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171A -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171A
KR20170049171A KR1020150150204A KR20150150204A KR20170049171A KR 20170049171 A KR20170049171 A KR 20170049171A KR 1020150150204 A KR1020150150204 A KR 1020150150204A KR 20150150204 A KR20150150204 A KR 20150150204A KR 20170049171 A KR20170049171 A KR 20170049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massage
unit
user
physical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하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하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하스테크
Priority to KR1020150150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9171A/ko
Publication of KR2017004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25Blood flowrate, e.g. by Doppler effect
    • A61H2230/255Blood flowrate, e.g. by Doppler effec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안마의자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 등받이, 시트, 레그 및 팔걸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 안마부가 구비되어 안마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안마의자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측정되는 측정부;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상기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 및 신체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생성되는 진단부; 상기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안마부, 측정부, 저장부, 진단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변화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자신의 신체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안마의자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MASSAGE CHAIR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본 발명은 안마의자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측정되고,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 및 진단하여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할 수 있는 안마의자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장시간에 걸쳐 걷거나 운동을 하게 되면, 근육에 무리가 가해져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피로가 누적되면 오히려 자신의 건강을 해칠 수 있고, 효율의 저하 및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피로가 누적되면 가벼운 마사지, 찜질 또는 온욕 등을 통해 풀어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신체를 마사지하여 근육을 이완시켜주기 위한 건강보조기구로 안마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안마 장치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마 장치들은 타격(Stroking) 또는 교반(Kneading) 패턴에 있어 고유의 특별한 기능과 효과를 갖는 형태 및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편하게 앉아서 안마를 받을 수 있는 안마 의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안마 의자 장치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400466호 (등록일자: 2014.05.21) 는 팔을 의자 양쪽에 설치된 팔거치대 내로 넣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현한 팔 안마 장치 수납형 안마 의자에 관한 것으로, 좌석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가 팔을 걸어 사용하기 위한 팔걸이부; 상기 팔걸이부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부; 수납 구동에 의해 접혀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되고, 개방 구동에 의해 펼쳐져 상기 수납부 외부로 개방되며, 입력장치의 팔 안마 명령에 따라 팔을 안마하기 위한 팔안마부; 및 상기 수납부의 하단부분에 설치되고, 입력장치의 팔 안마 수납명령에 따라 상기 팔안마부를 상기 수납부 내로 접어 넣으며, 입력장치의 팔 안마 개방명령에 따라 상기 팔안마부를 상기 수납부의 외부로 밀어 펼쳐주기 위한 수납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좌석 양 측면의 수납부에 각각 수납되도록 팔걸이부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펼쳐져 사용자의 팔을 안마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리 또는 허리 등의 안마를 위해서는 별도의 안마 수단이 더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369199호 (등록일자: 2014.02.25) 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안마부; 상기 등안마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 안마부; 상기 엉덩이 안마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왼쪽과 오른쪽 다리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다리 안마부; 상기 등안마부, 상기 엉덩이 안마부 및 상기 다리 안마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인식된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형상에 따라 안마 강도의 기준을 재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팔 두께 또는 다리 두께에 따라 안마 세기를 조절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로 정도에 대응하여 안마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고, 수동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 또는 필요한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안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KR 10-1400466 B1 (2014. 05. 21) KR 10-1369199 B1 (2014. 02. 25)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할 수 있는 안마의자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태 변화 정보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자신의 신체상태 변화를 체크할 수 있는 안마의자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강관리서버부에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관리 및 진단하고,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의 정상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의료기관서버부에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에 대응되는 처방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안마의자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마의자는, 헤드, 등받이, 시트, 레그 및 팔걸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 안마부가 구비되어 안마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안마의자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측정되는 측정부;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상기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 및 신체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생성되는 진단부; 상기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안마부, 측정부, 저장부, 진단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결과 정보데이터를 통해 나타난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도록 상기 안마부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태 변화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안마의자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은, 헤드, 등받이, 시트, 레그 및 팔걸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안마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안마수단,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측정되는 측정수단,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 및 진단수단을 통해 진단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수단 및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건강관리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부로부터 전송되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수신되는 유닛통신수단이 포함되는 안마의자부; 및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수단,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상기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진단수단 및 상기 유닛통신수단에서 전송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진단수단을 통해 진단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중앙통신수단이 포함되는 건강관리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마의자부는, 상기 안마수단, 측정수단, 디스플레이수단 및 유닛통신수단을 제어하는 유닛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닛제어수단은, 상기 유닛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를 통해 나타난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도록 상기 안마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태 변화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서버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상기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상기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의 