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240A - 위조방지용 잠상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위조방지용 잠상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240A
KR20170046240A KR1020150146142A KR20150146142A KR20170046240A KR 20170046240 A KR20170046240 A KR 20170046240A KR 1020150146142 A KR1020150146142 A KR 1020150146142A KR 20150146142 A KR20150146142 A KR 20150146142A KR 20170046240 A KR20170046240 A KR 20170046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tted line
background
latent image
latent
da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2804B1 (ko
Inventor
오창진
허영숙
이희광
정종갑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15014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8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035/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잠상 인쇄물 제조방법은 중심에서 교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축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을 포함하는 배경 영역부 및 상기 배경 영역부의 축 방향별로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평행한 배경 점선 라인들 간의 이격간격 중심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잠상 점선라인을 포함하는 잠상 영역부를 포함하하는 원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잠상 영역부에서 상기 배경 영역부에 접하는 점선의 형상이 삭제 또는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이 적용된 최종 원도의 상부에, 요철판을 가압하여 상기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 사이 및 상기 잠상 점선 라인에 중첩되는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조방지용 잠상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Printing matter with latent image for preventing counterfe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도 구성 파악이 용이하지 않은 위조방지용 잠상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캐너, 프린터, 복합기,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기기들의 해상도 및 재현 능력 향상에 따라 은행권이나 수표, 각종 증명서, 보안문서 등을 쉽게 복사하여 이용하는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위변조방지 망점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종래에는 자외선 잉크나 적외선 잉크, 홀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복사시 형광램프 등을 이용하여 기본적으로 진위여부의 확인은 가능하나 원본의 내용을 인식하는 데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홀로그램이나 잉크 등을 추가로 적용하는 데에 따른 원료나 인건비, 추가 공정 등에 따른 생산비용 증가가 불가피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되어진 복사 위조방지용 인쇄물은 선과 망점, 큰 망점과 작은 망점, 점선과 점선의 각도변환, 점선과 선 또는 각도를 변환시킨 기다란 곡선으로 복사시 잠상을 현출시키는 방법으로 위조를 방지하였다.
이러한 복사 위조 방지용 인쇄물에 관한 특허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164003호 및 제0369111호 등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복사 위조 방지용 인쇄물들은 구조와 패턴이 단순하여 잠상의 원도 파악이 용이하다는 문제가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164003호(2012.07.18.공고) 2. 한국등록특허 제0369111호(2003.01.24.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점선으로 형성된 배경 영역부와 잠상 영역부의 경계에서 발생된 점선들을 기설정된 보정기준에 따라 경계영역의 점선을 보정하여 잠상 인쇄물을 형성함으로써, 원도 파악이 용이하지 않은 위조방지용 잠상 인쇄물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상 인쇄물은 인쇄 용지 및 상기 인쇄 용지에 인쇄된 원도를 포함하고,
상기 원도는 중심에서 교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축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을 포함하는 배경 영역부 및 상기 배경 영역부의 축 방향별로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평행한 배경 점선 라인들 간의 이격간격 중심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잠상 점선라인을 포함하는 잠상 영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상 영역부에서 상기 배경 영역부에 접하는 점선의 형상이 삭제 또는 보정되고, 상기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 사이 및 상기 잠상 점선 라인은 요철 형상으로 돌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은 중심에서 교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축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을 포함하는 배경 영역부 및 상기 배경 영역부의 축 방향별로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평행한 배경 점선 라인들 간의 이격간격 중심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잠상 점선라인을 포함하는 잠상 영역부를 포함하는 원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잠상 영역부에서 상기 배경 영역부에 접하는 점선의 형상이 삭제 또는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이 적용된 최종 원도의 상부에, 요철판을 가압하여 상기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 사이 및 상기 잠상 점선 라인에 중첩되는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경영역부와 잠상영역부의 경계에서 발생된 점선부를 기설정된 보정기준에 따라 밀도 보정, 형태보정, 삭제 및 추가하여 보정함으로써, 배경 영역부와 잠상 영역부 사이의 경계가 매끄럽게 표현되어 잠상영역부가 두드러져 보이지 않고, 원도 구성파악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점선부 굵기 보정에 의해 원도의 구성 파악이 보다 어렵고, 단순 문자 및 도형뿐 아니라 사진 등의 이미지도 잠상 인쇄물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상 인쇄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도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점선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A1의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원도 형성시 점선 라인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상영역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잠상 경계영역에 대한 1차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1차 보정된 잠상 경계영역에 대한 2차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2차 보정된 잠상 경계영역에 대한 3차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인쇄물에 적용될 이미지를 색 분해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이용한 원도의 점선 굵기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원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최종 원도에 적용될 요판 및 요철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상 인쇄물의 잠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원도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경계영역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1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조방지용 잠상 인쇄물 및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상 인쇄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잠상 인쇄물(1000)은 인쇄용지(200)상에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210)으로 구성된 배경 영역부(10), 복수의 잠상 점선 라인(220) 및 복수의 요철 점선 라인(230)으로 구성된 요철 영역부(30)를 포함한다. 이때, 요철 점선라인(230)은 요철판(100)의 가압에 의해 생성되며, 복수의 요철이 배열되어 형성된다.
