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533A - 갈치낚시 지선 채비 - Google Patents

갈치낚시 지선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533A
KR20170057533A KR1020150160775A KR20150160775A KR20170057533A KR 20170057533 A KR20170057533 A KR 20170057533A KR 1020150160775 A KR1020150160775 A KR 1020150160775A KR 20150160775 A KR20150160775 A KR 20150160775A KR 20170057533 A KR20170057533 A KR 20170057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fishing
wire
line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길
Original Assignee
최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길 filed Critical 최명길
Priority to KR1020150160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7533A/ko
Publication of KR2017005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치의 입질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갈치의 날카로운 이빨에 채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나일론, 카본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갈치낚시를 위한 원줄 또는 상기 도래에 연결되는 목줄; 금속 재질로서 단사 또는 합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목줄의 타단부와 직결매듭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 및 상기 목줄과 상기 와이어가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직결매듭으로 형성된 일정 두께의 돌기부에 끼움 결합되는 축광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갈치낚시 지선 채비{LINE JOINER FOR HAIRTAIL FISHING}
본 발명은 갈치낚시 지선 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갈치의 입질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갈치의 날카로운 이빨에 채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에 관한 것이다.
갈치는 난해성의 바다에서 표층부터 수심 350m까지 서식하는 어류로서, 생김새가 기다란 칼 모양을 하고 있어 도어(刀魚) 또는 칼치라고도 한다.
이러한 갈치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맛이 좋아 시중에서 인기가 많고 비싼 어종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갈치 어업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갈치는 어획 과정에서 표피에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 그물 대신에 낚시를 이용하여 잡는다.
특히, 갈치는 야행성으로서 발광체에 유인이 잘되는 어종으로, 묶음바늘의 목줄에 케미라이트나 발광체를 끼워 갈치낚시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갈치낚시를 하는데 있어, 갈치가 바늘에 걸리게 되면 심한 몸부림으로 인해 목줄의 엉킴이 심하고, 날카로운 이빨에 목줄이 쓸려 절단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10)을 묶은 목줄(30)에 축광재질의 고무호스(20)를 끼운 갈치낚시용 묶음바늘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갈치잡이용 묶음바늘은 축광재질의 고무호스로 인해 갈치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으며, 바늘에서부터 목줄의 일정 지점까지 고무호스가 감싸고 있으므로 목줄의 엉킴을 방지하고 갈치의 날카로운 이빨이 목줄이 손상되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종래의 갈치잡이용 묶음바늘은 갈치의 날카로운 이빨로부터 목줄을 보호하고자 고무호스가 바늘로부터 목줄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5㎝ 정도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대략 5cm의 길이는 통상 갈치가 바늘을 삼켰을 때 주둥이의 이빨이 미치는 목줄의 범위와 집어 반경을 고려한 것으로서 많은 현장 경험과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이다.
그러나, 대형급 갈치가 목줄을 5cm 이상 삼킬 경우 상기 목줄이 손상되어 절단되므로 채비를 재정비하는 시간을 허비함은 물론 조과에도 나쁜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형급 갈치의 경우 보통 크기의 갈치에 비해 많게는 몇 배 이상 높은 가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타격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고무호스의 길이를 더욱 길게 할 수도 있으나, 고무호스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질 경우 목줄이 자연스럽게 유동하지 않아 입질을 받을 확률이 저하되어 조과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갈치의 활성도가 낮을 경우 지나치게 긴 고무호스로 인해 경계심이 높아져 입질을 받기 어려움은 물론 입질을 받더라도 예민한 입질로 인해 후킹(입걸림)으로까지 이어지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KR 10-2011-0080752 A KR 20-2000-0002690 U KR 20-0338846 Y1 KR 20-0437486 Y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갈치의 입질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갈치의 날카로운 이빨에 채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갈치낚시를 위한 원줄 또는 상기 원줄과 연결된 도래에 연결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에 있어서, 나일론, 카본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원줄 또는 상기 도래에 연결되는 목줄; 금속 재질로서 단사 또는 합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목줄의 타단부와 직결매듭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 및 상기 목줄과 상기 와이어가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직결매듭으로 형성된 일정 두께의 매듭부에 끼움 결합되는 축광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축광호스의 내부 