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829A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829A
KR20170046829A KR1020150146432A KR20150146432A KR20170046829A KR 20170046829 A KR20170046829 A KR 20170046829A KR 1020150146432 A KR1020150146432 A KR 1020150146432A KR 20150146432 A KR20150146432 A KR 20150146432A KR 20170046829 A KR20170046829 A KR 20170046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fermented
vitap1
strain
equ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827B1 (ko
Inventor
정의수
윤재웅
박민희
이종섭
배해병
천은빈
강세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Priority to KR1020150146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8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23L11/09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23Y2220/73
    • C12R1/22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칡 또는 대두 배아를 포함한 콩과식물의 이소플라본으로부터 이소플라본 대사체인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dihydrodaidzein, DHD) 또는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dihydrogenistein, DHG) 또는 에쿠올(equol)등으로 생체 전환 할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비타피원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수탁번호: KACC92054P)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은 항산화, 멜라닌 생성억제, 콜라겐, 엘라스틴 및 TIMP-1의 발현 효과가 우수하여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and fermentation product method of pueraria radix or soybean using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and fermentation product of pueraria radix or soybean using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콩과식물의 이소플라본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로 전환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균주를 제공하도록 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를 이용함으로써, 칡 또는 대두 배아 추출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을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제조하도록 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제공하도록 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호기적 조건에서 사용 가능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를 이용함으로써, 칡 또는 대두 배아 추출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을 수득하여 호르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기능과, 주름개선, 미백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 피부의 노화는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섬유아세포 수가 감소하게 되면서 나타난다. 자외선, 기후, 흡연 등에 의해 여러 가지 신호체계가 활성화됨으로써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피부 구성성분이 손상되면서 피부 노화가 진행된다. 자외선에 의해 손상 받은 피부는 콜라겐의 양이 감소되어 있는데, 이는 자외선에 의해 피부 내 MMPs (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이 증가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MMPs는 피부 광노화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노화에 따른 MMPs의 증가와 관련된 세포 신호 전달 경로는 주로 MAP 키나제가 관여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 주름형성에 있어서 콜라겐 이외에 탄력섬유인 엘라스틴과 엘라스틴 분해에 관여하는 엘라스타제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멜라닌은 피부와 머리카락의 색상을 결정하는 주요한 인자이며 자외선을 차단하는 색소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세포를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소량 생산되면 백반증과 같은 피부 병변이 유발되고, 반대로 일광, 호르몬 변화, 염증 또는 약제 등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멜라닌이 과도하게 합성되거나 색소가 침착되면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며, 광노화로 깊은 주름살과 잔주름살 생성, 색소 탈색, 피부건조, 탄력성 감소 등의 변화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색소 침착 현상을 방지하고 미백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과정의 일부분을 저해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켜야 한다.
칡(Pueraria radix, 칡)은 한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는 다년생 뿌리 식물로서, 민간에서 식용으로 사용할 정도로 매우 안전하여 이른 봄 또는 늦은 가을에 캐어서 건조하여 약재로 이용하고 있으며, 발한, 해열, 진경, 해기, 수진, 지사, 하혈, 구갈, 두통 등의 효능이 있으며, 고혈압, 협심증, 당뇨, 숙취제거, 항산화 효능 등에 이용되고 있다.
칡에는 푸에라린(puerarin), 다이드진(daidzin),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과 같은 이소플라본(isoflavone)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추출물에 대한 다양한 용도가 개발되어 있다.
대두 배아는 동물성 단백질에 비하여 아미노산이 적지만 식물성 단백질 및 식물 섬유가 풍부하며,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영양적 가치가 뛰어나며, 비만증, 동맥경화, 고혈압, 항지방 혈증작용, 신장병 등에 이용되고 있다.
대두 배아에는 다이드진(daidzin),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틴(genistin), 제니스테인(genistein), 글리시틴(glycitin), 글리시테인(glycitein), 비오차닌(biochanin)A, 포르모노네틴(formononetin)과 같은 이소플라본을 포함한다.