배경 영역부(10) 및 잠상 영역부(20)의 복수의 점선 라인(210,220)에 의해 원도(300)가 형성되며, 원도 형성은 도 3 내지 도7을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도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점선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A1의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원도 형성시 점선 라인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상영역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7은 일축 방향에 대한 원도를 실시 예로 설명하며, 타축 방향에 대한 원도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배경 영역부(10)는 중심에서 교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축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배경 점선 라인은 복수의 단위 점선부(U)로 형성되며, 단위 점선부(U)는 점선을 형성하는 점선부(a)와 공백을 형성하는 공백부(b)로 구성된다. 이때, 점선부(a)의 길이를 결정하는 점선부(a)의 끝점(S1,S2,S3)이 랜덤하게 형성된다. 즉, 배경 점선 라인의 형성시 점선부(a)의 길이가 랜덤하게 형성되어, 원도의 구성원리 파악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공백부(b) 대비 점선부(a)의 밀도가 80 이상이 되면 잠상의 원도 생성과정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공백부(b) 대비 점선부(a)의 밀도가 60 이하가 되면 가시적 확인이 용이하여 잠상의 효과가 떨어진다. 이에 따라, 단위 점선부(U)는 점선부(a)와 공백부(b)의 밀도가 60 내지 80 : 40 내지 20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경 점선 라인(210)은 해당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점선부(U1,U2,U3,…)에 의해 형성되며, 배경 영역부(10)는 해당 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210)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210)은 각 축별로 형성되며, 도 5를 참고하면 2개의 축을 이용하는 경우, 인쇄 롤러(R)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45도가 되는 제1축을 따라 형성되는 배경 점선 라인으로 구성된 배경영역부(A) 및 인쇄 롤러(R)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135도가 되는 제2축을 따라 형성되는 배경 점선 라인으로 구성된 배경영역부(B)를 원도 생성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2축으로 구성된 원도(C)를 인쇄롤러(R)의 롤링방향(X) 동작에 의해 인쇄할 경우, 인쇄장수가 많아질수록(장통) 두 축을 따라 형성된 점선 라인들간의 굵기 오차 범위가 커지는 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3축(1,2,3)을 이용하여 원도를 구성하는 경우, 인쇄 롤러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0도, 60도 및 120도가 되도록 배경 점선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각 축의 배경 점선 라인들간의 이격간격(P)은 2축인 경우 1:1 즉,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경 점선 라인들이 배치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3축인 경우 제1축, 제2축 및 제3축의 배경 점선 라인간의 이격간격(P1,P2,P3)는 1:1:1.2 내지 1.8로 형성함으로써,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잠상 영역부(20)는 배경 영역부(10)상에 축 방향별로 서로 다른 잠상을 구현하기 위한 문자, 도형 및 이미지 중 하나에 대응되는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영역 내에 포함된 복수의 잠상 점선 라인을 이웃하는 배경 점선 라인과 평행하면서 어긋나게 배치되어 형성된다.
도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7(a)와 같이 배경 영역부(10)상에 잠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o"에 대응되는 영역(T)을 지정한다. 이때, 영역 내에 포함된 배경 점선 라인이 잠상 점선 라인이 된다. 도 7(b)와 같이 지정된 영역(T) 내에 포함된 복수의 잠상 점선 라인을 이웃하는 배경 점선 라인과 평행하면서 어긋나게 배치하여 잠상 영역부(20)를 형성한다.
