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435B1 -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435B1
KR102493435B1 KR1020190150462A KR20190150462A KR102493435B1 KR 102493435 B1 KR102493435 B1 KR 102493435B1 KR 1020190150462 A KR1020190150462 A KR 1020190150462A KR 20190150462 A KR20190150462 A KR 20190150462A KR 102493435 B1 KR102493435 B1 KR 102493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nitive
user
information
medi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342A (ko
Inventor
윤영섭
김병수
미야오 젤리
오재원
이재영
김태균
박지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닷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닷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닷츠
Priority to KR1020190150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4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달한 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에 기초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 중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난이도로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는 경우,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GNITIVE INTERVENTION PROGRAM}
본 발명은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지중재 치료는 노인의 인지능력을 자극 및 훈련하기 위한 비약물 치료로, 통상 치매 위험이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료사에 의해 오프라인에서 수행된다. 하지만, 치료사의 높은 전문성과 한정된 인적 자원으로 인해 개개인에게 맞춤화된 인지중재 치료는 수행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치료사와 치료대상자간 일대다 혹은 일대일의 인지중재 치료를 수행함에 있어, 치료대상자 개개인에게 맞춤화된 인지중재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달한 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에 기초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 중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난이도로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는 경우,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지각능력 정보, 운동능력 정보, 언어능력 정보, 예술능력 정보 및 공감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는, 수치화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및 수치화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중 지정된 기준치 이하의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인지중재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실행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된 난이도로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유저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유저 캐릭터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와 대응되는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제1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제1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제2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와 대응되는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갱신된 상기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1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갱신된 상기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2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갱신된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저 캐릭터의 직업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저 캐릭터의 직업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수치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수치화된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중 지정된 기준치 이상의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저 캐릭터의 직업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달한 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에 기초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를 수신하는 인지중재 컨텐츠 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 중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컨텐츠 난이도 결정부, 상기 결정된 난이도로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부 및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는 경우,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는 사용자 정보 갱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유저 캐릭터를 생성하는 유저캐릭터 생성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부,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갱신하는 유저캐릭터 정보 갱신부 및 상기 유저 캐릭터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는 사용자 정보 갱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는 사용자 각각에게 최적화된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인지중재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난이도가 결정된 인지중재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결과 화면의 일 예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의 예를 도시한 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및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 및 유저 캐릭터의 직업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112) 및 적어도 하나의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를 포함하고, 몇몇 실시예에서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로봇(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1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112)에서 실행되는 인지중재 컨텐츠를 전달하고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로봇(111)은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에 있어 사용자와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로봇(111)은 사용자 단말(112)에서 실행되는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방법을 설명할 수 있고, 인지중재 컨텐츠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도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서술되는 본 발명의 일부 동작이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로봇(111)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12)은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네트워크(130)를 통해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직접 인지능력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 112)은 획득한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 전달한 후,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부터 네트워크(130)를 통해 전술한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에 기초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되고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112)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의 종류 및 실행 순서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후,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12)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 중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결정된 난이도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사용자 단말(110, 112)에서 실행되는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에 따라 모두 상이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 112)은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112)이 하나의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부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를 수신하더라도, 각각의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에 따라 실행되는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가 상이하므로 개인화, 맞춤화된 인지중재 치료가 용이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110) 및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실행 장치에 대한 예로서 사용자 단말(11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에 대한 예로서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110)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메모리(211), 프로세서(212) 및 통신 모듈(213)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을 통해 메모리(21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이 네트워크(13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21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또는 통신 모듈(213)에 의해 프로세서(21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은 네트워크(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통신 모듈(213)은 다른 사용자 단말(112)과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10)의 메모리(211)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가 네트워크(130)를 통해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인지중재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30)를 거쳐 사용자 단말(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인지중재 컨텐츠나 파일 등은 사용자 단말(110)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3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3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3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인지중재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메모리(221), 프로세서(222), 통신 모듈(223)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1)에는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장치인 사용자 단말(110)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설정, 그리고 입력 음성 신호가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21) 또는 통신 모듈(223)에 의해 프로세서(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는 메모리(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23)은 네트워크(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30)를 통해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인지중재 컨텐츠, 파일 등이 네트워크(130)를 거쳐 통신 모듈(213)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지만, 네트워크(130)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30)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통신망일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는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110) 및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검토한다. 후술되는 프로세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인지중재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212)임을 가정하고 설명하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지중재 컨텐츠가 서버(120)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되는 경우 후술되는 프로세서는 도 2에 도시된 서버(120)의 프로세서(222)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장치의 프로세서(212)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140), 인지중재 컨텐츠 수신부(141), 컨텐츠 난이도 결정부(142),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부(143) 및 사용자 정보 갱신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장치의 프로세서(212)는 유저캐릭터 생성부(150), 컨텐츠 실행부(151), 유저캐릭터 정보 갱신부(152) 및 사용자 정보 갱신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1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1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도 5 또는 도 11의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110 내지 S160 또는 S210 내지 S240)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1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1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212)의 내부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5 또는 도 11의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도 5 내지 도 10 또는 도 12 내지 도 14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0).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는 사용자의 인지능력과 관련된 정보로 예를 들어 지각능력 정보, 운동능력 정보, 언어능력 정보, 예술능력 정보 및 공감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인지능력 정보는 일 예일 뿐, 반드시 인지능력 정보의 개수 및 카테고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사용자 단말은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저장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S120). 외부 장치란, 사용자 단말과 유선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외부 서버를 포함하고, 도 1 내지 도 2에서 상술한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외부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는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S130).
