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732A - 알뿌리 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알뿌리 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732A
KR20170055732A KR1020150158855A KR20150158855A KR20170055732A KR 20170055732 A KR20170055732 A KR 20170055732A KR 1020150158855 A KR1020150158855 A KR 1020150158855A KR 20150158855 A KR20150158855 A KR 20150158855A KR 20170055732 A KR20170055732 A KR 20170055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rame
lower conveyor
blade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동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울금식품가공사업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울금식품가공사업단 filed Critical 사단법인 울금식품가공사업단
Priority to KR102015015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5732A/ko
Publication of KR20170055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1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울금, 토란, 생강 등과 같은 알뿌리 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알뿌리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10) 선단 하부에 설치된 굴취날(20) 후부에 상,하로 2개의 이송용 컨베이어(30,40)가 설치되어 상부 측 컨베이어(40)의 회전방향과 속도를 다르게 하거나 하부 측 컨베이어(40)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굴취된 흙덩이를 파쇄하여 엉겨있는 알뿌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알뿌리 작물의 수확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뿌리 작물 수확기{A Bulb crops harvester}
본 발명은 울금, 토란, 생강 등과 같은 알뿌리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굴취날 후부에 상,하로 2개의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상부 컨베이어의 회전방향과 속도를 하부 컨베이어와 다르게 하거나 상부 컨베이어와 하부 컨베이어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굴취날에 의해 굴취 된 흙덩이에 엉겨있는 작은 알뿌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알뿌리 작물의 수확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강황(Turmeric)은 인도가 원산지로 열대지방 및 중국 남부지방에서 자생 또는 재배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울금이 기원식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울금은 약용하는 부위에 따라 울금과 강황으로 나뉜다. 울금은 식물의 뿌리를 이용하고 강황은 식물의 줄기뿌리를 이용하는데 강황의 맛은 울금보다 더 맵고 색은 울금보다 더 진한 오렌지색을 띈다. 뿌리형태는 고깔모양처럼 2~4개의 가지를 지닌 둥근 모양이고 생강과 비슷하나 잘라보면 울금은 진한 노란색을 띠고 있다. 황금 색소는 커큐민이 그 주성분이고 울금의 특이한 냄새를 갖게 하는 것은 정유의 주성분 중 튜메론이다. 향신료 작물로서 인도에서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염색, 매운 맛의 재료, 아로마 향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울금은 조선조 초기 전라도 여러 고을에서 토산품의 일종으로 생산되어 향신료로 쓰여 왔다고 전해진다. 전남 진도군은 전국 울금 재배 면적의 70%를 차지하는 주산지이다. 제주도 서귀포와 남해안 일대에서 주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울금의 종류는 약 50여 종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위의 울금이나 생강, 토란 등과 같은 알뿌리 작물은 이의 수확시 작은 알뿌리가 줄기 밑에 더덕더덕 붙어 있어 흙과 잘 떨어지지 않으므로 수확과정에서 굴취 후 수작업으로 털어주어야 함으로써 수확 작업이 더디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4를 비롯한 종래의 땅속작물 수확기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타원형 스프로킷을 사용하여 이송 체인을 흔들어주거나 구동축에 편심 무게추를 부착하여 수확기 전체를 진동시키거나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작은 크기의 알뿌리가 더덕더덕 붙어있는 울금이나 생강, 토란 등의 알뿌리 작물을 수확하는데 있어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3526호(2000.12.04.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3995호(2004.06.09.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1958호(2005.07.29.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195232호(2012.10.22.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울금이나 토란, 생강 등과 같이 여러 개의 작은 알뿌리가 흙속에 더덕더덕 붙어있어 수확시 흙을 잘 털어주어야 하는 알뿌리 작물의 수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알뿌리 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 상부에 견인부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구비된 굴취날, 상기 굴취날 후부에서부터 프레임의 후단까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하부 컨베이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부 컨베이어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굴취날에서 굴취된 울금과 흙덩이가 하부 컨베이어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될 때 흙덩이를 짓눌러 으깨는 상부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알뿌리 작물 수확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에, 상기 상부 이송 체인은 선단부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되고, 유압실린더에 의해 후부가 승강 동작하여 하부 이송 체인과의 간격과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기에, 상기 상부 이송 체인은 정,역회전 전환 및 회전 속도가 가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울금, 토란, 생강 등과 같은 알뿌리 작물 수확시 굴취날 후부에 상,하로 이격 설치된 상,하부 컨베이어의 회전방향과 속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이송 과정에서 굴취 된 흙덩이에 엉겨있는 크고 작은 알뿌리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알뿌리 작물의 수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굴취된 알뿌리 작물에서 흙을 털어내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하던 작업을 수확기 자체가 수행하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알뿌리 작물 수확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알뿌리 작물 수확기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알뿌리 작물 수확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 컨베이어의 승강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알뿌리 작물 수확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 컨베이어가 하부 컨베이어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확된 알뿌리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상태.
