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0954A -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954A
KR20110050954A KR1020090107565A KR20090107565A KR20110050954A KR 20110050954 A KR20110050954 A KR 20110050954A KR 1020090107565 A KR1020090107565 A KR 1020090107565A KR 20090107565 A KR20090107565 A KR 20090107565A KR 20110050954 A KR20110050954 A KR 20110050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itution
user
health
exercise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정
전영주
김근호
김종열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0954A/ko
Publication of KR2011005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헬스클럽 또는 학원 등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체질맞춤형 운동방법 및 학습방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인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은, 헬스클럽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와, 상기 체질진단기기를 통한 측정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와,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따라 맞춤형 운동방법을 지도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 및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헬스클럽 홈페이지와 연동되는 온라인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을 개시한다.
체질진단, 학습지도, 운동지도, 건강지수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EXERCISE AND STUDY SERVICE}
본 발명은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각각의 체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체질에 맞는 학습지도 및 운동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상 체질 이론은 사람의 장부의 강하고 약한 차이에 따라 네 가지 체질로 구분하고, 이를 각각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으로 명명한 이론이다.
사람의 장부를 폐, 비, 간, 신으로 구분하여 폐와 간, 비와 신이 서로 짝이 되어 크고 작은 차이가 발생됨으로써 체질이 네 가지로 결정된다.
이러한 사상 체질은 사람의 음성에도 영향을 미쳐, 동일한 사상 체질을 가진 사람은 음성에도 어느 정도 공통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 일반적인 사상 체질별 운동방법을 간단히 살펴본다.
첫째로, 태양인은 일반적으로 하체가 부실한 편으로 수영 등의 운동이 적절 하며, 잔병이 없는 체질이지만 일단 병에 걸리면 오래 가는 체질로서, 기운을 많이 소모하는 운동을 하면 쉽게 지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땀을 많이 흘리는 레저스포츠는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둘째로, 태음인은 한국인에 가장 많은 체질로서 등산이나 조깅 등과 같이 에너지 소모량이 많으면서 적당히 땀을 흘릴 수 있는 운동이 적합하다.
셋째로, 소양인은 하체가 약해 오래 서 있거나 걷는 것을 싫어하고 다리도 잘 삔다. 따라서 소양인은 하체를 보강시켜 주는 것이 좋으며, 운동을 할 때는 땀을 많이 흘리지 않을 정도로만 해주는 것이 좋고, 싸이클, 조깅, 등산, 인라인 스케이트 등으로 하체를 강화해주는 것이 좋다.
넷째로, 소음인은 허약 체질이므로 운동을 무리하게 하면 쉽게 피로가 누적되기 때문에 땀을 많이 흘리는 운동은 피하고 가벼운 운동을 자주 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상 체질별로 적절한 운동방법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헬스클럽 등에서는 사상 체질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운동을 하게 되고, 트레이너들 역시 헬스클럽 회원들의 체질에 따른 적절한 운동지도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학원 등에서도 학생들의 사상 체질을 진단하고, 이에 대응되는 학습지도를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학습지도를 하는 것이 타당하나, 현실적으로 한의사가 상주하지 않는 학원 등에서 학생 개개인의 체질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학생 개개인의 체질에 따른 적절한 학습지도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헬스클럽 또는 학원 등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체질맞춤형 운동방법 및 학습방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기적으로 헬스클럽 또는 학원 등에 방문하여 체질진단기기를 통해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온라인으로 결과가 전송되어 집에서도 건강상태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집에서도 가능한 간단한 운동방법 또는 가정에서의 학습방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인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은, 헬스클럽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와, 상기 체질진단기기를 통한 측정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와,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따라 맞춤형 운동방법을 지도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 및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헬스클럽 홈페이지와 연동되는 온라인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단계 전, 사용자가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을 위한 설문에 응답입력하는 설문입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상태, 맥동의 수 및 맥동의 강약을 측정하고,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상태 및 음성상태를 측정한다.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는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를 통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상태, 맥동의 수, 맥동의 강약, 사용자의 안면상태, 사용자의 음성상태 및 상기 설문입력단계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치료가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한다.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는, 상기 설문입력단계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 및 측정된 건강상태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질을 분류하고 상기 각 체질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점수화하는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 및 상기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을 통해 계산된 사용자의 현재 건강점수를 저장하는 건강점수 저장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내장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료가이드에는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각각에 대응되는 운동방법, 추천종목, 운동강도, 운동시간 및 운동빈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맞는 운동기구, 운동종목, 운동방법, 운동강도, 운동빈도, 운동시간, 운동요령 및 운동보조용품 중 하나 이상을 지도할 수 있다.
