B2 (ja) 水素還元水の製造方法
JP7075176B2 (ja) 水素含有液の水素含有量低下抑制剤及び水素含有液の水素含有量低下抑制方法、並びに水素含有液の製造方法
TWI618676B (zh) 瓶裝富氫水飲料、瓶裝富氫水飲料之製備系統及製備方法
JP7471571B2 (ja) 飲料用水素含有水製品の製造方法並びに飲料用水素含有水製品
WO2019093493A1 (ja) 飲料用水素含有水製品並びに箱詰めキット
JP2005047509A (ja) 容器入り飲料の製造方法
US20220117270A1 (en) Method of producing hydrogen water
RU259330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фасованной глубинной питьевой воды
CN108419834A (zh) 一种含有氢气的饮料及其生产方法
JP7080275B2 (ja) 容器詰水素含有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EP3545772B1 (en) Method for preserving fresh juice of citrus fruits and pomegranates
JP2020018302A (ja) 飲料用水素含有水製品
JP2020114187A (ja) 加工食品の処理方法及び加工食品の処理システム、及び生鮮食品及び加工食品を同一の密閉された環境装置内で保存する方法
Elshani et al. Oxygen in the bottle ne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