도 5는 도 4와 반대로 상부 컨베이어가 하부 컨베이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알뿌리 작물 수확기의 구조 및 동작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실시 예에 의한 알뿌리 작물 수확기(1)는 전방 상부에 견인부(12)가 구비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된 굴취날(20), 상기 굴취날(20) 후부에서부터 프레임(10)의 후단까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하부 컨베이어(30).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부 컨베이어(30)와 이격되어 상기 굴취날(20)에서 굴취된 알뿌리와 흙덩이가 하부 컨베이어(3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될 때 흙덩이를 짓눌러 으깨는 상부 컨베이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좌우 측에는 각각 디스크 타입의 흙 절단날(50)이 구비되어 있어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면서 프레임(10) 내측 하부에 설치된 굴취날(20)에 의한 굴취시 두둑 좌우 외측의 흙과 두둑 내측의 굴취된 흙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수확기의 견인시 받게 되는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14는 프레임(10)의 후방 하부에 부착된 스키드(skid)이고, 부호 16은 트랙터의 P.T.O(POWER TAKE OFF)에 연결된 동력전달축이며, 부호 18은 상기 동력전달축에서 프레임(10) 후방의 구동 스프라켓(31)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이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후단에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30)를 따라 이송된 후 지면으로 낙하되는 알뿌리와과 흙을 털어줌과 동시에 낙하시 받게 되는 충격을 줄여주기 위한 요동발(60)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요동발의 동작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 컨베이어(30)은 땅속작물 수확기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송용 컨베이어로 이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프레임(1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어 굴취날(20)에 의해 굴취된 흙과 알뿌리가 프레임(10)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흙과 알뿌리가 자연스럽게 분리되게 되며, 이송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분리되지 않은 흙덩이와 알뿌리는 상부 컨베이어(40)의 누름작용과 비빔작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리되게 되는바, 상부 컨베이어(40)의 구조와 기능은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다.
