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313B1 -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313B1
KR101758313B1 KR1020150148685A KR20150148685A KR101758313B1 KR 101758313 B1 KR101758313 B1 KR 101758313B1 KR 1020150148685 A KR1020150148685 A KR 1020150148685A KR 20150148685 A KR20150148685 A KR 20150148685A KR 101758313 B1 KR101758313 B1 KR 101758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video
exercise
image
training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942A (ko
Inventor
한승현
김경한
송낙훈
Original Assignee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승현
김경한
송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승현, 김경한, 송낙훈 filed Critical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8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3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경도인지 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는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전평가 응답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며, 외부로부터 수신된 중재 콘텐츠를 출력하는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된 사전평가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매칭된 중재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며, 인지자극 훈련정보와 신체자극운동 훈련정보가 병합된 상기 중재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 장애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치매로서의 이환률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NCLUDING MUTI-ASPECT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본 발명은 경도인지 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는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지치료 및 운동 등과 같이 두 가지 이상의 프로그램을 병합하는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을 통하여 전통적 인지치료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뇌의 인지 장애는 임상적으로는 기억력, 인지력, 추리력, 실행 능력(executive functioning), 계획력, 판단력 및 감성적 안정성의 점차적인 손상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장애는 점차적으로 깊은 지능의 악화로 이어지게되며, 광범위한 질환들이 인지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신경심리학적 인지력 결핍은 기능성 신경 정신 질환(functional neuropsychiatric disorder)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공통적이다. 이들 중에서, 정신분열증은 만성이고, 심각하고, 무력하게 만드는 정신병의 형태이다. 과학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의 75% 이하가 인지력이 손상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정신분열증의 전통적인 치료는 고 용량으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정신분열증에서의 인지력 결핍을 치료할 때 효율적이지 않다. "비전형적인 항-정신병제(atypical anti-psychotics)"로 알려져 있는, 정신분열증을 위해 보다 최근에 개발된 치료가 인지력 결핍에서 조금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지만, 이러한 효과는 지속적이지 않을 수 있고 또는 일상 기능의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경도인지 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는 치매의 임상적 전단계로, 기억장애가 있으나 일상생활 기능이 보존되어 있고 판단능력과 인지기능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MCI는 초기에 치료하면 치매로 이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나, 그대로 방치하면 대부분 치매로 진행될 수 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MCI 유병률은 24.1%이고, 치매유병률은 8.1%로 나타나(보건복지부, 2009a), 65세 이상 MCI 노인은 치매노인보다 약 3배 많은 상황이므로, MCI가 치매로 이환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매우 필요하다.
인지기능의 장애의 대표적 질환으로서 치매는 걸리면 뇌신경세포의 광범위한 소실로 사회생활과 인간관계를 원만히 수행하지 못할 정도로 심한 인지기능 저하가 초래된다. 이러한 치매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높아져 80세 이상이면 약 33%에 도달하는데 이는 개인과 가족의 삶의 질 저하뿐만 아니라 이에 따르는 국민의료비 증가를 초래하는 중요한 건강문제이다.