정상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의료기관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의료기관서버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에 대응되는 처방 정보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고, 생성된 상기 처방 정보데이터를 상기 건강관리서버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변화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자신의 신체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강관리서버부에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관리 및 진단하고,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의 정상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의료기관서버부에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에 대응되는 처방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에 구비되는 감지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는 경우 등받이가 리클라이닝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자동으로 제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에 구비되는 전기자극기를 통해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마의자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마의자에 의해 수행되는 안마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마의자의 블럭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안마의자는 안마부(12), 측정부(13), 저장부(14), 진단부(15), 디스플레이부(16) 및 상기 안마부(12), 측정부(13), 저장부(14), 진단부(15) 및 디스플레이부(16)를 제어하는 제어부(1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마부(12)는, 헤드(2121), 등받이(2122), 시트(2123), 레그(2124) 및/또는 팔걸이(2125) 부위에서 안마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마부(12)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원하는 부위만 안마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설정 값은 후술되는 저장부(14)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시트에는,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 신호가 전송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등받이가 리클라이닝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헤드(2121), 레그(2124) 및/또는 팔걸이(2125)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위치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에는, 전기적 충격을 통해 사용자의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전기자극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극기는 사용자의 조절하에 세기 조절이 가능한 전기 자극을 신체에 가해 감각계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근육 수축 또는 이완을 유도하여 마비된 근육의 회복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의 내부에는 배관(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배관을 통해 물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토션파가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 회복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의 내부에 비교적 높은 온도의 물이 흐르도록 하는 경우, 찜질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측정부(13)는,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측정하게 된다. 사용자의 신체상태 측정 방식에는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목에 흐르는 혈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체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을 실시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측정부(13)에서는 맥파(PRG), 분당 심박수, 심박시 간격, 혈류지수, 최저혈압 및 최고혈압 등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에는, 사용자의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는 진단부(15)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비교 및 진단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4)에 저장되는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로는, 체형별 정상 혈압 수치, 정상 맥박 수 및 정상 체온 등을 포함하고, 이들의 값은 각각 소정의 오차 범위를 갖도록 하며, 상기 소정의 오차 범위가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의 표준 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혈압 수치가 120/80(수축/이완)일 때, 정상 혈압 수치가 갖는 오차 범위는 115 ~ 125/75 ~ 85이고, 상기 오차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경우 정상 혈압 수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4)에는, 날짜별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누적 저장될 수 있고, 누적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는, 후술되는 디스플레이부(16)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료시간에 맞춰 병원을 방문하기 어려운 직장인이나 학생들의 경우에도 기간별로 자신의 신체상태를 체크하여, 생활습관이나 식습관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진단부(15)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상기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 정보 및/또는 신체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진단부(15)에서 진단되는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 정보데이터는, 사용자의 혈류, 맥박 또는 근육의 움직임 등의 측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부(13)에서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비교하는 사용자의 신체상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6)의 터치패널(미도시)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체형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체형 정보에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나이 및/또는 성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진단결과 정보데이터를 통해 나타난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도록 상기 안마부(12)를 제어할 수 있고,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태 변화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6)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는, 상기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는 상기 팔걸이에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측정부(13)에 형성되는 등 여러가지 실시 예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정부(13)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태 변화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데,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상태 변화 정보데이터가 그래프 형식 또는 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안마를 받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체상태의 변화가 사용자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마의자에 의해 수행되는 안마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안마부(12)에 착석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6)의 터치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키, 몸무게, 나이 및/또는 성별 등의 체형 정보를 입력하고, 신체 일정 부위에 측정부(13)를 착용하여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측정하여 획득된다(S11).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부(13)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손가락 또는 손목에 착용한 후, 상기 손가락 또는 손목에 흐르는 혈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체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을 실시 예로 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측정된 이후에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저장부(14)에 저장된 체형별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 및/또는 신체상태로 이루어지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생성된다(S12).
이후,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단계(S12)에서 진단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6)를 제어한다(S13). 이때, 상기 단계(S13)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에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 체형별 표준 신체정보 및 이들의 비교 정보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13)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 정보데이터는 사람의 신체 그림을 배경으로 하여, 상태가 양호할 경우 초록 색상으로 채색되고,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빨간 색상으로 채색되는 등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단계(S13)에서 디스플레이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에 따라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할 것인지 선택한다(S14).
