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758A -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를 저항변화층으로 구비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를 저항변화층으로 구비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758A
KR20170049758A KR1020150150221A KR20150150221A KR20170049758A KR 20170049758 A KR20170049758 A KR 20170049758A KR 1020150150221 A KR1020150150221 A KR 1020150150221A KR 20150150221 A KR20150150221 A KR 20150150221A KR 20170049758 A KR20170049758 A KR 20170049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resistance
film
layer
variab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131B1 (ko
Inventor
최영진
유은지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0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1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45/147
    • H01L45/04
    • H01L45/1253
    • H01L45/145
    • H01L45/1608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페로브스카이트 결정구조를 갖는 유기 금속 할라이드를 구비하는 저항 변화층이 배치된다.

Description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를 저항변화층으로 구비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 including organic-inorganic hybrid perovskite as resistance change lay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이다.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Resistive RAM; RRAM)은 간단한 구조, 빠른 스위칭 속도, 내구성, 고밀도 및 저전력 소모로 인해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서 고려되어 왔다. 이러한 RRAM은 빠른 저항 변화, 가역적 쌍안정 상태(reversible bistable state), 및 비휘발성으로부터 나오는 저항 스위치 효과에 기반을 두고 있다.
RRAM의 저항변화층으로 주로 산화물 기반의 무기물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산화물 기반의 무기물은 고온 및 진공의 환경에서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조원가 절감이 어렵고, 플렉서블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낮은 제조원가 및 플렉서블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페로브스카이트 결정구조를 갖는 유기 금속 할라이드를 구비하는 저항 변화층이 배치된다.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화학식 1]
RNH3MX1 nX2 (3-n)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C1 내지 C3의 알킬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 또는 C6-C20의 아릴기일 수 있고, M은 2가 금속 이온일 수 있고, X1과 X2는 서로 다른 할로겐 이온일 수 있고, n은 0 내지 3의 실수일 수 있다.
R은 메틸 또는 에틸일 수 있다. M은 Cu2+, Ni2+, Co2+, Fe2+, Mn2+, Cr2+, Pd2+, Cd2+, Ge2+, Sn2+, Pb2+, Yb2+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는 구체적으로 CH3NH3PbInCl3-n(0≤n≤3인 실수), CH3NH3PbInBr3-n(0≤n≤3인 실수), CH3NH3PbClnBr3-n(0≤n≤3인 실수), CH3NH3PbInF3-n(0≤n≤3인 실수),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는 CH3NH3PbI3, CH3NH3PbI2Br, CH3NH3PbInCl3-n(n은 2 내지 2.5의 실수),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저항변화층은 500nm 내지 5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금속 산화물 도전막이고, 상기 제2 전극은 금속막 또는 금속 질화물 도전막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IO (indium oxide), TO(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FTO(Fluorine-doped Tin Oxide), AZO(Aluminum-doped Zinc Oxide),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은 W막, Pt막, Ru막, Ir막, Al막, Mo막, Au막, TiN막,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저항변화층 사이 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저항변화층 사이에 위치하는 반도체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이 금속 산화물 도전막이고, 상기 반도체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저항변화층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반도체층은 무기 반도체층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반도체층은 ZnO 막 또는 TiO2 막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이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저항변화층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반도체층은 유기 반도체층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반도체층은 폴리(3-헥실티오펜)(poly(3-hexylthiophene); P3HT), 또는 폴리(사이클로펜타디티오펜-co-벤조티아디아졸)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기판 상에 제1 전극을 형상한다. 상기 제1 전극 상에 페로브스카이트 결정구조를 갖는 유기 금속 할라이드층인 저항 변화층을 형성한다. 상기 저항 변화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저항 변화층은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를 용매 내에 용해한 용액을 용액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전극 상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항 변화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저항 변화층을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전극의 표면을 플라즈마 에칭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의 표면을 플라즈마 에칭한 후, 상기 제1 전극을 열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로브스카이트 결정구조를 갖는 유기 금속 할라이드를 저항변화층으로 구비하는 저항변화메모리 소자는 용액 공정을 사용하여 저항변화층을 형성할 수 있음에 따라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이와 더불어서, 유기물에 의한 플렉서블 소자의 구현 및 무기물에 의한 안정성 높은 소자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단위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단위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4는 제조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단면을 나타낸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5는 제조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중 페로브스카이트층에 대한 XRD(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그래프이다.
