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536B1 -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훈련 방법 - Google Patents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훈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536B1
KR101894536B1 KR1020170142330A KR20170142330A KR101894536B1 KR 101894536 B1 KR101894536 B1 KR 101894536B1 KR 1020170142330 A KR1020170142330 A KR 1020170142330A KR 20170142330 A KR20170142330 A KR 20170142330A KR 101894536 B1 KR101894536 B1 KR 101894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level
patient
task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성범
황유미
박기남
임성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4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리언어학적 언어처리 모형에 기반을 둔 훈련과제 및 훈련 콘텐츠를 이용하여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언어훈련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기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인지기능의 장애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인지기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지기능 평가 결과에 따라 환자에게 제공될 훈련과제의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수준의 훈련과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훈련과제에 대한 환자 반응을 채점하여 정답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정답률에 상응하여 다음 제공될 훈련과제의 수준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훈련과제의 수준은 단어 수준, 의미범주 수준, 문장 수준 및 담화 수준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Description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훈련 방법{LANGUAGE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OF PATIENTS WITH NEURO-LINGUISTIC DISORDER}
본 발명은 언어훈련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언어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사소통이란 사람들 사이에 생각이나 감정 등을 교환하는 총체적인 행위로써, 구어와 문어를 통한 언어적 요소와 제스처나 자세, 얼굴표정, 눈 맞춤, 목소리, 억양 등의 비언어적 요소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사소통은 일상생활과 사회참여를 위한 필수적 요소가 되며, 특히 인간에게 의사소통의 핵심 수단은 언어이다.
대표적인 신경언어장애인 실어증은 뇌졸중, 외상, 종양, 그 밖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후천적 언어이해 및 언어표현 장애이며, 언어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의 여러 가지 의사소통양식에 장애를 나타낸다.
현재 국내에서 연구 개발된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특정 훈련 프로그램은 대부분 단기적 연구에 그치고 있으며 상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국내 신경언어장애 환자를 위한 치료 접근법도 국외에서 검증된 치료 방법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어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은 아직 미흡한 수준에 있다. 또한, 환자의 증상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이나 공식화된 치료 지침서도 없어 각 언어치료실이나 병원에서 개인이 외국 책을 복사하거나 임의로 제작해 만든 치료재료를 임상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의 증상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훈련 과제와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이 체계적으로 반영된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심리언어학적 언어처리 모형에 기반을 둔 훈련과제 및 훈련 콘텐츠를 이용하여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언어훈련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언어훈련 방법은, 환자의 기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인지기능의 장애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인지기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지기능 평가 결과에 따라 환자에게 제공될 훈련과제의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수준의 훈련과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훈련과제에 대한 환자 반응을 채점하여 정답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정답률에 상응하여 다음 제공될 훈련과제의 수준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훈련과제의 수준은 단어 수준, 의미범주 수준, 문장 수준 및 담화 수준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언어훈련 방법은 상기 다음 제공될 훈련과제의 수준을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제공된 훈련과제에 포함된 훈련 콘텐츠의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어 수준의 훈련과제는 그림 이름대기, 그림-단어 맞추기 및 그림 정의하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의미범주 수준의 훈련과제는 그림-그림 범주 맞추기, 단어-단어 범주 맞추기 및 다른 범주 골라내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문장 수준의 훈련과제는 구 완성하기, 구 만들어보기, 문장 완성하기, 및 문장-그림 맞추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담화 훈련과제는 문장이해, 단락 읽고 요약하기, 및 단락 완성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기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된 인지평가 과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인지평가 과제를 순차적으로 출력부를 통해 제공하고, 각 인지평가 과제에 대한 환자 반응을 입력부를 통해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환자 