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855A -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855A
KR20170049855A KR1020150150701A KR20150150701A KR20170049855A KR 20170049855 A KR20170049855 A KR 20170049855A KR 1020150150701 A KR1020150150701 A KR 1020150150701A KR 20150150701 A KR20150150701 A KR 20150150701A KR 20170049855 A KR20170049855 A KR 20170049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mis
rice bran
composition
fermented product
bacillus subtil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000B1 (ko
Inventor
손정화
Original Assignee
손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화 filed Critical 손정화
Priority to KR102015015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0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과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섭틸러스에 의한 진피, 미강 및 감태(Ecklonia cava)의 혼합 발효물을 이용한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Wrinkles}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표피와 진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주로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s), 멜라닌 세포(melanocytes), 랑게르한스 세포(langerhans cells)로 구성되는 얇은 보호층이고, 진피는 표피 아래에 있는 결합조직으로 대부분 세포외 간질(extracellular matrix)이라 불리는 거대 분자의 망상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포외 간질은 진피층 내의 섬유아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섬유상 단백질과 히알루론산 등의 산성 뮤코다당체라 불리는 다당류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진피 조직 내의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은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섬유 조직이다.
이 중 콜라겐은 진피 조직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 요소로 피부 진피층에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조직의 결합력 등에 관여한다(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001, 17(4):610-613).
자외선 노출, 바람, 공해 등의 외인성 요인과 자연적 노화에 따른 내인성 요인에 의해 진피층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의 작용과 수가 감소하게 되면 콜라겐 합성량이 감소함으로써 피부 주름이 늘어가게 된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 세포가 반응하는 신호전달 체계를 작동시키고 과산화수소 등의 자유라디칼(superoxide, nitric oxide, hydroxyl radical)의 발생을 증가시키며,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감소시킨다(Barber et al., 1998; Brenneisen et al., 1998; Masaki et al., 1995; Yamamoto, 2001; Yasui, Sakurai, 2000). 자유라디칼의 생성과정은 피부에 유해한 대사 활성화의 전단계일 뿐만 아니라, 유전자와 단백질의 구조를 변화시켜 세포 내외의 항상성을 교란시켜 피부 조직 손상, 피부 주름 등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어 있다(Janssen et al., 1993; Park et al., 1999).
따라서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거나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은 피부 주름 억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콜라겐 생합성 촉진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진피 발효물 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피 발효물 등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기타의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는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진피, 미강 및/또는 감태의 발효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이고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을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특히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과 Hydroxy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에서 진피, 미강 및 감태의 발효물은 모두 그 항산화 활성이 해당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보다 높았으며, 이들 혼합 발효물의 경우는 적어도 그 항산화 활성이 2~3배 상승하였다.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에 있어서는 진피 발효물과 미강 발효물의 경우 해당 추출물에 비하여 특별히 상승하지 않았으나, 감태 추출물과 이들의 혼합 발효물의 경우는 뚜렷하게 상승하였는데, 특히 혼합 발효물은 무처리군(대조군) 대비 46% 정도 높은 콜라켄 생합성 촉진 효과를 보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일 측면에 있어서, 진피, 미강 및/또는 감태(Ecklonia cava)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진피, 미강 및/또는 감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진피, 미강 및/또는 감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진피"란 제주 자생귤인 진귤(Citrus sunki)의 과피를 말하며, 진피의 생리 활성으로서 항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 항염증 활성, 혈압 강하 활성 등이 보고되어 있다(Jeong WS, Park SW, Chung SK. Food Sci. Biotechnol. 6: 292~296(1997); Kim YC, Koh KS, Koh JS. Food Sci. Biotechnol. 10:483~487(2001); Cho C, Park BJ, Chung SH, Kim CB, Cha BS, Byun MW. Food Sci. Biotechnol. 13:384~386(2004); Murakami A, et al. Carcinogenesis 21:1843~1850(2000)).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미강"란 현미를 백미로 정미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로서, 쌀눈과 호분층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쌀눈과 호분층을 포함하는 한, 현미의 외부 껍질를 이루는 과피 및/또는 종피 그리고 외배유 및/또는 내배유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더라도 상기 미강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보조제(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말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대상을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더 정제된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여기서 추출 방법은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방법과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로 증류시키는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침지를 통한 추출 방법에는 냉침, 가온, 초음파, 환류 등 임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그 추출 대상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침지 또는 증류)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여과 등을 통하여 정제된 형태의 추출물, 추출 용매가 제거된 액상의 농축된 추출물 그리고 추출 용매가 제거된 분말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발효물"은 그 발효 대상인 진피, 미강 및/또는 감태 등에 탄소원을 첨가하고 고초균을 접종하여 배양시켜 얻어진 배양물을 의미한다. 이 배양물은 그대로 이용되거나, 감압농축 및/또는 동결건조시켜 액상 또는 분말상으로 이용되거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분획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 추출·분획물의 의미와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바가 준용된다.