도 6은 제조에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I-V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 는 제조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반복측정을 통한 재현성 확인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는 제조예에 따른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데이터 유지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제조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전기전도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단위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실리콘 기판, 유리 기판 또는 고분자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기판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ES(polyethersulfone)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판(100) 상에 버퍼층(미도시)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판(100) 상에 제1 전극(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0)은 금속막, 금속 질화물 도전막, 금속 산화물 도전막,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도전막은 IO (indium oxide), TO(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FTO(Fluorine-doped Tin Oxide), AZO(Aluminum-doped Zinc Oxide),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막은 W막, Pt막, Ru막, Ir막, Al막, Mo막, Au막,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고, 상기 금속 질화물 도전막은 TiN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10)은 그의 표면 거칠기가 큰 금속 산화물 도전막 구체적으로, ITO 또는 FTO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10)은 열기상증착, 전자빔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0) 상에 저항변화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항변화층(30)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층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저항변화층(30)은 페로브스카이트 결정구조를 갖는 유기 금속 할라이드를 구비하는 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항변화층(30)은 페로브스카이트 결정구조를 갖는 유기 금속 할라이드로 이루어진 층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상기 저항변화층(30) 내에는 불가피하게 잔존하는 용매가 남아있을 수는 있다.
상기 제1 전극(10)의 큰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저항변화층(30)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접착력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전극(10)의 표면을 플라즈마 에칭 구체적으로, 산소 플라즈마 에칭하여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별도로 혹은 이의 수행 후에 상기 저항변화층(30)의 형성 전에 상기 제1 전극(10)을 열처리 구체적으로 80 내지 120도의 온도로 열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열처리 분위기는 질소 분위기일 수 있다.
유기 금속 할라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RNH3MX1 nX2 (3-n)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C1 내지 C3의 알킬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 또는 C6-C20의 아릴기일 수 있고, M은 2가 금속 이온일 수 있고, X1과 X2는 서로 다른 할로겐 이온일 수 있고, n은 0 내지 3의 실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는 정방정계 결정인 페로브스카이트 결정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에서 M은 단위 셀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X1과 X2는 단위 셀의 6개의 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RNH3는 단위 셀의 각 꼭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은 메틸 또는 에틸일 수 있다. M은 Cu2+, Ni2+, Co2+, Fe2+, Mn2+, Cr2+, Pd2+, Cd2+, Ge2+, Sn2+, Pb2+, Yb2+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이온일 수 있다. X1과 X2는 F-, Cl-, Br-, I- 이되 서로 다른 이온일 수 있다.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는 구체적으로 CH3NH3PbInCl3-n(0≤n≤3인 실수), CH3NH3PbInBr3-n(0≤n≤3인 실수), CH3NH3PbClnBr3-n(0≤n≤3인 실수), CH3NH3PbInF3-n(0≤n≤3인 실수),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는 CH3NH3PbI3, CH3NH3PbI2Br, CH3NH3PbInCl3-n(n은 2 내지 2.5의 실수),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저항변화층(30)은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를 용매 내에 용해한 용액을 용액 공정 일 예로서, 스핀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극성 비양자성 용매(polar aprotic solvent), 일 예로서 다이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또는 다이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일 수 있다. 