중공의 직경은 상기 매듭부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축광호스는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매듭부 상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낚시바늘의 바늘귀와, 상기 바늘귀에 감겨진 와이어를 감싸도록 끼움 결합되는 보강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호스의 내부 중공에는 소정 성분의 접착제가 입사되어 상기 낚시바늘의 바늘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보강호스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보강호스의 내부 중공을 메워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갈치낚시를 위한 원줄 또는 상기 원줄과 연결된 도래에 연결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에 있어서, 나일론, 카본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원줄 또는 상기 도래에 연결되는 목줄; 적어도 둘 이상의 고리부가 형성되며, 일측 고리부에 상기 목줄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연결구; 금속 재질로서 단사 또는 합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연결구의 타측 고리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 및 상기 목줄과 상기 와이어가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연결구에 끼움 결합되는 축광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축광호스의 내부 중공의 직경은 상기 연결구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축광호스는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구 상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낚시바늘의 바늘귀와, 상기 바늘귀에 감겨진 와이어를 감싸도록 끼움 결합되는 보강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호스의 내부 중공에는 소정 성분의 접착제가 입사되어 상기 낚시바늘의 바늘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보강호스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보강호스의 내부 중공을 메워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축광호스의 길이를 5cm 내외로 유지하면서도 상황에 따라 일정 간격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갈치의 입질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갈치의 날카로운 이빨에 채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갈치낚시 지선 채비를 도시하는 입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갈치낚시 지선 채비를 도시하는 입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갈치낚시 지선 채비의 상황별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갈치낚시 지선 채비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갈치낚시 지선 채비를 도시하는 입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갈치낚시 지선 채비는 갈치낚시를 위한 원줄 또는 상기 원줄과 연결된 도래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원줄 또는 상기 도래에 연결되는 목줄(200)과, 일단부가 상기 목줄(200)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400)와, 상기 와이어(40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600)과, 상기 목줄(200)과 상기 와이어(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지는 축광호스(800)를 포함한다.
먼저, 목줄(200)은 나일론, 카본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일론은 적당한 신축성과 강도를 가지며 염색이 자유로운 특징이 있다.
카본은 나일론에 비해 강도와 비중이 높아 잘 가라앉으며 약한 하중에서는 잘 늘어나지 않는 특성이 있다.
폴리에틸렌은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며 신축성이 거의 없는 특성이 있다.
상기한 특성을 고려하여 낚시 상황이나 어종에 따라 적절한 목줄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외 다른 재질의 목줄이 선택되더라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와이어(400)는 금속 재질로서 단사 또는 합사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와이어(400)는 단일의 금속뿐만 아니라 스테인리스, 티타늄, 니켈 등의 합금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사는 한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모노필라멘트라고 부르는 한 가닥의 끊임없는 긴 낚시줄을 말한다.
합사는 여러 가닥이 합쳐 꼬아져 이루어지는 것으로, 돌돔낚시나 지깅용 목줄로 애용되는 케블라 중 등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목줄(200)과 상기 와이어(400)는 서로 직결매듭으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직결매듭으로 인해 상기 목줄과 상기 와이어 사이에는 일정한 두께의 매듭부(300)가 형성된다. 이때, 직결매듭은 전차매듭, 제로매듭, 팔자매듭 등 다양한 방법의 매듭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기술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축광호스(800)는 상기 목줄(200)과 상기 와이어(400)가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직결매듭으로 형성된 일정 두께의 매듭부(300)에 끼움 결합된다.
이와 같은 축광호스(800)는 발광안료 또는 형광안료가 첨가된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야간의 바다속에서 발광하여 야행성의 갈치를 유인함은 물론 갈치의 날카로운 이빨로부터 채비가 손상되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축광호스(800)에는 형광증백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광증백제는 자외선 또는 가시광에 의해 여기(勵起, excitabon)되어 형광을 발하므로 축광을 위해 빛을 쬐는 단계가 생략 가능해진다. 즉, 상기한 형광증백제는 근자외선대 자외선에 가까운 영역의 빛(330~380nm)을 흡수하여 가시광선의 단파장대 영역(400~450nm)의 청에서 자색의 광을 발한다.