인지능력 저하와 관련된 치매는 전 세계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치매인구 역시 매년 증가함에 따라 노인의료비 및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치료적인 측면 이전에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화와 동반되는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 및 회복하기 위한 개별요법(기억활동 프로그램, 인지자극 훈련, 회상요법, 언어훈련, 미술요법, 음악요법, 원예요법, 신체활동 등)의 적용은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효과에 있어서도 일관성을 보이지 않기에 최근에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개인의 흥미를 유발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정서 및 신체적 측면의 개별요법을 통합한 중재방법이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치매 전단계인 MCI를 관리하여 치매로서의 이환률을 줄일 수 있는 방법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06125호(2002.01.1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9635호(2015.04.1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76829호(2002.10.1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4820호(2011.09.23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자의 인지상태에 따라 맞춤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근거중심의 인지자극 프로그램과 신체자극운동 프로그램이 병합된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을 통해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 장애를 관리하여 치매로서의 이환률을 줄이고자 하는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전평가 응답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며, 외부로부터 수신된 중재 콘텐츠를 출력하는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된 사전평가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매칭된 중재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며, 인지자극 훈련정보와 신체자극운동 훈련정보가 병합된 상기 중재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을 사용하면,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 장애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치매로서의 이환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자의 인지상태에 따라 맞춤형 중재 콘텐츠를 제공하므로, 대상자의 인지기능을 유의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자극운동 훈련정보의 영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인지기능(MMSE-DS)에 대한 집단 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이하,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사전평가 응답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이하, '통신 네트워크'라고 약칭함)를 통해 연결되어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중재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은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관리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전평가 응답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중재 콘텐츠를 출력하는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이 설치된 것으로, 이를 위해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중재 콘텐츠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패드 등의 입력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터치패드에는 손가락으로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으나, 터치펜을 사용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100)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개별 식별기호(Identification Number : ID)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ID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ID 정보에는 사용자의 생년월일, 사용자의 키, 사용자의 몸무게, 사용자의 주소, 사용자의 전화번호, 사용자의 실물사진, 로그인을 위한 ID 및 비밀번호 등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후평가 응답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후분석을 통해 중재 콘텐츠를 통해 인지강화훈련을 수행한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또한,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은 보호자가 사용자에게 중재 콘텐츠의 시청을 유도할 수 있도록 중재 콘텐츠에 설정된 주기별로 보호자 전화번호로 훈련관리 안내메시지를 발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은 사용자로부터 보호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보호자 전화번호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되면 보호자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은 관리서버(200)가 보호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보호자 전화번호로 등록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아울러,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은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중재 콘텐츠를 관리하여 사용자의 요청이나 중재 콘텐츠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모니터(500)의 화면상에 훈련영상을 출력한다. 필요에 따라,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은 설정한 시간 이전(예컨대, 10분 이전)에 알람을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은 자체적으로 경도인지 장애 관리서비스를 받을 대상자를 분류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은 하세가와 치매척도(Hasegaw Dementia Scale) 검사, 노인 우울 검사(Geriatric Depression Scale)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여 경도인지 장애 수준을 모니터(50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하세가와 치매척도 검사, 노인 우울 검사로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사전평가 응답정보에는 건강형태 평가, 치매관련 위험요인 평가, 운동능력 평가가 포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전평가 응답정보에는 체성분 검사, 혈역학적 요인평가, 심혈관계 위험요인평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강형태 평가에는 기초적-일상 활동 기능평가(B-ADL)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매관련 위험요인 평가로는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DS)와 하세가와 치매척도 검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운동능력 평가에는 하지의 근력을 평가하는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테스트(Chair stand Test), 상지의 근력을 측정하는 아령 들기 테스트(Arm curl Test), 유산소성 지구력을 측정하는 6분 보행 테스트(6-minute walk Test), 하지의 유연성을 측정하는 의자에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테스트(Chaird sit-and-reach Test), 상지의 유연성을 측정하는 양손 등 뒤에서 잡기 테스트(Back scratch Test), 민첩성과 동적인 균형성을 측정하는 244cm 왕복 걷기 테스트(8-fit up-and-go Test)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령 들기 테스트(Arm curl Test)는 등을 곧게 펴고 발바닥을 지면에 평평하게 놓고 의자에 앉은 후, 덤벨을 수직이 되게 몸의 옆으로 위치시키고, 손바닥을 위쪽으로 향하면서 팔을 굴곡 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검사를 의미한다.
상기 244cm 왕복 걷기 테스트(8-fit up-and-go Test)는 등을 곧게 펴고 발바닥을 바닥과 평행하게 붙이고 손을 허벅지에 올려놓은 후, 한쪽 발을 약간 앞으로 놓으며, 고(Go)라는 구령에 맞춰 의자에서 일어나서 가능한 빨리 콘을 돌아서 다시 의자에 앉는 대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검사를 의미한다.
상기 체성분검사에는 신장과 체중 및 체지방율의 측정이 포함된다.
상기 혈역학적 요인평가에는 맥압과 평균동맥압 및 심근산소소비량의 측정이 포함된다.