상기에서 접종되는 미생물의 탄소원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통상은 올리고당, 유당, 포도당, 과당, 설탕, 당밀, 덱스트로스,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탄소원은 의도한 발효 시간, 발효 정도 등을 고려하여 임의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통상 발효 대상인 진피, 미강 및/또는 감태 100 중량부 기준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될 것이다.
상기에서 접종 미생물로서의 고초균은 청국장, 된장, 치즈 등 식품의 발효에 관여하는 바실러스속 미생물(Bacillus sp.)을 말하는데, 본 발명의 발효물의 제조에는 특별한 제한 없이 임의의 고초균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실러스 섭틸리스(B. subtilis), 바실러스 리크네포르미스(B. lichne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 megaterium),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낫토(B. natto), 바실러스 안스라시스(B. antharcis), 바실러스 렌투스(B. lentus), 바실러스 퍼미러스(B. pumilus), 바실러스 더링지엔시스(B. thuringiensis), 바실러스 알베이(B. alvei), 바실러스 아조토픽산스(B. azotofixans), 바실러스 매세란스(B. macerans), 바실러스 포리믹사(B. polymyxa), 바실러스 파필리에(B. popilliae), 바실러스 코아글란스(B. coagulans), 바실러스 스테아로더모필러스(B. stearothermophilus), 바실러스 파스퇴리(B. pasteurii), 바실러스 패리커스(B. sphaericus), 바실러스 패스티디오서스(B. fastidiosus)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실시예의 바실러스 섭틸리스(B. subtilis)를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에서 미생물의 접종 후의 배양은 접종되는 미생물을 고려하여 15℃~45℃의 온도 조건 특히 25℃~40℃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양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발효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또한 원하지 않는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으며, 배양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도 발효 미생물의 사멸에 따라 마찬가지로 발효 속도가 느려지거나 원하지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다. 배양 시간의 경우는 접종된 미생물의 생장이 최대에 이를 때까지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종된 미생물이 생장이 최대에 이르는 시점은 배양 온도, 발효 원료의 양, 접종되는 미생물의 양 등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당업자는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배양 온도, 발효 원료의 양, 접종되는 미생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접종된 미생물의 생장이 최대에 이르는 시점이 어느 시점인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고초균에 의한 발효는 혐기적 조건과 호기적 조건 모두에서 배양이 가능하기 때문에 혐기적 조건이든 호기적 조건이든 무방하다.