도 7에서는 한 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다른 축의 잠상 영역부 형성도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잠상 영역부(20)의 잠상 점선 라인은 배경 영역부(10)의 배경 점선 라인을 이용하여 형성한 것이므로, 잠상 점선 라인간의 이격간격도 2축인 경우 1:1이 되며, 3축인 경우 1:1:1,2 내지 1.8이 된다. 또한, 각 축의 기울기도 대응되는 배경 영역부(10)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원도(300)는 배경 영역부(10)와 잠상 영역부(20)로 구성되며, 각 축별로 형성된 원도가 합성되어 인쇄물의 원도가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210) 및 잠상 점선 라인(220)은 축 방향별로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지며 서로 교차하는 것에 의해 문자, 도형 및 이미지(사진, 그림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잠상 인쇄물(1000)은 원도 구성 파악을 용이하지 않게 하기 위해, 배경 영역부(10) 및 잠상 영역부(20)의 경계영역 상의 점선 보정 및 원도(300)의 점선 굵기 보정한 후, 요철판(100)을 가압함으로써 형성된다.
배경 영역부(10) 및 잠상 영역부(20)의 경계영역 상의 점선 보정에 대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3의 A2부분에 대한 보정을 실시예로 설명하나, 배경 영역부(10) 및 잠상 영역부(20)의 경계영역 상의 점선 보정은 도 8 내지 도10과 같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잠상 경계영역에 대한 1차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1차 보정된 잠상 경계영역에 대한 2차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2차 보정된 잠상 경계영역에 대한 3차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배경 영역부(10) 및 잠상 영역부(20)의 경계영역에 위치하는 배경 점선 라인 및 잠상 점선 라인 중 점선부의 밀도가 기준 점선부의 50% 이상인 점선부를 상기 기준 점선부로 1차 보정한다. 여기서, 점선부는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 점선(U)을 100으로 볼 때, 60 내지 80의 밀도로 형성된다. 여기서, 기준점선부는 60 내지 80의 밀도로 형성된 점선부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진다.
한편, 경계영역의 50% 미만인 점선부는 밀도를 유지하며 형태만 보정한다. 이때, 점선부의 형태는 기준 점선부의 형태와 동일한 직사각형이 될 수 있다. 이때, 직사각형 형태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8(a)를 참고하면, 경계영역에 있는 점선부 중 기준 점선부의 50% 이상의 밀도를 가지는 점선부를 보정대상(L1:빨간색)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보정대상 점선부의 밀도 및 형태를 기준 점선부와 같이 보정한다. 도 8(b)는 1차 보정된 결과로, 도 8(a)의 L1이 도 8(b)의 L1`과 같이 보정되었다.
도 9를 참고하면, 도 8(b)의 1차 보정된 경계영역의 점선부 중 점선부의 밀도가 기준 점선부 대비 30% 이하인 점선 라인은 삭제하여 2차 보정을 한다.
즉, 도 9(a)에서 점선부 중 기준 점선부의 30% 이하의 밀도를 가지는 점선부를 보정대상(L2:빨간색)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보정대상 점선부를 삭제한다. 한편, 경계영역의 30% 초과인 점선부는 밀도를 유지하며 형태만 보정한다. 이때, 점선부의 형태는 기준 점선부의 형태와 동일한 직사각형이 될 수 있다. 도 9(b)는 2차 보정된 결과로, 도 9(a)의 L2가 도 9(b)와 같이 삭제되었다.
도 10을 참고하면, 2차 보정 즉, 점선 라인 삭제에 의해 연속적인 단위 점선부(U)에 여백(40)이 형성되면, 여백(40)에 이웃하는 배경 점선 라인 또는 잠상 점선 라인의 배치방향을 따라 추가 점선부를 생성한다. 이때, 연속적인 단위 점선부(U)의 여백(40) 확인을 위해, 예를 들어 단위 점선부(U)의 2배 이상의 윈도우(필터)를 형성하고, 경계영역의 점선부와 기설정 이격범위 내의 점선부에 윈도우를 적용하여 여백(40)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윈도우는 단위 점선부(U)만큼 이동시키며 순차적으로 적용하고, 윈도우 내 점선부의 밀도 합이 기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여백(40)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 범위는 적용된 윈도우 사이즈에 대응되는 단위 점선부(U) 밀도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여백(40)으로 판단되면, 여백(40)에 이웃하는 배경 점선 라인 또는 잠상 점선 라인의 배치방향을 따라 추가 점선부가 생성되며, 생성되는 추가 점선부의 밀도는 주변 단위 점선부의 밀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3차 보정된 결과로, 도 9(b)의 여백(40)에 도 10과 같이 점선부(L3)가 추가되었다.
