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624A -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624A
KR20170047624A KR1020150147963A KR20150147963A KR20170047624A KR 20170047624 A KR20170047624 A KR 20170047624A KR 1020150147963 A KR1020150147963 A KR 1020150147963A KR 20150147963 A KR20150147963 A KR 20150147963A KR 20170047624 A KR20170047624 A KR 20170047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present
hydrophilic
nonwoven
nonwoven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서형민
윤영일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7624A/ko
Publication of KR2017004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62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4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forming webs during fibre formation, e.g. flash-spinn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피부에 접촉하였을 때 발진이나 두드러기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된 친수성 유제를 도포한 부직포 및 그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폴리올레핀계 원료로,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익스트루더로 용융시켜 폴리머를 노즐로 방사한 후 방사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 과정을 통해 작은 섬유 직경을 가지는 연신 필라멘트로 하는 단계; 상기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집적된 부직포 웹을 열접착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여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단계; 형태안정성이 부여된 부직웹의 표면에 희석된 친수제를 도포하는 단계; 부직웹 표면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고 친수제를 고착시키는 건조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은 두 가지 이상의 무취 유화제를 혼합하여 부직웹 표면에 처리함으로써 종래의 실리콘계 친수유제가 가지고 있던 고질적인 문제점인 악취를 해결하고 동시에 기존 유제의 구성성분인 양이온계 유화제가 피부 세포에 닿았을 때 세포를 괴사시킬 수 있는 위험을 본 발명의 특정한 비이온계 유화제로 대체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Description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Nonwoven fabric treated with an innocent absorbent and the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체 피부에 접촉하였을 때 발진이나 두드러기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된 친수성 유제를 도포한 부직포 및 그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원료를 방사하여 제조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에 발진이나 두드러기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기 위해 식품에 사용되는 첨가제만으로 구성된 친수성 유제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성인용 및 유아용 기저귀는 물론 여성용 생리대 소재의 톱 시트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친수성 부직포 및 그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그 사용 용도에 부응하여 친수화 처리를 요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친수화 처리 공정은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생산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후가공 기술 중에 하나로, 이러한 친수처리 부직포는 멀칭용, 못자리용 등의 농업용 소재와 루핑용, 하우스랩용 등으로 활용되는 산업용 소재는 물론, 유아 및 성인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일회용 위생소재의 안감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흡수성능을 발현하는 이러한 친수화 처리를 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009721호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극세사 필라멘트로 구성되고 계면활성제로 친수처리된 적어도 한 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양쪽에, 계면활성제로 친수 처리된 적어도 한 층의 스판본드 부직포가 각각 적층되어 이루어진 부직포를 게시하고 있으며, 특히 친수성능 발현에 사용된 계면활성제에 대해,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함유량은 전체에 대해서 0.5 내지 6g/㎡이고 스판본드 부직포에 고착된 계면활성제의 양인 AOL은 스판본드 부직포에 대해서 0.3 내지 1.0wt%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게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공개공보에서는 사용되는 친수성능 발현 계면활성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와 조제방법을 개시하고 있지 않아 흡수성능의 향상이 효과적으로 달성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0088601호에서 친수성 계면활성제 4 내지 20wt%, 알로에로부터 200배 농축 분말 0.1 내지 5wt%가 되도록 키스롤 방식이나 스프레이 방식으로 부직포에 도포하고 열풍 드럼 방법 등의 공법으로 건조하여 귄취함으로써 촉감이 우수하고 동시에 민감한 피부보호에 적합한 위생재로써의 특성을 가지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게시하였다. 그런데, 상기 특허공개공보에 개시된 내용은 종래의 특허보다는 친수성능을 발현하는 유제 제조 공정을 구체화하고 있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에 근접하다고 할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혼합된 계면활성제가 피부에 해가 적은지는 명확하지 않으며, 대신 피부보호에 적합한 알로에 추출물을 첨가하여 피부발진이나 두드러기를 억제하고 있다는 것으로 이러한 사항만으로는 여전히 개선의 여지를 안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087804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0116897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0018133호, 및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139887호에서도 부직포에 친수성을 부여하거나 향상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인체의 피부에 트러블 발생을 억제한다는 측면에서는 여전히 개선의 여지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고 이들 기술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자극성이 없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중에서 친수성이 우수한 식품 등급(food grade)만으로 구성된 친수성 첨가제를 