상기 콩과식물에 다량 함유된 이소플라본은 화학 구조가 에스트로겐과 비슷하여 타 물질에 비하여 체내 흡수율이 높으며, 에스트로겐 수용체와의 결합력이 뛰어나 에스트로겐의 수용체에 대한 조절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이소플라본 대사산물은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자극해 전립선 성장이 억제되거나, 5-알파-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5-alpha-dihydrotestosterone, DHT)과 결합해 이 호르몬의 기능을 제거함으로써 전립선 성장 억제 효과 나타나므로,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기능을 갖는 이소플라본 대사산물인 에쿠올(equol)과 같은 물질의 생산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에쿠올은 이외에도 고혈압, 체중조절, 골다공증, 당뇨, 비만 등의 대사질환, 전립선 비대억제 및 암 억제, 유방암 억제 등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미생물을 이용한 체지방 저하 기능성 식품에 관한 특허는 씨제이주식회사, 주식회사 피엘바이오에서 2007년에 등록되었고, 염증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특허는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2011년에 공개되었으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특허는 양봉임,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에서 2015년에 공개되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상기 미생물과 다른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물이거나, 이소플라본 대사체를 생산하지 않는 미생물이므로, 이소플라본 대사체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6557호 "체지방 저하 기능성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와 이를 함유한 식품"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4516호 "유산균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0521호 "인체 유래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콩과식물의 이소플라본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로 전환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균주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를 이용함으로써, 칡 또는 대두 배아 추출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호기적 조건에서 사용 가능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를 이용함으로써, 칡 또는 대두 배아 추출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을 수득하여 호르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기능과, 주름개선, 미백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콩과식물의 이소플라본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로 전환할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수탁번호:KACC92054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칡 또는 대두 배아 추출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 방법은 콩과식물의 이소플라본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로 전환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균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 방법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를 이용함으로써, 칡 또는 대두 배아 추출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 방법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 방법은 호기적 조건에서 사용 가능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를 이용함으로써, 칡 또는 대두 배아 추출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을 수득하여 호르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기능과, 주름개선, 미백기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균주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균주의 칡 및 대두추출물을 이용한 발효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균주 발효물의 주름개선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균주 발효물의 여성호르몬 조절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균주 발효물의 유방암세포의 억제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균주 발효물의 조골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균주 발효물의 전립선암세포의 억제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균주 발효물의 전립선비대증 세포의 억제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균주 발효물의 인간동맥평활근 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콩과식물의 이소플라본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로 전환할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수탁번호:KACC92054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간의 대변으로부터 동정된 균주인 vitaP1 (KACC92054P)가 국립농업과학원에 기탁되어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탁균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균주는 유전학적 분리동정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균주(도 1)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균주를 이용하여 칡 또는 대두 배아 추출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균주로부터 발효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칡과 대두 배아만을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식물추출물 및 식물발효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균주를 이용하여 칡 또는 대두 배아 추출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을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분쇄한 칡 또는 대두 배아를 에탄올로 교반 및 추출하는 추출단계(a) 및 상기 단계(a)에서 얻은 추출물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수탁번호 : KACC92054P) 균주를 접종한 후 이를 교반하여 배양액을 만드는 배양단계(b)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쇄한 칡 또는 대두 배아를 에탄올로 교반 및 추출하는 추출단계(a)를 수행한다.
상기 추출단계(a)에서 사용되는 원료는 칡 또는 대두 배아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칡과 대두 배아의 형상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분말상이거나, 분쇄 또는 파쇄된 것일 수도 있으나, 분말상의 칡과 대두 배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단계(a)에서 사용하는 용매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탄올로는 추출의 효율성을 위하여 주정기준으로 30 내지 90 v/v%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a)에서 얻은 추출물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수탁번호 : KACC92054P) 균주를 접종한 후 이를 교반하여 배양액을 만드는 배양단계(b)를 수행한다.
본 발명은 호기성 균주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정한 속도로 교반을 하여 산소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양단계(b)의 교반속도는 100 내지 300 rp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a)에서 얻은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수탁번호 : KACC92054P) 균주를 배지에 접종한 후, 상기 균주가 생육 가능한 온도 영역에서 20 내지 80시간 동안 호기 발효시킴으로 배양되는데, 상기 온도는 35 내지 40 ℃가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단계(b)는 상기 추출단계(a)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배양액 총량 기준 0.2 내지 2 중량%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수탁번호 : KACC92054P)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균주를 이용하여 칡 또는 대두 배아 추출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 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은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이 생성되어 축적되어있다.
상기 조건으로 얻어지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은 발효 후 상태 그대로 식품, 의약품, 화장료 등의 소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 처리를 행하여 건조 고형물 상태로 하여 상기 소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열 건조 처리에 의해 고형상으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 건조 처리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은 필요에 따라서 분말화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은 유용 생리 활성 물질인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생리 활성이나 약리 활성을 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은 호르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일반 칡 또는 대두 배아추출물보다 고농도에서 우수하며, 세포 독성이 완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인체에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의약품 소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제, 환제, 산제, 액제, 현탁제, 유제, 과립제, 캡슐제, 좌제 등의 형태의 의약 제제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함유하는 의약 제제는 전립선암, 갱년기장애, 골다공증 등의 질환이나 증상의 예방 내지 개선제 등으로서 유용하다. 특히, 중노년에 있어서 호르몬 변화에 따른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을 동결 건조하여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 동결 건조물을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 제조예 1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의 동정
1달 동안 칡 또는 대두 배아 추출물을 섭취한 사람의 분변을 수집하여 gifu anaerobic medium(GAM), trypticase soy agar(TSA), ethylene bromide agar(EMA), brain heart infusion(BHI),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RCM), Lactobacilli MRS(MRS), Luria-Bertani(LB) 7종의 배지에 도말(smear)하여 37도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생성되는 colony의 형태와 색상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균주들은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이소플라본 생성 균주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분리 균주를 규명하기 위해 genomic DNA를 Solgent사의 genomic DNA prep kit를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각각의 primer는 세균의 16S rRNA부위를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forward primer인 27F (5’-agagtttgatcMtggctcag-3’)와 reverse primer인 1492R (5’-ggYtaccttg ttacgactt-3’)를 사용하였다.
