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774B1 -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774B1
KR102041774B1 KR1020180106936A KR20180106936A KR102041774B1 KR 102041774 B1 KR102041774 B1 KR 102041774B1 KR 1020180106936 A KR1020180106936 A KR 1020180106936A KR 20180106936 A KR20180106936 A KR 20180106936A KR 102041774 B1 KR102041774 B1 KR 10204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habilitation
language
patient
rehabilit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민
정영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06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은 환자의 언어 장애 정도에 적합한 언어재활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하는 단계,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정하는 단계 및 판정 결과에 따라 제공할 언어재활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결정된 언어재활 콘텐츠로 선택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대체하여, 반복 제공하는 단계, 판정하는 단계, 결정하는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CONTENT PROVIDING METHOD FOR LANGUAGE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언어재활을 위해 반복학습하게 되는 콘텐츠의 교체시기를 학습 성적이 아닌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판단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언어재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조기 발견, 전문가에 의한 장애유형 평가 그리고 평가 결과에 기초한 반복 학습 훈련이다. 종래에는 주로 책자의 형태로 언어재활 콘텐츠가 제공되었는데,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매번 같은 교재를 가지고 학습하게 되고 치료사의 입장에서는 수준별 학습을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온라인 콘텐츠로 개발되어진 언어재활 콘텐츠의 경우에도 기존 책자를 이미지로 변환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학습자 레벨에 따른 반복된 훈련이 언어재활에 있어 중요한 것은 맞지만, 항상 같은 콘텐츠를 사용하게 되면 학습자의 평가 점수가 높아진 원인을 정확히 치료사가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같은 콘텐츠를 반복 사용하다보니 학습자가 문제를 외워버려서 평가 점수가 높아진 것인지, 실제로 언어재활의 효과가 발생하여 평가 점수가 높아진 것인지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등록특허 제10-1894536 (2018.08.28) 등록특허 제10-1320624(2013.10.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반복 제공되는 언어재활 콘텐츠 교체시기를 판단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은, 환자의 언어 장애 정도에 적합한 언어재활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제공할 언어재활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언어재활 콘텐츠로 상기 선택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대체하여, 반복 제공하는 단계, 판정하는 단계, 결정하는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로 인한 언어재활 효과 상승률이 기설정된 레벨 이하이면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는 상기 환자의 뇌파정보 및 발화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자의 뇌파정보 및 발화정보는 상기 환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수집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복수의 전극 및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정 결과가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것이면, 새로이 생성한 언어재활 콘텐츠를 제공할 언어재활 콘텐츠로 결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가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불필요하다는 것이면, 상기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제공한 언어재활 콘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공할 언어재활 콘텐츠가 경로 이어 그리기 훈련 콘텐츠이면, 상기 경로 이어 그리기 훈련 콘텐츠는 랜덤한 좌표 값에 기초하여 새로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이어 그리기 훈련 콘텐츠는, 랜덤한 좌표 값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의 원을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원이 중첩되면 중첩된 원 중 하나의 좌표를 랜덤하게 재설정하여 새로이 생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언어재활 콘텐츠를 반복 제공하는 방식을 택하면서도 콘텐츠 교체시기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언어재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콘텐츠 제공 장치의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5 및 6은 랜덤하게 언어재활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생체정보 수집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메모리(130), 통신부(140), 입력부(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 수집부(110)는 사용자(예를 들어 재활치료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생체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생체정보는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정보 수집부(110)는 뇌파정보를 수집하는 전극(111), 발화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111)은 사용자의 머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사용자의 뇌로부터 뇌파를 검출할 수 있다. 생체정보 수집부(110)는 전극(111)에서 검출한 뇌파를 프로세서(160)에서 사용 가능한 뇌파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정보 수집부(110)는 뇌파의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전처리 동작, 잡음을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동작, 언어 기능과 관련된 뇌영역들 간의 신호 전달 방향이나 세기를 기초로 뇌파 데이터를 분류하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생체정보 수집부(110)는 단순히 검출된 뇌파 정보를 프로세서(160)로 전달하고, 프로세서(160)가 전처리, 노이즈 제거, 분류 동작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마이크(113)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13)는 수집된 사용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음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마이크(113)는 수집된 사용자의 음성에서 노이즈(예를 들어, 생활 소음, 다른 학습자의 음성 등)를 제거하여 음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113)는 아날로그 형태의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이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마이크(113)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에너지를 계산하여, 디지털 신호의 에너지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디지털 