상기 심혈관계 위험요인평가에는 혈압 및 심박수 측정, 전완과 하지의 혈관탄성을 측정하는 혈관탄성 측정, 혈액검사 측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왑(WAP)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경도인지 장애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며,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단말기로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 단말기로는 인터넷 접속 수단을 갖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TV, 스마트 홈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은 유선 단말기나 무선 단말기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은 보호자 단말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 단말기(3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결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이 중재 콘텐츠에 설정된 주기별로 발송한 훈련관리 안내메시지를 수신받는 구성이다.
필요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300)는 사용자 단말기(100)나 보호자 단말기(300)에 의해 관리서버(200)로 등록된 보호자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서버(200)로부터 평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자 단말기(3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와 관리서버(200)에 연결되며,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이 설치된다.
이러한 보호자 단말기(300)로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 스마트 홈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은 모션센서(400), 모니터(500), 스피커(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션센서(40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사용한 사용자의 몸체 부착되고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구성이다.
이때,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은 중재 콘텐츠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모션센서(400)로부터 전송된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중재 콘텐츠의 진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은 중재 콘텐츠가 모니터(500)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모션센서(400)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실한 훈련 참여를 판단한다. 즉, 신체자극운동 훈련정보의 영상과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성을 분석하며, 유사성이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분석되면 성실한 훈련 참여로 인정한다.
이때,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은 성실한 훈련 참여로 판단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중재 콘텐츠의 출력을 진행한다. 그리고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은 불성실한 훈련 참여로 판단되면 모니터(500)를 통해 이전 출력된 내용을 다시 출력한다.
상기 모니터(5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중재 콘텐츠의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모니터(5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모니터(500)는 직접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터치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6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중재 콘텐츠의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스피커(6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은 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서버(200)는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으로부터 전송된 사전평가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매칭된 중재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하며, 인지자극 훈련정보와 신체자극운동 훈련정보가 병합된 상기 중재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결되고 데이터베이스(210)가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듈(220)과, 데이터베이스(210), 및 중재 관리모듈(230)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중재 평가모듈(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모듈(220)은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10)는 경도인지 장애의 개선을 위한 중재 콘텐츠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관리서버(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된 상태로 관리서버(200)에 연결된다.