상기 단계(S14)에서 사용자가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겠다고 선택할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가 집중적으로 안마되도록 상기 안마부(12)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태 변화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6)를 제어한다(S15). 상기 선택과정은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6)의 터치패널에 나타나는 안마 필요 부위 집중 안마 버튼을 사용자가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14)에서 사용자가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지 않겠다고 선택할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사용자에 의해 안마 강도, 안마 부위, 안마 형태 및/또는 안마 시간이 설정된 상태에서 안마를 수행하도록 상기 안마부(12)를 제어한다(S16).
이때, 상기 단계(S16)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안마의 강도, 안마 부위, 안마 형태 및 안마 시간 설정 정보데이터는 상기 저장부(14)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단계(S16)에서 저장된 설정 정보데이터에 따라 안마되도록 상기 안마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은 안마의자부(21) 및 건강관리서버부(2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마의자부(21)에는, 헤드(2121), 등받이(2122), 시트(2123), 레그(2124) 및/또는 팔걸이(2125) 부위에서 안마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안마수단(212),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측정되는 측정수단(213),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 및 진단수단(223)을 통해 진단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수단(214) 및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건강관리서버부(22)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부(22)에서 통해 전송되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수신되는 유닛통신수단(215)이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수단(213)에서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 다양하게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목에 흐르는 혈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체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을 실시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측정수단(213)에서는 맥파(PRG), 분당 심박수, 심박시 간격, 혈류지수, 최저혈압 및 최고혈압 등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안마의자부(21)에는, 상기 안마수단(212), 측정수단(213), 디스플레이수단(214) 및 유닛통신수단(215)을 제어하는 유닛제어수단(211)이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유닛제어수단(211)은 상기 유닛통신수단(215)을 통해 수신되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에 따라 나타난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도록 상기 안마수단(212)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태 변화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수단(214)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건강관리서버부(22)에는,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수단(222),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상기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 및/또는 사용자의 신체상태로 이루어진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진단수단(223) 및 상기 유닛통신수단(215)에서 전송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진단수단(223)을 통해 진단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중앙통신수단(224)이 포함된다.
상기 건강관리서버부(22)에는, 상기 저장수단(222), 중앙통신수단(224) 및 진단수단(223)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221)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저장수단(222)에 저장되는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는, 체형별 정상 혈압 수치, 정상 맥박 수 및 정상 체온 등이 포함되고, 이들의 값은 각각 소정의 오차 범위를 갖도록 하며, 상기 소정의 오차 범위가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의 정상 범위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혈압 수치가 120/80(수축/이완)일 때, 정상 혈압 수치가 갖는 오차 범위는 115 ~ 125/75 ~ 85이고, 상기 오차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경우 정상 혈압 수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수단(222)에는, 날짜별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누적 저장될 수 있고, 누적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수단(214)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료시간에 맞춰 병원을 방문하기 어려운 직장인이나 학생들의 경우에도 기간별로 자신의 신체상태를 체크하여, 생활습관이나 식습관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건강관리서버부(22)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상기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상기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의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의료기관서버부(23)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의료기관서버부(23)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에 대응되는 처방 정보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고, 생성된 처방 정보데이터를 상기 건강관리서버부(22)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마의자부(21)는,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변화 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변화 정보데이터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급격히 변화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구조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구조서버는, 상기 안마의자부(21)에서 전송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변화 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연락을 취하거나 긴급 출동 서비스 등을 통해 사용자를 구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안마수단(212)에 착석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수단의 터치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키, 몸무게, 나이 및/또는 성별 등의 체형 정보가 입력되고, 신체 일정 부위에 측정수단(213)을 착용하여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측정 획득되며, 상기 측정수단(213)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는 상기 건강관리서버부(22)로 전송된다(S21).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수단(213)을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목에 착용한 후, 손가락 또는 손목에 흐르는 혈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체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전송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는 건강관리서버부(22)에서 수신된후 저장수단(222)에 저장된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비교되게 되고,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 및/또는 신체상태로 이루어지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생성되게 된다(S22).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생성된 후, 상기 중앙제어수단(221)을 통해 상기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의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된다(S23). 이때, 상기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는 체형별 정상 혈압 수치, 정상 맥박 수 및 정상 체온 등이 포함되고, 이들의 값은 각각 소정의 오차 범위를 갖도록 하며, 상기 소정의 오차 범위가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의 정상 범위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혈압 수치가 120/80(수축/이완)일 때, 정상 혈압 수치가 갖는 오차 범위는 115 ~ 125/75 ~ 85이고, 상기 오차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경우 정상 혈압 수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3)에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의 정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진단결과 정보데이터는 안마의자부(21)로 전송되고(S24),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의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진단결과 정보데이터는 의료기관서버부(23)로 전송되게 된다(S25).