신호의 에너지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마이크(113)는 디지털 신호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프로세서(16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 예에서는 생체정보 수집부(110)가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일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생체정보 수집부(110)의 기능을 외부의 웨어러블 장치(200)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언어재활 콘텐츠, 콘텐츠 제공 프로그램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언어재활 콘텐츠 제공과 관련된 각종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표시 장치(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패드와 함께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면적, 터치 입력의 압력까지도 검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20)는 후술할 입력부(150)의 기능을 아울러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공할 언어재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된 언어재활 콘텐츠는 기생성된 콘텐츠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프로세서(160)에서 새로이 생성된 언어재활 콘텐츠일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콘텐츠 제공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플래쉬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언어재활 콘텐츠 제공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ROM, 언어재활 콘텐츠 제공 동작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언어재활 콘텐츠, 환자의 재활치료 정도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언어재활 치료 결과를 사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 Zigbee 통신, WiFi, 적외선(InfraRed, IR)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선택 명령, 문제에 대한 답변, 개인 정보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50)는 표시된 언어재활 콘텐츠의 답변을 입력받을 수 있고, 프로세서(160)는 입력된 답변이 표시된 언어재활 콘텐츠의 정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20)가 입력부(150)의 기능을 아울러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입력장치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60)는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상술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도록 생체정보 수집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제공하기로 결정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단일 프로세서(예를 들어, 하나의 CPU 또는 하나의 AP)로 구현되어 생체정보 분석 동작, 콘텐츠 교체 시기 판단 동작, 콘텐츠 생성 동작 등을 수행할 수도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60)는 언어재활 학습을 시작할 때 환자의 언어 장애 정도에 적합한 언어재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환자의 언어 장애 정도 판단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인지선별검사 및 언어선별검사를 제공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언어재활 콘텐츠의 종류, 난이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선택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할 수 있다. 동일한 콘텐츠를 반복하여 학습하게 하는 것이 언어재활에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프로세서(160)는 반복 제공되었던 언어재활 콘텐츠가 재차 반복 제공할 콘텐츠로 선택된 경우에는 기설정된 횟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회차에 10번 반복 제공되었던 제1 콘텐츠가 재차 2회차에 제공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면, 프로세서(160)는 반복 제공할 횟수를 8번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생체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정할 수 있다.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의 평가 결과(예를 들어, 콘텐츠에 포함된 퀴즈 점수 등)에만 의존할 경우, 언어재활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것인지, 아니면 반복하여 동일한 콘텐츠에 노출된 익숙함 때문에 평가 점수가 높아진 것인지 알기 어렵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콘텐츠의 평가 결과 이외의 언어 장애가 경감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뇌파나 음성과 같은 생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환자의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로 인한 언어재활 효과 상승률이 기설정된 레벨 이하이면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반대로 언어재활 효과 상승률이 기설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아직은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불필요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뇌파 데이터를 분석하면 환자가 언어를 이해하여 처리한 뇌파 신호와 언어를 이해하지 못한 경우의 뇌파 신호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60)는 뇌파 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언어 이해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 제공 이전과 이후의 언어 이해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발화하는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면 환자의 발화 기능, 언어처리 기능이 얼마나 향상되었는지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60)는 발화 데이터를 통해 언어재활 콘텐츠 제공 이전과 이후의 재활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교체 필요성에 대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에 제공할 언어재활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정 결과가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것이면, 프로세서(160)는 언어재활 콘텐츠를 새로이 생성하고, 생성된 콘텐츠를 다음에 제공할 언어재활 콘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이 생성하여 제공할 언어재활 콘텐츠가 경로 이어 그리기 훈련 콘텐츠이면, 프로세서(160)는 랜덤한 좌표 값에 기초하여 경로 그리기 훈련 콘텐츠를 새로이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랜덤한 좌표 값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의 원을 배치하고, 배치된 복수의 원 중 일부가 중첩되면, 중첩된 원 중 하나의 좌표를 랜덤하게 재설정하여 모든 원이 중첩되지 않고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배치된 복수의 원 안에 연결 순서를 알 수 있는 숫자나 기호를 삽입하여 경로 이어 그리기 훈련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반대로, 판정 결과가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불필요하다는 것이면, 프로세서(160)는 반복 제공된 언어제활 콘텐츠를 다시 다음에 제공할 콘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60)는 콘텐츠를 반복 제공하는 횟수를 변경할 수는 있다.