상기 중재 관리모듈(230)은 통신모듈(220)에 수신된 사전평가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로직에 의한 중재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중재 계획에 설정된 중재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중재 콘텐츠를 상기 통신모듈(22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상기 중재 평가모듈(240)은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으로부터 전송된 사후평가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평가정보를 해당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으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중재 평가모듈(240)은 통신모듈(220)에 수신된 사후평가 응답정보를 수집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평가정보를 사후평가 응답정보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지자극 훈련정보에는 주먹, 가위, 보 모양을 따라하도록 유도하는 주먹/가위/보 박수 훈련, 글자를 따라 겹쳐 쓰도록 유도하는 따라 적어보기 훈련, 도형에 지정된 색상별로 도형을 색칠하도록 유도하는 도형 채색 훈련, 보드게임의 일종인 젠가 참여를 유도하는 젠가 훈련, 단어를 보고 기억하여 거꾸로 말하기를 유도하는 거꾸로 말하기 훈련, 월간 계획표 만들기를 유도하는 월 계획표 만들기 훈련, 1차 유인물과 2차 유인물을 출력하여 모순된 단어와 색을 찾아내도록 유도하는 단어와 색 훈련, 종이를 찢고 붙이는 과정의 수행을 유도하는 찢고 조각 맞추기 훈련, 무작위로 배열된 단어로 문장의 생성을 유도하는 단어 고르기 훈련, 사용자의 집을 그려보도록 유도하는 우리집 그려보기 훈련, 단어를 보고 거꾸로 쓰기를 유도하는 글씨 거꾸로 쓰기 훈련, 볼링 게임의 참여를 유도하는 볼링 훈련, 만다라 그림을 출력하여 색칠을 유도하는 만다라 색칠하기 훈련, 출력된 동작의 따라 행동하기를 유도하는 보고 따라하기 훈련, 출력된 문구의 따라 말하기를 유도하는 거꾸로 스무고개 훈련, 출력된 스텝 패턴의 따라 이동하기를 유도하는 스텝 패드 훈련, 여러 장의 그림 중 사진과 매칭된 인물의 선택을 유도하는 같은 사람 찾기 훈련, 여러 개의 단어 중 연결고리가 다른 단어의 선택을 유도하는 연결고리 훈련, 점차 높은 숫자를 찾아 선을 잇도록 유도하는 선 잇기 훈련, 종이접기 과정을 출력하여 종이접기를 유도하는 종이접기 훈련, 지정된 주제에 따라 사물의 순서를 정하도록 유도하는 사물과 순서 훈련, 여러 개의 단어에 대한 연상 단어의 쓰기를 유도하는 연상단어 쓰기 훈련, 서로 겹쳐진 문양의 개별 문양을 쓰도록 유도하는 겹쳐진 그림 찾기 훈련, 윷놀이 참여를 유도하는 윷놀이 훈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이러한 인지자극 훈련은 터치펜과 터치패드를 통해 진행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보호자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 유입물을 추가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먹/가위/보 박수 훈련은 미리 준비해둔 주먹, 가위, 보 박수 영상을 보여준 뒤 진행자의 지시에 따라 영상을 보고 주먹, 가위, 보 모양을 사용자가 따라하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따라 적어보기 훈련은 영상으로 출력된 글을 사용자가 큰소리로 읽어보도록 하고, 영상으로 출력된 투명한 글씨의 외곽선을 따라 터치펜으로 터치패드에 적어보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도형 채색 훈련은 도형과 색(예시)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터치펜과 터치패드를 통해 도형에 맞는 색을 칠해보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젠가 훈련은 사용자가 보호자 등이 포함된 3인과 함께 젠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거꾸로 말하기 훈련은 미리 준비한 낱말을 영상으로 보여주고, 사용자가 단어를 기억하게 한 후 사용자가 단어를 거꾸로 말하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월 계획표 만들기 훈련은 영상으로 월 계획표의 예시를 설명한 후, 사용자가 터치펜 및 터치패드를 통해 월 계획표를 직접 만들어 보도록 하는 훈련이다. 이때, 사용자가 작성한 월 계획표는 터치팬 및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되어 모니터(500)를 통해 표시된다.
상기 단어와 색 훈련은 복수개의 단어가 나열된 영상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색과 단어가 일치하지 않는 보기들의 개수를 맞추어 보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찢고 조각 맞추기 훈련은 단일 사진이 여러 조각으로 찢어진 영상을 출력하고, 터치펜과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신호를 기반으로 각 조각이 본래 위치로 찾아가도록 조각 맞추기를 진행하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단어 고르기 훈련은 영상으로 제시된 여러 개의 단어를 읽고, 각 단어들로 문장을 만들어 보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우리집 그려보기 훈련은 영상으로 미리 준비된 우리 집 그려보기를 보여주고, 터치펜과 터치패드를 통해 사용자가 가전제품 및 가구가 포함된 집의 외곽과 구조를 그리도록 하는 훈련이다. 이때, 가전제품 및 가구는 단어로 표현하도록 한다.
상기 글씨 거꾸로 쓰기 훈련은 영상으로 미리 준비된 글씨를 보여주고, 사용자가 터치펜과 터치패드를 통해 상기 글씨의 외곽선을 따라 쉬운 단어부터 따라 쓰며, 난이도를 높여 문장을 외곽선 없이 거꾸로 쓰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볼링 훈련은 사용자가 보호자 등과 함께 볼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만다라 색칠하기 훈련은 영상으로 만다라그림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터치펜과 터치패드를 통해 만다라그림 선 밖으로 색칠이 튀어나가지 않도록 색칠하게 하는 훈련이다.
상기 보고 따라하기 훈련은 영상으로 구령과 동작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선행동작을 따라하도록 하며, 영상으로 선행동작과 반대되는 동작을 보여 준 후, 반대동작을 따라하도록 하게 하는 훈련이다.
