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484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484A
KR20170046484A KR1020150146885A KR20150146885A KR20170046484A KR 20170046484 A KR20170046484 A KR 20170046484A KR 1020150146885 A KR1020150146885 A KR 1020150146885A KR 20150146885 A KR20150146885 A KR 20150146885A KR 20170046484 A KR20170046484 A KR 20170046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il
lever
mail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555B1 (ko
Inventor
권재민
이영종
김동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5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메일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이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메일단자와 결합되는 복수의 피메일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피메일하우징 및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봇부가 형성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메일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피메일하우징을 착탈시키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를 레버를 통하여 결합하고,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알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링 커넥터는 와이어(배선)를 서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로 이루어진다.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성 단자를 장착하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단자는 와이어와 같은 별도의 전기적인 구성요소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커넥터는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로 구분되며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는 항상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때,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의 결합이 불완전한 경우에는 전기 접속의 질이 떨어진다.
즉, 커넥터를 초기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피메일커넥터가 메일커넥터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거나 혹은 커넥터를 사용하는 중에 흔들림으로 인하여 메일커넥터가 약간이라도 피메일커넥터로부터 빠져나오는 경우 전기 접속이 불완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되도록 레버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간 결합시 레버를 조작하여 완전한 체결과 체결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의 메일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이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메일단자와 결합되는 복수의 피메일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피메일하우징 및 상기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는, 상기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도록 피봇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메일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피메일하우징을 착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피봇부의 내측면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피봇부의 외측면이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되,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피봇부가 결합되게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봇부는, 상기 외측면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봇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캠(CAM)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레버의 삽입방향에 상기 피봇부를 상기 결합홀로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일하우징는 상기 레버가 결합되도록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에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메일하우징에 고정되도록 상기 후크부에 마주하는 후크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착탈을 알 수 있는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결합홀과 근접하여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삽입방향과 동일방향에 형성된 락 표시부와, 상기 락 표시부로부터 직각되게 언락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봇부에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락표시부 및 상기 언락표시부를 지시하는 지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후크부에 상기 걸림후크가 결합되면, 상기 지시부가 상기 락 표시부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후크부에 상기 걸림후크가 미결합되면, 상기 지시부가 상기 언락 표시부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메일하우징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직각되게 돌출된 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피봇부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으로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따르면,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를 결합시키는 레버에 의해 체결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따르면,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의 체결여부를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따르면, 레버에 캠구조를 적용하여 레버의 회전시 메일커넥터에서 회전을 가이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 조립체의 작동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커넥터 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커넥터 조립체의 작동순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커넥터 조립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조립체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메일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메일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피메일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피메일커넥터()와,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레버(30)를 포함한다.
메일커넥터는 복수의 메일단자가 구비된 메일하우징(10)을 포함한다. 메일하우징(10)은 외부로부터 와이어로 연결된 복수의 메일단자가 구비되도록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다. 메일하우징(10)은 피메일하우징(20)이 삽입되는 방향에 가이드홈(10a) 형성되어 피봇부(35)를 결합홀(15)로 안내한다.
메일하우징(10)은 레버(30)가 결합되도록 결합홀(15)이 형성된다. 메일하우징(10)는 외주면에 레버(30)와 결합되도록 후크부(17)가 형성된다. 메일하우징(10)은 피메일하우징(20)의 착탈을 알 수 있는 표시부(a)가 형성된다.
결합홀(15)은 메일하우징(10)의 외측둘레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결합홀(15)은 정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홀(15)은 정방형으로 설명하나, 피봇부(35)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있으나, 피봇부(35)를 가이드할 수 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결합홀(15)은 레버(30)의 피봇부(35)와 결합된다.
표시부(a)는 결합홀(15)과 근접하여 피메일하우징(20)의 삽입방향과 동일방향에 형성된 락 표시부와, 락 표시부로부터 직각되게 언락 표시부가 형성되어, 레버(30)의 조작에 따라 지시부(b)가 락 표시부 또는 언락 표시부를 향하게 되어, 메일하우징(10)에 피메일하우징의 체결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피메일커넥터는 메일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피메일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피메일하우징(20)을 포함한다. 피메일하우징(20)은 메일하우징(10)에 삽입되고, 복수의 메일단자와 결합되는 복수의 피메일단자가 내부에 구비된다.
피메일하우징(20)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직각되게 돌출된 고정축(25)이 형성된다. 피메일하우징(20)은 고정축(25)이 외측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고정축(25)은 레버(30)와 결합되어 레버(30)가 고정축(25)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레버(30)는 피메일하우징(20)에 결합된다. 레버(30)는 피메일하우징(20)과 메일하우징(10)에 결합되도록 피봇부(35)가 형성된다. 레버(30)는 피봇부(35)가 피메일하우징(20)의 고정축(2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레버(30)는 피봇부(3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메일하우징(10)으로부터 피메일하우징(20)을 착탈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30)는 피봇부(35)의 내측면이 피메일하우징(20)에 결합되고, 피봇부(35)의 외측면이 메일하우징(10)에 결합되되, 메일하우징(10)과 피메일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피봇부(35)는 외측면이 결합홀(15)에 삽입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피봇부(35)는 고정축(25)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35a)이 형성되어, 레버(30)의 조작으로 피봇부(35)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레버(30)에는 피메일하우징(20)이 메일하우징(10)에 고정되도록 후크부(17)에 마주하는 후크걸림부(37)가 형성되어 결합시켜 체결력이 향상된다.
피봇부(35)는 레버(3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캠(CAM)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홀(15)의 내벽을 따라 안내되므로서 레버(30)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피봇부(35)에는 메일하우징(10)의 착탈 여부에 따라, 락표시부(a) 및 언락표시부(a)를 지시하는 지시부(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레버(30)는 피봇부(3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크부(17)에 걸림후크(37)가 결합되면, 지시부(b)가 락 표시부를 지시할 수 있다. 한편, 레버(30)는 피봇부(35)를 중심으로 역회전하여 후크부(17)에 걸림후크(37)가 미결합되면, 지시부(b)가 언락 표시부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해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커넥터 조립체의 작동순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로부터 와이어와 연결된 메일커넥터(10)에 레버(30)를 결합한 피메일커넥터(20)를 삽입시킨다.
이때, 레버(30)는 피봇부(35) 내측면이 피메일커넥터(20)와 고정축(2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피봇부(35) 외측면이 결합홀(15)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피봇부(35)의 외측면에 지시부(b)가 결합홀(15)의 외측면에 보여지게 된다.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메일커넥터(20)를 메일커넥터(10)에 체결시키기 전에는 레버(30)를 조작하기 전으로서 지시부(b)가 표시부(a)의 언락표시부를 지시하고 있다.
다음, 레버(30)를 조작하면, 고정축(25)을 중심으로 피봇부(35)가 회전하여 피메일하우징(20)의 일방향으로 향하게 되는데, 걸림후크(37)가 후크부(17)로 회전하여 체결되어 메일커넥터(10)에 피메일커넥터(20)가 체결된다. 이때, 피봇부(35)의 지시부(b)는 락 표시부를 지시하게 되어,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레버(30)를 역방향으로 조작하면, 피봇부(35)를 중심으로 역회전하여 후크부(17)에 걸림후크(37)가 미결합된 상태이면, 지시부(b)는 언락 표시부를 지시하여 미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따르면,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를 결합시키는 레버에 의해 체결력이 향상되며,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의 체결여부를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레버에 캠구조를 적용하여 레버의 회전시 메일커넥터에서 회전을 가이드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메일커넥터 20: 피메일커넥터
30: 레버