도 4의 경계영역 보정 전(A2)과 도 10의 경계영역 보정 후를 비교시, 경계영역이 두드러지지 않고 매끄럽게 보정되어 원도구성 파악이 용이하지 않게 되었다.
한편, 배경 영역부(10) 및 잠상 영역부(20)의 경계영역 보정이 적용된 원도(300)의 점선부 선굵기를 보정하여 잠상 인쇄물(1000)에 적용될 이미지를 세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 원도(300)의 점선부 선굵기 보정에 대한 설명은 도 11 내지 12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도 11은 인쇄물에 적용될 이미지를 G,Y,R,B로 색 분해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이용한 원도의 점선 굵기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잠상 인쇄물(1000)을 앵무새 이미지로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원도(300)에 적용될 앵무새 이미지를 색 분판하여 각 색상별(G,Y,R,B) 이미지를 생성한다.
점선부 굵기 보정은, 색 분해된 각 색상별 이미지와 경계영역이 보정된 색상별 원도의 위치를 매칭시키고, 매칭된 위치의 각 색상별 이미지 명암에 따라 색상별 원도의 점선부 굵기를 보정한다. 이때, 명암 0 내지 100에 대응되는 점선부 굵기를 레벨화하여 매칭시킨 룩업테이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점선부(U4)를 기설정 간격(G)으로 구분하고, 기설정 간격(G) 단위로 굵기를 보정한다. 이때, 최대 굵기(Max)는 배경 점선 라인 간의 이격간격(P)의 3/5배 미만이 되고, 최소 굵기(Min)는 40μm가 되도록 보정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원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경계영역 보정 및 점선부 굵기 보정이 적용된 각 색상별(각 축방향별) 원도인 도 13(a), 도 13(b) 및 도 13(c)을 서로 교차시켜 합성하면 최종원도(d)가 형성된다.
도 13(d)를 참조하면, 경계영역 보정에 의해 배경 영역부(10)와 잠상 영역부(20)의 경계가 매끄럽게 표현되어 잠상영역부가 두드러져 보이지 않고, 원도 구성파악이 어렵다. 또한, 점선부 굵기 보정을 통해, 단순 문자 및 도형뿐 아니라 사진 등의 이미지도 잠상 인쇄물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최종 원도에 적용될 요판 및 요철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경계영역 보정 및 점선부 굵기 보정이 적용된 최종 원도(300)가 형성되면, 요철판(100)를 가압하여 요철 점선 라인(230)이 적용된 잠상 인쇄물(1000)을 형성한다.
도 14(a)를 참고하면, 요철판(100)은 중심에서 교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축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요철라인(110) 및 요철라인에 의해 형성된 요부(120)를 가진다. 따라서, 최종원도(300)에 요철판(100) 가압시,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210) 사이 및 복수의 잠상 점선 라인(220)에 중첩되는 복수의 요철 점선 라인(230)을 형성하게 된다.
도 14(b)는 요철판(100)에 의해 형성된 요철 점선 라인(230)의 점선 하나를 나타낸다. 이때, 점선은 3축의 축 방향별로 형성된 서로 상이한 색상의 삼면(30,40,50)을 가지며, 상부면(60)은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210) 및 복수의 잠상 점선 라인(220)에 의해 이미지가 구현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상 인쇄물의 잠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3축 방향으로 형성된 배경 영역부(10) 및 잠상 영역부(20)로 구성된 원도(300)와 요철 영역부(30)로 형성된 잠상 인쇄물(1000)을 실시 예로 설명한다. 잠상 인쇄물(1000)은 배경 점선 라인 및 잠상 점선 라인 형성시, 인쇄롤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도, 60도 및 120도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요철판(100) 가압에 의해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의 사이 및 잠상 점선 라인과 중첩되는 요철 점선 라인이 형성된다.
에 따라, 0도 60도 및 120도 중 특정 축 방향으로 잠상 인쇄물(1000)을 기울여 바라보면 해당 잠상 영역부에 형성된 잠상 이미지가 가시적으로 확인된다.
도 15(a)는 최종적으로 형성된 잠상 인쇄물(1000)이며, 제1방향(a에서 a')으로 잠상 인쇄물(1000)을 기울여 바라보면 잠상 영역부에 형성된 "앵"자가 가시적으로 확인된다. 한편, 제1방향의 역방향(a'에서 a)으로 잠상 인쇄물(1000)을 기울여 봐도 "앵"자가 가시적으로 확인된다.