상기 거꾸로 스무고개 훈련은 영상으로 미리 준비된 속담, 시조를 보여주고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보호자가 사용자에게 총 20번의 질문을 하면 사용자가 답변하며, 보호자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속담, 시조를 맞추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스텝 패드 훈련은 영상으로 스텝 방향이 표시된 스텝 패드와 스텝 패드를 통한 이동 동작을 보여준 후 사용자가 따라하도록 하며, 영상으로 상기 이동 동작과 반대되는 순서의 이동 동작을 보여준 후 사용자가 따라하도록 하게 하는 훈련이다.
상기 같은 사람 찾기 훈련은 1차 영상으로 특정인물의 사진을 보여 준 후, 사용자가 2차 영상에 포함된 여러 명의 인물을 보고 닮은 사람을 찾게 하는 훈련이다.
상기 연결고리 훈련은 영상으로 여러 개의 단어나 사진을 보여준 후 사용자에게 어울리지 않은 단어나 사진을 선택하도록 하게 하는 훈련이다.
상기 선 잇기 훈련은 영상으로 숫자가 표시된 선들을 보여주고, 사용자로 하여금 가장 낮은 숫자 2개를 찾도록 하며, 점차 높은 숫자를 찾아 손가락이나 터치펜과 터치패드를 통해 선을 잇도록 하여 그림을 완성하도록 하게 하는 훈련이다.
상기 종이접기 훈련은 영상으로 종이접기 과정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종이접기를 따라하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사물과 순서 훈련은 영상으로 여러 개의 주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단일 주제를 선택하도록 하며, 상기 주제에 관련된 여러 개의 사물을 보여준 후 사용자가 주제에 맞게 사물의 순서를 정하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연상단어 쓰기 훈련은 영상으로 여러 개의 단어를 보여준 후 터치펜 및 터치패드를 통해 여러 개의 영상 단어를 입력하도록 하며, 각 영상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만들어 보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겹쳐진 그림 찾기 훈련은 복수개의 문양이 겹쳐진 영상을 보여준 후 사용자로 하여금 겹쳐진 문양의 올바른 표시형태를 입력하도록 하는 훈련이다.
상기 윷놀이 훈련은 사용자가 보호자 등과 함께 윷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자극운동 훈련정보에는 말초신경을 자극하기 위한 손발체조 훈련영상이나, 매트를 이용한 스트레칭 훈련영상,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위한 관절운동 훈련영상, 고유수용성 신경 촉진을 위한 세라밴드운동 훈련영상, 전신의 혈액순환 촉진을 위한 수건운동 훈련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손발체조 훈련영상은 도 4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및 세 번째의 손운동과 같은 동작을 설명해 주는 영상과, 도 4의 네 번째 발운동과 같은 동작을 설명해 주는 영상이 하나 이상 포함된다.
상기 매트를 이용한 스트레칭 훈련영상은 도 5와 같이 머리위로 양팔 들어올리기, 몸통 기울이기, 몸통 틀기, 앉아서 다리 뻗기, 무릎 구부렸다 펴기, 한쪽 무릎 당기기, 골반 들어올리기, 누워 몸통비틀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한다.
상기 관절운동 훈련영상은 도 6과 같이 의자를 이용한 경추관절운동, 의자를 이용한 견관절 운동, 의자를 이용한 주관절 운동, 의자를 이용한 척추관절운동, 의자를 이용한 수근관절운동, 의자를 이용한 손가락 지관절 운동, 의자를 이용한 고관절 운동, 의자를 이용한 족관절 운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한다.
상기 세라밴드운동 훈련영상은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앉아서 어깨 돌리기, 양팔 올려 등 뒤로 내렸다 올리기, 양팔 올려 가슴 앞으로 내렸다 올리기, 가슴 앞에서 교차한 후 들어올리기, 한손 머리 뒤로 보내기, 옆으로 몸통 기울이기, 양팔 앞으로 내밀기, 한 팔씩 들어올리기, 양팔 교차하기, 한 다리 들어 올렸다 내리기, 상체 틀어주기, 양팔 머리 위로 들어올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한다.