프로세서(160)는 다음에 제공하기로 결정된 언어재활 콘텐츠로 이전에 제공한 언어재활 콘텐츠를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언어재활 콘텐츠의 반복 제공, 생체정보를 이용한 교체 필요성에 대한 판정, 다음에 제공한 콘텐츠의 결정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언어재활 학습효과에 대한 계속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순하게 콘텐츠를 반복 제공하던 기존의 방법에 비해 언어재활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20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0)는 환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글라스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210)과 마이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는 전극(210)을 통해 뇌파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마이크(220)를 통해 발화 음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콘텐츠 제공 장치(100)로 수집한 생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웨어러블 장치(200)는 머리에 직접적인 접촉 부분이 없는 스마트 와치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어폰 연결과 같은 방식으로 전극을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환자의 언어 장애 정도에 적합한 언어재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310). 본격적인 언어재활 콘텐츠 제공에 앞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언어 장애 정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언어재활 콘텐츠의 종류나 난이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언어선별검사나 인지선별검사를 진행하여 사용자의 언어 장애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언어선별검사의 예로는 한국판 프렌차이 실어증 선별검사, 범주형 이름대기 검사 등이 있다. 인지선별검사의 예로는 간이정신상태검사, 전반적퇴화척도 검사 등이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선택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할 수 있다(S320). 언어재활 학습자의 레벨에 적합한 콘텐츠를 반복 학습하는 것이 언어재활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동일한 콘텐츠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한다.
동일한 콘텐츠를 반복 제공한 결과 훈련 점수가 높아졌다면, 높아진 훈련 점수가 실제로 환자의 언어 장애 정도가 경감되었기 때문인지, 아니면 반복 제공된 콘텐츠에 익숙해져서 인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언어 장애 정도 또는 언어재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별도의 정보인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정할 수 있다(S330).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환자의 생체정보 분석을 통해 언어재활 효과 상승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어재활 효과 상승률이 기설정된 레벨 이하인 경우에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어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판정 결과에 따라 제공할 언어재활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S340). 그리고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공하기로 결정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하고, 교체가 필요한지 판정하며, 판정 결과에 따라 다시 제공할 언어재활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S310 단계에서 선택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S340 단계에서 결정된 언어재활 콘텐츠로 대체하고, S320 단계에서 S340 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교체 필요성 판단 방법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 콘텐츠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할 수 있다(S410). 그리고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환자의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정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환자의 뇌파 정보 및 발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콘텐츠가 제공되기 이전과 이후의 언어재활 효과를 비교할 수 있다.
언어재활 효과 상승률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이면(S420-N),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 콘텐츠를 재차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할 수 있다(S410). 반대로 언어재활 효과 상승률이 기설정된 레벨 이하이면(S420-Y),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2 콘텐츠를 새로이 생성할 수 있다(S430). 그리고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새로이 생성된 제2 콘텐츠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할 수 있다(S440). 제2 콘텐츠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된 이후에는 제2 콘텐츠를 교체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이 반복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6을 이용하여 새로운 언어재활 콘텐츠를 랜덤하게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경로 이어 그리기 훈련 콘텐츠를 생성할 공간을 예시한 도면이다. 경로 이어 그리기 훈련 콘텐츠는 복수의 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원 안에 숫자나 기호가 있어 순서대로 복수의 원을 연결하는 과제이다. 도 5의 실시 예에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랜덤한 x 및 y 좌표 값을 중심으로 하는 원을 그릴 수 있다. 가로 축인 x 좌표는 0~500 사이의 랜덤 값이고, 세로 축인 y 좌표는 0~300 사이의 랜덤 값이다.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랜덤하게 구해진 x 및 y 좌표에 해당하는 점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반지름을 갖도록 하여 원을 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랜덤한 좌표를 중심으로 반지름 10인 원을 그릴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그려진 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에 대한 정보는 중심 좌표의 값과 반지름일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동일한 방식으로 다음 원을 그릴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이전에 그려진 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새로이 그려질 원이 이전에 그려진 원과 중첩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중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새로이 랜덤 좌표를 설정하여 원을 그리게 된다. 도 6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10개의 원을 그려 생성한 경로 이어 그리기 훈련 콘텐츠의 일 예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개시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SSD,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의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는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콘텐츠 제공 장치
110: 생체정보 수집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메모리
140: 통신부
150: 입력부
160: 프로세서
200: 웨어러블 장치

Claims (7)

  1.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인지선별검사 및 언어선별검사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환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인지선별검사 및 언어선별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언어 장애 정도에 적합한 언어재활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제공하는 단계;
