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320B1 -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320B1
KR101481320B1 KR20130110748A KR20130110748A KR101481320B1 KR 101481320 B1 KR101481320 B1 KR 101481320B1 KR 20130110748 A KR20130110748 A KR 20130110748A KR 20130110748 A KR20130110748 A KR 20130110748A KR 101481320 B1 KR101481320 B1 KR 101481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plant
soil
pot
ne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선정
Original Assignee
위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선정 filed Critical 위선정
Priority to KR2013011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A01G13/0212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은 식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본체; 및 상기 화분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식물을 덮으면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망 형태로 형성되는 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망 부재는 복수 번 접혀 겹쳐진 겹침부를 가져서, 상기 식물의 생장에 따라 상기 겹침부가 펼쳐지면서 상기 망 부재가 신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에 의하면, 망 부재가 복수 번 접혀 겹쳐진 겹침부를 가져서, 식물의 생장에 따라 겹침부가 펼쳐지면서 망 부재가 신장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생장에 맞추어 망 부재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그러한 망 부재의 교체 시에 병충해가 식물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Nutrient solution soil flowerpot and nutrient solution supplying apparatus comprising the nutrient solution soil flowerpot}
본 발명은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식물 등을 심어서 기르기 위한 것으로, 화분 내의 토양에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화분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은, 본원의 출원인이 이미 출원했던 공개특허 제 10-2004-0060691호(발명의 명칭: 화분)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분에 의하면, 화분에 심겨진 식물에 병충해 등이 생기지 않도록 망을 덮어두기도 하는데, 식물이 생장함에 따라 망을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그러한 망 교체 중에 병충해가 식물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분에 의하면, 토양 속의 식물 뿌리로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힘들었다.
또한, 종래의 화분에 의하면, 화분을 복수 개 설치하여 식물을 기르고자 하는 경우, 각 화분에 양액을 개별적으로 공급하여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식물이 생장하더라도 망 교체가 필요없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양 속의 식물 뿌리로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 개 설치된 화분을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은 식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본체; 및 상기 화분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식물을 덮으면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망 형태로 형성되는 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망 부재는 복수 번 접혀 겹쳐진 겹침부를 가져서, 상기 식물의 생장에 따라 상기 겹침부가 펼쳐지면서 상기 망 부재가 신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는 식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본체와, 상기 화분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식물을 덮으면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망 형태로 형성되는 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망 부재는 복수 번 접혀 겹쳐진 겹침부를 가져서 상기 식물의 생장에 따라 상기 겹침부가 펼쳐지면서 상기 망 부재가 신장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성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복수 개의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 중 서로 이웃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관통관; 상기 관통관을 통해 상기 각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양액 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 펌프; 및 상기 공급 펌프에 의해 상기 각 양액 토양 겸용 화분으로 공급될 수 있는 상기 양액 또는 물이 수용되는 양액 수용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에 의하면, 망 부재가 복수 번 접혀 겹쳐진 겹침부를 가져서, 식물의 생장에 따라 겹침부가 펼쳐지면서 망 부재가 신장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생장에 맞추어 망 부재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그러한 망 부재의 교체 시에 병충해가 식물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에 의하면,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이 공기 공급관을 포함함에 따라, 토양 속의 식물 뿌리로 공기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에 의하면, 양액 공급 장치가 복수 개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과, 연결관과, 관통관과, 공급 펌프와, 양액 수용통을 포함함에 따라, 복수 개 설치된 화분에 양액 공급을 한꺼번에 할 수 있는 등 복수 개 설치된 화분을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식물이 심겨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식물이 심겨진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식물이 심겨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를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식물이 심겨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식물이 심겨진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은 화분 본체(110)와, 망 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화분 본체(110)는 식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화분 본체(110)는 화분 몸체(111)와, 상기 화분 몸체(111)의 상단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망 부재(150)가 고정될 수 있는 플랜지(112)와, 상기 화분 몸체(1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화분 본체(110) 내부로 외부에서 양액 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구(113)와, 상기 수구(113)와 상기 화분 몸체(111)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홀(114)과, 상기 수구(113)를 개폐시킬 수 있는 수구 도어(115)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116은 청소 등을 위하여 상기 화분 몸체(111) 내부의 양액을 모두 빼낼 때 등에 사용하는 퇴수구이고, 도면 번호 117은 양액을 상기 화분 몸체(111) 내부로 외부에서 공급할 수 있는 양액 공급관(125)이고, 도면 번호 118은 상기 화분 몸체(111) 내부의 양액이 넘치는 경우 그러한 양액이 빠져나올 수 있는 수위 조절관이다.