개발하여 부직포에 용이하게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087804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0116897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0088601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0018133호 특허문헌 5: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009721호 특허문헌 6: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13988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일 목적은 흡수성 소재이면서 위생용 부직포로서 사용되어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때, 흡수성능을 종래의 소재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흡수성 유제의 성분을 변경하여 인체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웹으로 상업생산이 가능한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부직포를 우수한 생산성으로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폴리올레핀계 원료로,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익스트루더로 용융시켜 폴리머를 노즐로 방사한 후 방사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 과정을 통해 작은 섬유 직경을 가지는 연신 필라멘트로 하는 단계;
상기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집적된 부직포 웹을 열접착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여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단계;
형태안정성이 부여된 부직웹의 표면에 희석된 친수제를 도포하는 단계;
부직웹 표면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고 친수제를 고착시키는 건조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열접착 시 125 내지 135℃의 칼렌더롤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친수제는 에톡실화 알코올(Ethoxylated alcohol), 에톡실화 에테르(Ethoxylated ether), 에톡실화 아민(Ethoxylated amine), 솔비탄패티 에스테르(Sorbitanfatty ester), 에톡실화 솔비탄-패티 에스테르(Ethoxylated sorbitan-fatty ester), EO-PO 유도체(derivatives), 설폭사이드(Sulfoxides)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친수유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친수유제 성분의 HLB(Hydrophile-liphophile balance)는 5 내지 15 사이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나열된 비이온계 성분의 친수 유화제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전체 중량의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친수 유화제를 물과 0.5 내지 15wt%의 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한 후 스프레이, 디핑, 그라비아 인쇄, 키스-롤(kiss-roll) 방식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부직포 표면에 얇게 도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희석된 친수 유화제를 부직포 표면에 도포하는 키스-롤의 회전 속도는 부직웹의 이동 속도의 3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부직웹 표면에 친수 유화제를 고착시키고 희석제로 사용된 물을 증발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건조장치의 온도는 110 내지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열압착은 패턴된 롤에 의해 엠보싱 결합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열압착은 한쪽 면은 접착면적이 10 내지 20%을 가지는 엠보스롤(Emboss roll)이고, 다른 한쪽 면은 표면이 매끄러운 스위밍롤(Swimming roll)로 구성된 결합 캘랜더를 사용하여, 100℃ 내지 160℃의 온도에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일정 권취 속도는 엠보스롤의 회전에 비하여 95 내지 105%의 비율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는;
상기한 본 발명의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것으로, 스판본드 부직포의 기초 중량이 8 내지 150g/㎡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웹 적층체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적층체로서 용융방사, 연신가공, 열압착 캘랜더, 유화제 도포, 건조 가공을 통해 얻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아용 기저귀 제품은 상기에 기재된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를 흡수 부재로 이용하여 탑시트(Topsheet), 코어랩(corewrap), 코어커버(corecover), ADL(Acquisition Distribution Layer), 서지(serge)로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성인용 기저귀 제품은 상기에 기재된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를 흡수 부재로 이용하여 탑시트(Topsheet), 코어랩(corewrap), 코어커버(corecover), ADL(Acquisition Distribution Layer), 서지(serge)로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성용 제품은 상기에 기재된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를 흡수 부재로 이용하여 탑시트(Topsheet), 코어랩(corewrap), 코어커버(corecover), ADL(Acquisition Distribution Layer), 서지(serge)로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용 제품은 상기에 기재된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를 흡수 부재로 이용하여 가운 (gown), 붕대, 수술복, 일회용 밴드, 마스크 등으로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은 두 가지 이상의 무취 유화제를 혼합하여 부직웹 표면에 처리함으로써 종래의 실리콘계 친수유제가 가지고 있던 고질적인 문제점인 악취를 해결하고 동시에 기존 유제의 구성성분인 양이온계 유화제가 피부 세포에 닿았을 때 세포를 괴사시킬 수 있는 위험을 본 발명의 특정한 비이온계 유화제로 대체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부직포"라는 용어는 편직 또는 직조 이외에 수단에 의해 형성되며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일부 또는 전부 사이에 결합을 함유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웹을 의미하며, 이러한 결합은 예를 들어 엉킴과 같은 열적, 접착적 또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인 부직은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카딩, 웨트레잉 및 에어레잉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웹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용융, 압출, 방사, 냉각, 연신하는 공정을 거쳐 형성된 장섬유 필라멘트를 