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389B1 -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389B1
KR101494389B1 KR20130041726A KR20130041726A KR101494389B1 KR 101494389 B1 KR101494389 B1 KR 101494389B1 KR 20130041726 A KR20130041726 A KR 20130041726A KR 20130041726 A KR20130041726 A KR 20130041726A KR 101494389 B1 KR101494389 B1 KR 101494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rayon
nonwoven fabric
fiber
sta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1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243A (ko
Inventor
송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130041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38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04H1/4258Regenerated 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8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5/00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5/06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strengthened or consolidated by welding-together thermoplastic fibres, filaments, or ya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20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 D10B2201/22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made from cellulose solutions
    • D10B2201/24Visco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y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용융방사되는 폴리프로필렌의 표면에 레이온 단섬유와 친수성을 가지는 단섬유를 혼합한 물질을 부착한 것으로, 레이온 단섬유가 90%이하 함유하고, 상기 친수성을 가지는 단섬유는 친수 PP 단섬유, 친수 PET 단섬유, 천연 단섬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Non woven fabric having Ray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섬유는 소수성이며 이는 융점이 낮기 때문에 의류용으로는 한계가 있으나 수분전달에 장점이 있는 위킹 특성(wicking property)을 이용하여 가벼운 운동복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는 특유의 낮은 융점 및 우수한 내화학성 및 타소재 대비 비교적 저렴한 가격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어 주로 캘린더 본딩공법, 니들펀칭공법등을 통해 다양한 부직포로 가공되어왔으며, 기저귀, 생리대 등의 위생용품 표면재와 에어필터, 수처리 필터 등의 필터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강한 소수성으로 인해 그 적용용도가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섬유에 친수성을 부여하려는 시도가 많이 검토되어 왔지만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 문제로 방사 또는 연신 공정에서의 문제점 및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았다.
부직포의 경우는 방직 ,제직이나 편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계조작이나 열접착 등 기계, 화학처리로 섬유 집합체를 접착하거나 엉키게 하여 만든 직물, 펠트, 수지접착시킨 부직포, 니들펀치, 스펀본드, 스펀레이스, 엠보스필름, 습식 부직포 등이 이에 속한다.
협의로는 랜덤(random)에 겹친 웹(web)과 섬유의 접점을 수지로 접착하여 심지 등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직포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니들펀칭법, 케미칼본딩법, 서멀본딩법, 멜트브로운법, 스펀레이스법, 스테치본드법, 스펀본드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특허공개 평2-169774호는 소수성 섬유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솔비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부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초기 친수성은 뛰어나지만 지속 시간이 짧고, 친수 계면활성제가 물에 씻겨 나감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자체의 소수 성질이 살아나게 된다.
즉, 용융 발포 섬유를 친수처리하기 위해서 계면활성제 계열의 친수화제를 용융발포된 미세섬유에 직접 뿌려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친수화제가 용융 발포된 미세섬유에 균일하게 묻지 않기 때문에, 위생용품 계열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용융 발포된 미세섬유는 웹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충분한 물을 흡수하지 않고, 사용시 웹의 유연성이 떨어져 감촉이 떨어지며, 사용 중에 거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특허공개 평2-16977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물을 흡수할 수 있고, 사용시 웹의 유연성이 떨어지지 않아 감촉이 떨어지지 않으며, 거품이 발생하지 않는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용융방사되는 폴리프로필렌의 표면에 레이온 단섬유와 친수성을 가지는 단섬유를 혼합한 물질을 부착한 것으로, 레이온 단섬유가 20~90 중량% 함유되고, 상기 친수성을 가지는 단섬유는 친수 PP 단섬유, 친수 PET 단섬유, 천연 단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중량이 20 내지 200
Figure 112013033128511-pat00001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두께가 0.2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용융단계, 용융발포장치에서 상기 조성물을 고온에서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하는 방출단계, 상기 방출단계에서 공급되는 상기 미연신사와 레이온섬유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레이온 단섬유와 친수성을 가지는 단섬유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물질이 수집부의 벨트에서 고화되면서 웹을 형성하는 고화단계 및 상기 고화단계에서 고화되면서 웹을 형성한 부직포가 패턴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섬유간의 열융착이 일어나 최종 웹을 형성하는 열융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친수화제가 용융 발포된 미세섬유에 균일하게 묻고, 용융 발포된 미세섬유는 웹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충분한 물을 흡수할 수 있고, 사용 시 웹의 유연성이 떨어지지 않아 감촉이 떨어지지 않으며, 친수화제를 사용하지 않아 사용 중 거품이 발생하지 않는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제작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제조방법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용융 방사하는 폴리프로필렌에 레이온 단섬유와 친수성을 가지는 단섬유를 혼합한 것으로서, 레이온단섬유가 20~90 중량% 함유되고, 상기 친수성을 가지는 단섬유는 친수 PP 단섬유, 친수 PET 단섬유, 천연 단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후술되는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제작하는 장치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제작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가 어떻게 제작되는지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제작하는 장치는 용융발포장치(100), 레이온섬유 공급장치(200), 수집부(300), 및 패턴롤(400)을 포함한다.