PCR reaction mixture는 template 1 ㎕, 2X Taq PCR premix(QIAGEN) 10 ㎕, forward primer 2 ㎕(10 pmole/㎕), reverse primer 2 ㎕ (10 pmole/㎕), dDW 5 ㎕를 섞은 뒤 PCR을 수행하였다.
PCR cycle은 94도에서 10초, 45도에서 20초, 72도에서 1분 동안 수행하였으며, PCR 과정은 30번 반복하였다. 또한, Pre-denaturation과정은 94도에서 2분 동안 수행하였고 post-elongation 과정은 72℃에서 5분 동안 수행하였으며, PCR 결과는 0.7% agarose gel에서 확인하였다.
PCR product의 정제는 QIAquick Gel Extraction kit를 사용하였으며, 균주동정을 위해 정제된 DNA를 Solgent사에 의뢰하여 sequencing 한 뒤 NCBI BLAST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최종 분리 균주는 Lactobacillus rhamnosus와 상등성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로 명명하고 국립농업과학원에 2015년 4월 9일에 수탁번호 KACC92054P로 기탁하였다.
< 실험예 1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와 공시 균주의 비교 평가
실험예 1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와 공시 균주를 분석하여 상기 균주들을 비교 평가하였다.
공시 균주는 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된 균주로 KCTC 3237, KCTC 5033, KCTC 13088이며, 본 발명의 균주와 상기 공시 균주는 종(種) 분류로 Lactobacillus rhamnosus이다.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주와 상기 공시 균주는 NGS 분석을 통해 본 발명의 균주와 상기 공시 균주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중 22 가지 유전자가 서로 상이하게 발현이 되어 본 발명의 균주가 신규한 균주라 할 수 있다.
vitaP1 KCTC
3237
KCTC
5033
KCTC
13088
1 [3R] 29-hydroxymyristoyl-ACP dehydratase 9.48836 7.21817 2.68705 3.67302 fatty acid biosynthetic process, lipid A biosynthetic process
2 2,3-propanediol dehydrogenase -2.68966 -2.67636 -2.07517 -2.09134
3 3-oxoacyl-ACP synthase 9.03259 5.92935 7.09252 2.76028
4 acetate kinase 2.17232 -2.50196 -2.20646 -4.12876
5 acyl carrier protein 6.63768 2.82099 2.84774 2.97583 fatty acid, polyketide biosynthesis component
6 acylphosphatase -2.22154 -2.11532 -2.66177 -2.30730
7 aldo 2Fketo reductase -2.67151 -2.21933 -2.46932 -2.15285 NADPH dependent oxidoreductase
8 arginine deiminase (AD) -75.85270 8.14304 2.21662 4.19291 prokaryotic organisms
9 carbamate kinase (CBK) -43.29603 7.18651 4.49742 6.37954 enterococcus faecalis, enterococcus facium cloning of the gene
10 carbamoyl-phosphate synthetase small subunit 2.37890 -3.97996 -3.82979 -3.05174 production of urea
11 cell surface protein-2.039816 -2.12557 -3.77631 -2.53964 -2.30093
12 dihydrolipoamide dehydrogenase (DLD) -2.93235 -2.72394 -3.63892 -3.17575 dihydrolipoyl dehydrogenase, mitochondrial : affect body system
13 dihydroorotase (DHO) 2.59405 -3.45185 -4.89953 -5.48485 biosynthesis of pyrimidine nyucleotides
14 enoyl-28acyl carrier protein 29 reductase 7.47511 2.41977 2.57367 2.14397 elongation cycle in the synthesis of bacterial fatty acid
15 fructose 2% 2,6-bisphosphatase (Fru-2,6-P2) 2.17520 2.97208 2.28723 2.83175 glucose metabolism, regulation of sucrose production
16 glycerate kinase -2.45395 2.31188 2.16611 2.02286
17 GntR family transcriptional regulator -2.23434 -3.25472 -2.38361 -2.45671 transciption factor
18 hypothetical protein -3.78798 -2.20730 -2.04734 -2.16360 domain homology search(various confidence level)
19 malate dehydrogenase (MDH) 18.23373 6.48744 10.04032 10.17663 citric acid cycle, hydrophobic cavity
20 MarR family transciptional regulator 2.55929 7.97197 2.00038 3.20847 control animal pathogenic bacteria
21 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OTC) -38.74371 6.74219 4.07105 3.14863 protein cording gene, carbon mechanism
22 oxidoreductase -6.56188 -2.13193 -2.49795 2.02620 electron acceptor : NADP or NAD+ cofactor
< 실시예 1 > 칡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를 접종하여 칡 추출 발효물의 제조
분쇄한 칡은 추출용매인 30 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칡 추출물은 감압 여과을 하고, 회전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1L 삼각플라스크에 LB 배지 100mL을 넣고, 칡 추출물을 배지에 넣은 후 vitaP1 0.1% 접종하여 배양 시간 24 h, 배양 온도 37 ℃, 교반 속도 250 rpm 조건으로 칡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대두 배아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를 종하여 대두 배아 추출 발효물의 제조