상기 스핀코팅 후 상기 저항변화층(30)을 열처리하여 상기 저항변화층(30) 내에서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를 결정화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과정에서 상기 용매는 휘발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일 예로서, 80 내지 120도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저항변화층(30)은 500nm 내지 5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저항변화층(30)은 1um 내지 3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소자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후, 상기 저항변화층(30) 상에 제2 전극(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50)은 금속막 또는 금속 질화물 도전막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금속막은 W막, Pt막, Ru막, Ir막, Al막, Mo막, 또는 Au막일 수 있고, 상기 금속 질화물 도전막은 TiN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극(50)은 Au막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극(50)은 열기상증착, 전자빔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에서, 상기 저항변화층(30)인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층 내에는 할라이드 공공(halide vacancy)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할라이드 공공은 전하-캐리어 트랩핑 사이트(charge-carrier trapping site)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여러 동작 메커니즘으로 밝혀진 트랩-제어 공간-전하-제한 전도(trap-controlled space-charge-limited conduction)에 의해 저항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저항 변화는 바이폴라(bipolar)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페로브스카이트 결정구조를 갖는 유기 금속 할라이드를 저항변화층으로 구비하는 저항변화메모리 소자는 용액 공정을 사용하여 저항변화층을 형성할 수 있음에 따라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또한 플렉서블 소자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단위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소자는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소자와 유사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저항변화층(30)을 형성하기 전에 제1 전극(10) 상에 반도체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제2 전극(50)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저항변화층(30) 상에 반도체층(4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20, 40)은 유기 또는 무기 반도체층일 수 있다. 또한, 사이 반도체층(20, 40)은 n형 반도체 도는 p형 반도체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1 전극이 하부 전극이고 금속 산화물 도전막일 때, 상기 저항변화층(30)과 제1 전극(10) 사이의 반도체층(20)은 무기 반도체층, 구체적으로 n형 무기 반도체층, 더 구체적으로 ZnO 막 또는 TiO2 막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극(50)이 상부 전극일 때, 상기 제2 전극(50)과 상기 저항변화층(30) 사이의 반도체층(40)은 유기 반도체층, 구체적으로 p형 유기 반도체층, 더 구체적으로 P3HT(폴리티오펜(polythiophenes), 폴리플로렌(polyfluor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s), 폴리카바졸(polycarbazoles), 폴리비닐카바졸(polyvinylcarbazoles), 폴리페닐렌(polyphenylenes), 폴리페닐비닐렌(polyphenylvinylenes), 폴리실란(polysilanes), 폴리티에닐렌비닐렌(polythienylenevinylenes), 폴리이소티아나프타넨(polyisothianaphthanenes), 폴리사이클로펜타디티오펜(polycyclopentadithiophenes), 폴리실라사이클로펜타디티오펜(polysilacyclopentadithiophenes), 폴리사이클로펜타디티아졸(polycyclopentadithiazoles), 폴리티아졸로티아졸(polythiazolothiazoles), 폴리티아졸(polythiazoles), 폴리벤조티아다이아졸(polybenzothiadiazoles), 폴리티오펜옥사이드(poly(thiophene oxide)s), 폴리사이클로펜타디티오펜옥사이드(poly(cyclopentadithiophene oxide)s), 폴리티아디아졸로퀴녹살린(polythiadiazoloquinoxaline), 폴리벤조이소티아졸(polybenzoisothiazole), 폴리벤조티아졸(polybenzothiazole), 폴리티에노티오펜(polythienothiophene), 폴리티에노티오펜옥사이드(poly(thienothiophene oxide)), 폴리디티에노티오펜(polydithienothiophene), 폴리디티에노티오펜옥사이드(poly(dithienothiophene oxide)s), 폴리테트라하이드로이소인돌(polytetrahydroisoindoles),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전자 도너 물질은 폴리티오펜의 한 종류인 폴리(3-헥실티오펜)(poly(3-hexylthiophene); P3HT)이거나, 폴리사이클로펜타디티오펜(polycyclopentadithiophenes)의 한 종류인 폴리(사이클로펜타디티오펜-co-벤조티아디아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사이클로펜타디티오펜-co-벤조티아디아졸)은 PCPDTBT (poly [2,6-(4,4-bis-(2-ethylhexyl)-4H-cyclopenta[2,1-b;3,4-b']dithiophene)-alt -4,7-(2,1,3-benzothiadiazole)]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저항변화층(30)과 제1 전극(10)과 반도체층(20)을 구비하거나 혹은 저항변화층(30)과 제2 전극(50)과 반도체층(40)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전극과 상기 반도체층 사이에 쇼키-베리어 다이오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유니폴라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험예(example)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예>
제1 전극으로서 FTO를 구비하는 FTO (FTO22-7, Yingkou OPV Tech New Energy Co. LTD) 기판을 아세톤,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세정한 후, 질소 가스 흐름 하에서 건조하였다. 이 후, FTO 기판을 핫 플레이트 상에 두고 100도에서 5분간 열처리하였다. CH3NH3PbInCl3-n(n=2.3)을 DMF에 50 wt%로 용해시켜 페로브스카이트 용액을 얻었다. 상기 페로브스카이트 용액을 대기중에서 200RPMs-1의 램핑속도(ramping rate)를 적용하여 1000 RPM에서 30초간 상기 FTO 기판 상에 스핀코팅하였다. 코팅된 페로브스카이트층을 구비하는 기판을 핫 플레이트 상에서 100도로 2 시간 동안 베이킹하였다. 이 후, 상기 페로브스카이트 층 상에 50um 직경과 100 nm의 두께를 갖는 제2 전극인 Au 전극을 쉐도우 마스크 및 전자빔 증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도 4는 제조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단면을 나타낸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약 2.5um 두께의 페로브스카이트층 (CH3NH3PbInCl3-n)이 상제1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제조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중 페로브스카이트층에 대한 XRD(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조예에 따른 페로브스카이트층은 전형적인 정방정계 결정구조에서 나타나는 매우 샤프한 (110), (220), 및 (330) 피크들을 나타내므로, 결정도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부터, 상기 층 내에서 CH3NH3PbInCl3-n가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를 갖도록 잘 정렬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불순물이 없는 순수한 상태 박막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제조에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I-V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조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1 전극에 양의 전압을 0V에서 1V, 1V에서 OV, OV에서 -1V, 그리고 -1V에서 OV로 스윕(sweep)하였다. 