상기 망 부재(150)는 상기 화분 본체(110)에 연결되어, 상기 식물을 덮으면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망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망 부재(150)가 복수 번 접혀 겹쳐진 겹침부(151)를 가져서, 상기 식물의 생장에 따라 상기 겹침부(151)가 펼쳐지면서 상기 망 부재(150)가 신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망 부재(150)는 전체적으로 복수 번 접혀 겹쳐진 형태를 이루는 상기 겹침부(151)를 가지고, 그 말단이 결합 수단(155)에 의해 상기 플랜지(112)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식물이 생장하면, 상기 식물에 의해 상기 망 부재(150)가 밀려 올라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겹침부(151)가 서서히 펼쳐지면서 상기 망 부재(150)가 상기 식물을 누르지 않고 상기 식물의 생장에 맞추어 신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망 부재(150)가 복수 번 접혀 겹쳐진 상기 겹침부(151)를 가져서, 상기 식물의 생장에 따라 상기 겹침부(151)가 펼쳐지면서 상기 망 부재(150)가 신장될 수 있으므로, 상기 식물의 생장에 맞추어 상기 망 부재(150)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그러한 망 부재(150)의 교체 시에 병충해가 식물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은 구획 패널(120)과, 양액 공급관(125)과, 공기 공급관(1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획 패널(120)은 상기 화분 본체(110)의 하부에는 양액이 수용되고 상기 화분 본체(110)의 상부에는 상기 토양이 담길 수 있도록, 상기 화분 본체(110)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것이다.
상기 양액 공급관(125)은 상기 구획 패널(120)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로 함몰되어 상기 화분 본체(110)의 하부에 수용된 상기 양액에 담겨, 상기 양액이 상기 토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양액 공급관(125)에는 복수 개의 천공(126)이 형성되어,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상기 양액이 상기 양액 공급관(125)을 따라 상기 토양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액 공급관(125)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30은 상기 양액 공급관(125)에 삽입되어 상기 양액의 상기 토양으로의 전달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스펀지 등의 양액 전달 부재로, 상기 양액 공급관(125)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관(160)은 상기 구획 패널(120)의 하단과 양액의 수면 사이의 공기가 상기 구획 패널(120) 상단의 토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패널(12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화분 본체(110)의 상부에 수용된 상기 토양 속을 파고든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공기 공급관(160)에는 복수 개의 천공(161)이 형성되어, 상기 구획 패널(120) 하단의 공기가 상기 천공(161)을 통해 상기 토양 속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100)이 상기 공기 공급관(160)을 포함함에 따라, 토양 속의 식물 뿌리로 공기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화분 본체(110)의 상단, 즉 상기 플랜지(112)에는 상기 화분 본체(110)에 담긴 상기 토양을 덮을 수 있는 덮개 부재(140)가 걸쳐지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덮개 부재(140)에는 상기 식물이 관통될 수 있는 식물 관통 홀(141)이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식물이 상기 식물 관통 홀(141)을 통해 생장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토양의 외부 노출을 막아, 상기 토양의 수분 증발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식물이 심겨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화분 본체(210)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 이외에는 상기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이 밖에도 다른 다양한 형태로 화분 본체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액 공급 장치(500)는 복수 개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과, 연결관(530)과, 관통관(540)과, 공급 펌프(510)와, 양액 수용통(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은 상기된 제 3 실시예에서 제시된 형태와 동일한 형태가 적용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제시된 형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은 식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본체와, 상기 화분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식물을 덮으면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망 형태로 형성되는 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망 부재는 복수 번 접혀 겹쳐진 겹침부를 가져서 상기 식물의 생장에 따라 상기 겹침부가 펼쳐지면서 상기 망 부재가 신장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530)은 복수 개의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 중 서로 이웃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한다.