상기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를 통하여 지도되는 운동보조용품은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대응되는 운동복, 신발, 보호대 및 교정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는 상기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을 통하여 계산된 사용자의 건강점수에 대응되는 운동기구, 운동종목, 운동방법, 운동강도, 운동빈도, 운동시간, 운동요령 및 운동보조용품 중 하나 이상을 지도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점수에 대응되는 주간 또는 월간 운동 스케줄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헬스클럽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체질 및 건강상태를 재측정하는 경우, 상기 건강점수 저장과정을 통하여 저장된 사용자의 과거 건강점수와 현재 측정된 건강점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개선여부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인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은 학원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와, 상기 체질진단기기를 통한 측정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와,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따라 맞춤형 학습방법을 지도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단계 및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학원 홈페이지와 연동되는 온라인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단계 전, 사용자가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을 위한 설문에 응답입력하는 설문입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상태, 맥동의 수 및 맥동의 강약을 측정하고,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상태 및 음성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는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를 통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상태, 맥동의 수, 맥동의 강약, 사용자의 안면상태, 사용자의 음성상태 및 상기 설문입력단계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치료가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한다.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는, 상기 설문입력단계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 및 측정된 건강상태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질을 분류하고 상기 각 체질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점수화하는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 및 상기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을 통해 계산된 사용자의 현재 건강점수를 저장하는 건강점수 저 장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내장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치료가이드에는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각각에 대응되는 '적합한 학습법','피해야 할 학습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단계는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맞는 학습방법, 학습요령, 학습시간, 학습기구, 학습지, 학습보조용품 중 하나 이상을 지도할 수 있다.
상기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단계를 통하여 지도되는 학습보조용품은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대응되는 조명기구, 향기 및 음악일 수 있다.
상기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단계는 상기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을 통하여 계산된 사용자의 건강점수에 대응되는 학습방법, 학습요령, 학습시간, 학습기구, 학습지, 학습보조용품 중 하나 이상을 지도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점수에 대응되는 주간 또는 월간 학습 스케줄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학원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체질 및 건강상태를 재측정하는 경우, 상기 건강점수 저장과정을 통하여 저장된 사용자의 과거 건강점수와 현재 측정된 건강점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개선여부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하면, 헬스클럽 또는 학원 등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체질맞춤형 운동방법 및 학습방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기적으로 헬스클럽 또는 학원 등에 방문하여 체질진단기기를 통해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온라인으로 결과가 전송되어 집에서도 건강상태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집에서도 가능한 간단한 운동방법 또는 가정에서의 학습방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개인의 체질에 따라 운동에 적합한 운동용품을 제안하고, 온라인을 통하여 구입이 용이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헬스클럽의 주기적인 사용자 방문을 유도하고 효과적으로 운동지도를 해줌으로써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먼저, 사상 체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를 위해서는 개개인의 사상 체질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에 이용되는 체질진단기기를 도 1을 참조하 며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질진단기기는 의자형 본체(110), 본체(110)에 설치되는 측정수단, 치료수단 및 제어부(160), 그리고 측정수단에 의한 자료를 근거로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좌석부(112), 등받이부(114), 팔걸이부(116), 및 발걸이부(118)를 가지면서 의자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본체(110)에 착석하면서 편안한 자세를 이루도록 하며, 본체(110)에 설치된 측정수단 및 치료수단에 의해 측정 및 치료를 받는 일정시간 동안 적정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본체(110)는 사용자가 측정수단 및 치료수단에 의해 측정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구조라면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평형, 경사형 등과 같은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체질진단기기는 본체(110)에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이 구성되는데, 이러한 측정수단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는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의 파악을 위해, 디스플레이 되는 설문에 대한 응답을 직접입력하거나 후술되는 진단부에 의한 