반응을 채점한 점수에 따라 등급을 두어 상기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평가 과제는 기억력, 구성능력, 주의력, 지각력, 정서, 집행기능 및 실행기능에 관한 평가과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언어훈련 방법에 의하면, 훈련 콘텐츠들이 다양한 의미범주와 문법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언어학적 단위 수준에 기반하여 제작되어 신경언어환자의 언어재활 훈련을 위한 머티리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임상에서 중증도의 신경언어 환자들에 필요한 단어수준과 의미범주 수준의 이해향상 콘텐츠가 다량 포함되어 있어 활용도가 높고, 하나의 개념을 다양한 훈련 과제를 통해 확장된 방식으로 훈련할 수 있어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언어훈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어 훈련과제의 예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주 훈련과제의 예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장 훈련과제의 예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화 훈련과제의 예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언어재활 훈련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7은 도 6의 단계 S30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8은 도 6의 단계 S40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및/또는"은 언급된 항목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언어훈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언어훈련 시스템(10)은 입력부(20), 출력부(30), 환자정보 관리부(40), 환자정보 저장부(50), 인지기능 평가부(60), 평가과제 저장부(70), 언어재활 훈련부(80), 훈련과제 저장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20)는 환자가 시스템에 전달하는 각종 문자나 음성, 모션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다. 예컨대, 입력 수단은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터치패널,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0)는 시스템이 환자에게 전달하는 정보나 환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수단이다. 예컨대, 출력 수단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모니터, 음성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정보 저장부(50)는 환자의 기본정보 및 등록번호를 비롯하여 진단명, 발병일, 인지기능 장애 정도 및 언어재활 훈련 경과 등을 포함하여, 기타 언어재활 훈련과 관련된 환자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환자의 기본정보는 이름, 나이, 성별, 학력 등의 기본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지기능 평가 및 언어재활 훈련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평가과제 저장부(70)는 환자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7개 영역에 대한 인지평가 과제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인지평가 과제는 기억력 평가과제(71), 구성능력 평가과제(72), 주의력 평가과제(73), 지각력 평가과제(74), 정서 평가과제(75), 실행기능 평가과제(76) 및 집행기능 평가과제(7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인지평가 과제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평가 콘텐츠는 제시방법, 입력방식, 채점방법 및 난이도 등을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기억력 평가과제(71)는 의미지식검사(semantic knowledge test, SKT), 시각기억검사(visual learning test), Rey 복합도형검사(rey complex figure test)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의미지식검사와 관련된 콘텐츠는 그림과 단어 두 가지 버전이 있으며, 총 세개의 그림을 제시하고 윗줄에 위치한 하나의 그림과 더 잘 어울리는 그림을 아래의 두 개의 보기 중에 고르도록 제시될 수 있다. 이때, 환자는 터치패드를 터치하거나 마우스를 클릭하여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채점되는 방식을 취한다. 또한, 그림이나 단어의 유사도를 조절하거나 문항수를 달리하여 난이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의미지식검사 관련 콘텐츠가 기억력 평가과제(71)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구성능력 평가과제(72)는 시계 그리기 검사, 직육면체 그리기 검사 등을 수행하기 위한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주의력 평가과제(73)는 시각 주의력 검사 (visual span test), 알버트 테스트(albert test), 직선이분 검사(line bisection test), 상징 지우기 검사(symbol cancellation test), 시각적 지속수행 검사(visual continuous performance tesk) 등을 수행하기 위한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지각력 평가과제(74)는 청지각 검사(auditory discrimination), 시지각 변별 검사(visual discrimin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정서 평가과제(75)는 시각적 우울척도(visual depression scale), 노인 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측정할 수 있는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실행기능 평가과제(76)는 숫자, 도형, 문자 등의 선로 잇기 검사(trail making test)와 관련된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집행기능 평가과제(77)는 주먹-손날-손바닥검사(fist-edge-palm test), 루리아 고리 검사(Luria loop test) 및 도형 번갈아 그리기(alternating square and triangle)를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훈련과제 저장부(90)는 환자의 언어재활에 필요한 언어 훈련과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언어 훈련과제는 단어 훈련과제(91), 범주 훈련과제(92), 문장 훈련과제(93), 담화 훈련과제(9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림이나 단어 또는 소리를 통해 환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어 훈련과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어 훈련과제(91)는 