상기 용융발포장치(100)는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하여, 노즐(110)을 통해서 미세섬유화되어서 배출된다.
상기 레이온섬유 공급장치(200)는 카딩부(210)와 블로워(220)를 포함하되, 상기 카딩부(210)는 레이온섬유(12)를 카딩하여 공급하고, 상기 블로워(220)를 통해서 외부로 레이온 섬유(12)를 상기 용융발포장치(100)에서 배출되는 고화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11)이 배출되는 곳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레이온섬유 공급장치(200)는 상기 레이온섬유(12) 뿐만 아니라, 친수성 단섬유를 추가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친수성 단섬유는 친수 PP 단섬유, 친수 PET 단섬유, 천연 단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레이온섬유(12)와 상기 친수성 단섬유는 상기 블로워(220)의 팬 회전속도와 카딩부(210)에서 배출되는 레이온 섬유량에 따라서 레이온 섬유(12)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300)는 상기 용융발포장치(100)에서 배출된 폴리프로필렌(11)과 상기 레이온섬유 공급장치(200)에서 배출된 레이온섬유(12)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폴리프로필렌이 고화되면서 웹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중량은 상기 수집부(300)의 속도와 상기 용융발포장치(100)에서 배출되는 폴리프로필렌(11)의 배출량을 변화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300)에서 고화된 부직포는 패턴롤(400) 사이를 통과하면서 섬유간의 열융착이 일어나 최종 웹이 형성된다.
목표중량
(g/㎡)
두께
(mm)
실제중량
(g/㎡)
흡수속도
(cm/sec)
흡수율
(%)
35 0.27 34.75 3.25 6.11
40 0.29 39.12 3.17 6.20
60 0.47 60.06 3.42 6.01
70 0.53 70.14 3.76 5.89
80 0.62 79.78 3.97 5.81
상기 [표 1]은 종래 부직포, 즉 기존 친수화제에 용융발포하여 생산한 부직포를 중량에 따른 두께, 흡수속도, 및 흡수율을 나타낸 표이다.
목표중량
(g/㎡)
두께
(mm)
레이온 섬유
(%)
실제중량
(g/㎡)
흡수속도
(cm/sec)
흡수율
(%)
40 0.43 90% 39.51 3.22 7.30
40 0.39 70% 40.21 3.53 6.53
40 0.35 50% 40.42 4.21 5.52
40 0.31 30% 39.78 6.24 4.13
상기 [표 2]는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레이온 섬유의 비율에 따른 두께, 흡수속도 및 흡수율을 나타낸 표이다.