이 때, 제2 전극은 접지되었다. 0V에서 1V로 전압을 스윕하는 과정 중 약 0.8V에서 저항이 HRS (High Resistance State)에서 LRS (Low Resistance State)로 전이되었다. 다시 말해서, 셋 과정이 일어났다. 이 저항 전이 후에, LRS는 마이너스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때까지 유지되다가, 약 -0.6V에서 HRS로 전이 즉, 리셋되었다. 이와 같이, 셋 과 리셋 과정들이 반대의 바이어스 극성들에서 일어남에 따라 제조예에 따른 소자는 바이폴라 저항 스위칭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a 는 제조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반복측정을 통한 재현성 확인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에 인가하는 전압 펄스의 갯수에 따른 전류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제1 전극에 단위 사이클 당 0V에서 1V, 1V에서 OV, OV에서 -1V, 그리고 -1V에서 OV의 전압 스윕을 진행하면서 각 사이클에서 0.25V에서 저항을 읽었다.
도 7a를 참조하면, 셋 전류(@ LRS)는 약 1.4x10-3A 즉, 10-3A 수준으로 나타났고 리셋 전류(@ HRS)는 약 4x10-4A 즉, 10-4A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100 사이클을 진행하더라도 이러한 셋 전류와 리셋 전류는 거의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7b는 제조예에 따른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데이터 유지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7b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에 특정 전압을 인가하는 시간에 대한 전류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소자를 LRS(또는 HRS)로 만든 직후, 10000초까지 방치하면서 중간중간 전류를 측정하여 도시하였다.
도 7b를 참조하면, 셋 전류와 리셋 전류는 10000초에 이르기까지 거의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8은 제조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전기전도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조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인가되는 전기장에 대해 0.4V 이내에서는 전류밀도와 전압이 오믹전도를 따르는 것으로 보아 내부 전자의 진동이나 열적확산에 의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 b). 0.4 ~ 0.5V 사이에서는 풀 플랭켈 전도를 따르는 것으로 보아 내부에 트랩되어있던 전자들이 하부전극으로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 c). 한편, 0.5V 이상의 전압을 인가할 경우 전류밀도가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전자의 트랩에 따른 공간전하제한전류 메커니즘을 따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 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21)

  1.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페로브스카이트 결정구조를 갖는 유기 금속 할라이드를 구비하는 저항 변화층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화학식 1]
    RNH3MX1 nX2 (3-n)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C1 내지 C3의 알킬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 또는 C6-C20의 아릴기이고, M은 2가 금속 이온이고, X1과 X2는 서로 다른 할로겐 이온이고, n은 0 내지 3의 실수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R은 메틸 또는 에틸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4. 제2항에 있어서,
    M은 Cu2+, Ni2+, Co2+, Fe2+, Mn2+, Cr2+, Pd2+, Cd2+, Ge2+, Sn2+, Pb2+, Yb2+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이온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는 CH3NH3PbInCl3-n(0≤n≤3인 실수), CH3NH3PbInBr3-n(0≤n≤3인 실수), CH3NH3PbClnBr3-n(0≤n≤3인 실수), CH3NH3PbInF3-n(0≤n≤3인 실수),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는 CH3NH3PbI3, CH3NH3PbI2Br, CH3NH3PbInCl3-n(n은 2 내지 2.5의 실수),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변화층은 500nm 내지 5um의 두께를 갖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금속 산화물 도전막이고, 상기 제2 전극은 금속막 또는 금속 질화물 도전막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IO (indium oxide), TO(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FTO(Fluorine-doped Tin Oxide), AZO(Aluminum-doped Zinc Oxide),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10.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W막, Pt막, Ru막, Ir막, Al막, Mo막, Au막, TiN막,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저항변화층 사이 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저항변화층 사이에 위치하는 반도체층을 더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이 금속 산화물 도전막이고,
    상기 반도체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저항변화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반도체층은 무기 반도체층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반도체층은 ZnO 막 또는 TiO2 막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저항변화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반도체층은 유기 반도체층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반도체층은 폴리(3-헥실티오펜)(poly(3-hexylthiophene); P3HT), 또는 폴리(사이클로펜타디티오펜-co-벤조티아디아졸)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16. 기판 상에 제1 전극을 형상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페로브스카이트 결정구조를 갖는 유기 금속 할라이드층인 저항 변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항 변화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화학식 1]