진단결과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설문에는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 나이와 같은 일반적인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그 일면에 디스플레이된 표시를 용이하게 읽을 수 있도록 본체(110)의 일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80)는 일단부에 화면을 가진 입력 및 표시부재(182)가 장착되며, 이러한 입력 및 표시부재(182)가 안착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버튼입력되거나 터치입력되도록 사용자와 적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타단부는 본체(110)에 움직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입력 및 표시부재(182)는 화면부와 버튼부로 이루어지거나, 터치입력방식인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입력 및 표시부재(182)와 본체(110)를 잇는 연결로드(184)는, 입력 및 표시부재(182) 그리고 본체(110)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위에 관절과 같은 조인트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연결부위가 아닌 부분에도 관절과 같은 조인트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연결로드(184)를 본체(110)에 대해 어떤 방향으로도 회동시킬 수 있으며, 입력 및 표시부재(182)로 연결로드(184)에 대해 어떤 방향으로도 회동시킬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180)의 구조는, 본체(110)의 팔걸이부와 같은 부위에 고정된 구조를 취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입력과 디스플레이 보기가 용이하면 될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본체(110)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측정수단은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122)과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124)을 구비한다.
상기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122)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맥동 및 피부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맥동의 수, 강약 등을 측정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측정한다.
여기에서,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122)은 본체(110)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부위에 배치되며, 도 3a와 같이, 사용자의 손바닥측 손목과 대면하는 경우 맥동이 측정되고, 도 3b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손등과 대면하는 경우 피부상태를 측정한다.
즉, 사용자는 맥동을 측정하는 경우 손바닥을 상측으로 향하게 하여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122)과 맥동이 감지되는 손목을 서로 대향하게 하며, 피부상태를 측정하는 경우 손등을 상측으로 향하게 하여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122)과 손등을 서로 대향하게 한다.
물론, 상기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122)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모듈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맥동과 피부상태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모듈이면 될 뿐 종래의 어떠한 모듈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수단은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124)을 구비한다.
상기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1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 및 음성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124)은 일단부에 마이크가 내장된 카메라(124a)가 구비되며, 일단부의 카메라(124a)가 본체(110)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안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이동가능하도록 타단부가 본체(110)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카메라(124a)와 본체(110)를 잇는 연결로드(124b)는, 카메라(124a)와 본체(110)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위에 관절과 같은 조인트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연결부위가 아닌 부분에도 관절과 같은 조인트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연결로드(124b)를 본체(110)에 대해 어떤 방향으로도 회동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124a)도 연결로드(124b)에 대해 어떤 방향으로도 회동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124)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모듈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맥동과 피부상태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모듈이면 될 뿐 종래의 어떠한 모듈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진단부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측정수단에 의한 자료를 근거로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의 설문에 응답입력된 자료도 진단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진단부는 측정수단의 측정치를 수신하며, 수신된 측정치에 따라 치료가이드를 선택하여 후술하는 치료수단에 송신하는 온라인 서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온라인 서버는 측정수단의 측정치에 따른 사용자의 경혈자극 위치와, 자극의 방법 및 강도가 선택된 치료가이드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많은 양의 치료가이드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상술한 각각의 측정수단에 의한 측정치를 조건으로 하여 선택된 가장 적합한 치료방법 즉, 치료가이드가 연구 및 실험으로 인하여 축전된 저장공간이며, 치료가이드의 업데이트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온라인 서버를 활용하기 위해서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정수단 및 치료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는 온라인 서버와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력통신이란 전력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시스템(Power Line Communication, PLC)으로서, 비용부담이 큰 근거리통신망(LAN)이나 전화선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이 전력선을 통신선으로 활용함으로써 설치비용뿐만 아니라 통신비용 또한 절약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진단부는 별도로 온라인상에 형성된 온라인 서버에 한정 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면서 본체(110)에 장착된 서버도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단부에 의한 진단에 따라 사용자를 치료하는 치료수단으로서 온열자극기(142)를 포함한다.