단어 수준의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제로써, 그림 이름대기, 그림 정의하기, 그림-단어 맞추기, 단어 읽기, 단어 정의하기, 단어-그림 맞추기 등의 훈련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주 훈련과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범주 훈련과제(92)는 범주 수준의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제로써, 그림 범주 이름대기, 단어 범주 이름대기, 그림-범주(단어) 맞추기, 범주(단어)-그림 맞추기, 그림-그림 범주 맞추기, 단어-단어 범주 맞추기, 그림(범주)-단어 맞추기, 그림-단어(범주) 맞추기, 다른 범주 골라내기(그림), 다른 범주 골라내기(단어) 등의 위한 훈련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장 훈련과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문장 훈련과제(93)는 문장 수준의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제로써, 구 완성하기, 구 만들어 보기, 그림 묘사하기, 문장 읽기, 문장 완성하기, 문장-그림 맞추기, 그림-문장 맞추기, 문장-단어 맞추기, 단어 배열해서 문장 만들기 등의 훈련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화 훈련과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담화 훈련과제(94)는 담화 수준의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제로써, 문장이해, 단락 읽기, 단락 읽고 요약하기, 단락 이해하기, 단락 완성하기 등의 훈련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언어 훈련과제는 단어 수준, 의미범주 수준, 문장 수준 및 담화 수준 순으로 난이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각 언어 훈련과제에 포함된 훈련 콘텐츠들은 각각 소정의 레벨이 부여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레벨은 LV1부터 LV10까지 구분될 수 있으며, 각 레벨의 숫자가 높을수록 훈련과제의 난이도가 높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단어 훈련과제(91)의 그림 이름대기의 경우 LV1의 레벨이 부여되고, 그림 정의하기의 경우 LV2의 레벨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각 언어 훈련과제에는 동일한 종류의 서로 다른 레벨의 콘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단어 훈련과제(91)의 그림 이름대기의 경우, LV1 내지 LV4의 레벨을 갖는 4개의 콘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언어재활 훈련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7은 도 6의 단계 S30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8은 도 6의 단계 S40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언어재활 훈련 프로그램은 환자의 인지기능의 장애 정도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따라 환자에게 맞춤형 언어재활 훈련을 제공하기 위한 언어재활 훈련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로딩한다. (S10)
이후, 환자정보 관리부(40)는 출력부(30)를 통해 환자 기본정보에 대한 입력을 요구할 수 있으며, 입력부(20)를 통해 환자의 기본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환자정보 저장부(50)에 저장함으로써 환자를 등록할 수 있다. (S20)
이후, 인지기능 평가부(60)는 언어재활 훈련에 앞서 환자의 인지기능의 장애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인지기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S30)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30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해, 먼저 인지기능 평가부(60)는 환자정보에 기초하여 평가과제 저장부(70)에 저장된 인지평가 과제들을 선별할 수 있다. (S31)
실시 예에 따라, 인지기능 평가부(60)는 환자의 나이와 학력에 따라 인지평가 과제들 가운데 일부 과제만을 선택하거나 특정한 난이도를 갖는 과제만을 선택할 수 있다.
인지평가 과제들이 선별된 후, 인지기능 평가부(60)는 선별된 과제들을 순차적으로 출력부(30)를 통해 환자에게 제시하면서, 각 과제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입력부(20)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S32)
수집된 환자의 반응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채점되며, 채점 결과에 따라 인지기능 평가부(60)는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S33)
환자 반응에 대한 채점은 인지기능 평가부(60)에 의한 자동 채점을 기본으로 한다. 다만, 몇몇 인지평가 과제의 경우 검사자(예컨대, 의사나 치료사)에 의한 수동 채점 후 결과가 입력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채점 결과는 선별된 각각의 인지평가 과제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결정하되, 각 인지평가 과제에 대한 가중치를 두고 총점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인지기능 평가부(60)는 채점 결과에 따라 환자를 복수의 등급들 가운데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100점 내지 76점은 A등급이 부여되고, 75점 내지 51점은 B등급이 부여되고, 50점 내지 26점은 C등급이 부여되고, 25점 내지 0점은 D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인지기능 평가가 완료된 후, 언어재활 훈련부(80)는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언어재활 훈련을 제공한다. (S40)
도 8을 참조하면, 언어재활 훈련부(80)는 앞서 수행된 인지기능 평가에 따라 환자에게 제공될 훈련과제의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환자의 평가 등급에 상응하여 단어 수준, 의미범주 수준, 문장 수준 및 담화 수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준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환자의 평가등급이 A등급인 경우, 정상인 또는 인지장애 초기 수준으로 분류될 수 있는 바, 언어재활 훈련부(80)는 언어 훈련과제 중에서 상위 난이도 레벨인 담화 수준의 훈련과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등급이 D등급인 경우, 치매 또는 치매 고위험군으로 분류될 수 있는 바, 언어재활 훈련부(80)는 언어 훈련과제들 중에서 하위 레벨인 단어 수준의 훈련과제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언어재활 훈련부(80)는 환자의 훈련진행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제시된 훈련과제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채점하여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에 따라 훈련과제 수준 및 훈련 콘텐츠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S42, S43)