분쇄한 대아 배두는 추출용매인 30 v/v% 에탄올을 사용하여 대두 배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대두 배아 추출물은 감압 여과을 하고, 회전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1L 삼각플라스크에 LB 배지 100mL을 넣고, 대두 배아 추출물을 배지에 넣은 후 vitaP1 0.1% 접종하여 배양 시간 24 h, 배양 온도 37 ℃, 교반 속도 250 rpm 조건으로 대두 배아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칡 추출물의 제조
분쇄한 칡은 추출용매인 30 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대두 추출물의 제조
분쇄한 대두 배아는 추출용매인 30 v/v% 에탄올을 사용하여 대두 배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 칡 추출물에 공시 균주 KCTC 3237을 접종하여 칡 추출 발효물의 제조
분쇄한 칡은 추출용매인 30 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칡 추출물은 감압 여과을 하고, 회전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1L 삼각플라스크에 LB 배지 100mL을 넣고, 칡 추출물을 배지에 넣은 후 KCTC 3237 0.1% 접종하여 배양 시간 24 h, 배양 온도 37 ℃, 교반 속도 250 rpm 조건으로 칡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 칡 추출물에 공시 균주 KCTC 5033을 접종하여 칡 추출 발효물의 제조
분쇄한 칡은 추출용매인 30 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칡 추출물은 감압 여과을 하고, 회전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1L 삼각플라스크에 LB 배지 100mL을 넣고, 칡 추출물을 배지에 넣은 후 KCTC 5033 0.1% 접종하여 배양 시간 24 h, 배양 온도 37 ℃, 교반 속도 250 rpm 조건으로 칡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5 > 칡 추출물에 공시 균주 KCTC 13088을 접종하여 칡 추출 발효물의 제조
분쇄한 칡은 추출용매인 30 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칡 추출물은 감압 여과을 하고, 회전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1L 삼각플라스크에 LB 배지 100mL을 넣고, 칡 추출물을 배지에 넣은 후 KCTC 13088 0.1% 접종하여 배양 시간 24 h, 배양 온도 37 ℃, 교반 속도 250 rpm 조건으로 칡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6 > 대두 배아 추출물에 공시 균주 KCTC 3237을 접종하여 대두 배아 추출 발효물의 제조
분쇄한 대두 배아는 추출용매인 30 v/v% 에탄올을 사용하여 대두 배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대두 배아 추출물은 감압 여과을 하고, 회전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1L 삼각플라스크에 LB 배지 100mL을 넣고, 대두 배아 추출물을 배지에 넣은 후 KCTC 3237 0.1% 접종하여 배양 시간 24 h, 배양 온도 37 ℃, 교반 속도 250 rpm 조건으로 대두 배아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7 > 대두 배아 추출물에 공시 균주 KCTC 5033을 접종하여 대두 배아 추출 발효물의 제조
분쇄한 대두 배아는 추출용매인 30 v/v% 에탄올을 사용하여 대두 배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대두 배아 추출물은 감압 여과을 하고, 회전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1L 삼각플라스크에 LB 배지 100mL을 넣고, 대두 배아 추출물을 배지에 넣은 후 KCTC 5033 0.1% 접종하여 배양 시간 24 h, 배양 온도 37 ℃, 교반 속도 250 rpm 조건으로 대두 배아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8 > 대두 배아 추출물에 공시 균주 KCTC 13088을 접종하여 대두 배아 추출 발효물의 제조
분쇄한 대두 배아는 추출용매인 30 v/v% 에탄올을 사용하여 대두 배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대두 배아 추출물은 감압 여과을 하고, 회전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1L 삼각플라스크에 LB 배지 100mL을 넣고, 대두 배아 추출물을 배지에 넣은 후 KCTC 13088 0.1% 접종하여 배양 시간 24 h, 배양 온도 37 ℃, 교반 속도 250 rpm 조건으로 대두 배아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2 >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 , 비교예 1과 2의 추출물, 비교예 3 내지 8의 발효물의 분석 조건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 비교예 1과 2의 추출물, 비교예 3 내지 8의 발효물의 분석에는 DGU-20A3R (Shimadzu, Japan) HPLC를 사용하였으며, 검출기는 PDA detector (Shimadzu, SPD-M20A)로 280nm에서 측정하였다. 컬럼은 Skypack C18 (SKchemical, 4.6*250mm, 5micron), Mobile phase A는 water:acetic acid = 100: 1 (v/v,%), B는 water: acetonitrile: acetic acid = 50 : 50 :1 (v/v,%), flow rate는 1mL/min, column oven은 40℃, injection volume은 10 ㎕를 사용하였다. Injection sample은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 비교예 1과 2의 추출물, 비교예 3 내지 8의 발효물을 ethyl acetate로 추출한 후 ethyl acetate층을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 이소플라본 대사체 생산량 측정, 단위 : mg/g >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daidzin 1.31 1.29 28.31 29.14 10.38 14.15 15.46 11.24 14.89 14.66