한편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진피, 감태 및 미강의 혼합 발효 시 녹차와 대두가 첨가된 경우 항산화 활성은 약간 상승하고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은 유사함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상기 발효물은 녹차와 대두(Glycine max)가 첨가되어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발효물을 그 발효물의 성상,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주름 개선 활성 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구체적인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아토피성 피부염 조성물처럼 경우에 따라서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 식품의 형태는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루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산제, 정제, 캡슐제 등의 건강식품 제제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과 전술한 바의 담체 성분을 포함시켜 당업계에 공지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진피, 미강 및/또는 감태 발효물을 이용한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름 개선 용도의 화장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품 조성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진피, 감태 또는 미강 발효물의 제조
<실시예 1> 진피 발효물의 제조
물 100 중량부에 진피 분말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탄소원으로 당밀을 물 100 중량부 기준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멸균기를 이용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였다. 여기에 nutrient broth 배지에서 준비한 고초균(Bacillus subtilis) 2%(v/v) 접종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진피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 발효물은 121℃에서 20분 정도 살균 처리한 후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감태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태(전초) 발효물을 제조하되, 진피 분말 대신에 동량의 감태 분말을 사용하여 감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마찬가지로 121℃에서 20분 정도 살균 처리한 후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미강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강 발효물을 제조하되, 진피 분말 대신에 동량이 미강 분말을 사용하여 미강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마찬가지로 121℃에서 20분 정도 살균 처리한 후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진피, 감태 및 미강 혼합 발효물의 제조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물을 제조하되, 진피 분말 대신에 진피 분말, 감태 분말 및 미강 분말을 물 100 중량부 기준 각각 1.0 중량부로 사용하여 진피, 감태 및 미강 혼합물의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마찬가지로 121℃에서 20분 정도 살균 처리한 후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진피, 감태 및 미강 혼합 발효물의 제조예 2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피, 감태 및 미강 혼합물의 발효물을 제조하되, 대두 분말과 녹차 분말을 각각 물 100 중량부 기준 1.0 중량부씩 추가로 첨가하여 진피, 감태 및 미강 혼합물의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항산화 활성 실험 및 주름 개선 활성 실험
< 실험예 1> 항산화 활성 실험
<실험예 1-1> DPPH radical 소거활성 실험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측정은 Blois 방법(Blois, 1958)에 의한 DPPH 자유 라디컬(free radical) 소거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0.4 mM DPPH 메탄올 용액을 만든 후 96 well plate에 100 ㎕씩 분주하고 농도별로 메탄올에 녹인 시료(50, 100, 250, 500 및 1,000 ㎍/㎖)를 동량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시료 무처리군 대비 시료 처리군의 DPPH radical 소거 정도를 백분율로 산출하고, 결과값은 DPPH의 흡광도가 50% 감소할 때 나타나는 시료의 농도 (IC50)로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은 각 시료에 대해서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으며 결과값은 평균값을 기초로 산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진피 70% 에탄올 추출물(24시간 침출)과 미강 70%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 = (AControl-ASample)/AControl × 100
ASample=시료를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
AControl=시료 대신 메탄올을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IC50)
시료 IC50(㎍/㎖)
<실시예 1> 발효물 278.54
<실시예 2> 발효물 476.57
<실시예 3> 발효물 354.64
<실시예 4> 발효물 174.27
<실시예 5> 발효물 146.42
진피 추출물 420.27
미강 추출물 625.74
감태 추출물 665.27
상기 [표 1]을 참조할 때 진피, 미강 및 감태는 이를 고초균으로 발효시킬 경우 항산화 활성이 향상되었으며, 이를 혼합 발효시킬 경우 항산화 활성이 특히 높았다. 대두 분말과 녹차 분말이 첨가된 발효물이 가장 항산화 활성이 높았는데 그 IC50은 146.42㎍/㎖로 나타났다.