상기 온열자극기(1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사용자의 복모혈을 자극하는 복모혈 자극부(143)와, 배수혈을 자극하는 배수형 자극부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일정온도 이상의 열이라 함은 한의학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인이 충분히 알 수 있는 온도 범위, 즉 이 분야에서 복모혈과 배수혈을 자극할 수 있는 적정한 온도 범위를 말한다.
상기 복모혈 자극부(143)는 일단부에 온열자극센서(143a)가 구비되며, 일단부의 온열자극센서(143a)가 본체(110)에 착석되는 사용자의 복모혈에 위치가능하도록 타단부가 본체(110)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일단부에 구비된 온열자극센서(143a)는 사용자의 복모혈에 대응되도록 일정길이로서 길게 형성된다.
아울러, 본체(110)로부터 연결된 복모혈 자극부(143)의 로드형 구조는, 상술한 연결로드와 같은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아울러 벨로우스 타입으로서 원활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수혈 자극부(144)는 본체(110)에서 착석되는 사용자의 배수혈 에 대응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온열자극센서(144a)가 배치된다.
이때, 배수혈 자극부(144)의 온열자극센서(143a)가 복수개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배수혈에 대응되도록 세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온열자극기(142)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모듈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사용자의 복모혈과 배수혈을 자극하도록 구성된 모듈이면 될 뿐 종래의 어떠한 모듈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단부에 의한 진단에 따라 사용자를 치료하는 치료수단으로서 레이저자극기(146)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저자극기(14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로 사용자의 수혈을 자극하는 수혈 자극부(147)와, 족혈을 자극하는 족혈 자극부(148)를 구비한다.
상기 수혈 자극부(147)는 일단부에 레이저자극센서(147a)가 구비되며, 일단부의 레이저자극부가 본체(110)에 착석되는 사용자의 수혈에 위치가능하도록 타단부가 본체(110)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족혈 자극부(148)는 일단부에 레이저자극센서(148a)가 구비되어 본체(110)에 착석되는 사용자의 전방부 족혈에 위치가능하도록 타단부가 본체(110)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전방부자극로드(149)를 가진다.
이때, 본체(110)로부터 연결된 로드형의 수혈 자극부(147)의 구조와, 족혈 자극부(148)의 전방부자극로드(149)는, 상술한 연결로드와 같은 관절타입 조인트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아울러 벨로우스 타입으로서 원활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도 이룰 수도 있다.
아울러, 족혈 자극부(148)는 본체(110)에서 사용자의 후방부 족혈에 대응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자극센서(148a)가 배치된다.
여기에서, 이러한 레이저자극센서(148a)가 복수개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후방부 족혈에 대응되도록 세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이저자극기(146)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모듈에 한정되지 않고, 레이저로 사용자의 수혈과 족혈을 자극하도록 구성된 모듈이면 될 뿐 종래의 어떠한 모듈도 활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은 설문입력단계(S10),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S20),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S30),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S40) 및 온라인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먼저, 헬스클럽에 사용자가 처음 방문하면, 헬스클럽 안에 위치한 체질 진단룸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에 착석한다.
상기 설문입력단계(S10)는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전에 사용자가 체 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을 위한 설문에 응답입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단부에 화면을 가진 입력 및 표시부재가 장착되며, 이러한 입력 및 표시부재가 안착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버튼입력되거나 터치입력되도록 사용자의 적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며, 타단부는 본체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입력 및 표시부재는 화면부와 버튼부로 이루어지거나, 터치입력방식인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하게될 설문은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을 위해 사용되어질 정보 등으로서, 전문가인 한의사들의 자문을 받아 작성되어지며 본 발명에서 상기 설문의 내용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S20)는 상기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측정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S20)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상태, 맥동의 수 및 맥동의 강약을 측정하고,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상태 및 음성상태를 측정한다.