상기 [표 1]과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같이, 동일한 중량(40
Figure 112013033128511-pat00002
)일 경우 종래의 부직포보다 본 발명의 부직포가 두께와 흡수율이 월등히 뛰어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레이온 섬유의 비율이 낮아질수록 두께와 흡수율은 감소하고, 흡수속도는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레이온 섬유의 비율이 높을수록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레이온 섬유의 비율이 높게 되면, 웹이 형성되기 힘들기 때문에 레이온 섬유의 비율은 9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목표중량
(g/㎡)
두께
(mm)
레이온 섬유
(%)
실제중량
(g/㎡)
흡수속도
(cm/sec)
흡수율
(%)
20 0.21 70% 20.15 3.42 6.54
40 0.39 70% 40.21 3.53 6.53
60 0.58 70% 59.79 3.51 6.28
80 0.81 70% 79.48 3.61 6.08
100 0.98 70% 99.35 3.73 5.78
상기 [표 3]은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중량에 따른 두께, 흡수속도, 흡수율을 나타낸 표이다.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중량에 따라서 거의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중량을 증가시켜 두께를 두껍게 하여 부직포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사용시 감촉이 좋아져 터치감을 우수하게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중량이 20 내지 200
Figure 112013033128511-pat00003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는 5mm이상일 경우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부직포의 두께는 0.2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제조방법은 용융단계(S10), 방출단계(S20), 혼합단계(S30), 고화단계(S40), 및 열융착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용융단계(S10)는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하여 조성물을 형성한다.
상기 방출단계(S20)는 상기 용융단계(S10)에서 형성된 조성물을 용융발포장치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단계(S30)는 상기 방출단계(S20)에서 공급되는 상기 미연신사에 레이온섬유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레이온 단섬유와 친수성을 가지는 단섬유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친수성을 가지는 단섬유는 친수 PP 단섬유, 친수 PET 단섬유, 천연 단섬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고화단계(S40)는 상기 혼합단계(S30)에서 혼합된 물질이 수집부의 벨트에서 고화되면서 웹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열융착단계(S50)는 상기 고화단계(S40)에서 고화되면서 웹을 형성한 부직포가 패턴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섬유간의 열융착이 일어나 최종 웹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용융발포장치 110 : 노즐
200 : 레이온섬유 공급장치 210 : 카딩부
220 : 블로워
300 : 수집부 400 : 패턴롤
S10~S50 :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제조방법

Claims (4)

  1.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용융단계;
    용융발포장치에서 상기 조성물을 고온에서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하는 방출단계;
    상기 방출단계에서 공급되는 상기 미연신사에 레이온섬유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레이온 단섬유와 친수성을 가지는 단섬유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물질이 수집부의 벨트에서 고화되면서 웹을 형성하는 고화단계; 및
    상기 고화단계에서 고화되면서 웹을 형성한 부직포가 패턴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섬유간의 열융착이 일어나 최종 웹을 형성하는 열융착단계;
    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용융방사되는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표면에 상기 레이온 단섬유와 상기 친수성을 가지는 단섬유를 혼합한 물질을 부착한 것으로, 상기 레이온 단섬유가 20~90 중량% 함유되고, 상기 친수성을 가지는 단섬유는 친수 PP 단섬유, 친수 PET 단섬유, 천연 단섬유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중량이 20 내지 200
    Figure 112013033128511-pat0000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부직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두께가 0.2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4.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용융단계;
    용융발포장치에서 상기 조성물을 고온에서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하는 방출단계;
    상기 방출단계에서 공급되는 상기 미연신사에 레이온섬유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레이온 단섬유와 친수성을 가지는 단섬유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물질이 수집부의 벨트에서 고화되면서 웹을 형성하는 고화단계; 및
    상기 고화단계에서 고화되면서 웹을 형성한 부직포가 패턴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섬유간의 열융착이 일어나 최종 웹을 형성하는 열융착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제조방법.