상기 전신의 혈액순환 촉진을 위한 수건운동 훈련영상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목 돌리기, 기지개 펴기, 다리 옆으로 내밀기, 다리 뒤로 보내기, 무릎 구부렸다 펴기, 몸통 틀기, 다리 뒤로 들기, 몸통 틀어 정지하기, 몸통 말기, 몸통 회전하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다만 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상술한 발명의 특정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권리범위 등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험예]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이 경도인지 장애를 갖는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5년 6월 29일부터 2015년 9월 30일 까지 12주간, 주 2회 일일 90분간 임상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대학 A연구소 치매예방 통합관리사업 대상자 중 신규 대상자로서, 치매위험군에 해당하는 65세 이상 노인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두 집단으로 무선할당 하였으며, 이들 중 프로그램 중도탈락자 1명(실험군: 1명)을 제외한 39명(실험군: 19명, 대조군: 20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단말기에 설치된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110)을 통해 6가지 인지영역(주의, 언어, 지남력, 기억, 지각, 전두엽 관리기능)에 대한 인지자극 훈련정보와 신체자극 훈련정보가 병합한 중재 콘텐츠를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은 신체자극 훈련정보를 제외한 6가지 인지영역으로 이루어진 인지자극 훈련정보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인지기능(MMSE-DS)의 집단 간 변화는 <표 1> 및 도 12와 같다.
Figure 112015103696218-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실험군은 사전 24.57±2.46에서 사후 25.00±3.21로 산출되었으며, 사후와 사전의 차이는 1.32±0.95로 산출되었다. 대조군은 사전 25.89±2.16에서 사후 24.90±2.95로 산출되었으며, 사후와 사전의 차이는 -0.10±0.97로 산출되었다. 이와 같이, 집단 간 변화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4.619, p<.001).
결과적으로, 실험군의 인지기능(MMSE-DS)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이 경도인지 장애(MCI) 노인의 치매위험성 감소에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
200 : 관리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
220 : 통신모듈 230 : 중재 관리모듈
300 : 보호자 단말기 400 : 모션센서
500 : 모니터 600 : 스피커

Claims (13)

  1.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전평가 응답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수신된 중재 콘텐츠를 출력하며, 사후분석을 통해 중재 콘텐츠를 통해 인지강화훈련을 수행한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후평가 응답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보호자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보호자가 사용자에게 중재 콘텐츠의 시청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중재 콘텐츠에 설정된 주기별로 상기 보호자 전화번호로 훈련관리 안내메시지를 발송하는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중재 콘텐츠에 설정된 주기별로 발송한 훈련관리 안내메시지를 수신받는 보호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된 사전평가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매칭된 중재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며, 인지자극 훈련정보와 신체자극운동 훈련정보가 병합된 상기 중재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된 사후평가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평가정보를 상기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경도인지 장애의 개선을 위한 중재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통신모듈에 수신된 사전평가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로직에 의한 중재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중재 계획에 설정된 중재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중재 콘텐츠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중재 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몸체 부착되고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모션센서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어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중재 콘텐츠의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어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중재 콘텐츠의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은 상기 중재 콘텐츠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모션센서로부터 전송된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중재 콘텐츠의 진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평가 응답정보에는
    건강형태 평가, 치매관련 위험요인 평가, 운동능력 평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자극 훈련정보에는
