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658A -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함초황토소금 - Google Patents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함초황토소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658A
KR20170051658A KR1020150151594A KR20150151594A KR20170051658A KR 20170051658 A KR20170051658 A KR 20170051658A KR 1020150151594 A KR1020150151594 A KR 1020150151594A KR 20150151594 A KR20150151594 A KR 20150151594A KR 20170051658 A KR20170051658 A KR 20170051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green tea
loess
salinity
salicornia herbac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경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백산
조윤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백산, 조윤경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백산
Priority to KR102015015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1658A/ko
Publication of KR2017005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soning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초의 잎, 줄기 또는 뿌리를 선별한 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함초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함초 소재를 분쇄하거나 분말화하여 함초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함초분말에 정제수 또는 해수를 혼합하여 100~300 ℃에서 끓여서 염도 4~7도의 함초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함초농축액에 천일염을 혼합한 후에 염도 2~3도가 될 때까지 정제수 또는 해수를 첨가하여 함초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함초희석액을 건조하여 염도 2~3도의 함초소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함초소금에 황토 유효성분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함초황토소금{MANUFACTURING METHOD OF SALICOMIA HERBACEAL - LOESS SALT, AND THE SALICOMIA HERBACEAL - LOESS SALT BY THE METHOD}
본 발명은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함초의 유효성분, 천일염의 유효성분 및 황토의 유효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영양 면에서 상승적 효과를 제고하면서도 건강에 유익한 저염 함초황토소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함초황토소금 제조방법은, 함초, 천일염 및 황토에 포함된 미네랄을 충분히 함유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저염도의 소금을 제공할 수 있다.
소금은 인류가 식생활을 하는데 반드시 섭취해야 할 영양소임에도 소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소금을 과다 섭취하는 것에 대하여 고혈압 등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고혈압은 소금 과다 섭취의 문제가 아니라 염도(염화나트륨) 99%의 정제염을 섭취해 발생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뉴옥의 코넬 대학병원 의학센터 락락크 박사 연구진에 의하면, 미국의 고혈압 환자 5천만명 가운데 30% 정도는 염분의 섭취를 줄일 필요가 있으나 그 이외의 70%의 환자는 염분 섭취를 줄이면 병세가 악화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바 있다. 또한 미국 포틀랜드 의과대학교수 레빗드 막 카론 박사를 중심으로 한 연구진이 전 미국 1만3천72명의 식생활과 건강 상태를 연구한 결과, 고혈압은 소금의 과잉섭취가 아닌 칼슘 등 미네랄 섭취량의 부족 때문에 일어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저염도이면서도 건강에 유익한 함초를 이용하는 것에 착안하여, 함초의 유효성분, 천일염의 유효성분과 황토의 유효성분을 혼합함으로써 미네랄 섭취가 증진되면서도 저염도의 소금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소재로 사용된 함초, 천일염 및 황토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이며 소금기가 많은 땅에서 자라는 염생식물로, 바닷물이 잘 드나들고 비교적 땅이 잘 굳는 갯벌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10∼30 cm로, 줄기는 육질이고 원기둥 모양이며, 가지가 마주 달리고 퇴화한 비늘잎이 마주 달리며 마디가 불룩하게 튀어나오므로 퉁퉁마디라는 이름이 생겼다.
함초는 고농도 염분의 환경에서 생육하기 때문에 염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해 여러 유익한 성분들을 간직하며 자생한다.
이로 인해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및 철분 등 다량의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고, 발린, 류신 및 프롤린 등 필수아미노산과 다당체가 함유되어 있으며, 효소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전초에는 β-시아니딘, 콜린, 탄닌질, 알칼로이드(살리코르닌, 살리게르빈, 알칼로이드 C, D), 사포닌, 베타인, 미네랄, 섬유질, 아미노산, 다당체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함초는 콩팥과 방광의 염증성 질병, 축농증, 변비, 자궁근종, 악성 염증, 관절염, 고혈압, 저혈압, 요통, 비대증, 치질, 당뇨병, 갑상선염, 천식, 기관지염 및 간질환 등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항암, 이뇨, 숙변 제거, 혈액 정화 및 면역 증진 등의 약리 작용을 한다.
천일염은 갯벌에 바닷물을 가두어 자연 증발시킨 것으로 햇빛, 바닷물, 갯벌 및 염전 중 한 가지만 빠져도 천일염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보통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크지 않은 5월에서 8월 사이에 생산되는 소금이 염도가 강하면서 쓴맛이 나지 않아 식용으로 가장 적당하다.