상기 상부 컨베이어(40)는 하부 컨베이어(3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상부 컨베이어(40)의 선단부가 프레임(10)에 회동축(4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가 되어 있고, 프레임(10) 후방 상부 측에 고정 설치된 유압실린더(44)에 상부 컨베이어(40)의 의해 후부가 승강 동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는 상부 컨베이어(40)의 각도를 조절하여 하부 컨베이어(30)와의 간격을 조절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바, 유압실린더(44)를 수축시키게 되면 상부 컨베이어(40)의 후단부가 들리게 되면서 하부 컨베이어(30)와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유압실린더(44)를 신장시키게 되면 상부 컨베이어(40)의 후단부가 하강하게 되면서 하부 컨베이어(30)와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또, 상기 상부 컨베이어(40)는 후단의 구동 스프로킷(41)에 축 결합 된 유압 모터(43)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회전되는데, 상기 유압 모터(43)는 정,역회전 전환 및 회전 속도가 가변될 수 있어 상황에 맞게 컨트롤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40)의 회전방향과 속도 및 하부 컨베이어(30)와의 간격은 알뿌리 작물의 종류와 크기 및 토양의 수분함유량 등에 의한 흙덩이의 크기와 점성도 등에 따라서 알뿌리의 손상 없이 흙덩이를 파쇄함과 동시에 흙을 털어내는데 가장 적정한 방향과 속도 및 간격이 되도록 컨트롤하면 되는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및 상부 컨베이어(30,40)를 같은 방향(도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면, 상,하부 컨베이어(30,40) 사이를 지나는 흙덩이와 알뿌리 작물(도시 안 됨)은 하부 컨베이어(30)를 타고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부 컨베이어(40)의 반대방향 회전력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됨으로써 그 사이에 위치한 흙덩이가 위아래에서 반대방향으로 비벼져 잘게 파쇄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부 컨베이어(40)의 회전속도는 하부 컨베이어(30)의 회전속도보다는 느리게 함으로써 흙덩이와 알뿌리의 후방 이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파쇄가 되도록 하면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상태는 상,하부 컨베이어(30,40)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 즉, 하부 컨베이어(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부 컨베이어(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하부 컨베이어(30,40) 사이에 위치한 흙덩이와 알뿌리는 상,하부 컨베이어(30,40) 사이에서의 단순한 압박작용에 의해 파쇄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신속한 후방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도 5에 도시된 상태는 도 4에 도시된 경우보다는 굴취된 흙덩이가 작고 점성도 낮은 밭에서의 수확시의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알뿌리 작물 수확기는 상,하부 컨베이어(30,40)가 좌우 측 양단의 체인(C) 사이에 환봉이나 파이프(P)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부착된 형태이므로 이송 과정에서 잘게 부서진 흙은 환봉이나 파이프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부 컨베이어(40)의 밑으로 떨어지게 되며, 컨베이어(30,40)의 환봉(파이프; P)간격은 알뿌리 작물이 밑으로 빠지지 않을 정도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흙덩이와 알뿌리의 이송 과정에서 하부 컨베이어(30)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중간에 지지 스프로킷(32)이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 컨베이어(30)는 후방의 구동 스프로킷(31)으로 트랙터의 PTO동력이 전달되는 것에 의해 도면상으로 시계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프레임(10) 후단의 요동발(60)은 하부 컨베이어(30)의 구동 스프로킷(3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캠축(62)에 로드(64)가 연결되어 요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33은 하부 컨베이어(30)의 피동 스프로킷이고, 부호 45는 상부 컨베이어의 피동 스프로킷이며, 부호 46은 상부 컨베이어(40)의 회동시 흙덩이와 접촉한 상부 컨베이어(40)의 하부 측이 상방으로 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판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알뿌리 작물 수확기는 프레임의 내측에 컨베이어가 상,하로 이격설치되어 있고, 굴취날에 의해 굴취된 흙덩이와 알뿌리가 상,하부 컨베이어 사이를 지나가게 되면서 상부 컨베이어의 누름작용 및 비빔작용에 의해 짓눌리게 되면서 알뿌리의 손상은 발생하지 않으면서 뭉쳐있던 흙덩이를 잘게 파쇄하게 되므로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던 현상 및 굴취 후 수작업으로 흙덩이를 파쇄하여야 했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므로 알뿌리 작물의 수확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10 : 프레임
12 : 견인부
14 : 스키드
16 : 동력전달축
18 : 벨트
20 : 굴취날
30 : 하부 컨베이어
31 : 구동 스프로킷
32 : 지지 스프로킷
33 : 피동 스프로킷
40 : 상부 컨베이어
41 : 구동 스프로킷
42 : 회동축
43 : 유압 모터
44 : 유압 실린더
45 : 피동 스프로킷
46 : 누름대
50 : 절단날
60 : 요동발
62 : 캠축
64 : 로드
C : 체인
P : 파이프

Claims (6)

  1. 전방 상부에 견인부(12)가 구비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된 굴취날(20), 상기 굴취날(20) 후부에서부터 프레임의 후단까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하부 컨베이어(30).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하부 컨베이어(3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굴취날(20)에서 굴취된 알뿌리 작물과 흙덩이가 하부 컨베이어(3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될 때 흙덩이를 짓눌러 으깨는 상부 컨베이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뿌리 작물 수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 전방 좌우 측에는 디스크 타입의 흙 절단날(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뿌리 작물 수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40)는 하부 컨베이어(3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뿌리 작물 수확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40)는 선단부가 프레임(10)에 회동축(42)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 컨베이어의 후부는 유압실린더(44)에 승강되어 하부 컨베이어(30)와의 간격과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뿌리 작물 수확기.