daidzein 14.89 15.46 4.45 5.05 4.59 5.15 4.38 5.11 4.47 5.04
dihydrodaidzein 10.89 12.34 0.62 0.89 0.63 0.78 0.54 0.69 0.71 0.93
S-equol 1.87 1.97 X X 0.05 X 0.08 X 0.07 X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vitaP1이 접종된 칡 추출 발효물(실시예 1)과 vitaP1이 접종된 대두 배아 추출 발효물(실시예 2)는 daidzin에서 daidzein으로 전환되고, 전환된 daidzein은 dihydrodaidzein, S-equol으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칡 추출물(비교예 1), 대두 배아 추출물(비교예 2), 공시균주가 접종된 발효물(비교예 3 내지 8)은 daidzin에서 daidzein으로 전환이 되지만, 전환된 daidzein은 dihydrodaidzein, S-equol으로 전환되는 양이 적었다.
따라서, vitaP1이 접종된 칡 추출 발효물(실시예 1)과 vitaP1이 접종된 대두 배아 추출 발효물(실시예 2)은 이소플라본 대사체의 생산량이 비교예 1 내지 8보다 월등하게 많으므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는 daidzein, dihydrodaidzein, equol을 포함한 이소플라본 대사체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특수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항산화 효능 평가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 비교예 1과 2의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에는 ORAC (Oxygen Radical Absorbancity by Fluorescein)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검액 및 표준액의 농도별 희석과 실험용 시액들의 제조에는 phosphate buffer를 사용하였으며, 검량 곡선을 작성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 비교 표준액으로 Trolox를 사용하였다. 측정기기는 multi reader(Tecan)를 사용하여 485 nm에서 전자가 여기 excitation되고 538 nm에서 emission되게 조절하여 사용하였고, vitaP1의 항산화 효능 평가는 표 2에 나타내었다.
㎍/mL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100 0.80±0.025 0.84±0.018 0.57±0.018 0.58±0.002
50 0.79±0.030 0.84±0.073 0.50±0.025 0.51±0.002
25 0.83±0.040 0.85±0.089 0.45±0.014 0.42±0.002
12.5 0.64±0.057 0.65±0.025 0.37±0.014 0.35±0.002
6.25 0.45±0.043 0.46±0.044 0.25±0.002 0.26±0.002
< 실험예 4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멜라닌 생성 억제 평가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 비교예 1과 2의 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B16F10 세포를 1X105 cells/well로 10% FBS를 포함한 DMEM 배지에 200 nM TPA를 첨가하여 plate에 분주하였다. 37도, 5% CO2 incubator에 24시간 배양하였으며, 세포가 안정화되면 새로운 배지로 교환하며 시료를 농도별로 3일 동안 동일하게 처리한 후 24시간 후에 생성된 멜라닌을 0.85 N KOH에 용해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vitaP1의 멜라닌 생성 억제 평가는 표 3에 나타내었다.
samplea명 concentration
(㎎/㎖)
melanin formation
percentage (%)
control 0 100
실시예 1 0.25 68
1.2 54
실시예 2 0.25 64
1.2 51
비교예 1 0.25 91
1.2 74
비교예 2 0.25 92
1.2 79
< 실험예 5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세포내 collagen, elastin , TIMP -1 및 MMP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HaCaT와 CCD-986Sk 세포는 세포의 수를 5×105 cells/㎖로 조제한 후에 페트리디쉬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5% CO2 및 37℃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페트리디쉬에서 80% 이상 자란 다음,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 비교예 1과 2의 추출물을 세포 생존률 100% 이상으로 나타난 농도로 첨가하였다.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5% CO2 및 37℃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에서 RNA 분리, cDNA합성 및 RT-PCR은 Komoroski 등(Drug Metab. Dispos. 32:512-518, 2004)이 기술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RT-PCR에서 측정한 유전자는 Collagen, elastin, TIMP-1 및 MMP-1, 3, 9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house keeping gene으로 GAPDH을 사용하였다. 추출된 RNA를 주형으로 올리고 dT-어댑터 프라이머(OligodT-adaptor primer)와 DEPC water를 이용하여 총량 15㎕로 하고 70℃ 5분 변성후, M-MLV(Moloney murineleukemia virus) RNA의 역전사를 수행하여 42℃ 60분, 94℃ 5분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PCR 반응을 통해 증폭하였으며, 총 반응액은 25㎕로 하였다. 각 반응물의 최종 농도는 프라이머 100 pmol, 1.0μM, dNTP 혼합액 0.2mM, 5x green or colorless GoTaq Reaction buffer 1x1.5mM, MgCl2(PCR완충액) 및 GoTaq DNA 폴리머라제 1.25 units이었다.