상기 단계(S25)에서 전송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는 의료기관서버부(23)의 기관통신수단(231)을 통해 수신되고, 기관제어수단(232)은 상기 수신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에 대응되는 처방 정보데이터가 생성되도록 처방생성수단(233)을 제어하게 된다(S26).
이후, 상기 의료기관서버부(23)는, 상기 단계(S26)에서 생성된 처방 정보데이터를 포함하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를 상기 건강관리서버부(22)로 전송하고(S27), 상기 건강관리서버부(22)에서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안마의자부(21)로 전송한다(S28).
상기 유닛제어수단(211)은 상기 단계(S24) 또는 단계(S27)에서의 진단결과 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수단(214)을 제어하고, 사용자는 상기 수신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에 따라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할 것인지 선택하게 된다(S29). 이때, 상기 단계(S28)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에는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 정보데이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 및/또는 처방 정보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9)에서 사용자에 의해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겠다고 선택되는 경우, 상기 유닛제어수단(211)은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가 집중적으로 안마되도록 상기 안마수단(212)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태 변화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수단(214)을 제어한다(S31).
한편, 상기 단계(S29)에서 사용자에 의해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지 않겠다고 선택되는 경우, 상기 유닛제어수단(211)은 사용자가 안마 강도, 안마 부위, 안마 형태 및/또는 안마 시간을 설정하여 안마를 수행하도록 상기 안마수단(212)을 제어한다(S32).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변화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자신의 신체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1 : 제어부 12 : 안마부
13 : 측정부 14 : 저장부
15 : 진단부 16 : 디스플레이부
21 : 안마의자부 211 : 유닛제어수단
212 : 안마수단 2121 : 헤드
2122 : 등받이 2123 : 시트
2124 : 레그 2125 : 팔걸이
213 : 측정수단 214 : 디스플레이수단
215 : 유닛통신수단
22 : 건강관리서버부 221 : 중앙제어수단
222 : 저장수단 223 : 진단수단
224 : 중앙통신수단
23 : 의료기관서버부 231 : 기관통신수단
232 : 기관제어수단 233 : 처방생성수단

Claims (5)

  1. 헤드(2121), 등받이(2122), 시트(2123), 레그(2124) 및 팔걸이(212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 안마부(12)가 구비되어 안마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안마의자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측정되는 측정부(13);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4);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상기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 및 신체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생성되는 진단부(15);
    상기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6); 및
    상기 안마부(12), 측정부(13), 저장부(14), 진단부(15) 및 디스플레이부(16)를 제어하는 제어부(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진단결과 정보데이터를 통해 나타난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도록 상기 안마부(12)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태 변화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6)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의자.
  3. 헤드(2121), 등받이(2122), 시트(2123), 레그(2124) 및 팔걸이(212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안마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안마수단(212),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측정되는 측정수단(213),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 및 진단수단(223)을 통해 진단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수단(214) 및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건강관리서버부(22)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부(22)로부터 전송되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수신되는 유닛통신수단(215)이 포함되는 안마의자부(21); 및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수단(222),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상기 체형별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진단수단(223) 및 상기 유닛통신수단(215)에서 전송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진단수단(223)을 통해 진단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중앙통신수단(224)이 포함되는 건강관리서버부(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의자부(21)는,
    상기 안마수단(212), 측정수단(213), 디스플레이수단(214) 및 유닛통신수단(215)을 제어하는 유닛제어수단(211)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닛제어수단(211)은,
    상기 유닛통신수단(215)을 통해 수신된 진단결과 정보데이터를 통해 나타난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도록 상기 안마수단(212)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안마 필요 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태 변화 정보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수단(214)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서버부(22)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와 상기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가 상기 표준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의 정상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의료기관서버부(23)로 전송하고,
    상기 의료기관서버부(23)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데이터에 대응되는 처방 정보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고, 생성된 상기 처방 정보데이터를 상기 건강관리서버부(22)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관리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1020150150204A 2015-10-28 2015-10-28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20170049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04A KR20170049171A (ko) 2015-10-28 2015-10-28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04A KR20170049171A (ko) 2015-10-28 2015-10-28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171A true KR20170049171A (ko) 2017-05-10