    생체정보 수집부가, 상기 환자의 뇌파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뇌파에서 언어 기능과 관련된 뇌영역들 간의 신호 전달 방향 및 세기를 기초로 뇌파 데이터를 분류하여 상기 프로세서에서 사용 가능한 뇌파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의 평가 결과가 상기 환자의 언어재활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결과인지 아니면 반복 제공된 동일한 언어재활 콘텐츠에 익숙해진 결과인지를 상기 변환된 환자의 뇌파 데이터를 분석하여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계속 제공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한지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제공할 언어재활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결정된 언어재활 콘텐츠로 상기 선택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대체하여, 반복 제공하는 단계, 판정하는 단계, 결정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계속 제공할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횟수를 줄여서 반복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뇌파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로 인한 언어재활 효과 상승률이 기설정된 레벨 이하이면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뇌파정보는 상기 환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수집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복수의 전극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정 결과가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것이면, 새로이 생성한 언어재활 콘텐츠를 제공할 언어재활 콘텐츠로 결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가 언어재활 콘텐츠의 교체가 불필요하다는 것이면, 상기 반복 제공된 언어재활 콘텐츠를 제공한 언어재활 콘텐츠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할 언어재활 콘텐츠가 경로 이어 그리기 훈련 콘텐츠이면, 상기 경로 이어 그리기 훈련 콘텐츠는 랜덤한 좌표 값에 기초하여 새로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이어 그리기 훈련 콘텐츠는,
    랜덤한 좌표 값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의 원을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원이 중첩되면 중첩된 원 중 하나의 좌표를 랜덤하게 재설정하여 새로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80106936A 2018-09-07 2018-09-07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41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36A KR102041774B1 (ko) 2018-09-07 2018-09-07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36A KR102041774B1 (ko) 2018-09-07 2018-09-07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774B1 true KR102041774B1 (ko) 2019-11-11

Family

ID=6853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936A KR102041774B1 (ko) 2018-09-07 2018-09-07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964B1 (ko) 2023-07-21 2024-05-24 서울대학교병원 파킨슨 환자의 말장애에 대한 평가 및 환자 맞춤형 말-언어치료를 위한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624B1 (ko) 2012-01-27 2013-10-23 주식회사 넷블루 통합형 인지 재활 시스템 및 통합형 인지 재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58313B1 (ko) * 2015-10-26 2017-07-14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KR101776254B1 (ko) * 2015-11-05 2017-09-07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인지훈련 서비스제공시스템
JP6234563B2 (ja) * 2014-05-22 2017-1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訓練システム
KR101813702B1 (ko) * 2017-07-25 2018-02-21 주식회사 멀틱스 무선통신을 이용한 뇌파 검사/훈련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뇌파 검사/훈련 방법
KR101894536B1 (ko) 2017-10-30 2018-09-12 대한민국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훈련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624B1 (ko) 2012-01-27 2013-10-23 주식회사 넷블루 통합형 인지 재활 시스템 및 통합형 인지 재활 서비스 제공 방법
JP6234563B2 (ja) * 2014-05-22 2017-1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訓練システム
KR101758313B1 (ko) * 2015-10-26 2017-07-14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KR101776254B1 (ko) * 2015-11-05 2017-09-07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인지훈련 서비스제공시스템
KR101813702B1 (ko) * 2017-07-25 2018-02-21 주식회사 멀틱스 무선통신을 이용한 뇌파 검사/훈련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뇌파 검사/훈련 방법
KR101894536B1 (ko) 2017-10-30 2018-09-12 대한민국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훈련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964B1 (ko) 2023-07-21 2024-05-24 서울대학교병원 파킨슨 환자의 말장애에 대한 평가 및 환자 맞춤형 말-언어치료를 위한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ieto et al. Teaching analytics: towards automatic extraction of orchestration graphs using wearable sensors
KR102166011B1 (ko) 터치입력을 이용한 인지장애 판단 시스템 및 방법
EP3618698B1 (en) Medical assessment based on voice
EP36939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privacy-preserved audio collection
US105465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iteracy assessment
CN106462796A (zh) 用于促进多项选择答案的直接选择和状态变化的识别的脑机接口
US11094322B2 (en) Optimizing speech to text conversion and text summarization using a medical provider workflow model
CN110443113A (zh) 一种虚拟现实书写方法、系统和存储介质
KR102041774B1 (ko)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CN108520054A (zh) 学习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0811548A (zh) 一种记忆状态评估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4343640A (zh) 注意力评估方法及电子设备
Ariza et al. Bi-LSTM neural network for EEG-based error detection in musicians’ performance
KR101587462B1 (ko) 뇌파인식형 학습 문제 제공시스템
Puwakpitiyage et al. A proposed web based real time brain computer interface (BCI) system for usability testing
US20200185110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use in detecting malingering by a first subject in one or more physical and/or mental function tests
Aluru et al. Parkinson’s Disease Detection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WI629673B (zh) 腦波分析輔助教學系統
Giovanini et al. Discriminating postural control behaviors from posturography with statistical tests and machine learning models: Does time series length matter?
Ali et al. EEG based thought-to-text translation via deep learning
Migliorelli et al. A deep learning-based telemonitoring application to automatically assess oral diadochokinesis in patients with bulbar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CN114463671A (zh) 一种基于视频数据的用户人格识别方法
JP6589040B1 (ja) 音声分析装置、音声分析方法、音声分析プログラム及び音声分析システム
JP2017189381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評価支援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評価支援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評価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Howell-Munson et al. Preliminary steps towards detection of proactive and reactive control states during learning with fNIRS brain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