변성(Denaturation), 어닐링(annealing) 및 익스텐션(extension)에 대한 PCR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으며, 95℃ 2분, 95℃ 30초, 60℃ 30초, 72℃ 1분, 72℃ 5분, 30 ~ 40 사이클로 수행하였다. PCR 반응 후 생성물의 10㎕를 2% 아가로즈 겔(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 하였다. Gel Documentation system(코리아랩텍, Cat. No DGS-200D)을 이용하여 발현양을 확인 했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6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여성호르몬 수용체 조절 효과 측정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여성호르몬 수용체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MCF-7 BUS 세포주는 미국 Tufts 대학에서 분양 받았으며, 10% fetal bovine serum(Gibco, USA), 1% penicillin/ streptomycin(GIBCO, USA)이 첨가된 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Gibco, USA)을 사용하였고, 37 ℃, 5% CO2가 유지되는 CO2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MCF-7 BUS 세포주를 이용한 E-screen assay는 에스트로겐에 대한 민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우선 96 well plate에 5 x 103 cells/well로 분주한 후, 37 ℃, 5% CO2가 유지되는 CO2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24시간 후 charcoaled FBS 10%가 함유된 DMEM 배지로 교환하였다.
이 때,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 비교예 1과 2의 추출물을 0.01 ug/mL~100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17ß-estradiol(E2, Sigma, USA)을 10- 10 M로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MTT (5 mg/mL)시약을 이용하여 550 nm에서 ELISA reader(Tecan,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여성호르몬 수용체 조절효과를 비교한 결과, 합성 여성호르몬 (17beta-estradiol, E2)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을 때, 비교예 1과 2는 고농도에서 오히려 MCF7-BUS세포 (유방암 세포주)를 억제하여 여성호르몬 조절효과가 없어지면서 세포독성이 나타났다.
반면, 실시예 1과 2를 최적조건으로 발효하였을 때의 실시예 1과 2는 고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고, 여성호르몬 수용체 조절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vitaP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교예 1과 2에 비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 동시에 여성호르몬 수용체 조절효과를 통한 여성호르몬 관련 질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7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유방암 억제 효과 측정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유방암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MCF-7 세포주는 한국세포주은행 (KTCC, Korea)에서 구입하였으며, 10% fetal bovine serum(Gibco, USA), 1% penicillin/sterptomycin(Gibco, USA)가 첨가된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Gibco, USA)를 사용하였고, 37 ℃, 5% CO2가 유지되는 CO2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유방암세포의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CF-7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1×104 cells/well로 분주한 후, 37 ℃, 5% CO₂가 유지되는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24시간 후 10% FBS가 함유된 MEM 배지로 교환하였다.
이 때,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 비교예 1과 2의 추출물을 0.01 μg/mL∼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17β-estradiol을 10-10M로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MTT (5 mg/mL)시약을 이용하여 550 nm에서 ELISA reader(Tecan,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유방암세포의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 1과 2에서 유방암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vitaP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교예 1과 2에 비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 유방암 세포주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8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조골세포 증식 효과 측정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조골세포의 증식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MG-63 세포주는 한국세포주은행(KTCC, Korea)에서 구입하였으며, 10% fetal bovine serum(Gibco, USA), 1% penicillin/sterptomycin(Gibco, USA)가 첨가된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Gibco, USA)를 사용하였고, 37 ℃, 5% CO₂가 유지되는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조골세포의 증식능을 평가하기 위해 MG-63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5×103 cells/well로 분주한 후, 37 ℃, 5% CO₂가 유지되는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24시간 후 charcoaled FBS 10%가 함유된 MEM 배지로 교환하였다.
이 때,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 비교예 1과 2의 추출물을 0.01 μg/mL∼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17β-estradiol을 10-10M로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MTT (5 mg/mL)시약을 이용하여 550 nm에서 ELISA reader(Tecan,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조골세포 증식능을 비교한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100 μg/mL에서 미세한 세포 독성이 나타났으며, 1 μg/mL, 10 μg/mL에서 13% 정도의 증가양상이 나타났다.