도 10에는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한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에 관한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진기를 이용하면 순환기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피부진단기를 이용하면 피부탄력, 습윤정도, 모공상태에 관한 측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을 이용한 측정방법과, 상기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을 이용한 측정방법에 대해서는 체질진단기기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S30)는 상기 체질진단기기를 통한 측정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S30)는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S20)를 통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상태, 맥동의 수, 맥동의 강약, 사용자의 안면상태, 사용자의 음성상태 및 상기 설문입력단계(S10)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료가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으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내장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료가이드에는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각각에 대응되는 운동방법, 추천종목, 운동강도, 운동시간 및 운동빈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S30)는 상기 설문입력단계(S10)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 및 측정된 건강상태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질을 분류하고 상기 각 체질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점수화하는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 및 상기 체질별 건강점수 과정을 통해 계산된 사용자의 현재 건강점수를 저장하는 건 강점수 저장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각 사상 체질별 운동방법, 추천종목, 운동강도, 운동시간 및 운동빈도에 관한 정보는 도 11에 도시된 예시와 같다.
상기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S40)는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따라 맞춤형 운동방법을 지도한다.
상기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S40)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맞는 운동기구, 운동종목, 운동방법, 운동강도, 운동빈도, 운동시간, 운동요령 및 운동보조용품 등에 관해 지도한다. 여기서, 상기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S40)를 통하여 지도되는 운동보조용품은 진단된 사용자 개개인에게 알맞은 운동복, 신발, 보호대 및 교정기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 12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에 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의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에서 '소양인 건강점수 40점'으로 진단되면, 헬스클럽 트레이너의 지도하에 '부실 소양인반'에 등록될 수 있고, 트레이너는 적합한 하체 강화 근력 운동 위주로 구성된 운동을 지도할 수 있다. 물론, 몇달의 시간이 경과된 후 재검사를 통해 건강점수가 상향되어 '소양인 건강점수 70점'으로 진단되면, 트레이너의 지도하에 '보통 소양인반'으로 이옮겨 '요가' 또는 '자전거' 위주로 구성된 운동을 지도할 수 있게 된다.
운동기구와 관련하여서도, 트레이너는 체질 및 건강상태에 대응되는 운동기 구를 추천할 수 있고, 도 12에 도시된 예와 같이 '소음인 60점'으로 진단되면, 소음인에게 적합하다고 평가된 '스키 워킹 운동기구'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지도할 수 있고, 맥진기, 안면진단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적절하게 운동 프로그램을 변형시킬 수도 있다.
운동보조용품과 관련하여서도, 트레이너는 체질 및 건강상태에 대응되는 운동보조용품을 추천할 수 있고, 도 12에 도시된 예와 같이 '태음인'으로 진단된 경우, 각 점수에 알맞도록, 예를 들면, 슬관절 지지대, 목 보호대, 어깨 보호대, 복근 강화대와 같은 운동보조용품 사용을 지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S40)는 상기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을 통하여 계산된 사용자의 건강점수에 대응되는 운동기구, 운동종목, 운동방법, 운동강도, 운동빈도, 운동시간, 운동요령 및 운동보조용품 중 하나 이상을 지도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점수에 대응되는 주간 또는 월간 운동 스케줄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 단계(S50)는 진단된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가 헬스클럽 홈페이지와 연동되는 온라인 서버에 송신되는 단계이다.
즉, 사용자가 집에 돌아온 후 인터넷 등을 이용해 헬스클럽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진단된 자신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다시 열람할 수 있고, 정기적인 측정 및 진단을 통하여 자신의 건강상태에 관한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헬스클럽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체질 및 건강상태를 재측정하는 경우, 상기 건강점수 저장과정을 통하여 저장된 사용자의 과거 건강점수와 현재 측정된 건강점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개선여부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은 설문입력단계(S10),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S20),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S30),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단계(S40) 및 온라인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먼저, 학원에 사용자가 처음 방문하면, 학원 안에 위치한 체질 진단룸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에 착석한다.