예를 들어, 야간의 경우라도 통상의 갈치잡이 배에는 높은 조도의 집어등이 항시 켜져 있는데, 이러한 집어등으로부터 바다의 일정 수심층까지 자외선 또는 가시광이 조사되기 때문에 형광증백제가 이에 반응하여 형광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갈치 낚시 도중 축광을 위해 채비에 빛을 쬐는 단계가 생략되므로 갈치 낚시를 행함에 있어 번거로움을 줄이고 조과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축광호스(800)의 내부 중공의 직경은 상기 매듭부(300)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축광호스(800)는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매듭부(300) 상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갈치와 같은 물고기들은 활성도에 따라 입질 빈도가 확연히 차이나게 되는데, 특히 활성도가 좋지 않을 때에는 의심이 많아져 미끼가 끼워진 낚시바늘 주위에 봉돌이나 도래 등과 같은 자연스럽지 못한 물체가 있으면 입질을 잘 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바닷속 상황이 좋지 않아 활성도가 낮은 상태에서 채비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지나치게 긴 축광호스를 사용하게 되면 갈치들의 경계심이 높아져 입질을 받기 어려움은 물론 입질을 받더라도 예민한 입질로 인해 후킹(입걸림)으로까지 이어지기 힘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축광호스(800)는 목줄(200)과 와이어(400) 사이에 형성된 매듭부(300)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일정 외력에 의해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갈치의 활성도에 따른 대비가 상당히 용이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매듭부(300)와 낚시바늘(600) 사이에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400)가 연결되므로 축광호스(800)가 낚시바늘(600)로부터 멀게 이동하더라도 채비가 손상되거나 절단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한 축광호스(800)는 갈치의 활성도에 따라 그 위치를 가변시켜 운용할 수 있으며, 도3에 도시된 예시도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갈치의 활성도가 좋지 않을 때에는 축광호스(800)를 목줄 방향으로 이동시켜 갈치의 경계심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고, 갈치의 활성도가 좋을 때에는 축광호스(800)를 낚시바늘(600) 방향으로 이동시켜 더욱 활발한 먹이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활성도가 좋지 않을 때에는 축광호스(800)가 낚시바늘(600)로부터 멀어지게 함으로써 미끼 근처에 의심스런 물체가 갈치의 눈에서 멀어지도록 한다. 덧붙여, 축광호스(800)가 목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만큼 축광호스(800)에 감싸져 있던 와이어(400)가 노출되어 물살에 의해 가변될 수 있는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낚시바늘(600)에 끼워진 미끼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갈치의 활성도가 좋을 때에는 축광호스(800)가 낚시바늘(600)에 가까워지게 함으로써 미끼 가까이에서 발광하여 먹이 활동이 왕성한 갈치의 유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시바늘(600)의 바늘귀와, 상기 바늘귀에 감겨진 와이어를 감싸도록 끼움 결합되는 보강호스(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늘귀에 감겨진 와이어(400)의 매듭이 보강호스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여 갈치의 이빨이나 바닷속 지형에 따른 밑걸림으로부터 채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강호스(500)는 상술한 축광호스(8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내부가 투과되도록 투명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투명 색상은 대상 어종인 갈치의 경계심을 낮춰 입질할 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보강호스(500)의 내부 중공에는 소정 성분의 접착제가 입사되어 상기 낚시바늘(600)의 바늘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보강호스(500)가 고정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보강호스(500)의 내부 중공을 메워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시바늘(600)에 감겨지는 와이어(400)의 결합력이 증대됨은 물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갈치낚시 지선 채비는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립될 수 있다.
먼저, 축광호스(800)에는 목줄(200)이 통과되도록 하고, 보강호스(500)에는 와이어(400)가 통과되도록 하여 채비를 마련한다. 다음으로, 보강호스(500)는 접착제를 통해 낚시바늘(600)의 바늘귀에 고정결합시키고, 목줄(200)과 와이어(400)를 직결매듭하여 매듭부(300)를 형성시킨다. 이후, 축광호스(800)를 상기 매듭부(300)에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갈치낚시용 지선 채비를 완성하게 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갈치낚시 지선 채비는 갈치낚시를 위한 원줄 또는 상기 원줄과 연결된 도래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원줄 또는 상기 도래에 연결되는 목줄(200)과, 일측 고리부에 상기 목줄(200)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연결구(700)와, 일단부가 상기 연결구(700)의 타측 고리부에 연결되는 와이어(400)와, 상기 와이어(40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600)과, 상기 목줄(200)과 상기 와이어(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지는 축광호스(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고, 제1실시예에 개시되지 않거나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구(700)는 제1실시예에서 개시된 직결매듭의 매듭부(300)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둘 이상의 고리부가 형성되어 일측 고리부에는 상기 목줄(200)이 연결되고 타측 고리부에는 와이어(400)가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구(700)는 상기 목줄(200)과 와이어(400)의 두께(호수)에 따라 사이즈가 달라질 수 있으며, 축광호스(800) 또한 상기 연결구(700)의 사이즈에 따라 내부 중공의 직경을 달리하여 선택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축광호스의 길이를 5cm 내외로 유지하면서도 상황에 따라 일정 간격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갈치의 입질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갈치의 날카로운 이빨에 채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목줄