반면, 실시예 1과 2는 고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고, 조골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vitaP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교예 1과 2에 비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 조골세포 증식능을 통한 골다공증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9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전립선 암 억제 효과 측정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전립선 암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LNCap 세포주는 한국세포주은행 (KTCC, Korea)에서 구입하였으며, 10% fetal bovine serum(Gibco, USA), 1% penicillin/sterptomycin(Gibco, USA)가 첨가된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Gibco, USA)를 사용하였고, 37 ℃, 5% CO₂가 유지되는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전립선 암세포의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LNCap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1×104 cells/well로 분주한 후, 37 ℃, 5% CO₂가 유지되는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24시간 후 10% FBS가 함유된 MEM 배지로 교환하였다.
이 때,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 비교예 1과 2의 추출물을 0.01 μg/mL∼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17β-estradiol을 10-10M로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MTT (5 mg/mL)시약을 이용하여 550 nm에서 ELISA reader(Tecan,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립선 암세포의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 1과 2는 농도 의존적으로 전립선 암세포의 억제 양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vitaP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교예 1과 2에 비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 전립선 암세포주 증식 억제능을 통해 전립선암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10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전립선비대증 억제 효과 측정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전립선 비대증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BPH-1 세포주는 독일미생물자원센터 (DMSZ,Germany)에서 구입하였으며, 20% fetal bovine serum(Gibco, USA), 1% penicillin/sterptomycin(Gibco, USA)가 첨가된 RPMI 1640 (Gibco, USA)를 사용하였고, 37 ℃, 5% CO₂가 유지되는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전립선 비대증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BPH-1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1×104 cells/well로 분주한 후, 37 ℃, 5% CO₂가 유지되는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24시간 후 20% FBS가 함유된 RPMI 배지로 교환하였다.
이 때,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 비교예 1과 2의 추출물을 0.01 μg/mL∼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17β-estradiol을 10-10M로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MTT (5 mg/mL)시약을 이용하여 550 nm에서 ELISA reader(Tecan,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립선 비대증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 1과 2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전립선 비대증세포의 억제 양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vitaP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교예 1과 2에 비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 전립선 비대증세포주의 증식 억제능을 통해 전립선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11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인간동맥혈관세포 억제 효과 측정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접종 유무에 따른 인간동맥혈관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HASMC 세포주는 Sciencell (Carlsbad,CA)에서 구입하였으며, Smooth muscle cell medium (Sceincell, CA)를 사용하였고, 37 ℃, 5% CO₂가 유지되는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인간동맥혈관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HASMC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1×104 cells/well로 분주한 후, 37 ℃, 5% CO₂가 유지되는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24시간 후 SMCM 배지로 교환하였다.
이 때,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 비교예 1과 2의 추출물을 0.01 μg/mL∼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17β-estradiol을 10-10M로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MTT (5 mg/mL)시약을 이용하여 550 nm에서 ELISA reader(Tecan,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동맥혈관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 1과 2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인간동맥혈관세포의 억제 양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vitaP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과 2의 발효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교예 1과 2에 비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 인체동맥혈관세포의 증식 억제능을 통해 고지혈증,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itaP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10)

  1. 칡 또는 대두 배아 추출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dihydrodaidzein, DHD)또는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dihydrogenistein, DHG) 및 에쿠올(equol)로 전환할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균주.
  2. 청구항 1의 균주를 이용하여, 칡 또는 대두 배아 추출물로부터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을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분쇄한 칡 또는 대두 배아를 에탄올로 추출하는 추출단계(a); 및
    상기 단계(a)에서 얻은 추출물에 청구항 1의 균주를 접종한 후 이를 교반하여 배양액을 만드는 배양단계(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을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단계(b)의 교반속도는 100 내지 300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을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단계(b)에서 온도는 20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을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단계(b)에서 배양시간은 20 내지 80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을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단계(b)에서 상기 추출물을 배양액 총량 기준으로 0.2 내지 3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하이드로다이드제인, 다이하이드로제니스테인 및 에쿠올을 함유하는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의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
  9. 항산화, 미백효과, 주름개선, 여성 및 남성 갱년기 장애, 골다공증, 전립선 암, 유방암, 고혈압 등의 대사성질환, 전립선 비대증 또는 여성호르몬 조절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청구항 8을 포함하는 식품.
  10. 항산화, 미백효과, 주름개선, 여성 및 남성 갱년기 장애, 골다공증, 전립선 암, 유방암, 고혈압 등의 대사성질환, 전립선 비대증 또는 여성호르몬 조절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청구항 8을 포함하는 의약제제.