또한, 제2방향(c에서 c')으로 잠상 인쇄물(1000)을 기울여 바라보면 잠상 영역부에 형성된 "무"자가 가시적으로 확인된다. 한편, 제2방향의 역방향(c'에서 c)으로 잠상 인쇄물(1000)을 기울여 봐도 "무"자가 가시적으로 확인된다.
또한, 제3방향(b에서 b')으로 잠상 인쇄물(1000)을 기울여 바라보면 잠상 영역부에 형성된 "새"자가 가시적으로 확인된다. 한편, 제3방향의 역방향(b'에서 b)으로 잠상 인쇄물(1000)을 기울여 봐도 "새"자가 가시적으로 확인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상 인쇄물(1000)은 적어도 2개의 잠상 이미지를 가시적으로 확인하여 위조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잠상 인쇄물(1000)은 배경 영역부(10) 및 잠상 영역부(20)의 경계영역 상의 점선 보정 및 원도의 점선 굵기 보정이 적용된 최종 원도(300)를 구성함으로써, 잠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원도의 구성원리의 파악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잠상 인쇄물(1000)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배경 영역부(10) 및 잠상 영역부(20)를 포함하는 색상별 원도를 형성한다(S100).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7을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경 점선 라인 및 잠상 점선 라인으로 구성된 특정 색상의 원도 형성방법이 되며, 다른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른 색상의 원도도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 점선부(U)로 형성된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을 형성하고(S111),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 상에 축 방향으로 잠상(문자, 도형 및 이미지 중 하나)을 형성한다(S112). 다음으로, 형성된 잠상 내에 포함된 배경 점선 라인들을 배경 영역부(10)의 배경 점선 라인들과 평행하면서 어긋나도록 위치이동시켜 잠상 영역부(20)를 형성한다. 이때, 잠상 영역부(20)에 포함된 배경 점선 라인 즉, 위치 이동된 배경 점선 라인들은 잠상을 구현하는 잠상 점선 라인이 된다. 이때, 배경 점선 라인을 구성하는 단위 점선부(U)의 밀도 및 점선부 간의 이격간격(P)도 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7에서 구체적으로 상술하였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다음으로, 각 색상별 원도가 형성되면 배경 영역부(10) 및 잠상 영역부(20)의 경계영역 보정을 수행한다(S110). 이때, 경계영역 보정은 각 색상별 원도 별로 수행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8을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배경 영역부 및 잠상 영역부의 경계영역에 위치하는 배경 점선 라인 및 잠상 점선 라인 중 점선부의 밀도가 기준 점선부의 50% 이상인지 판단하여(S111), 50% 이상인 경우(S111:Y) 보정 대상 점선부를 기준 점선부로 보정한다(S113). 이때, 기준 점선부는 단위 점선부(U)가 된다.
한편, 경계영역의 50% 미만인 점선부(S111:Y)는 밀도를 유지하며 형태만 보정한다(S113). 이때, 점선부의 형태는 기준 점선부의 형태와 동일한 직사각형이 될 수 있다. 이때, 직사각형 형태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경계영역에 위치하는 배경 점선 라인 및 잠상 점선 라인 중 점선부의 밀도가 기준 점선부의 30% 이하인지 판단하여(S114), 30% 이하인 경우(S114:Y) 보정 대상 점선부를 삭제한다(S115). 한편, 경계영역의 점선부의 밀도가 기준 점선부의 30%를 초과하는 점선부(S114:N)는 밀도를 유지하며 형태만 보정한다(S113). 이때, 점선부의 형태는 기준 점선부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보정된다.
다음으로, 보정 대상 점선부의 삭제에 의해 연속적인 단위 점선부(U)에 여백이 형성되면(S116:Y), 여백에 이웃하는 배경 점선 라인 또는 잠상 점선 라인의 배치 방향을 따라 추가 점선부를 생성한다(S117).
다음으로, 경계영역의 보정이 완료되면, 원도(300)에 적용될 이미지를 색상별로 색 분해하고(S130), 이를 이용하여 색상별 원도를 구성하는 점선 라인들의 점선부 굵기를 보정한다(S140).