상기 연결관(530)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각 서로 이웃하는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의 양액이 있는 부분을 서로 연통시키는 것이다.
상기 관통관(540)은 상기 연결관(5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53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 펌프(510)는 상기 관통관(540)을 통해 상기 각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에 양액 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양액 수용통(520)은 상기 공급 펌프(510)에 의해 상기 각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으로 공급될 수 있는 상기 양액 또는 물이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양액 수용통(520)은 이웃한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에 형성된 상기 연결관(530)과 연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공급 펌프(510)가 상기 양액 수용통(520)에 수용된 양액을 빨아들여 상기 관통관(540)을 통해 제일 마지막, 즉 상기 공급 펌프(510)에서 제일 먼 곳에 위치된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 내부로 공급한다.
이러한 공급이 이루어져서 제일 먼 곳에 위치된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의 하부에 양액 공급이 완료되면, 양액이 넘치게 되는데, 이러한 넘치는 양액이 상기 연결관(530)을 통해 이웃한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의 하부로 공급되어, 그 이웃한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의 하부에 양액이 채워진다.
이러한 형태로 순차적으로 상기 각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의 하부에 모두 양액 공급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넘친 양액은 상기 양액 수용통(520)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양액 공급 장치(500)가 복수 개의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과, 연결관(530)과, 관통관(540)과, 공급 펌프(510)와, 양액 수용통(520)을 포함함에 따라, 복수 개 설치된 화분에 양액 공급을 한꺼번에 할 수 있는 등 복수 개 설치된 화분을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다.
물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관(540) 중간중간에 공급 홀(541)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 홀(541)을 통해 상기 각 양액 토양 겸용 화분(400) 내보 양액이 직접 각각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에 의하면, 식물이 생장하더라도 망 교체가 필요없고, 토양 속의 식물 뿌리로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 설치된 화분을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양액 토양 겸용 화분 110 : 화분 본체
120 : 구획 패널 150 : 망 부재
151 : 겹침부

Claims (5)

  1. 식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본체; 및
    상기 화분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식물을 덮으면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망 형태로 형성되는 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망 부재는 복수 번 접혀 겹쳐진 겹침부를 가져서, 상기 식물의 생장에 따라 상기 겹침부가 펼쳐지면서 상기 망 부재가 신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은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에는 양액이 수용되고 상기 화분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토양이 담길 수 있도록, 상기 화분 본체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 패널;
    상기 구획 패널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에 수용된 상기 양액에 담겨, 상기 양액이 상기 토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양액 공급관; 및
    상기 구획 패널의 하단과 상기 양액의 수면 사이의 공기가 상기 토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패널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화분 본체의 상부에 수용된 상기 토양 속을 파고든 형태를 이루는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화분 본체 내부로 양액 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화분 본체에 담긴 상기 토양을 덮을 수 있는 덮개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덮개 부재에는 상기 식물이 관통될 수 있는 식물 관통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5. 식물이 심겨질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본체와, 상기 화분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식물을 덮으면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망 형태로 형성되는 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망 부재는 복수 번 접혀 겹쳐진 겹침부를 가져서 상기 식물의 생장에 따라 상기 겹침부가 펼쳐지면서 상기 망 부재가 신장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성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복수 개의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 중 서로 이웃하는 양액 토양 겸용 화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관통관;