즉, 외부 장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중재 치료를 수행하는 치료사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고, 인지중재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는 복수의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의 인지능력 중 가장 부족한 인지능력을 치료하기 위한 카테고리 위주의 인지중재 컨텐츠로 정해질 수 있다. 통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이용한 인지중재 치료는 복수의 치료대상자에 대하여 동시에 수행되므로, 복수의 치료대상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인지중재 컨텐츠가 정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 중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를 결정할 수 있다(S140).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은 사용자 개개인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에게 맞춤화된 인지중재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결정된 난이도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S150).
이후, 사용자 단말은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160). 즉 사용자 단말은 인지중재 컨텐츠의 종류 및 난이도를 변경하여 매 순간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인지중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지능력 컨텐츠를 실행함에 따라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도 갱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인지중재 컨텐츠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 정보(310) 및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320)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321)는 전술한 바 사용자의 지각능력, 운동능력, 언어능력, 예술능력 및 공감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의 일 예시일 뿐 사용자 인지능력의 측정 기준 또는 측정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인지능력 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일부만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일 실시예에서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변화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수치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의 변화를 보여주기 위해 인지능력 수치의 변화량 정보(32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특정 시간 주기에서의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321)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인지중재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말과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말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인지중재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말과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말은 일대다 형태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중재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말은 복수의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단말로 컨텐츠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복수의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단말 각각은 하나의 인지중재 컨텐츠 제어 단말로 컨텐츠 실행 결과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후술되는 인지중재 컨텐츠 제어 단말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외부 장치의 일 예일 수 있으며,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단말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일 예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일 실시예에서 인지중재 컨텐츠 제어 단말(400)은 복수의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단말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단말의 상태 정보는 전술한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단말 각각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단말의 상태는 네트워크 통신이 성공적으로 연결된 상태(413)일 수 있고, 네트워크 통신이 끊긴 상태(412)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지중재 컨텐츠 제어 단말(400)은 인지중재 컨텐츠를 전송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지중재 컨텐츠 제어 단말과 연결된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단말(411)일지라도, 인지중재 컨텐츠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지중재 컨텐츠 제어 단말(400)에서는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단말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의 종류,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순서 및 실행 시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순서는 타임라인 형태(414)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인지중재 컨텐츠 표시 방법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지중재 컨텐츠 제어 단말(400)은 복수의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여부(41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단말에 대한 제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인지중재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인지중재 컨텐츠 제어 단말(400)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가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301, 302)은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A와 사용자 B의 인지능력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의 종류 및 순서(331, 341)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1, 302)에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시작하기'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에 의해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1, 302)은'시작하기'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더라도 인지중재 컨텐츠를 즉시 실행하지 않고, 전술한 외부 장치의 컨텐츠 시작 신호를 대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1, 302)의 신호 대기 모드는 사용자 단말(301, 302)이 외부 장치의 신호를 대기하는 상태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1, 302)에서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하여는 먼저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301, 302)을 신호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이후 외부 장치의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신호가 수신될 필요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난이도가 결정된 인지중재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301, 302)이 지정된 인지중재 컨텐츠 순서에 따라 동일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350, 360)를 실행하는 경우, 각각의 사용자 단말(301, 302)에서 실행되는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351, 361)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01, 302)은 각각의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351, 361)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의 지각능력이 좋은 경우, 사용자 A의 사용자 단말(301)에서 실행되는 색칠공부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350)의 난이도는 높을 수 있다. 반면, 사용자 B의 지각 능력이 좋지 못한 경우, 사용자 B의 사용자 단말(302)에서 실행되는 색칠공부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360)의 난이도는 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더라도, 각각의 사용자의 인지능력에 기초하여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가 결정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인지중재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시 '시작하기'객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에 의해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1, 302)은'시작하기'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더라도 인지중재 컨텐츠를 즉시 실행하지 않고, 전술한 외부 장치의 컨텐츠 시작 신호를 대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따라 난이도 지정시 고려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칠공부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는 사용자의 지각능력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고, 박수치기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는 사용자의 운동능력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는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필요로 하는 인지능력일 수 있고,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함으로써 향상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일 수도 있다.