다공성 네트 위에 적층하여 웹을 형성 한 후 열압착 등의 방법으로 형태안정성을 부여하여 제조한 부직웹 표면에 유화제를 처리하고 건조/고착시키는 과정을 거쳐 생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는 폴리올레핀계 원료로,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익스트루더로 용융시켜 폴리머를 노즐로 방사한 후 방사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 과정을 통해 작은 섬유 직경을 가지는 연신 필라멘트로 하는 단계와; 상기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집적된 부직포 웹을 125 내지 135℃의 칼렌더롤을 사용한 열접착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여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단계와; 형태안정성이 부여된 부직웹의 표면에 희석된 친수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부직웹 표면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고 친수제를 고착시키는 건조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직웹에 도포하는 친수 유화제의 주성분을 에톡실화 알코올(Ethoxylated alcohol), 에톡실화 에테르(Ethoxylated ether), 에톡실화 아민(Ethoxylated amine), 솔비탄패티 에스테르(Sorbitanfatty ester), 에톡실화 솔비탄-패티 에스테르(Ethoxylated sorbitan-fatty ester), EO-PO 유도체(derivatives), 설폭사이드(Sulfoxides) 등의 식품 첨가물 등급(food grade) 유화제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하고, 그 HLB 지수는 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3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친수제로는, 예를 들어 솔비탄 에스테르와 하기 표 1의 리스트에 나열된 비이온계 음식 첨가물 등급(food grade) 유화제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 성분을 혼합하여, 성분의 최종 HLB가 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3으로 되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INCL명 별 HLB지수 리스트
INCL 명 HLB
Ceteareth-20 15.2
Cetearyl Glucoside 11
Ceteth-10 12.9
Ceteth-2 5.3
Ceteth-20 15.7
Cocamide MEA 13.5
Glyceryl Laurate 5.2
Glyceryl Stearate (and) PEG-100 Stearate 11
Glyceryl Stearate 3.8
Glyceryl Stearate SE 5.8
Glycol Distearate 1
Glycol Stearate 2.9
Isoceteth-20 15.7
Isosteareth-20 15
Laureth-23 16.9
Laureth-4 9.7
Lecithin 4
Lecithin 7
Lecithin 9
Methyl Glucose Sesquistearate 6.6
Oleth-10 / Polyoxyl 10 Oleyl Ether NF 12.4
Oleth-10 12.4
Oleth-2 4.9
Oleth-20 15.3
PEG-100 Stearate 18.8
PEG-20 Almond Glycerides 10
PEG-20 Methyl Glucose Sesquistearate 15
PEG-25 Hydrogenated Castor Oil 10.8
PEG-30 Dipolyhydroxystearate 5.5
PEG-4 Dilaurate 6
PEG-40 SorbitanPeroleate 9
PEG-60 Almond Glycerides 15
PEG-7 Olivate 11
PEG-7 Glyceryl Cocoate 10
PEG-8 Dioleate 8
PEG-8 Laurate 13
PEG-8 Oleate 11.6
PEG-80 Sorbitan Laurate 19.1
Polysorbate 20 16.7
Polysorbate 20 NF 16.7
Polysorbate 60 14.9
Polysorbate 60 14.9
Polysorbate 80 15
Polysorbate 80 NF 15
Polysorbate 85 11
Propylene Glycol Isostearate 2.5
SorbitanIsostearate 4.7
Sorbitan Laurate 8.6
SorbitanMonostearate NF 4.7
SorbitanOleate 4.3
SorbitanSesquioleate 3.7
Sorbitan Stearate (and) Sucrose Cocoate 6
Sorbitan Stearate 4.7
SorbitanTrioleate 1.8
Stearamide MEA 11
Steareth-100 18.8
Steareth-2 4.9
Steareth-20 15.3
Steareth-21 15.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나열된 비이온계 성분의 친수 유화제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전체 중량의 60%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친수 유화제를 물과 0.5 내지 15wt%의 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한 후 스프레이, 디핑, 그라비아 인쇄, 키스-롤(kiss-roll) 방식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부직포 표면에 얇게 도포할 수 있고, 이때 상기 희석된 친수 유화제를 부직포 표면에 도포하는 키스-롤의 회전 속도는 부직웹의 이동 속도의 3 내지 3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직웹 표면에 친수 유화제를 고착시키고 희석제로 사용된 물을 증발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건조장치의 온도는 110 내지 1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열압착은 패턴된 롤에 의해 엠보싱 결합으로 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열압착은 한쪽 면은 접착면적이 10 내지 20%을 가지는 엠보스롤(Emboss roll)이고, 다른 한쪽 면은 표면이 매끄러운 스위밍롤(Swimming roll)로 구성된 결합 캘랜더를 사용하여, 100℃ 내지 16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부직포 권취 속도는 엠보스롤의 회전에 비하여 95 내지 105%의 비율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는 상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으로, 스판본드 부직포의 기초 중량이 8 내지 150g/㎡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웹 적층체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적층체로서 용융방사, 연신가공, 열압착 캘랜더, 유화제 도포, 건조 가공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를 흡수 부재로 이용하여 탑시트(Topsheet), 코어랩(corewrap), 코어커버(corecover), ADL(Acquisition Distribution Layer), 서지(serge)로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유아용 기저귀 제품, 성인용 기저귀 제품, 여성용 제품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를 흡수 부재로 이용하여 가운 (gown), 붕대, 수술복, 일회용 밴드, 마스크 등으로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용 제품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서, 물리적 특성 값들은 아래에 의해서 결정되었다:
(1) HLB 지수 = [(유화제 A의 양/전체 유화제의 양)×유화제 A의 HLB] + [(유화제 B의 양/전체 유화제의 양)×유화제 B의 HLB]
(2) 흡수속도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를 리스터기를 사용하여 흡수시간을 초 단위로 측정하여 흡수성을 확인하는 방법(EDANA 150.3-96).
