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992A -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 Google Patents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992A
KR20170057992A KR1020150161590A KR20150161590A KR20170057992A KR 20170057992 A KR20170057992 A KR 20170057992A KR 1020150161590 A KR1020150161590 A KR 1020150161590A KR 20150161590 A KR20150161590 A KR 20150161590A KR 20170057992 A KR20170057992 A KR 20170057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oil
water
partition pane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596B1 (ko
Inventor
위선정
Original Assignee
위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선정 filed Critical 위선정
Priority to KR102015016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5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은 외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 내부에 상기 외측 케이스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그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작물이 심겨질 수 있는 내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내측 케이스의 각 하부를 연결하여 주어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내측 케이스 사이에 물과 양액 중 적어도 하나의 액이 수용되는 액 수용 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 패널을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연결 패널에서 일정 높이 상의 상공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내측 케이스의 사이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 패널과, 상기 구획 패널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구획 패널의 상부에 수용되는 토양을 통기시키는 케이스측 통기 돌출부와, 상기 액 수용 홀에 수용된 액이 상기 구획 패널의 상부에 수용된 토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패널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액 수용 홀에 수용된 액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고 상기 구획 패널의 상부에 수용된 토양 중 일부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액 공급 돌출부를 포함하는 통기 및 액 공급 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에 의하면, 가물거나 물이 귀한 지역에서도 소량의 액으로 작물 재배가 가능하고, 밀식 재배가 가능하며, 작물 뿌리에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을 수 있고, 화분 자체로도 작물 재배가 가능함은 물론 정식을 위한 작물 재배용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며, 토양 재배이면서 양액 재배를 겸할 수 있고, 다년간 화분 분갈이 없이 작물 재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Water saving type flowerpot for both soil and nutrient solution growing}
본 발명은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유실수, 각종 과채류 등의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 1 내지 2년 동안 모종을 키운 후 본토에 옮겨심는 정식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모종 재배 등에 이용되는 종래 화분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들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화분에 뿌려지는 물이 화분 내의 토양을 적신 후 그대로 빠져나와 배출되어 버려서, 작물 재배에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였고, 물 사용 효율이 높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노지, 온실 재배 등의 경우에 더욱 심하여, 물 낭비가 심하였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가뭄이 있거나 물이 귀한 산악 지역 등에서는 유실수, 각종 과채류 등의 작물 재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00-0002694호, 공개일자: 2000.01.15., 발명의 명칭: 꽃 포장 화분(에이) 꽃 포장 화분(비) 공개실용신안 제 20-2011-0002377호, 공개일자: 2011.03.09., 고안의 명칭: 장식용 화분과 물받이가 화분 받침대에 일체로 구비된 화분 세트
본 발명은 소량의 액으로도 작물 재배가 가능한 절수형이면서, 토양 양액 재배 겸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은 외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 내부에 상기 외측 케이스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그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작물이 심겨질 수 있는 내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내측 케이스의 각 하부를 연결하여 주어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내측 케이스 사이에 물과 양액 중 적어도 하나의 액이 수용되는 액 수용 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 패널을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연결 패널에서 일정 높이 상의 상공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내측 케이스의 사이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 패널과, 상기 구획 패널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구획 패널의 상부에 수용되는 토양을 통기시키는 케이스측 통기 돌출부와, 상기 액 수용 홀에 수용된 액이 상기 구획 패널의 상부에 수용된 토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패널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액 수용 홀에 