이하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결과 화면의 일 예시이다.
사용자 단말(301, 302)은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 후, 실행 결과 정보(370, 380)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결과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301, 302)은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결과 정보(370, 380)는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결과 및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수치화된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시간 및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를 이용하여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결과 점수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결과는, 컨텐츠의 난이도가 높더라도 컨텐츠 실행 시간이 긴 경우의 점수가, 컨텐츠 난이도가 낮고 컨텐츠 실행 시간이 짧은 경우의 점수보다 높을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인지중재 치료를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유저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S120).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는 사용자의 인지능력과 관련된 정보로 예를 들어 지각능력 정보, 운동능력 정보, 언어능력 정보, 예술능력 정보 및 공감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카테고리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S22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결과에 기초하여 유저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230). 일 실시예에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갱신되는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는,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와 대응되는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와 관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예서 사용자 단말은 갱신된 유저 캐릭터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와 대응되는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240).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의 예를 도시한 표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지중재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인지능력과 대응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가 지각능력, 운동능력, 언어능력, 예술능력 및 공감능력을 포함하는 5종류의 인지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인지중재 컨텐츠 각각은 전술한 5종류의 인지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중재 컨텐츠 중 하나와 대응되는 '인사하기'컨텐츠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캐릭터가 인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도 인사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사체조'컨텐츠는, 지정된 노래에 따라 유저 캐릭터와 함께 사용자가 율동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펌프 게임'컨텐츠는, 유저 캐릭터의 움직임에 대하여 사용자가 박자에 맞춰 유저 캐릭터의 움직임 방향을 맞추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예술능력'뿐 아니라 '운동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한하지 않고 '알 부화'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단말을 흔드는 동작을 수행하여 근력을 향상시키거나, '애벌레 잡기'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해 지정된 시간 내에 정해진 애벌레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순발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운동능력'수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된 표를 참조할 때, 인지중재 컨텐츠인 '위치 맞추기', '깃발 게임'및 '색깔 박수'는 지각능력에 대응될 수 있고, 다른 인지중재 컨텐츠인 '스트레칭 하기'및'인사체조'는 운동능력에 대응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인지중재 컨텐츠인 '말 가르치기''거꾸로 말하기''초성게임'및'속담게임'은 언어능력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인지중재 컨텐츠는 하나의 인지능력과 대응될 수도 있고, 하나의 인지중재 컨텐츠가 복수의 인지능력과 대응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하나의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가 반드시 하나의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함으로써,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가 갱신되고,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가 갱신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가 갱신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유저 캐릭터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510)에 유저 캐릭터의 정보(511),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513) 및 유저 캐릭터의 직업 정보(512)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저 캐릭터 정보(511)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고,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513)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으며, 유저 캐릭터의 직업 정보(512)는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513)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저 캐릭터를 생성함에 있어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인지중재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도를 향상시키고 인지중재 치료에 대한 사용자의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및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 및 유저 캐릭터의 직업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유저 캐릭터의 정보 및 사용자의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화면(520)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인지능력 정보(521)와 유저 캐릭터 능력치 정보 및 직업 정보(522)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저 캐릭터의 직업 정보는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중 기억력과 관련된 능력치가 높은 경우, 상기 유저 캐릭터의 직업은 교사로 정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기억력과 관련된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에 대한 수행 결과가 좋을 수 있고, 사용자의 기억력과 관련된 인지능력의 수치가 높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달한 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에 기초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 중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를 상기 복수의 제1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난이도로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제1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는 경우,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는,
    수치화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및 수치화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중 지정된 기준치 이하의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인지중재 컨텐츠를 포함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지각능력 정보, 운동능력 정보, 언어능력 정보, 예술능력 정보 및 공감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실행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된 난이도로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5. 인지중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유저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각각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유저 캐릭터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와 대응되는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를 각각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제1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제1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제2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와 대응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갱신된 상기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1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갱신된 상기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2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지중재 컨텐츠 및 상기 제2 인지중재 컨텐츠는 지정된 기준치 이하의 상기 제1 인지능력 정보 및 상기 제2 인지능력 정보와 각각 대응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정해지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7. 삭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저 캐릭터의 직업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캐릭터의 직업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수치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수치화된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중 지정된 기준치 이상의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저 캐릭터의 직업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10. 복수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달한 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에 기초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를 수신하는 인지중재 컨텐츠 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 중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난이도를 상기 복수의 제1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결정하는 컨텐츠 난이도 결정부;