한국의 천일염전은 대개 저수지, 증발지 및 결정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만조 때 수문을 열어 증발지에서 농축된 염수를 만들고 결정지로 보내 소금 결정을 얻는다.
바람이 심하면 결정이 작고 기온이 낮으면 쓴맛이 나 소금의 질이 떨어지므로 일조량이 많고 바람이 적은 날을 택해 소금을 얻는 것이 좋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은 알칼리성이며, 염도는 약 88 % 정도이다.
천일염에는 칼슘, 마그네슘, 아연, 칼륨 및 철 등의 무기질과 수분이 많기 때문에 채소나 생선의 절임에 좋아 김치를 담그거나 간장 또는 된장 등을 만들 때 주로 사용된다. 정제염은 우리가 흔히 먹는 소금으로, 천일염과 정제염의 차이는 천연조미료와 화학조미료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햇빛과 바닷물, 갯벌이라는 천혜의 자연조건을 이용해 만드는 천일염은 칼슘, 마그네슘, 아연 및 칼륨과 같은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정제염은 바닷물을 이온교환막에 전기 분해해서 염화나트륨을 얻은 뒤 불순물을 제거해서 만들기 때문에 미네랄이 함유되지 않은 99.8%의 고염도 소금이다.
즉, 염화나트륨이 성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정제염보다는,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고 나트륨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천일염이 건강에 더 유익하다고 할 수 있다.
황토는 다양한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으며, 카탈라제 효소, 디페놀 옥시다아제 효소, 사카라제 효소 및 프로테아제 효소 등을 포함하고 있어 인체에 매우 유익하다는 점이 널리 알려져왔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5688호에는 황토황토자염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청구항 1을 살펴보면, "a)해수 취수가 용이한 육지에 길이방향으로 측창이 전개되는 비닐하우스 바닥은 함수배출구를 일측에 형성한체, 깊이 1m의 콘크리트담수조를 마련해, 바닥에서 30㎝두께까지는 패화석을, 패화석 위로는 다시 심층에서 채굴한 황토를 40㎝ 두께로 적층한 증발지를 준비하는 공정과; (b)상기 (a)공정에서 준비된 증발지에 취수한 해수를 살포하면서 3일간 자연증발시키면서 경운시키는 과정을 3회 실시한 후, 해수를 가득 담수시킨 후, 함수배출구를 통해 염도 20∼25%의 황토함수를 채수하는 공정과; (c)상기 (b)공정에서 채수된 황토함수를 침전조로 이송시켜 7일동안 정치해 불순물을 제거한 상층수 만을 채수하는 침전공정과; (d)채취된 함초를 세척시켜 이물질을 제거시킨 함초 준비공정; (e)상기 (d)공정에서 세척된 함초 100㎏ 단위마다, 100ℓ용량의 해수를 부어 3∼7일간 함침시켜 미네랄 용출수를 준비시키는 공정과; (f)상기 (c)공정에서 준비된 불순물이 제거된 황토함수 100중량%에, 상기 (e)공정에서 준비된 미네랄 용출수 20중량%를 혼합하는 공정과; (g)상기 (f)공정에서 준비된 황토함초혼합수를 전통가마솥에서 60℃ 까지 가열증발하는 단계를 2회 실시하여, 황산칼슘(석고;CaSO4)와 황산마그네슘(MgSO4)과 같은 불순물을 분리시킨 황토함초농축수를 준비하는 공정과; (h)상기 (g)공정에서 준비된 황토함초농축수를 전통가마솥에 넣어 10시간 동안 80∼150℃로 끓이는 동안 거품을 걷어내면서 자염을 석출하는 공정; (i)석출된 자염을 150g 단위의 비닐소포장으로 포장출고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황토함초자염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검토해보면, 상기 선행문헌은 황토함수 및 미네랄 용출수를 이용하여 자염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각 성분의 침출액만을 이용하여 소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가열이나 굽는 과정에 비해 함초나 황토의 전성분이 온전히 이용되었는지는 가늠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5688호(2006.11.09 공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함초의 유효성분, 천일염의 유효성분 및 황토의 유효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영양 면에서 상승적 효과를 제고하면서도 건강에 유익한 저염 함초황토소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함초의 잎, 줄기 또는 뿌리를 선별한 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함초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함초 소재를 분쇄하거나 분말화하여 함초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함초분말에 정제수 또는 해수를 혼합하여 100~300 ℃에서 끓여서 염도 4~7도의 함초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함초농축액에 천일염을 혼합한 후에 염도 2~3도가 될 때까지 정제수 또는 해수를 첨가하여 함초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함초희석액을 건조하여 염도 2~3도의 함초소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함초소금에 황토 유효성분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함초황토소금은, 짠맛을 내면서 각종 영양소가 풍부한 함초, 나트륨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미네랄이 풍부한 천일염 및 미네랄 성분이 많이 포함된 황토를 이용함으로써, 소금의 기능인 짠맛이 줄어들지 않으면서도 영양면에서 상승효과를 지닌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함초황토소금은, 함초, 천일염 및 황토의 전성분을 효과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의 공정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들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험예와 참고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
실시예 1은 함초의 유효성분, 천일염의 유효성분 및 황토의 유효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영양 면에서 상승적 효과를 제고하면서도 건강에 유익한 저염 함초황토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1-1. 저염 함초소금 제조단계
a)함초의 잎, 줄기 및/또는 뿌리를 선별한 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다.