    RNH3MX1 nX2 (3-n)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C1 내지 C3의 알킬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 또는 C6-C20의 아릴기이고, M은 2가 금속 이온이고, X1과 X2는 서로 다른 할로겐 이온이고, n은 0 내지 3의 실수이다.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변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기 금속 할라이드를 용매 내에 용해한 용액을 용액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전극 상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19.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변화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저항 변화층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전극의 표면을 플라즈마 에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표면을 플라즈마 에칭한 후,
    상기 제1 전극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KR1020150150221A 2015-10-28 2015-10-28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를 저항변화층으로 구비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28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21A KR101828131B1 (ko) 2015-10-28 2015-10-28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를 저항변화층으로 구비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21A KR101828131B1 (ko) 2015-10-28 2015-10-28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를 저항변화층으로 구비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758A true KR20170049758A (ko) 2017-05-11
KR101828131B1 KR101828131B1 (ko) 2018-02-09

Family

ID=5874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221A KR101828131B1 (ko) 2015-10-28 2015-10-28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를 저항변화층으로 구비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131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6939A (zh) * 2017-05-16 2017-11-03 苏州大学 一种基于拟卤素诱导的二维钙钛矿电存储器件及其制备方法
KR20190089524A (ko) * 2018-01-23 2019-07-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21624A (ko) * 2018-08-21 2020-03-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저항 스위치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8940B1 (ko) * 2018-11-26 2020-04-0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유기인듐할라이드를 저항변화층 내에 구비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KR20200057330A (ko) * 2018-11-16 2020-05-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바이오 재료를 활용한 저항 스위칭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CN111244275A (zh) * 2020-02-10 2020-06-05 湖南第一师范学院 一种二维三维钙钛矿异质结阻变存储器及其制备方法
KR20200073081A (ko) * 2018-12-13 2020-06-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82795A (ko) * 2018-12-31 2020-07-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86106A (ko) * 2019-01-08 2020-07-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107988B2 (en) 2017-12-20 2021-08-31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comprising metal hal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328726B1 (ko) * 2020-11-16 2021-11-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050439A1 (ko) * 2020-09-01 2022-03-10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멤리스터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뉴로모픽 소자
US11283019B2 (en) 2018-12-31 2022-03-22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20220114288A (ko) * 2021-02-08 2022-08-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를 포함하는 저항 스위칭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437574B2 (en) 2018-12-13 2022-09-06 Seoul University R&Db Foundation Non-volatile resistive-switching memory containing halide perovskite materi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165A (ko) 2018-12-13 2020-06-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무연 무기-무기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이용한 비휘발성 저항 변화 메모리
KR102382832B1 (ko) 2020-09-14 2022-04-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7997B2 (en) * 2011-12-13 2015-11-03 Sony Corporation Memory device
JP2015134703A (ja) * 2013-11-29 2015-07-27 三菱化学株式会社 金属酸化物含有層形成用組成物、及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6939A (zh) * 2017-05-16 2017-11-03 苏州大学 一种基于拟卤素诱导的二维钙钛矿电存储器件及其制备方法
CN107316939B (zh) * 2017-05-16 2019-11-26 苏州大学 一种基于拟卤素诱导的二维钙钛矿电存储器件及其制备方法