상기 설문입력단계(S10)는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전에 사용자가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을 위한 설문에 응답입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단부에 화면을 가진 입력 및 표시부재가 장착되며, 이러한 입력 및 표시부재가 안착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버튼입력되거나 터치입력되도록 사용자의 적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며, 타단부는 본체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입력 및 표시부재는 화면부와 버튼부로 이루어지거나, 터치입력방식인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하게될 설문은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을 위해 사용되어질 정보 등으로서, 전문가인 한의사들의 자문을 받아 작성되어지며 본 발명에서 상기 설문의 내용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S20)는 상기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측정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S20)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상태, 맥동의 수 및 맥동의 강약을 측정하고,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상태 및 음성상태를 측정한다.
도 13에는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한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에 관한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진단기를 이용하면 두뇌 유형 진단이 가능하고 음성, 맥진, 피부진단기를 이용하면 정신 건강 및 정서상태의 진단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대상자에게 적합할 학습 요령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을 이용한 측정방법과,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을 이용한 측정방법에 대해서는 체질진단기기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S30)는 상기 체질진단기기를 통한 측정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S30)는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S20)를 통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상태, 맥동의 수, 맥동의 강약, 사용자의 안면상태, 사용자의 음성상태 및 상기 설문입력단계(S10)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료가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으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내장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료가이드에는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각각에 대응되는 '적합한 학습법', '피해야 할 학습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S30)는, 상기 설문입력단계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 및 측정된 건강상태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질을 분류하고 상기 각 체질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점수화하는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 및 상기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을 통해 계산된 사용자의 현재 건강점수를 저장하는 건강점수 저장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각 사상 체질별 '적합한 학습법' 및 '피해야 할 학습법'에 관한 정보는 도 14에 도시된 예시와 같다.
상기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단계(S40)는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따라 맞춤형 학습방법을 지도한다.
상기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단계(S40)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맞는 학습방법, 학습요령, 학습시간, 학습기구, 학습지, 학습보조용품 등에 관해 지도한다. 여기서, 상기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단계(S40)를 통하여 지도되는 학습보조용품은 진단된 사용자 개개인에게 알맞은 조명기구, 향기 및 음악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 15는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에 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의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에서 '소양인 좌우뇌 40:60 발달'로 진단되면, 학습지도 교사의 지도하에 '소음인 학습지'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소음인'의 경우 도 14에 도시된 예시에도 알 수 있듯이,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자상한 안내자가 필요'한 특성이 있으므로, 학습지도 교사는 이러한 특성에 알맞은 학습교재를 제공하고, 수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학습보조기구와 관련하여서도, 학습지도교사는 체질 및 건강상태에 대응되는 운동기구를 추천할 수 있고, 도 15에 도시된 예와 같이, 안면 및 음성 측정을 바탕으로 오감 및 정서 상태를 진단하고, 이에 따라 학습을 위한 최적의 조명 및 배경음악과 향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단계(S40)는 상기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을 통하여 계산된 사용자의 건강점수에 대응되는 학습방법, 학습요령, 학습시간, 학습기구, 학습지, 학습보조용품 중 하나 이상을 지도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점수에 대응되는 주간 또는 월간 학습 스케줄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 단계(S50)는 진단된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가 학원 홈페이지와 연동되는 온라인 서버에 송신되는 단계이다.
즉, 사용자가 집에 돌아온 후 인터넷 등을 이용해 학원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진단된 자신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다시 열람할 수 있고, 정기적인 측정 및 진단을 통하여 자신의 건강상태에 관한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학원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체질 및 건강상태를 재측정하는 경우, 상기 건강점수 저장과정을 통하여 저장된 사용자의 과거 건강점수와 현재 측정된 건강점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개선여부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체질진단기기의 온열자극 또는 레이저 자극을 이용한 간단한 치료를 병행할 수 있으며(S45), 상기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한 간단한 치료방법에 관해서는 기기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에 이용되는 체질진단기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체질진단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체질진단기기의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도 1의 체질진단기기의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도 1의 체질진단기기의 온열자극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도 1의 체질진단기기의 레이저자극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1의 체질진단기기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한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에 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1은 각 사상 체질별 운동방법, 추천종목, 운동강도, 운동시간 및 빈도에 관한 정보를 도시한 도이다.