    주먹, 가위, 보 모양을 따라하도록 유도하는 주먹/가위/보 박수 훈련, 글자를 따라 겹쳐 쓰도록 유도하는 따라 적어보기 훈련, 도형에 지정된 색상별로 도형을 색칠하도록 유도하는 도형 채색 훈련, 월간 계획표 만들기를 유도하는 월 계획표 만들기 훈련, 1차 유인물과 2차 유인물을 출력하여 모순된 단어와 색을 찾아내도록 유도하는 단어와 색 훈련, 무작위로 배열된 단어로 문장의 생성을 유도하는 단어 고르기 훈련, 사용자의 집을 그려보도록 유도하는 우리집 그려보기 훈련, 단어를 보고 거꾸로 쓰기를 유도하는 글씨 거꾸로 쓰기 훈련, 만다라 그림을 출력하여 색칠을 유도하는 만다라 색칠하기 훈련, 출력된 동작의 따라 행동하기를 유도하는 보고 따라하기 훈련, 출력된 스텝 패턴의 따라 이동하기를 유도하는 스텝 패드 훈련, 여러 장의 그림 중 사진과 매칭된 인물의 선택을 유도하는 같은 사람 찾기 훈련, 여러 개의 단어 중 연결고리가 다른 단어의 선택을 유도하는 연결고리 훈련, 점차 높은 숫자를 찾아 선을 잇도록 유도하는 선 잇기 훈련, 지정된 주제에 따라 사물의 순서를 정하도록 유도하는 사물과 순서 훈련, 여러 개의 단어에 대한 연상 단어의 쓰기를 유도하는 연상단어 쓰기 훈련, 서로 겹쳐진 문양의 개별 문양을 쓰도록 유도하는 겹쳐진 그림 찾기 훈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자극운동 훈련정보에는
    말초신경을 자극하기 위한 손발체조 훈련영상이나, 매트를 이용한 스트레칭 훈련영상,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위한 관절운동 훈련영상, 고유수용성 신경 촉진을 위한 세라밴드운동 훈련영상, 전신의 혈액순환 촉진을 위한 수건운동 훈련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손발체조 훈련영상에는
    손목관절운동 훈련영상, 손등누르기 훈련영상, 손바닥누르기 훈련영상, 손가락 깍지끼워 누르기 훈련영상, 손바닥비비기 훈련영상, 손가락으로 손바닥 두드리기 훈련영상, 손바닥 두드리기 훈련영상, 손가락 끝 두드리기 훈련영상, 손가락 잡아당기기 훈련영상, 손가락 튕기기 훈련영상, 발가락 관절운동 훈련영상, 발바닥 두드리기 훈련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를 이용한 스트레칭 훈련영상에는
    머리위로 팔들어 올리기 훈련영상, 몸통 기울이기 훈련영상, 몸통 틀기 훈련영상, 앉아서 다리뻗기 훈련영상, 무릎 구부렸다 펴기 훈련영상, 한쪽 무릎 당기기 훈련영상, 양 무릎 들어올리기 훈련영상, 몸통비틀기 훈련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운동 훈련영상에는
    의자를 이용한 경추관절운동 훈련영상, 의자를 이용한 견관절운동 훈련영상, 의자를 이용한 주관절운동 훈련영상, 의자를 이용한 추관절운동 훈련영상, 의자를 이용한 수근관절운동 훈련영상, 의자를 이용한 지관절운동 훈련영상, 의자를 이용한 고관절운동 훈련영상, 의자를 이용한 족관절운동 훈련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밴드운동 훈련영상에는
    앉아서 어깨 돌리기 훈련영상, 양팔 올려 가슴 앞으로 내렸다 올리기 훈련영상, 양팔 올려 가슴 앞으로 내렸다 올리기 훈련영상, 가슴 앞에서 교차한 후 들어올리기 훈련영상, 한손 머리 뒤로 보내기 훈련영상, 옆으로 몸통 기울이기 훈련영상, 양팔 앞으로 내밀기 훈련영상, 한 팔씩 들어 올리기 훈련영상, 양팔 교차하기 훈련영상, 한 다리 들어 올렸다 내리기 훈련영상, 상체 틀어주기, 양팔 머리위로 들어올리기 훈련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건운동 훈련영상에는
    목 돌리기 훈련영상, 기지개 펴기 훈련영상, 다리 옆으로 내밀기 훈련영상, 다리 뒤로 보내기 훈련영상, 무릎 구부렸다 펴기 훈련영상, 몸통 틀기 훈련영상, 다리 뒤로 들기 훈련영상, 몸통 틀어 멈추기 훈련영상, 몸통 말기 훈련영상, 몸통 회전하기 훈련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KR1020150148685A 2015-10-26 2015-10-26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KR10175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685A KR101758313B1 (ko) 2015-10-26 2015-10-26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685A KR101758313B1 (ko) 2015-10-26 2015-10-26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942A KR20170047942A (ko) 2017-05-08
KR101758313B1 true KR101758313B1 (ko) 2017-07-14

Family

ID=5935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685A KR101758313B1 (ko) 2015-10-26 2015-10-26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3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74B1 (ko) * 2018-09-07 2019-11-11 대한민국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30086964A (ko) 2021-12-09 2023-06-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인지 장애 재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36B1 (ko) * 2017-10-30 2018-09-12 대한민국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훈련 방법
KR102228066B1 (ko) * 2018-09-28 2021-03-15 대한민국 인지 장애인 돌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493435B1 (ko) * 2019-11-21 2023-01-31 주식회사 와이닷츠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358747B1 (ko) * 2019-11-25 2022-02-04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갱년기 여성을 위한 인지예비능 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47195B1 (ko) 2019-12-31 2022-09-27 주식회사 에스알파테라퓨틱스 경도 인지 장애와 치매 치료를 위한 디지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KR102222754B1 (ko) 2020-07-11 2021-03-03 김백년 인지워크시트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EP4364160A1 (en) * 2021-07-02 2024-05-08 S-Alpha Therapeutics, Inc. Digital apparatus and application for treat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4126A1 (en) * 2008-02-21 2011-01-06 Motorika Limited System and a method for scoring functional abilities of a patient