    상기 결정된 난이도로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제1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실행하는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부; 및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는 경우,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는 사용자 정보 갱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의 인지중재 컨텐츠는,
    수치화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및 수치화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 중 지정된 기준치 이하의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인지중재 컨텐츠를 포함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사용자의 인지능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지각능력 정보, 운동능력 정보, 언어능력 정보, 예술능력 정보 및 공감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
  12. 삭제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실행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된 난이도로 상기 대상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
  14.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유저 캐릭터를 생성하는 유저캐릭터 생성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부;
    인지중재 컨텐츠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각각 갱신하는 유저캐릭터 정보 갱신부; 및
    상기 유저 캐릭터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지능력 정보를 각각 갱신하는 사용자 정보 갱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실행부는,
    상기 사용자의 제1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제1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2 인지능력 정보와 대응되는 제2 인지중재 컨텐츠를 실행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 갱신부는,
    상기 제1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갱신된 상기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1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제2 인지중재 컨텐츠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갱신된 상기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2 인지능력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제1 인지중재 컨텐츠 및 상기 제2 인지중재 컨텐츠는 지정된 기준치 이하의 상기 제1 인지능력 정보 및 상기 제2 인지능력 정보와 각각 대응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중재 컨텐츠는,
    상기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난이도가 정해지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
  16. 삭제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저 캐릭터의 직업 정보를 결정하는 유저 캐릭터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캐릭터 설정부는,
    상기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수치화 하고, 상기 수치화된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중 지정된 기준치 이상의 유저 캐릭터의 능력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저 캐릭터의 직업 정보를 결정하는,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장치.
  19.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50462A 2019-11-21 2019-11-21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493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462A KR102493435B1 (ko) 2019-11-21 2019-11-21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462A KR102493435B1 (ko) 2019-11-21 2019-11-21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342A KR20210062342A (ko) 2021-05-31
KR102493435B1 true KR102493435B1 (ko) 2023-01-31

Family

ID=7615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462A KR102493435B1 (ko) 2019-11-21 2019-11-21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909B1 (ko) * 2021-08-09 2023-02-21 주식회사 이모코그 무용과 연동된 인지 훈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62908B1 (ko) * 2022-03-30 2022-11-04 주식회사 캐어유 인지능력평가를 위한 게임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540B1 (ko) * 2018-03-26 2019-08-13 주식회사 에임메드 인지 기능 재활 훈련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624B1 (ko) * 2012-01-27 2013-10-23 주식회사 넷블루 통합형 인지 재활 시스템 및 통합형 인지 재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58313B1 (ko) * 2015-10-26 2017-07-14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면적 인지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된 경도인지 장애 관리시스템
KR101922708B1 (ko) * 2016-11-29 2018-11-29 안병구 사용자 기반 게임용 아바타 생성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게임시스템
KR20190093953A (ko) * 2018-02-02 2019-08-12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인지기능 저하 고령자 및 장애인의 인지능력 향상 및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는 서비스 플랫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540B1 (ko) * 2018-03-26 2019-08-13 주식회사 에임메드 인지 기능 재활 훈련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342A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6470B2 (en) Chatbot exercise machine
CN108665890A (zh) 操作语音识别服务的方法、电子设备和支持该设备的系统
US11779811B2 (en) Cognitive based augmented reality workout
US10146314B2 (en) Automated haptic setting generation
EP3786969A1 (en) Fitness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493435B1 (ko) 인지중재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130078598A1 (en) Family and child account social networking
US11938400B2 (en) Objec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621649B1 (ko) 사용자의 활동 패턴과 관련된 타인의 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84703A (ko) 운동 가이드 제공 방법
US11640854B1 (en) Generation and delivery of customized content programs
US202300924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judging whether to allow a mobile medium to move within a virtual space
KR102134189B1 (ko)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한 도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5006108A1 (en) Recording and communicating body motion
KR20210093003A (ko) 인공지능 캐릭터와의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80169529A1 (en) Sensor acquisition and analytics platform for enhancing interaction with adult devices
KR102388816B1 (ko) 인지 능력 훈련 프로세스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US20140282043A1 (en) Providing local expert sessions
KR102316227B1 (ko) 확률 계산 기반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34127B1 (ko) 인공지능에서 선제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US20210138350A1 (en) Sensor statistics for ranking users in matchmaking systems
KR20220053021A (ko) 비디오 게임 오버레이
KR20200136209A (ko) 콘텐츠 추천 모델 제공 방법과 콘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들
KR10228740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블록 코딩 교육의 인터벤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8727B1 (ko) 퀘스트 생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