KR20130041726A 2013-04-16 2013-04-16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94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726A KR101494389B1 (ko) 2013-04-16 2013-04-16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726A KR101494389B1 (ko) 2013-04-16 2013-04-16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243A KR20140124243A (ko) 2014-10-24
KR101494389B1 true KR101494389B1 (ko) 2015-02-23

Family

ID=5199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1726A KR101494389B1 (ko) 2013-04-16 2013-04-16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3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672B1 (ko) 2020-09-16 2021-01-14 박윤태 레이온 단섬유를 이용한 난연성을 갖는 단섬유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그 난연 레이온 단섬유 적층체
GB2599642A (en) * 2020-10-02 2022-04-13 Teknoweb Mat S P A Spunlace composite web comprising staple fibers, short absorbent fibers and binder
KR20220061707A (ko) 2020-11-06 2022-05-13 박윤태 레이온 단섬유를 이용한 난연 레이온 단섬유 적층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529B1 (ko) 2021-08-13 2022-10-27 (주) 한국노텍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853B1 (ko) * 1988-03-18 1997-04-21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 수압에 의해 엉킨 부직 섬유상 탄성 공성형물 및 그의 성형 방법
JP2003027360A (ja) * 2001-07-12 2003-01-29 Mitsui Chemicals Inc 不織布積層体
KR20050086021A (ko) * 2004-02-24 2005-08-30 비엔케이(주) 와이퍼용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제조 장치
KR20110076154A (ko) * 2009-12-29 2011-07-0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위생용품용 폴리올레핀계 단섬유, 부직포, 및 이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853B1 (ko) * 1988-03-18 1997-04-21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 수압에 의해 엉킨 부직 섬유상 탄성 공성형물 및 그의 성형 방법
JP2003027360A (ja) * 2001-07-12 2003-01-29 Mitsui Chemicals Inc 不織布積層体
KR20050086021A (ko) * 2004-02-24 2005-08-30 비엔케이(주) 와이퍼용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제조 장치
KR20110076154A (ko) * 2009-12-29 2011-07-0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위생용품용 폴리올레핀계 단섬유, 부직포, 및 이들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672B1 (ko) 2020-09-16 2021-01-14 박윤태 레이온 단섬유를 이용한 난연성을 갖는 단섬유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그 난연 레이온 단섬유 적층체
GB2599642A (en) * 2020-10-02 2022-04-13 Teknoweb Mat S P A Spunlace composite web comprising staple fibers, short absorbent fibers and binder
KR20220061707A (ko) 2020-11-06 2022-05-13 박윤태 레이온 단섬유를 이용한 난연 레이온 단섬유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243A (ko) 2014-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6295B2 (ja) 寸法安定性不織布繊維ウェブ、並びにこれらの製造及び使用方法
US8932704B2 (en) Dimensionally stable nonwoven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9416485B2 (en) Process of making dimensionally stable nonwoven fibrous webs
JP2011058157A (ja) ソフト性に優れたスパンボンド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94389B1 (ko)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1159078A (ja) 親水性繊維及び不織布、それらを用いた不織布加工品
US7238313B2 (en) Thermoplastic constructs with improved softness
JP2005509546A (ja) 重量性能に関して増進された障壁を有する不織障壁布
JP2002088633A (ja) 多層不織布およびその用途
CN107419353A (zh) 纤维、非织造布及其用途
WO1994008083A1 (en) Nonwoven cloth of ultrafine 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35414A (ko)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08790A (ko) 흡수체 및 위생용품
JPH02169718A (ja) ポリオレフイン系熱融着性繊維及びその不織布
JP2006299425A (ja) 吸水性不織布積層体
TW202210677A (zh) 紡絲黏合不織布及衛生材料
JP2005538806A (ja) 吸収材製品構成要素の改善された障壁性能
JP2006299424A (ja) 吸水性不織布
TW201732107A (zh) 親水性蓬鬆不織布
CN115151689B (zh) 层叠无纺布及卫生材料
CN112813580A (zh) 一种可完全生物降解的擦拭用非织造布
TWI717037B (zh) 抑制熱熔透印之不織布
JP4028958B2 (ja) 耐久親水性繊維およ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
CN112771221A (zh) 纺粘无纺布
KR20100113829A (ko) 섬유 세제 시트용 장섬유 복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