Family

ID=5874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204A KR20170049171A (ko) 2015-10-28 2015-10-28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917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209B1 (ko) * 2017-05-16 2018-07-1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생체신호 인식을 통한 건강관리가 가능한 안마의자
WO2019194392A1 (ko) * 2018-04-05 2019-10-10 주식회사 세라젬 심박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온열 치료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1000549A1 (zh) * 2019-07-01 2021-01-07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健康检测装置及相关按摩椅
WO2021071142A1 (ko) *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의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마 의자 및 의자의 동작 방법
KR20210126181A (ko) 2020-04-09 2021-10-20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근골격 통합 검진 시스템을 이용한 안마의자의 제어 방법
KR102322787B1 (ko) 2021-04-06 2021-11-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기구용 생체신호 측정장치
CN114177056A (zh) * 2021-12-22 2022-03-15 深圳市倍轻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部按摩器控制方法及其相关设备
KR20220117959A (ko) 2021-02-17 2022-08-25 비욘드릴렉스 주식회사 안마 의자를 이용한 사용자 건강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209B1 (ko) * 2017-05-16 2018-07-1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생체신호 인식을 통한 건강관리가 가능한 안마의자
WO2019194392A1 (ko) * 2018-04-05 2019-10-10 주식회사 세라젬 심박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온열 치료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839486B2 (en) 2018-04-05 2023-12-12 Ceragem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motherapeutic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measuring heart rate
WO2021000549A1 (zh) * 2019-07-01 2021-01-07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健康检测装置及相关按摩椅
WO2021071142A1 (ko) *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의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마 의자 및 의자의 동작 방법
KR20210126181A (ko) 2020-04-09 2021-10-20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근골격 통합 검진 시스템을 이용한 안마의자의 제어 방법
KR20220117959A (ko) 2021-02-17 2022-08-25 비욘드릴렉스 주식회사 안마 의자를 이용한 사용자 건강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322787B1 (ko) 2021-04-06 2021-11-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기구용 생체신호 측정장치
KR20220138786A (ko)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기구용 생체신호 측정장치
CN114177056A (zh) * 2021-12-22 2022-03-15 深圳市倍轻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部按摩器控制方法及其相关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9171A (ko)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102378458B1 (ko) 마사지기 시스템 및 이것에 이용되는 마사지기 및 웨어러블 측정기기
KR101221046B1 (ko) 지능형 외골격 로봇기반의 일상생활 보조 및 재활훈련 시스템
US202000856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operation of a therapeutic device
KR101879209B1 (ko) 생체신호 인식을 통한 건강관리가 가능한 안마의자
US20190307394A1 (en) Biofeedback System with Body Mapping Clothing for Patients with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KR102610793B1 (ko) 보행약자의 밸런싱 및 결손근육 강화를 위한 스마트 트레이너 시스템
KR101921914B1 (ko) 하지 재활로봇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16158700A (ja) 生体刺激装置、生体刺激システム、および刺激装置
CN107174468A (zh) 生物体状态评价装置以及按摩机
WO2021048847A1 (en) Dynamic proactive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and change sitting positions and postures
KR101780304B1 (ko) 임산부를 위한 마사지 기능이 탑재된 안마 의자
US20190209421A1 (en) Expandable cushion massag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7258323B2 (ja) マッサージ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マッサージ機システム
KR20110050954A (ko)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Donato et al. 19 Overview of Balance Impairments: Functional Implications
Williams et al. Training conditions influence walking kinematics and self-selected walking speed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impairments
Duvall Bear hug: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active deep touch pressure garment for sensory processing disorder
US11056233B2 (en) Controller-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quired brain injury and dysfunction
KR100919838B1 (ko) 건강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JP2002095716A (ja) 生体刺激システム
KR20190005268A (ko) 심장 질환자의 운동기능 평가 및 재활을 위한 운동 상황에 따른 생체신호 분석 및 운동제어 방법과 장치
AU2021100325A4 (en) In-bed exercising and monitoring device
RU2813807C1 (ru) Способ мультимодальной коррекции двигательных и когнитивных нарушений у пациентов, перенесших ишемический инсульт
KR102295588B1 (ko) 자세 균형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자세 균형 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94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19

Effective date: 201901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