수용된 액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고 상기 구획 패널의 상부에 수용된 토양 중 일부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액 공급 돌출부를 포함하는 통기 및 액 공급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에 의하면, 액 수용 홀에 액이 저장된 상태로 작물에 지속적으로 액이 공급될 수 있어서 지속적으로 액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물, 양액 등의 액 절감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가물거나 물이 귀한 지역에서도 소량의 액으로 작물 재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에 의하면, 작물을 다년간 기르는 동안 좁은 공간에 촘촘하게 배치하여 밀식 재배가 가능하고, 다년간 기른 후 본토 등으로 정식하는 경우에도 소화분 부재를 분리하여 그래도 옮겨심으면 되어 작물 뿌리에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을 수 있고, 화분 자체로도 작물 재배가 가능함은 물론 정식을 위한 작물 재배용으로도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에 의하면, 토양 재배이면서 양액 재배를 겸할 수 있고, 화분 내 토양 속의 양분이 소진되기 전까지는 액 수용 홀에 물을 공급하여 재배하다가, 토양 속의 양분이 소진된 후에는 액 수용 홀에 양액을 공급해주면서 재배하여, 다년간 화분 분갈이 없이 작물 재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을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을 구성하는 통기 및 액 공급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을 구성하는 소화분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이 복수 개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을 구성하는 소화분 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이 복수 개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을 구성하는 통기 및 액 공급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을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을 구성하는 통기 및 액 공급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을 구성하는 소화분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이 복수 개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100)은 케이스 부재(110)와, 통기 및 액 공급 부재(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100)은 소화분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부재(110)는 외측 케이스(111)와, 내측 케이스(112)와, 연결 패널(113)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 케이스(111)는 상기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 케이스(112)는 상기 외측 케이스(1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111) 내부에 상기 외측 케이스(111)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 케이스(112)의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내측 케이스(112)의 내부에 작물(6)이 심겨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측 케이스(112)도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 케이스(112)는 상기 외측 케이스(1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내측 케이스(112)는 상기 외측 케이스(111)의 높이의 절반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 케이스(112)의 상단에는 상기 내측 케이스(112)의 외측으로 상기 통기 및 액 공급 부재(120)가 걸리고, 상기 내측 케이스(112)의 내측으로 상기 소화분 부재(130)가 걸릴 수 있다.
상기 연결 패널(113)은 상기 외측 케이스(111)와 상기 내측 케이스(112)의 각 하부를 연결하여 주어 상기 외측 케이스(111)와 상기 내측 케이스(112) 사이에 물과 양액 중 적어도 하나의 액이 수용되는 액 수용 홀(117)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액 수용 홀(117)의 상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층이 후술되는 케이스측 통기 돌출부(122)와 연통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내측 케이스(112)가 상기 외측 케이스(111)의 하부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케이스(112)의 하부와 상기 외측 케이스(111)의 하부가 상기 연결 패널(113)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측 케이스(111)와 상기 내측 케이스(112) 사이에 상기 액 수용 홀(117)이 형성되되, 상기 액 수용 홀(117)이 상기 내측 케이스(112)를 둘러싼 도넛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14는 상기 외측 케이스(111)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입구로, 상기 유출입구(114)를 통해 외부에서 액이 상기 외측 케이스(111) 내부로 공급되거나 외부로 상기 외측 케이스(111) 내부의 액이 유출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15는 상기 외측 케이스(111)의 일정 높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액 수용 홀(117) 내의 액의 수위가 요구되는 수위 내로 조절되도록, 과도하게 유입된 액이 오버플로우되는 오버플로우 관이다.
도면 번호 116은 상기 내측 케이스(112) 내부에 형성되어 작물(6)이 직접 심겨지거나 상기 소화분 부재(130)가 수용될 수 있는 내측 공간이다.
상기 통기 및 액 공급 부재(120)는 구획 패널(121)과, 케이스측 통기 돌출부(122)와, 액 공급 돌출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구획 패널(121), 상기 케이스측 통기 돌출부(122) 및 상기 액 공급 돌출부(124)에는 각각 복수 개의 관통 홀(123, 125, 126)이 형성되어, 공기 또는 액이 통과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패널(121)은 상기 연결 패널(113)에서 일정 높이 상의 상공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111)와 상기 내측 케이스(112)의 사이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것이다.