도 12는 각 사상 체질별 운동지도에 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3은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한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에 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4는 각 사상 체질별 '적합한 학습법', '피해야 할 학습법' 및 '참고할 특징'에 관한 예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5는 각 사상 체질별 학습지도에 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Claims (20)

  1. 헬스클럽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
    상기 체질진단기기를 통한 측정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따라 맞춤형 운동방법을 지도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 및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헬스클럽 홈페이지와 연동되는 온라인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 전, 사용자가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을 위한 설문에 응답입력하는 설문입력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상태, 맥동의 수 및 맥동의 강약을 측정하고,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상태 및 음성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는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를 통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상태, 맥동의 수, 맥동의 강약, 사용자의 안면상태, 사용자의 음성상태 및 상기 설문입력단계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치료가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는,
    상기 설문입력단계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 및 측정된 건강상태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질을 분류하고 상기 각 체질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점수화하는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 및
    상기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을 통해 계산된 사용자의 현재 건강점수를 저장하는 건강점수 저장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내장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료가이드에는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각각에 대응되는 운동방법, 추천종목, 운동강도, 운동시간 및 운동빈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맞는 운동기구, 운동종목, 운동방법, 운동강도, 운동빈도, 운동시간, 운동요령 및 운동보조용품 중 하나 이상을 지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를 통하여 지도되는 운동보조용품은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대응되는 운동복, 신발, 보호대 및 교정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단계는 상기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을 통하여 계산된 사용자의 건강점수에 대응되는 운동기구, 운동종목, 운동방법, 운동강도, 운동빈도, 운동시간, 운동요령 및 운동보조용품 중 하나 이상을 지도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점수에 대응되는 주간 또는 월간 운동 스케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헬스클럽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체질 및 건강상태를 재측정하는 경우, 상기 건강점수 저장과정을 통하여 저장된 사용자의 과거 건강점수와 현재 측정된 건강점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개선여부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11. 학원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
    상기 체질진단기기를 통한 측정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따라 맞춤형 학습방법을 지도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단계; 및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학원 홈페이지와 연동되는 온라인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 전, 사용자가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을 위한 설문에 응답입력하는 설문입력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맥동 및 피부측정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상태, 맥동의 수 및 맥동의 강약을 측정하고,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설치된 안면 및 음성측정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상태 및 음성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는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측정단계를 통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상태, 맥동의 수, 맥동의 강약, 사용자의 안면상태, 사용자의 음성상태 및 상기 설문입력단계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치료가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체질 및 건강상태 진단단계는,
    상기 설문입력단계를 통하여 입력된 자료 및 측정된 건강상태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질을 분류하고 상기 각 체질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점수화하는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 및
    상기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을 통해 계산된 사용자의 현재 건강점수를 저장하는 건강점수 저장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체질진단기기에 내장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치료가이드에는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각각에 대응되는 '적합한 학습법','피해야 할 학습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단계는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맞는 학습방법, 학습요령, 학습시간, 학습기구, 학습지, 학습보조용품 중 하나 이상을 지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단계를 통하여 지도되는 학습보조용품은 상기 사용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대응되는 조명기구, 향기 및 음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단계는 상기 체질별 건강점수 계산과정을 통하여 계산된 사용자의 건강점수에 대응되는 학습방법, 학습요령, 학습시간, 학습기구, 학습지, 학습보조용품 중 하나 이상을 지도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점수에 대응되는 주간 또는 월간 학습 스케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학원에 설치된 체질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체질 및 건강상태를 재측정하는 경우, 상기 건강점수 저장과정을 통하여 저장된 사용자의 과거 건강점수와 현재 측정된 건강점수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개선여부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90107565A 2009-11-09 2009-11-09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KR20110050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565A KR20110050954A (ko) 2009-11-09 2009-11-09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565A KR20110050954A (ko) 2009-11-09 2009-11-09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954A true KR20110050954A (ko) 2011-05-17