실시예 1
솔비탄 에스테르(Sorbiban ester)와 상기 표 1에 나열된 비이온계 음식 첨가물 등급 유화제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 성분을 혼합하여, 성분의 최종 HLB가 10인 혼합물을 3%로 희석하여 SS계 스펀본드 부직웹에 부직웹의 제조속도 대비 5%의 회전속도로 가동되는 키스-롤(kiss-roll) 코터를 사용하여 부직웹 표면에 도포한 뒤, 130℃의 열풍 건조 실린더로 건조시켜 최종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혼합 유화제의 HBL이 3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혼합 유화제의 HBL이 18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유화제를 아미노 그룹과 양이온계 실리콘 유도체로 구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분석결과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주성분 솔비탄계 에스테르 + A 솔비탄계 에스테르 + B 솔비탄계 에스테르 + C 실리콘 유도체
HLB 10 3 18  
흡수성능 1초 미만 용해 불가 흡수성능 X 1초 미만
냄새 없음 없음 없음 합성물질 냄새
이온계 세포 독성물질 사용 여부 X X X
*상기 표 2 상의 A, B, C 성분은 상기 표 1에서 선택된 유화제임.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그 내용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술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폴리올레핀계 원료로,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익스트루더로 용융시켜 폴리머를 노즐로 방사한 후 방사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 과정을 통해 작은 섬유 직경을 가지는 연신 필라멘트로 하는 단계;
    상기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집적된 부직포 웹을 열접착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여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단계;
    형태안정성이 부여된 부직웹의 표면에 희석된 친수제를 도포하는 단계, 여기서 친수제는 솔비탄계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비이온계 유화제 혼합물임;
    부직웹 표면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고 친수제를 고착시키는 건조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제의 HLB(Hydrophile-liphophile balance)는 5 내지 15 사이이고, 비이온계 성분의 친수 유화제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전체 중량의 60% 이상인 것을 물과 0.5 내지 15wt%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된 친수 유화제는 부직포 표면에 키스-롤 방식으로 도포하고, 이때 도포하는 키스-롤의 회전 속도는 부직웹의 이동 속도의 3 내지 30%로 하여 도포하고, 110 내지 140℃의 온도로 건조하여 고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에 딸 제조된 부직포로, 스판본드 부직포의 기초 중량이 8 내지 150g/㎡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
KR1020150147963A 2015-10-23 2015-10-23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7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963A KR20170047624A (ko) 2015-10-23 2015-10-23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963A KR20170047624A (ko) 2015-10-23 2015-10-23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624A true KR20170047624A (ko) 2017-05-08

Family

ID=6016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963A KR20170047624A (ko) 2015-10-23 2015-10-23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76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36419T2 (de) Hydrophile Polyproylenfasern mit antimikrobieller Wirkung
CN1327906C (zh) 包含皮肤护理组合物的吸收制品
DE112014002457B4 (de) Wasserstrahlverfestigte Faserstrukturen
TWI510688B (zh) 積層片及其製造方法
CN105274733B (zh) 尺寸稳定的非织造纤维幅材及其制造和使用方法
DE60132098T2 (de) Behandeltes substrat mit verbesserter topischer applikationsübertragungsfähigkeit
EP2703529B1 (en) Fiber, non-woven fabric, and use thereof
DE3046277A1 (de) Saugfaehiger artikel
JP7056981B2 (ja) 植物機能性ポリプロピレンスパンボンド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5159534B2 (ja) 透水性付与剤、それが付着した透水性繊維および不織布の製造方法
DE69931200T2 (de) Lösung mit einem olefinischen Diol und einem pharmazeutischen Wirkstoff
JP7100504B2 (ja) 親水化剤
WO2007077216A1 (de) Deck- und transferschichtstruktur für einen hygieneartikel
JPH05285170A (ja) 吸収性物品
KR101494389B1 (ko)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70047624A (ko) 피부에 해가 적은 흡수제가 처리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477954B1 (ko) 재역류방지성이 우수한 다층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제조방법
CN104662217B (zh) 聚丙烯系无纺布
JP2012021259A (ja) 熱可塑性不織布
DE10034232A1 (de) Faser mit dauerhafter Hydrophilizität und diese enthaltende Textilien
JP2011084824A (ja) 繊維用親水化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繊維
KR100667574B1 (ko) 알로에가 함유된 친수성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120033772A (ko) 기능성 폴리올레핀계 단섬유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멀본드 부직포
JP2003201670A (ja) 親水性長繊維不織布、複合化不織布及びそれらを用いた吸収性物品
KR20080061761A (ko) 기능성 폴리올레핀계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서멀본드 부직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