b)준비된 함초를 잘게 분쇄하거나 분말화한다. 분말화할 경우에는 로터리크러셔(Rotary crusher), 조크러셔(Jaw crusher), 롤크러셔(Roll crusher), 콘크러셔(Cone crusher), 해머크러셔(Hammer crusher), 임팩트크러셔(Impact crusher), 해머밀(Hammer mill), 로드밀(Rod mill), 볼밀(Ball mill), 레이몬드밀(Raymond mill), 슈퍼밀(Super mill), 롤밀(Roll mill), 핀밀(Pin mill), 제트밀(Jet mill), 코니카볼밀(Conical ball mill) 또는 진동밀(Vibration mill)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분말화 단계는 하나의 기기를 이용하여 수회 반복 수행되거나 각각 다른 기기를 이용하여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회 이상 반복 수행될 수 있다.
c)분쇄되거나 분말화된 함초와 적당량의 물을 혼합하여 100~300 ℃에서 지속적으로 끓이며 졸여서 염도 4~7도의 농축액을 제조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물은 정제수 또는 해수를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해수를 이용한다.
여기에서, 4~7도의 농축액을 제조하는 이유는 함초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온전히 추출하기 위해서이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수회 반복 수행하여 농축액을 제조하거나 1회 수행된 추출액을 모아서 농축할 수도 있다.
즉 1회의 함초추출물은 2도 정도의 염도를 보이나 끓이며 졸이거나 복수 회 반복 추출 농축함으로써 함초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전성분을 온전히 추출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대한 염도가 4~7도임을 자체 실험을 통해 밝혀냈다.
d)농축액에 적당량의 천일염을 혼합한 후에 염도 2~3도가 될 때까지 물을 첨가하여 희석액을 제조한다. 예를 들어, 함초 농축액 100중량부 대비하여 천일염을 30~60중량부 혼합한 후에 물을 첨가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물은 정제수가 사용될 수도 있고 해수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해수를 이용한다.
여기에서, 천일염을 혼합하는 이유는 천일염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을 온전히 포함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천일염은 염도 80~90도 정도이므로 천일염을 혼합하면서 정제수 또는 해수를 추가하여 염도를 맞추게 된다.
e)희석액을 건조하여 염도 2~3도의 함초소금을 제조한다. 이때 건조는 자연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원적외선 건조, 전기건조, 동결건조 또는 마이크로웨이브건조 등의 다양한 건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1-2. 함초황토소금 제조 단계
a)상기에서 제조된 함초소금에 황토의 유효성분을 추가하기 위하여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 대나무 통 이용 : 건조한 함초소금을 대나무 통속에 넣고 황토진흙이 소금과 맞닿을 때까지 황토진흙을 통속에 채워넣어서 밀봉하여 굽는다. 도 1에는 대나무 통을 황토진흙으로 밀봉한 사진을 제시하였다.
- 황토 항아리 이용 : 황토 진흙으로 만든 항아리에 건조한 함초소금을 채워넣어서 황토진흙으로 밀봉하여 굽는다. 도 2에는 황토 진흙 항아리를 제시하였다.
b)대나무 통 또는 황토 항아리를 가마에 넣고 가열하여 함초황토소금을 제조한다. 도 3에는 대나무 통 또는 황토 항아리를 가열하기 위한 가마를 제시하였다.