상기 구획 패널(121)은 내부가 빈 원형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획 패널(121)의 내측 부분이 상기 내측 케이스(112)의 상단에 걸릴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구획 패널(121)에 의해 상기 원형 케이스의 상부, 즉 상기 구획 패널(121)의 상부에 토양(5)이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측 통기 돌출부(122)는 상기 구획 패널(121)의 하측 공간의 공기층과 연통되면서 상기 구획 패널(121)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구획 패널(121)의 상부에 수용되는 토양(5)을 통기시키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측 통기 돌출부(122)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구획 패널(121)의 상부로 서로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111) 내부에 수용된 상기 토양(5) 내부의 복수의 지점에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통기시킨다.
상기 통기 및 액 공급 부재(120)는 상기 액 수용 홀(117)에 수용된 액이 상기 구획 패널(121)의 상부에 수용된 토양(5)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패널(121)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구획 패널(121)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액 수용 홀(117)에 수용된 액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고 상기 구획 패널(121)의 상부에 수용된 토양(5) 중 일부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통기 및 액 공급 부재(12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구획 패널(121)의 하부로 서로 이격되도록 돌출되고, 상기 통기 및 액 공급 부재(120)의 말단부가 상기 액 수용 홀(117)에 수용된 액 속에 잠기게 되며, 상기 각 통기 및 액 공급 부재(120) 내부에 상기 구획 패널(121) 상측의 토양(5)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액 수용 홀(117)에 수용된 액이 상기 각 통기 및 액 공급 부재(120) 내부의 토양(5)으로 흡수되면서 상기 구획 패널(121) 상부의 토양(5)에까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케이스측 통기 돌출부(122)와 상기 각 액 공급 돌출부(124)는 상기 구획 패널(121) 상에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즉, 하나의 케이스측 통기 돌출부(122)가 상기 구획 패널(121)의 상부로 돌출되고, 그 옆 부분에 하나의 액 공급 돌출부(124)가 상기 구획 패널(121)의 하부로 돌출되며, 그 옆 부분에 다른 하나의 케이스측 통기 돌출부(122)가 상기 구획 패널(121)의 상부로 돌출되고, 그 옆 부분에 다른 하나의 액 공급 돌출부(124)가 상기 구획 패널(121)의 하부로 돌출되는 식으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외측 케이스(111) 내에 수용된 토양(5) 속에 공기와 액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화분 부재(130)는 상기 작물(6)이 심겨진 상태로 상기 내측 케이스(112)의 개방된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서, 소화분 본체(131)와,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분 본체(131)는 상기 작물(6)이 심겨지기 위하여 토양(5)이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외측 케이스(111) 상부에 수용된 토양(5) 중의 일부가 상기 소화분 본체(13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135)는 상기 소화분 본체(131)의 바닥 중앙부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소화분 본체(131)의 상부에 수용되는 토양(5)을 통기시키는 것이다.
상기 소화분 본체(131)와 상기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135)에는 각각 복수 개의 관통 홀(132, 136)이 형성되어, 공기 또는 액이 통과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100)은 작물(6) 재배를 위해 그 자체로 독립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에 의해 유출입구(114)가 서로 연결되면서 복수 개가 나란히 배열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도면 번호 20은 상기 배관(10)을 통해 상기 각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100)에 순차적으로 공급되어질 액을 수용하는 액 수용통이고, 도면 번호 30은 상기 액 수용 통(20)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이고, 도면 번호 40은 외부 수원과 연결되어, 상기 수위 감지 센서(30)에 의해 상기 액 수용 통(20) 내부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액 수용 통(20) 내부로 액을 보충해주는 액 인입부이다.
도 5에 도시된 예는 상기 소화분 부재(130)까지 모두 적용되어 상기 소화분 부재(130)에 작물(6)이 심겨진 것이다. 물론, 이러한 예 외에, 상기 소화분 부재(130)를 제거한 후 상기 내측 케이스(112)에 직접 작물(6)이 심겨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100)에 의하면, 액 수용 홀(117)에 액이 저장된 상태로 작물(6)에 지속적으로 액이 공급될 수 있어서 지속적으로 액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물, 양액 등의 액 절감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가물거나 물이 귀한 지역에서도 소량의 액으로 작물(6) 재배가 가능하다.