Claims (13)

  1. 복수의 메일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이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메일단자와 결합되는 복수의 피메일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피메일하우징; 및
    상기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도록 피봇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메일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피메일하우징을 착탈시키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피봇부의 내측면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피봇부의 외측면이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되,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피봇부가 결합되게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봇부는,
    상기 외측면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커넥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캠(CAM)형상으로 형성된 커넥터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피메일하우징이 삽입되는 방향에 상기 피봇부를 상기 결합홀로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커넥터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하우징는 상기 레버가 결합되도록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에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메일하우징에 고정되도록 상기 후크부에 마주하는 후크걸림부가 형성된 커넥터 조립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착탈을 알 수 있는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결합홀과 근접하여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삽입방향과 동일방향에 형성된 락 표시부와, 상기 락 표시부로부터 직각되게 언락 표시부가 형성된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부에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락표시부 및 상기 언락표시부를 지시하는 지시부가 형성된 커넥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후크부에 상기 걸림후크가 결합되면, 상기 지시부가 상기 락 표시부를 지시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후크부에 상기 걸림후크가 미결합되면, 상기 지시부가 상기 언락 표시부를 지시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에는 외주면과 직각되게 돌출된 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피봇부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으로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메일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메일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피메일단자가 내부에 구비된 피메일커넥터;
    상기 메일커넥터와 상기 피메일커넥터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메일커넥터와 상기 피메일커넥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상기 메일하우징을 착탈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외주면에 직각되게 형성된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피봇부가 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메일하우징에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을 착탈시키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50146885A 2015-10-21 2015-10-21 커넥터 조립체 KR102237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85A KR102237555B1 (ko) 2015-10-21 2015-10-21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85A KR102237555B1 (ko) 2015-10-21 2015-10-21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84A true KR20170046484A (ko) 2017-05-02
KR102237555B1 KR102237555B1 (ko) 2021-04-07

Family

ID=5874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885A KR102237555B1 (ko) 2015-10-21 2015-10-21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5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8837A (ja) * 2001-12-07 2003-06-2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4259525A (ja) * 2003-02-25 2004-09-16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0814936B1 (ko) * 2007-01-03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JP2011119107A (ja) * 2009-12-02 2011-06-16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8837A (ja) * 2001-12-07 2003-06-2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4259525A (ja) * 2003-02-25 2004-09-16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0814936B1 (ko) * 2007-01-03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JP2011119107A (ja) * 2009-12-02 2011-06-16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555B1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2614B (zh) Connector
US9407049B2 (en) Device connector
WO2007040013A1 (ja) コネクタ
JP2011048949A (ja) シールドコネクタ装置
US8894426B2 (en) Socket for an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JP5939954B2 (ja) 端子用スペーサ
JP2008288052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7026759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869225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15064322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312175B2 (ja) コネクタ
KR20170046484A (ko) 커넥터 조립체
US10381778B2 (en) Connector and wire harness
KR100936255B1 (ko) 패널장착형 커넥터어셈블리
JP5725355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3154848U (ja) Hdmiケーブル用アタッチメント
JP6635746B2 (ja) 電気ケーブル接続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電気ケーブル接続方法
KR102516444B1 (ko) 커넥터용 익스텐더
JP2007508982A (ja) 自動車トランスミッションにシフト命令を伝達するシフト装置
JP2007207504A (ja) コネクタ・ケーブル分離型d端子ケーブル
JP2010062077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2005116209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504154B2 (ja) コネクタ抜け防止具
JP5408721B2 (ja) コネクタ
KR20090074920A (ko) 커넥터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