    상기 관통관을 통해 상기 각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양액 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 펌프; 및
    상기 공급 펌프에 의해 상기 각 양액 토양 겸용 화분으로 공급될 수 있는 상기 양액 또는 물이 수용되는 양액 수용통;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
KR20130110748A 2013-09-13 2013-09-13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 KR101481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748A KR101481320B1 (ko) 2013-09-13 2013-09-13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748A KR101481320B1 (ko) 2013-09-13 2013-09-13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320B1 true KR101481320B1 (ko) 2015-01-14

Family

ID=5258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748A KR101481320B1 (ko) 2013-09-13 2013-09-13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3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109A (ko) 2015-02-27 2016-09-06 전라남도(농업기술원장) 양액 농도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19564A (ko) 2015-04-06 2016-10-14 전라남도(농업기술원장) 양액 공급 방법 및 장치
WO2016169792A1 (en) * 2015-04-22 2016-10-27 Vplants Vessel for use in cultivation of plants
KR20170057992A (ko) * 2015-11-18 2017-05-26 위선정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KR101786232B1 (ko) * 2015-12-06 2017-10-17 이훈재 식물 재배용 저면관수 화분
KR101798946B1 (ko) * 2015-09-24 2017-11-17 위선정 화분용 발효 유닛 및 상기 화분용 발효 유닛을 포함하는 발효 장수 화분
WO2019146836A1 (ko) * 2018-01-26 2019-08-01 왕영성 지층의 잔존수분을 이용한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8586A (ja) * 1995-09-08 1997-03-25 Muneo Hiratani 法面保護緑化用マット
KR200405135Y1 (ko) 2005-10-07 2006-01-10 박우구 육묘용 포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8586A (ja) * 1995-09-08 1997-03-25 Muneo Hiratani 法面保護緑化用マット
KR200405135Y1 (ko) 2005-10-07 2006-01-10 박우구 육묘용 포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109A (ko) 2015-02-27 2016-09-06 전라남도(농업기술원장) 양액 농도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19564A (ko) 2015-04-06 2016-10-14 전라남도(농업기술원장) 양액 공급 방법 및 장치
WO2016169792A1 (en) * 2015-04-22 2016-10-27 Vplants Vessel for use in cultivation of plants
KR101798946B1 (ko) * 2015-09-24 2017-11-17 위선정 화분용 발효 유닛 및 상기 화분용 발효 유닛을 포함하는 발효 장수 화분
KR20170057992A (ko) * 2015-11-18 2017-05-26 위선정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KR101864596B1 (ko) * 2015-11-18 2018-06-05 위선정 절수형 토양 양액 재배 겸용 화분
KR101786232B1 (ko) * 2015-12-06 2017-10-17 이훈재 식물 재배용 저면관수 화분
WO2019146836A1 (ko) * 2018-01-26 2019-08-01 왕영성 지층의 잔존수분을 이용한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320B1 (ko)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을 포함하는 양액 공급 장치
JP6675388B2 (ja) モジュール式容器及びモジュール式注水システム
CN105899069B (zh) 多重盆栽植物自灌溉系统
JP6748895B2 (ja) 水耕栽培装置
KR101961291B1 (ko) 개량된 급수구조를 갖는 다단식 식물 재배장치
US7506473B2 (en) Irrigation device
KR101271085B1 (ko) 수분 공급용 화분
KR20120060116A (ko) 식물 관찰용 키트
GB2250171A (en) Plant pot
CN2749254Y (zh) 带有保湿功能的兰花种植盆
US20130067811A1 (en) Plan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KR20100127144A (ko)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CN203860115U (zh) 植物容器
KR101303785B1 (ko) 식물 관찰용 키트
JP2000217434A (ja) 植物栽培容器
WO2013185151A1 (en) Plant container
KR20170001235U (ko) 공기 통로가 있는 액비 공급용 화분 받침과 이중화분
CN105075700A (zh) 植物容器
KR101479851B1 (ko) 화분 물 공급 장치
JP3152261U (ja) 簡易灌水装置
KR102414636B1 (ko) 식물재배가 용이한 주머니화분
KR20080002196U (ko)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KR20130096473A (ko) 화분용 급수기
JP6705795B2 (ja) 栽培装置及び栽培システム
JP2004215556A (ja) 果実・果菜の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