또한, 작물(6)을 다년간 기르는 동안 좁은 공간에 촘촘하게 배치하여 밀식 재배가 가능하고, 다년간 기른 후 본토 등으로 정식하는 경우에도 소화분 부재(130)를 분리하여 그래도 옮겨심으면 되어 작물(6) 뿌리에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을 수 있고, 화분 자체로도 작물(6) 재배가 가능함은 물론 정식을 위한 작물(6) 재배용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토양(5) 재배이면서 양액 재배를 겸할 수 있고, 화분 내 토양(5) 속의 양분이 소진되기 전까지는 액 수용 홀(117)에 물을 공급하여 재배하다가, 토양(5) 속의 양분이 소진된 후에는 액 수용 홀(117)에 양액을 공급해주면서 재배하여, 다년간 화분 분갈이 없이 작물(6) 재배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을 구성하는 소화분 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이 복수 개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소화분 부재(230)가 소화분 본체(231)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통기 돌출 관통 홀(233)과,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235)의 하부에서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기 돌출 플랜지(23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235)가 상기 통기 돌출 관통 홀(233)을 통해 삽입되면, 상기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235)가 상기 소화분 본체(231)의 상부에 수용되는 토양 속으로 밀려 올라갈 수 있고, 상기 통기 돌출 플랜지(237)가 상기 통기 돌출 관통 홀(233) 주변부에 걸려 상기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235)의 상승이 제한된다.
반면, 상기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235)가 상기 통기 돌출 관통 홀(233)을 통해 하측으로 이탈되면, 상기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235)가 상기 소화분 본체(231)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235)가 제거되고 상기 소화분 본체(231)만 적용되어, 상기 소화분 본체(231) 내에 작물이 심겨져 상기 작물의 뿌리가 상기 통기 돌출 관통 홀(23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노지 등 외부 토양에 직접 작물의 뿌리가 심겨질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을 구성하는 통기 및 액 공급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통기 및 액 공급 부재(320)를 구성하는 구획 패널(321)의 내부 홀 가장자리를 따라 케이스측 통기 돌출부(322)와 액 공급 돌출부(324)가 배열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에 의하면, 소량의 액으로도 작물 재배가 가능한 절수형이면서, 토양 양액 재배 겸용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110 : 케이스 부재
120 : 통기 및 액 공급 부재
130 : 소화분 부재

Claims (4)

  1. 외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 내부에 상기 외측 케이스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그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작물이 심겨질 수 있는 내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내측 케이스의 각 하부를 연결하여 주어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내측 케이스 사이에 물과 양액 중 적어도 하나의 액이 수용되는 액 수용 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 패널을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연결 패널에서 일정 높이 상의 상공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내측 케이스의 사이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 패널과,
    상기 구획 패널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구획 패널의 상부에 수용되는 토양을 통기시키는 케이스측 통기 돌출부와,
    상기 액 수용 홀에 수용된 액이 상기 구획 패널의 상부에 수용된 토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패널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액 수용 홀에 수용된 액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고 상기 구획 패널의 상부에 수용된 토양 중 일부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액 공급 돌출부를 포함하는 통기 및 액 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케이스측 통기 돌출부와 상기 각 액 공급 돌출부는 상기 구획 패널 상에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은
    상기 작물이 심겨진 상태로 상기 내측 케이스의 개방된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소화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분 부재는
    상기 작물이 심겨지기 위하여 토양이 수용되는 소화분 본체와,
    상기 소화분 본체의 바닥 중앙부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소화분 본체의 상부에 수용되는 토양을 통기시키는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분 부재는
    상기 소화분 본체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통기 돌출 관통 홀과,