US11107988B2 (en) 2017-12-20 2021-08-31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comprising metal hal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0615340B2 (en) 2018-01-23 2020-04-07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20190089524A (ko) * 2018-01-23 2019-07-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21624A (ko) * 2018-08-21 2020-03-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저항 스위치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57330A (ko) * 2018-11-16 2020-05-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바이오 재료를 활용한 저항 스위칭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078940B1 (ko) * 2018-11-26 2020-04-0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유기인듐할라이드를 저항변화층 내에 구비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KR20200073081A (ko) * 2018-12-13 2020-06-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1437574B2 (en) 2018-12-13 2022-09-06 Seoul University R&Db Foundation Non-volatile resistive-switching memory containing halide perovskite materi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1283019B2 (en) 2018-12-31 2022-03-22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20200082795A (ko) * 2018-12-31 2020-07-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86106A (ko) * 2019-01-08 2020-07-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244275A (zh) * 2020-02-10 2020-06-05 湖南第一师范学院 一种二维三维钙钛矿异质结阻变存储器及其制备方法
CN111244275B (zh) * 2020-02-10 2021-04-13 湖南第一师范学院 一种二维三维钙钛矿异质结阻变存储器及其制备方法
WO2022050439A1 (ko) * 2020-09-01 2022-03-10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멤리스터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뉴로모픽 소자
KR102328726B1 (ko) * 2020-11-16 2021-11-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14288A (ko) * 2021-02-08 2022-08-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를 포함하는 저항 스위칭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131B1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131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를 저항변화층으로 구비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Liu et al. Resistive switching memory based on organic/inorganic hybrid perovskite materials
Ke et al. Efficient fully-vacuum-processed perovskite solar cells using copper phthalocyanine as hole selective layers
US9859515B2 (en) Methods for producing thin film charge selective transport layers
US20090151787A1 (en) Organic thin-film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858978B2 (en) Nonvolatile organic bistab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27721B1 (ko) 광전변환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Rizzo et al. Understanding lead iodide perovskite hysteresis and degradation causes by extensive electrical characterization
Hinckley et al. Investigation of a solution-processable, nonspecific surface modifier for low cost, high work function electrodes
Xu et al. Low temperature processed PEDOT: PSS/VOx bilayer for hysteresis-free and stable perovskite solar cells
KR20160111850A (ko) 금속메쉬의 표면에너지 제어를 통한 투명전극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WO2016023064A1 (en) A photovoltaic cell and a method of forming a photovoltaic cell
US20180323329A1 (en) Low temperature p-i-n hybrid mesoporous optoelectronic device
US20130263916A1 (en) All spray see-through organic solar array with encapsulation
KR101791354B1 (ko)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146832B1 (ko) 액상 표면 처리를 이용한 고전도성 유기 박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Ge et al. High fill factor over 82% enabled by a biguanide doping electron transporting layer in planar perovskite solar cells
Chen et al. Built-in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low power operating one-resistor selector-less RRAM by stacking engineering
WO2012068690A1 (en) Improved organi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Yi et al. Enhanced interface of polyurethane acrylate via perfluoropolyether for efficient transfer printing and stable operation of PEDOT: PSS in perovskite photovoltaic cells
Kang et al.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 of post-annealing on inverted polymer solar cells
KR101189172B1 (ko) 유기태양전지 제조를 위한 스프레이 코팅장치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기태양전지
Lu et al. Polymer–carbon dot hybrid structure for a self-rectifying memory device by energy level offset and doping
TWI393282B (zh) 具有電極反轉結構之可撓性光電元件及其製作方法
KR101648760B1 (ko) 전자전달 버퍼층 고분자 소재 및 이를 적용한 유기전자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