실시 예에 따라, 언어재활 훈련부(80)는 각 수준의 훈련과제에 대한 훈련이 종료된 후 해당 정답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으면 한 단계 낮은 수준의 훈련과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반대로 해당 정답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높으면 한 단계 상위 수준의 훈련과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의미범주 수준의 훈련과제에서, 기준값보다 낮은 정답률을 획득한 경우에는 다음 훈련과제로 단어 수준의 훈련과제가 제공될 수 있으며, 기준값보다 높은 정답률을 획득한 경우에는 다음 훈련과제로 문장 수준의 훈련과제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언어재활 훈련부(80)는 각 수준의 훈련과제에 대한 훈련이 종료된 후 해당 정답률에 따라 훈련 콘텐츠의 레벨을 조절하여 동일 수준의 훈련과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의미범주 수준의 훈련과제에서, 기준값보다 낮은 정답률을 획득한 경우에는 다음 훈련과제를 동일한 의미범주 수준으로 하되 보다 낮은 레벨의 훈련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으며, 반면 기준값보다 높은 정답률을 획득한 경우 다음 훈련과제를 동일한 의미범주 수준으로 하되 보다 높은 레벨의 훈련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언어재활 훈련 방법은 환자의 인지기능 평가를 선행하여 언어재활 훈련을 위한 훈련과제의 수준을 결정하고, 언어재활 훈련 결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훈련과제 수준을 조절하거나 훈련 콘텐츠의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환자에게 최적화된 언어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언어훈련 시스템 20 : 입력부
30 : 출력부 40 : 환자정보 관리부
50 : 환자정보 저장부 60 : 인지기능 평가부
70 : 평가과제 저장부 80 : 언어재활 훈련부
90 : 훈련과제 저장부

Claims (8)

  1. 인지기능 평가부가 환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환자의 기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인지기능의 장애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인지기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언어재활 훈련부가 상기 인지기능 평가부에 의해 수행된 상기 인지기능 평가 결과에 따라 환자에게 제공될 훈련과제의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언어재활 훈련부가 상기 결정된 수준의 훈련과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훈련과제에 대한 환자 반응을 채점하여 정답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언어재활 훈련부가 상기 산출된 정답률에 상응하여 다음 제공될 훈련과제의 수준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지기능 평가부가 상기 인지기능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된 인지평가 과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인지평가 과제를 순차적으로 출력부를 통해 제공하고, 각 인지평가 과제에 대한 환자 반응을 입력부를 통해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환자 반응을 채점한 점수에 따라 등급을 두어 상기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지평가 과제는 기억력, 구성능력, 주의력, 지각력, 정서, 집행기능 및 실행기능에 관한 평가과제로 구성되고,
    상기 훈련과제의 수준은 단어 수준, 의미범주 수준, 문장 수준 및 담화 수준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단어 수준의 훈련과제는 그림 이름대기, 그림-단어 맞추기, 그림 정의하기, 단어 읽기, 단어 정의하기, 단어-그림 맞추기를 포함하고,
    상기 의미범주 수준의 훈련과제는 그림-그림 범주 맞추기, 단어-단어 범주 맞추기 및 다른 범주 골라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문장 수준의 훈련과제는 구 완성하기, 구 만들어보기, 문장 완성하기, 문장-그림 맞추기, 그림-문장 맞추기를 포함하고,
    상기 담화 수준의 훈련과제는 문장이해, 단락 읽고 요약하기, 및 단락 완성하기를 포함하는, 언어훈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제공될 훈련과제의 수준을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제공된 훈련과제에 포함된 훈련 콘텐츠의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훈련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42330A 2017-10-30 2017-10-30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훈련 방법 KR101894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330A KR101894536B1 (ko) 2017-10-30 2017-10-30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훈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330A KR101894536B1 (ko) 2017-10-30 2017-10-30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훈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536B1 true KR101894536B1 (ko) 2018-09-12

Family

ID=6359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330A KR101894536B1 (ko) 2017-10-30 2017-10-30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훈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5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74B1 (ko) 2018-09-07 2019-11-11 대한민국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10016911A (ko) * 2019-08-06 2021-02-17 김경태 안구상태 검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N112927573A (zh) * 2021-01-20 2021-06-08 闫先荣 一种用于儿童语言康复的微电脑辅助装置
CN114306871A (zh) * 2021-12-30 2022-04-12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天坛医院 基于人工智能的失语症患者康复训练方法和系统