<실험예 1-2> Hydroxy radical 소거 활성 실험
Hydroxy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은 Rosen 등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 20 ㎕에, 20 ㎕의 0.3 M DMPO(5,5-dimethyl-1-pyrroline-N-oxide), 20 ㎕의 10 mM FeSO4 및 20 ㎕의 10 mM H2O2/0.1 M phosphate buffer(pH 7.4)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2.5분 반응시킨 후 capillary tube에 옮겨 ESR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ESR spectrophotometer의 측정조건은 magnetic field의 경우 336.5±5 mT, power의 경우 1 mW, modulation frequency의 경우 9.41 GHz, modulation amplitude의 경우 1 x 200, sweep time의 경우 4분이었다. Hydroxy 라디칼 소거 활성은 상기 <실험예 1-2>와 같이 무처리군 대비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3번 반복 실험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IC50으로 산출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Hydroxy radical 소거 활성(IC50)
시료 IC50(㎍/㎖)
<실시예 1> 발효물 625.92
<실시예 2> 발효물 742.94
<실시예 3> 발효물 776.48
<실시예 4> 발효물 443.62
<실시예 5> 발효물 424.84
진피 추출물 >1,000
미강 추출물 >1,000
감태 추출물 782.74
상기 [표 2]의 결과도 진피, 미강 및 감태를 혼합 발효할 때 항산화 활성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 실험예 2> 주름 개선 활성 실험 -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 실험
실시예 시료의 주름 개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람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Type Ⅰ 프로콜라겐의 생합성 촉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사람 섬유아세포를 2×104cell/well의 농도로 48 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고 배지를 버리고 serum free 배지로 시료를 희석하여(시료 농도 100 ㎍/mL)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지 중에 유리된 프로콜라겐의 양을 프로콜라겐 EIA 키트(procollagen type-1 C-peptide EIA kit)(MK101, Takar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음성 대조군(시료 무처리군) 대비 백분율로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Type Ⅰ 콜라겐 생합성 촉진 활성(%)
시료 백분율(%)
무처리군 100
<실시예 1> 발효물 109.5
<실시예 2> 발효물 103.2
<실시예 3> 발효물 128.7
<실시예 4> 발효물 146.4
<실시예 5> 발효물 148.5
진피 추출물 105.6
미강 추출물 104.4
감태 추출물 116.2
상기 [표 3]의 결과는 진피, 미강 및 감태의 혼합 발효물의 경우 Type Ⅰ 콜라겐 생합성 촉진 활성이 뚜렷하게 상승함을 보여준다.

Claims (6)

  1. 진피, 미강 및 감태(Ecklonia cava)의 혼합물을 고초균인 바실러스 섭틸러스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발효시 녹차 분말과 대두 분말이 추가로 첨가되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3. 진피, 미강 및 감태(Ecklonia cava)의 혼합물을 고초균인 바실러스 섭틸러스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발효시 녹차 분말과 대두 분말이 추가로 첨가되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품 조성물.
  5. 진피, 미강 및 감태(Ecklonia cava)의 혼합물을 고초균인 바실러스 섭틸러스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품 조성물.
  6. 진피, 미강 및 감태(Ecklonia cava)의 혼합물을 고초균인 바실러스 섭틸러스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1020150150701A 2015-10-29 2015-10-29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8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01A KR101780000B1 (ko) 2015-10-29 2015-10-29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01A KR101780000B1 (ko) 2015-10-29 2015-10-29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855A true KR20170049855A (ko) 2017-05-11
KR101780000B1 KR101780000B1 (ko) 2017-09-19

Family

ID=5874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701A KR101780000B1 (ko) 2015-10-29 2015-10-29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4997A (ja) * 2017-09-29 2019-04-25 有限会社マ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健康増進組成物
WO2024053320A1 (ja) * 2022-09-09 2024-03-14 丸善製薬株式会社 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用組成物、並びに骨強化剤及び骨強化用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4997A (ja) * 2017-09-29 2019-04-25 有限会社マ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健康増進組成物
WO2024053320A1 (ja) * 2022-09-09 2024-03-14 丸善製薬株式会社 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用組成物、並びに骨強化剤及び骨強化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000B1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442B1 (ko) 발효 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465386B (zh) 包括植物乳杆菌培养物的用于改善皮肤皱纹的化妆品组合物
KR20210114893A (ko) 복숭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의약외품 조성물
KR101861043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079514A (ko) 알로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8728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6911B1 (ko) 흑목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1883A (ko) 빌베리열매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4362B1 (ko) 발아 보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80000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48828B1 (ko) 기능성 펩타이드, 성장인자 및 귤속 과피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49282B1 (ko) 복합효모발효 보리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800962B1 (ko) 갈대 추출물 또는 그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55206B1 (ko) 장뇌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5989A (ko)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활성, 피부 상처 재생 활성,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47965B1 (ko) 옥수수수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4792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288902B1 (ko) 갈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7319B1 (ko)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1191A (ko) 닥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재생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94618B1 (ko)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1890485B1 (ko) 죽순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78871B1 (ko) 디프테로카푸스 인트리카투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88133B1 (ko) 감국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