가마에서는 저온에서 시작하여 1100~1200 ℃로 온도를 높인 후에 2~3일간 계속하여 대나무 통 또는 황토 항아리를 가열한다. 즉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황토의 뜨거운 증기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함초소금에 포함되게 된다. 대나무 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나무의 유효성분도 함께 포함되게 됨은 물론이다.
도 4에는 황토 항아리를 가열할 때의 함초소금이 제시되어 있는데, 함초소금이 황토의 뜨거운 증기에 일부 녹으면서 황토의 유효성분이 함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마에서의 가열을 멈추고 상온 상태로 될 때까지 대나무 통 또는 함초 항아리를 식히면 함초황토소금이 완성되는데, 도 5 내지 도 7에는 완성된 함초황토소금이 제시되어 있다. 색상을 살펴보면, 함초, 천일염 및 황토의 성분이 혼합되면서 함초의 붉은색과 황토의 갈색이 뒤섞여져서 소금이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함초의 잎, 줄기 또는 뿌리를 선별한 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함초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함초 소재를 분쇄하거나 분말화하여 함초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함초분말에 정제수 또는 해수를 혼합하여 100~300 ℃에서 끓여서 염도 4~7도의 함초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함초농축액에 천일염을 혼합한 후에 염도 2~3도가 될 때까지 정제수 또는 해수를 첨가하여 함초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함초희석액을 건조하여 염도 2~3도의 함초소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함초소금에 황토 유효성분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초소금에 황토 유효성분을 포함시키는 단계는,
    a) 상기 함초소금을 대나무 통속에 넣고 황토진흙이 소금과 맞닿을 때까지 황토진흙을 통속에 채워넣어서 밀봉하여 굽는 단계 또는
    b) 상기 함초소금을 황토 진흙으로 만든 항아리에 채워넣고 황토진흙으로 밀봉하여 굽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통 또는 황토 항아리를 구울 때에는,
    가마에 상기 대나무 통 또는 황토 항아리를 넣고 저온에서 시작하여 1100~1200 ℃로 온도를 높인 후에 2~3일간 계속하여 가열함으로써 황토의 뜨거운 증기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함초소금에 포함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함초황토소금.
KR1020150151594A 2015-10-30 2015-10-30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함초황토소금 KR20170051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594A KR20170051658A (ko) 2015-10-30 2015-10-30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함초황토소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594A KR20170051658A (ko) 2015-10-30 2015-10-30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함초황토소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658A true KR20170051658A (ko) 2017-05-12

Family

ID=5874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594A KR20170051658A (ko) 2015-10-30 2015-10-30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함초황토소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16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68A (ko) * 2017-06-28 2019-01-07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대정식품 천연 저염소스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68A (ko) * 2017-06-28 2019-01-07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대정식품 천연 저염소스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00166B (zh) 一种彩色功能调味低钠液盐及其制备方法
KR100784229B1 (ko) 퉁퉁마디 유래의 소금 대체물 및 그 제조방법
AU2004318169B2 (en) Low sodium salt of botanic origin
CN104041791A (zh) 工业法海水生产食用盐工艺及加工设备
CN105614885B (zh) 红参皂苷提取物及用于制备该提取物的方法
KR100790491B1 (ko) 황토함초자염 제조방법
KR102332053B1 (ko) 기능성 소금 제조 방법
KR20010083036A (ko) 식물성 소금의 제조방법 및 식물성 소금
JP3493365B2 (ja) 液状植物性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74172B1 (ko) 기능성 자염의 제조방법
KR101761551B1 (ko) 함초추출물이 코팅된 볶은 함초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볶은 함초소금
KR20170051658A (ko) 함초황토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함초황토소금
KR101478784B1 (ko) 편백을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887860B1 (ko) 내염성 미생물로 발효한 함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함초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21539A (ko) 기능성 버섯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기능성 버섯 소금
CN105851926A (zh) 一种海参精华纯粉的制造方法
KR100724705B1 (ko) 함초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용 액상 조성물
KR100448674B1 (ko) 식물성 소금의 제조방법 및 식물성 소금
KR20110007279A (ko) 향기나는 소금 제조 방법
KR101772537B1 (ko) 희소미네랄 함유 기능성 미용생수와 이의 제조방법
KR20090059885A (ko) 기능성 마늘 소금의 제조방법
CN104171772A (zh) 羊栖菜口服含片加工方法
CN203985940U (zh) 工业法海水生产食用盐的加工设备
KR20160042271A (ko) 천일염 채염방법
KR20000063769A (ko) 황토관에 구워 지장수를 혼합한 황토 소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09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108

Effective date: 2019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