US20120108909A1 (en) 2010-11-03 2012-05-03 HeadRehab, LLC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of Cognitive and Motor Functions Using Virtual Rea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4126A1 (en) * 2008-02-21 2011-01-06 Motorika Limited System and a method for scoring functional abilities of a patient
US20120108909A1 (en) 2010-11-03 2012-05-03 HeadRehab, LLC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of Cognitive and Motor Functions Using Virtual Rea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74B1 (ko) * 2018-09-07 2019-11-11 대한민국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30086964A (ko) 2021-12-09 2023-06-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인지 장애 재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942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313B1 (ko)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Manheim The myofascial release manual
King et al. The effects of exercise and education, individually or combined, in women with fibromyalgia.
Hernandez‐Reif et al. Cerebral palsy symptoms in children decreased following massage therapy
Cusumano The short-term psychophysiological effects of hatha yoga and progressive relaxation on female Japanese students
Hernandez‐Reif et al. Children with Down syndrome improved in motor functioning and muscle tone following massage therapy
Klinke et al. Ward-based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hemispatial neglect in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robst et al. Physiotherapy for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Galantino et al. Effectiveness of somatic yoga and meditation: a pilot study in a multicultural cancer survivor population with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Gao Cognitive guidance and improvement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based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design
Stallibrass et al. Retention of skills learnt in Alexander technique lessons: 28 people with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Glavare et al. Virtual reality exercises in an interdisciplinary rehabilitation programme for persons with chronic neck pain: a feasibility study
Zafeiroudi et al. Somatic education and mind-body disciplines: exploring the effects of the pilates method on life satisfaction,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Borges Silva et al. Effects of a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visually impaired people: Development of an audio–tactile exercise protocol
Brown et al. Adult conductive education: a practical guide
Clancy The effects of yoga on body dissatisfaction, self-objectification, and mindfulness of the body in college women
Lecuona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extremely low to very low birth weight premature infant
Alenezi Motor imagery as a potential tool for improvement of musculoskeletal function in physiotherapy practice
Friel Yoga and Reiki as Self-Care Interventions for Professional Nurses: A Weekend Retreat
Becker et al. The effects of walking poles and training on gait characteristics and fear of falling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Russell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al Resource Stimulation Programme" o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Peper et al. Repetitive strain injury
Street Effectiveness of Ashtanga and Vinyasa Yoga: Combating Anxiety, Depression, Stress and Sleep Quality.
Brayshaw The Effects of Standing Meditation on Balance and Mindfulness in Older Adults: A Tai Chi Component Study
Greenwell Self-Empowerment in the Healing Process: An Exploration of Energy Kinesiology Techniques to Enhance Personal Decision-Making and Provide Tools for Maintaining Wellness and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