  5. 청구항 1 내지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40)는 구동 스프라켓(41)에 유압 모터(43)가 연결되어 정,역회전 전환 및 회전 속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뿌리 작물 수확기.
  6. 청구항 1 내지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후단에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30)를 따라 이송된 후 지면으로 낙하되는 흙과 알뿌리르 털어주는 요동발(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금 수확기.
KR1020150158855A 2015-11-12 2015-11-12 알뿌리 작물 수확기 KR20170055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855A KR20170055732A (ko) 2015-11-12 2015-11-12 알뿌리 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855A KR20170055732A (ko) 2015-11-12 2015-11-12 알뿌리 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732A true KR20170055732A (ko) 2017-05-22

Family

ID=5905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855A KR20170055732A (ko) 2015-11-12 2015-11-12 알뿌리 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573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3202A (zh) * 2019-10-18 2019-12-20 安徽邓氏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收薯机
CN110663343A (zh) * 2019-11-19 2020-01-10 青岛洪珠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红薯半联合收获机
CN112243613A (zh) * 2020-10-29 2021-01-22 谢艳云 一种能够减少生姜嫩芽损伤的生姜种植装置
CN115024078A (zh) * 2022-06-19 2022-09-09 湖南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玉竹联合收获机及收获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3202A (zh) * 2019-10-18 2019-12-20 安徽邓氏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收薯机
CN110663343A (zh) * 2019-11-19 2020-01-10 青岛洪珠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红薯半联合收获机
CN112243613A (zh) * 2020-10-29 2021-01-22 谢艳云 一种能够减少生姜嫩芽损伤的生姜种植装置
CN112243613B (zh) * 2020-10-29 2022-09-13 浙江咨成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减少生姜嫩芽损伤的生姜种植装置
CN115024078A (zh) * 2022-06-19 2022-09-09 湖南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玉竹联合收获机及收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152012U (zh) 一种长茎秆药材联合收获机
WO2021092982A1 (zh) 一种小型马铃薯联合收获机
CN103947366B (zh) 一种西洋参切秧收获机
KR20170055732A (ko) 알뿌리 작물 수확기
CN103918395B (zh) 一种胡萝卜切缨收获机
CN106068879B (zh) 自走式浅型根茎联合收获机
CN107046912B (zh) 根茎类农作物收获机
CN103314707B (zh) 木薯联合收获机
CN205196308U (zh) 大姜收获机
KR20180072141A (ko) 알뿌리 작물 수확기
CN206909058U (zh) 一种新型农田用石块捡拾机
CN103814671B (zh) 一种地瓜收获机
CN103975683B (zh) 根茎类农作物收获机
CN203340596U (zh) 木薯联合收获机
CN106717453A (zh) 一种根茎类作物联合收获机械
CN206909140U (zh) 一种块根类作物打叶机
CN208143838U (zh) 一种农业种植用九层塔粉碎还田装置
CN206353978U (zh) 一种根茎类作物联合收获机械
CN205847980U (zh) 一种自走式浅型根茎联合收获机
CN103814686A (zh) 一种偏心凸轮齿杆状圆盘切刀式地瓜秧收获机
CN104429337A (zh) 一种智能化玉米收割机和收割方法
KR100562562B1 (ko) 알 뿌리 채취기
RU195156U1 (ru) Картофелекопатель
CN106358564A (zh) 一种地下农作物收获机
CN107750572A (zh) 马铃薯联合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