WO2023113553A1 (ko) * 2021-12-17 2023-06-22 주식회사 마인드허브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인지 또는 언어 재활 훈련을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WO2024099357A1 (zh) * 2022-11-11 2024-05-16 湖南师范大学 抑郁症风险评估及负性情绪认知控制训练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942A (ko) * 2015-10-26 2017-05-08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KR20170052827A (ko) * 2015-11-05 2017-05-15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인지훈련 서비스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942A (ko) * 2015-10-26 2017-05-08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KR20170052827A (ko) * 2015-11-05 2017-05-15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인지훈련 서비스제공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74B1 (ko) 2018-09-07 2019-11-11 대한민국 언어재활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10016911A (ko) * 2019-08-06 2021-02-17 김경태 안구상태 검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280944B1 (ko) * 2019-08-06 2021-07-23 김경태 안구상태 검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N112927573A (zh) * 2021-01-20 2021-06-08 闫先荣 一种用于儿童语言康复的微电脑辅助装置
WO2023113553A1 (ko) * 2021-12-17 2023-06-22 주식회사 마인드허브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인지 또는 언어 재활 훈련을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CN114306871A (zh) * 2021-12-30 2022-04-12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天坛医院 基于人工智能的失语症患者康复训练方法和系统
WO2024099357A1 (zh) * 2022-11-11 2024-05-16 湖南师范大学 抑郁症风险评估及负性情绪认知控制训练装置、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536B1 (ko)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훈련 방법
US11328231B2 (en) Method of matching employers with job seekers
Brown et al. Pathways to retention: Job satisfaction, burnout, &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social workers
KR101921888B1 (ko) 온라인 평가 기반 언어재활 훈련 방법
Hancock et al. Speech-language pathologists' knowledge and attitudes regarding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queer (LGBTQ) populations
Baylor et al. An introduction to item response theory and Rasch models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urnham et al. Person‐environment fit, job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Kumasi et al. Are we there yet? Results of a gap analysis to measure LIS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actual learning of cultural competence concepts
Aryee College students' persistence and degree completion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The role of non-cognitive attributes of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interest
Matthews et al. Knowledge, training, and attitudes of student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bout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to individuals who are transgender
Wheeler et al. A core evaluation battery for supervision
Brumfitt Psychosocial aspects of aphasia: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s' views on professional practice
Brelsford et al. Love in the midst of stressors: Exploring the role of daily spiritual experiences
Brown et al. Functional assessment of immediate task planning and execution by adults with acquired brain injury
Tenneti et al. Design and delivery of a national pilot survey of capabilities
McClimans The art of asking questions
Rahimi Pordanjani et al.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happiness
Ferdowsi et al. An exploration of EFL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the ligh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Krotha et al. A study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mental health among doctors, lawyers and teachers
du Toit et al. Organisational support and teachers'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job crafting
Hatfield et al.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ealthy Computing Questionnaire for Children (HCQC)
Shanks et al. School-level predictors of speech-language therapy enrollment
Vanegas et al. Decision making and culturally diverse individuals with IDD and their families: A call for research
Brock The differences in stress levels for African-Americans working in technical based occupations and non-technical based occupations in Mississippi
Fate The Effects of Stress Mindset Interventions on University Students' Health and Funct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