    상기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의 하부에서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기 돌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가 상기 통기 돌출 관통 홀을 통해 삽입되면 상기 소화분 본체의 상부에 수용되는 토양 속으로 밀려 올라갈 수 있고, 상기 통기 돌출 플랜지가 상기 통기 돌출 관통 홀 주변부에 걸려 상기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의 상승이 제한되고,
    상기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가 상기 통기 돌출 관통 홀을 통해 이탈되면 상기 소화분측 통기 돌출부가 상기 소화분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KR1020150161590A 2015-11-18 2015-11-18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KR101864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590A KR101864596B1 (ko) 2015-11-18 2015-11-18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590A KR101864596B1 (ko) 2015-11-18 2015-11-18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992A true KR20170057992A (ko) 2017-05-26
KR101864596B1 KR101864596B1 (ko) 2018-06-05

Family

ID=5905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590A KR101864596B1 (ko) 2015-11-18 2015-11-18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3220A (zh) * 2017-10-30 2018-03-13 融安县飞煌原生草药材专业合作社 一种提高娃儿藤花粉活力的营养液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220Y2 (ja) * 1990-01-09 1998-12-16 昇 近藤 植木用の水等供給装置
KR20000002694A (ko) 1998-06-23 2000-01-15 박창현 꽃 포장 화분(에이) 꽃 포장 화분(비)
JP3816444B2 (ja) * 2000-12-04 2006-08-30 イーウーペー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フィーア ウムヴェルトプフレーゲ アーゲー 植物の栽培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成形体
KR200427154Y1 (ko) * 2006-06-23 2006-09-25 이의근 재배용기 및 그의 재배용 포트
KR20110002377U (ko) 2009-09-01 2011-03-09 김양칠 장식용 화분과 물받이가 화분 받침대에 일체로 구비된 화분 세트
KR101481320B1 (ko) * 2013-09-13 2015-01-14 위선정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220Y2 (ja) * 1990-01-09 1998-12-16 昇 近藤 植木用の水等供給装置
KR20000002694A (ko) 1998-06-23 2000-01-15 박창현 꽃 포장 화분(에이) 꽃 포장 화분(비)
JP3816444B2 (ja) * 2000-12-04 2006-08-30 イーウーペー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フィーア ウムヴェルトプフレーゲ アーゲー 植物の栽培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成形体
KR200427154Y1 (ko) * 2006-06-23 2006-09-25 이의근 재배용기 및 그의 재배용 포트
KR20110002377U (ko) 2009-09-01 2011-03-09 김양칠 장식용 화분과 물받이가 화분 받침대에 일체로 구비된 화분 세트
KR101481320B1 (ko) * 2013-09-13 2015-01-14 위선정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3220A (zh) * 2017-10-30 2018-03-13 融安县飞煌原生草药材专业合作社 一种提高娃儿藤花粉活力的营养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596B1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644B1 (ko) 수경 재배용 베드
US2005024123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moting the growth of plant air roots
US2007027184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US20210068357A1 (en) Self watering bottle planter insert
KR20150130898A (ko) 화분식 묘목 생산용 기구
US9468155B2 (en) Planting wall container structure
KR101362925B1 (ko) 채소재배 및 새싹재배 겸용 가정용 다기능 식물재배기
KR101864596B1 (ko)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RU125429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ращивания семян
KR101798946B1 (ko) 화분용 발효 유닛 및 상기 화분용 발효 유닛을 포함하는 발효 장수 화분
KR101519965B1 (ko) 식물 재배용 친환경 양변기 물탱크 덮개
KR101659908B1 (ko) 수경식물 재배용 화분 키트를 사용한 식물 재배 장치
KR101232643B1 (ko) 수경 재배장치
KR101798945B1 (ko) 지속적 양분 및 산소 공급 가능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WO2017104703A1 (ja) 露地水耕栽培キット、露地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植物体の製造方法
KR101685568B1 (ko)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KR101811871B1 (ko)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 및 화분 받침대
KR102259101B1 (ko) 지속적 양분 및 산소 공급 가능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JPH1029A (ja) 植物成育鉢
JP2008109873A (ja) 果菜類の多段階根域制限栽培方法とその装置
KR101663865B1 (ko)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
JP2002058349A (ja) 植木鉢用内容器
JP5981494B2 (ja) 植物栽培万能ポットと収納トレー
RU2709721C1 (ru) Лоток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