Family

ID=4436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565A KR20110050954A (ko) 2009-11-09 2009-11-09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095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1834A (zh) * 2013-02-08 2015-10-14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关于营养、耐力和力量的评估和建议
KR20170138224A (ko) 2016-06-07 2017-12-15 안진필 사용자 맞춤형 운동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71211A (ko) 2018-06-05 2018-06-27 주식회사 건강한친구들 사용자 맞춤형 운동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19202B1 (ko) 2018-12-10 2019-09-06 (주)에스피코리아 개인건강기록에 기반하여 개인 맞춤형 운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의 동작방법
KR20210046180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피씨티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1834A (zh) * 2013-02-08 2015-10-14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关于营养、耐力和力量的评估和建议
US10772558B2 (en) 2013-02-08 2020-09-15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Assessment and advice on nutrition, endurance, and strength
KR20170138224A (ko) 2016-06-07 2017-12-15 안진필 사용자 맞춤형 운동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71211A (ko) 2018-06-05 2018-06-27 주식회사 건강한친구들 사용자 맞춤형 운동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19202B1 (ko) 2018-12-10 2019-09-06 (주)에스피코리아 개인건강기록에 기반하여 개인 맞춤형 운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의 동작방법
KR20210046180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피씨티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llen et al. Exploring the safety and therapeutic effects of deep pressure stimulation using a weighted blanket
JP2022088612A (ja) バランス試験及び訓練システム並びに方法
Freund et al. Use of trunk stabilization and locomotor training in an adult with cerebellar ataxia: a single system design
KR20170135459A (ko) 환자 맞춤형 재활을 위한 거대자료 기반 지능형 로봇 치료사
WO2016001902A1 (en) Apparatus comprising a headset, a camera for recording eye movements and a screen for providing a stimulation exercise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treating vestibular, ocular or central impairment
KR101758313B1 (ko)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Larsson et al. Body awareness and dance-based training for persons with acquired blindness—effects on balance and gait speed
US20190307394A1 (en) Biofeedback System with Body Mapping Clothing for Patients with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CN105433961A (zh) 一种电网企业工作人员心理健康状况的评估方法
Rigby et al. Changes in cardiorespiratory responses and kinematics with hippotherapy in youth with and without cerebral palsy
KR20110050954A (ko) 개인 맞춤형 운동지도 및 학습지도 서비스 제공방법
Smith et al. Energy expenditure and cardiovascular responses to Tai Chi Easy
Bartonek et al. Head and trunk movements during turning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illiams et al. Training conditions influence walking kinematics and self-selected walking speed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impairments
Duvall Bear hug: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active deep touch pressure garment for sensory processing disorder
Walsh et al. Marker-based monitoring of seated spinal posture using a calibrated single-variable threshold model
KR102223908B1 (ko) 비대면 실시간 건강 및 학습 관리 시스템
Özgül et al. Wearable sensor device for posture monitoring and analysis during daily activities: A preliminary study
Hawkes Effect of the long-term health practices of Tai Chi, meditation and aerobics on adult human executive attention: A cross-sectional study
Lancere et al. Augmented Reality and Real-Time Feedback for Physical Therapy
KR102271565B1 (ko) 자세교정 및 운동정보 제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Huberty et al. Vinyasa flow: Metabolic cost and validation of hip-and wrist-worn wearable sensors
Bibrowicz et al. Application of Original System to Support Specialist Physiotherapy D4S in Correction of Postural Defects as Compared to Other Methods—A Review
Mastropoll et al. Dynamic correction of postural kyphosis
Yu et al. Multimedia feedback for improving breathing hab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