300: 매듭부
400: 와이어
500: 보강호스
600: 낚시바늘
700: 연결구
800: 축광호스

Claims (8)

  1. 갈치낚시를 위한 원줄 또는 상기 원줄과 연결된 도래에 연결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에 있어서,
    나일론, 카본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원줄 또는 상기 도래에 연결되는 목줄;
    금속 재질로서 단사 또는 합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목줄의 타단부와 직결매듭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 및
    상기 목줄과 상기 와이어가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직결매듭으로 형성된 일정 두께의 매듭부에 끼움 결합되는 축광호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호스의 내부 중공의 직경은 상기 매듭부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축광호스는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매듭부 상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의 바늘귀와, 상기 바늘귀에 감겨진 와이어를 감싸도록 끼움 결합되는 보강호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호스의 내부 중공에는 소정 성분의 접착제가 입사되어 상기 낚시바늘의 바늘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보강호스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보강호스의 내부 중공을 메워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
  5. 갈치낚시를 위한 원줄 또는 상기 원줄과 연결된 도래에 연결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에 있어서,
    나일론, 카본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원줄 또는 상기 도래에 연결되는 목줄;
    적어도 둘 이상의 고리부가 형성되며, 일측 고리부에 상기 목줄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연결구;
    금속 재질로서 단사 또는 합사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상기 연결구의 타측 고리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 및
    상기 목줄과 상기 와이어가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연결구에 끼움 결합되는 축광호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호스의 내부 중공의 직경은 상기 연결구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축광호스는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구 상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의 바늘귀와, 상기 바늘귀에 감겨진 와이어를 감싸도록 끼움 결합되는 보강호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호스의 내부 중공에는 소정 성분의 접착제가 입사되어 상기 낚시바늘의 바늘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보강호스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보강호스의 내부 중공을 메워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낚시 지선 채비.
KR1020150160775A 2015-11-17 2015-11-17 갈치낚시 지선 채비 KR20170057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75A KR20170057533A (ko) 2015-11-17 2015-11-17 갈치낚시 지선 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75A KR20170057533A (ko) 2015-11-17 2015-11-17 갈치낚시 지선 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533A true KR20170057533A (ko) 2017-05-25

Family

ID=5905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775A KR20170057533A (ko) 2015-11-17 2015-11-17 갈치낚시 지선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75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317B1 (ko) * 2017-11-28 2018-08-13 유현옥 낚시 바늘 지선 채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3073U (ko) 2018-06-04 2019-12-12 이형택 칼치채비의 보호튜브 겸용 루어
KR20240061243A (ko) 2022-10-31 2024-05-08 손영수 챔질 기능을 구비한 낚시채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317B1 (ko) * 2017-11-28 2018-08-13 유현옥 낚시 바늘 지선 채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3073U (ko) 2018-06-04 2019-12-12 이형택 칼치채비의 보호튜브 겸용 루어
KR20240061243A (ko) 2022-10-31 2024-05-08 손영수 챔질 기능을 구비한 낚시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9497B2 (en) Fishing lure assembly
KR102137250B1 (ko) 두족류 포획용 에기
WO2017142246A1 (ko) 낚시바늘의 밑걸림 방지장치
KR20170057533A (ko) 갈치낚시 지선 채비
KR200487601Y1 (ko) 갈치 낚시채비
US20120117851A1 (en) Fishing Jig
US200602306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ng line and recreational bait fishing
US20170071175A1 (en) Resin closed eye on a fishing hook
US3757452A (en) Fishing device
KR101731571B1 (ko) 해조류 양식용 그물
KR20170073852A (ko) 낚시 지선 채비
JP4886592B2 (ja) 耐切創性に優れた釣糸
US4777760A (en) Artificial fly
KR200447474Y1 (ko) 인조미끼
KR20160150472A (ko) 갈치낚시용 다기능 고무호스
KR20070009931A (ko) 밑 걸림 방지 루어
JP7303520B2 (ja) 合成繊維ネットの製造方法
JP2017104026A (ja) タチウオ釣り支線仕掛け
US8826586B1 (en) Fishing rig
KR20150045663A (ko) 갈치잡이용 묶음바늘
JP6088603B1 (ja) タチウオ釣り用多機能ゴムホース
US20210105988A1 (en) Color-coded saltwater fly fishing leader
JP2009038973A (ja) 仕掛け用ハリスとこれを用いた釣り用仕掛け
US2544796A (en) Fishing lure
JP2023106180A (ja) 道糸保護用糸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