KR1020150146432A 2015-10-21 2015-10-2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비타피원 균주,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 KR102132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432A KR102132827B1 (ko) 2015-10-21 2015-10-2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비타피원 균주,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432A KR102132827B1 (ko) 2015-10-21 2015-10-2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비타피원 균주,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829A true KR20170046829A (ko) 2017-05-04
KR102132827B1 KR102132827B1 (ko) 2020-07-22

Family

ID=5874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432A KR102132827B1 (ko) 2015-10-21 2015-10-2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비타피원 균주,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8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6935A (zh) * 2019-11-25 2021-05-25 细胞生物技术公司 包含乳酸菌及益生元的更年期症状的预防、缓解或治疗用组合物
KR20210128949A (ko) * 2020-04-17 2021-10-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seq0315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3043171A1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엠바이옴쎄라퓨틱스 칡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557B1 (ko) 2004-08-16 2007-02-23 씨제이 주식회사 체지방 저하 기능성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와 이를 함유한 식품
KR20110124516A (ko) 2010-05-11 2011-11-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
JP2013538187A (ja) * 2010-07-12 2013-10-10 ジュリアーニ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イソフラボン−アグリコン、エクオール及びルナシルを含む醗酵大豆ベース混合物、食品、医薬品及び化粧品分野におけるその調製方法及び使用
JP2014083020A (ja) * 2012-10-25 2014-05-12 Daicel Corp エクオールの精製方法
KR20150020521A (ko) 2013-07-23 2015-02-2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유래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557B1 (ko) 2004-08-16 2007-02-23 씨제이 주식회사 체지방 저하 기능성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와 이를 함유한 식품
KR20110124516A (ko) 2010-05-11 2011-11-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
JP2013538187A (ja) * 2010-07-12 2013-10-10 ジュリアーニ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イソフラボン−アグリコン、エクオール及びルナシルを含む醗酵大豆ベース混合物、食品、医薬品及び化粧品分野におけるその調製方法及び使用
JP2014083020A (ja) * 2012-10-25 2014-05-12 Daicel Corp エクオールの精製方法
KR20150020521A (ko) 2013-07-23 2015-02-2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유래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Plant Biotechnol. 2013, vol. 40, pp. 217-223.* *
박대원 등. 제7회 발효한약국제심포지움 및 2013 한국자원식물학회 추계학술대회, 2013.10, F-P-41, p. 112.*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6935A (zh) * 2019-11-25 2021-05-25 细胞生物技术公司 包含乳酸菌及益生元的更年期症状的预防、缓解或治疗用组合物
EP3824743A1 (en) * 2019-11-25 2021-05-26 Cell Biotech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climacteric disorders compri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isoflavone comprising soybean germ extract
CN112826935B (zh) * 2019-11-25 2023-04-07 细胞生物技术公司 包含乳酸菌及益生元的更年期症状的预防、缓解或治疗用组合物
US11805799B2 (en) 2019-11-25 2023-11-07 Cell Biotech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climacteric disorders compri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prebiotics
KR20210128949A (ko) * 2020-04-17 2021-10-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seq0315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3043171A1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엠바이옴쎄라퓨틱스 칡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827B1 (ko)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7106B2 (ja) 緑豆発酵−酵素抽出液を含む皮膚老化防止用化粧料組成物
KR20120061733A (ko)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TWI555537B (zh) 3’-羥基染料木黃酮用於製備抑制黑色素生成之組合物的用途
WO2014091988A1 (ja) 豆乳発酵エキスおよび胚軸発酵エキス
KR20110098122A (ko) 균을 이용한 인삼 열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32827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비타피원 균주,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 배아 발효물
KR101501328B1 (ko) 피부개선용 조성물
KR20200087542A (ko) 신규 바이우라실,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55792A (ko) 신규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ep10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칡 또는 대두배아 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1811411B1 (ko) 딱지꽃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06992B1 (ko) 발효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포 사멸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won et al. Biotransformation of Pueraria lobata extract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enhances anti-melanogenic activity
CN110731918B (zh) 一种白刺提取物的应用及含其的皮肤外用剂
KR20180052157A (ko) 정공실 추출물 또는 정공실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5989A (ko)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활성, 피부 상처 재생 활성,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TWI814972B (zh) 植物發酵物及其用於護肝、提升細胞的粒線體活性、抗氧化、抗老化、及提升CCT基因、Pink1基因、MRPS5基因、FOXO基因與UBL5基因的表現量之用途
KR102362106B1 (ko) 철피석곡 꽃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7436A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6018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Chang et al. Inhibition of melanogenesis by yeast extracts from cultivations of recombinant Pichia pastoris catalyzing ortho-hydroxylation of flavonoids
Koo et al. The suppressive effect of Pueraria lobata root extract and its biotransformed preparation against skin wrinkle formation
KR20210155987A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90114633A (ko) 항주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42545B1 (ko) 새싹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KR102288356B1 (ko) 옥사조닌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96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12

Effective date: 201910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