여기서, 색 분해된 각 색상별 이미지와 색상별 원도의 위치를 매칭시키고, 매칭된 위치의 각 색상별 이미지 명암에 따라 색상별 원도의 점선부 굵기를 보정한다. 이때, 점선부는 기설정 간격 단위로 굵기가 보정될 수 있다. 또한, 보정되는 점선부의 최대 굵기(Max)는 배경 점선 라인 간의 이격간격(P)의 3/5배 미만이 되고, 최소 굵기(Min)는 40μm가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보정이 적용된 색상별 원도를 합성하여 최종 원도를 형성하고(S150), 최종 원도(300)에 요철판(100)을 가압하여 요철 점선 라인을 형성함으로써(S160) 최종 잠상 인쇄물(1000)을 형성한다.
이때, 요철판(100)은 중심에서 교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축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요철라인 및 요철라인에 의해 형성된 요부를 가지며, 배경 점선 라인의 형성시 축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요철 점선 라인은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 사이 및 상기 잠상 점선 라인에 중첩되어 형성됨으로써, 특정 기울기로 잠상 인쇄물(1000)을 기울여 바라보면 잠상 이미지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0 : 잠상 인쇄물 100 : 요철판
200 : 인쇄용지 300 : 원도
10 : 배경 영역부 20 : 잠상 영역부
210 : 배경 점선 라인 220 : 잠상 점선 라인
230 : 요철 점선 라인 U : 단위 점선부

Claims (22)

  1. 인쇄 용지; 및
    상기 인쇄 용지에 인쇄된 원도를 포함하고,
    상기 원도는,
    중심에서 교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축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을 포함하는 배경 영역부 및
    상기 배경 영역부의 축 방향별로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평행한 배경 점선 라인들 간의 이격간격 중심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잠상 점선라인을 포함하는 잠상 영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상 영역부에서 상기 배경 영역부에 접하는 점선의 형상이 삭제 또는 보정되고,
    상기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 사이 및 상기 잠상 점선 라인은 요철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점선 라인 및 잠상 점선 라인은,
    점선부와 공백부로 형성된 복수의 단위 점선부로 형성되고, 상기 점선부의 길이는 랜덤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도에서, 상기 축방향이 2축이면 제1축 및 제2축의 점선 라인간의 이격간격은 1:1로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이 3축이면 제1축, 제2축 및 제3축의 점선 라인간의 이격간격은 1:1:1.2 내지 1.8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선부와 공백부는, 60 내지 80 : 40 내지 20의 밀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은 인쇄 롤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45도 및 135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은 인쇄 롤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도, 60도 및 120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영역부 및 잠상 영역부의 경계영역은,
    상기 배경 영역부 및 잠상 영역부의 경계영역에 위치하는 배경 점선 라인 및 잠상 점선 라인 중 점선부의 밀도가 기준 점선부의 50%이상인 점선부가 상기 기준 점선부로 보정되고,
    상기 경계영역에 위치하는 점선부의 밀도가 상기 기준 점선부의 30%이하인 점선부가 삭제되며,
    상기 점선 라인 삭제에 의해 연속적인 단위 점선부에 여백이 형성되면 상기 여백에 이웃하는 배경 점선 라인 또는 잠상 점선 라인의 배치 방향을 따라 추가 점선부를 생성하여 보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 및 잠상 점선 라인은, 축 방향별로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지며 서로 교차하는 것에 의해 문자, 도형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도는, 적용될 이미지를 색분해한 각 색상별 이미지와 각 축 방향별로 형성된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 및 잠상 점선 라인의 위치가 매칭되고, 상기 색분해한 각 색상별 이미지의 명암에 따라 매칭된 위치의 점선부 굵기가 보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점선부의 최대 굵기(Max)는 배경 점선 라인 간의 이격간격(P)의 3/5배 미만이 되고, 최소 굵기(Min)는 4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선부는, 기설정 간격(G) 단위로 굵기가 보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
  12. 중심에서 교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축 방향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을 포함하는 배경 영역부 및 상기 배경 영역부의 축 방향별로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평행한 배경 점선 라인들 간의 이격간격 중심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잠상 점선라인을 포함하는 잠상 영역부를 포함하하는 원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잠상 영역부에서 상기 배경 영역부에 접하는 점선의 형상이 삭제 또는 보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이 적용된 최종 원도의 상부에, 요철판을 가압하여 상기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 사이 및 상기 잠상 점선 라인에 중첩되는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도를 형성하는 단계는,
    각 축방향 별로, 점선부와 공백부로 형성된 복수의 단위 점선부로 구성된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점선부의 길이는 랜덤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도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축방향이 2축이면, 제1축 및 제2축의 배경 점선 라인간의 이격간격은 1:1로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이 3축이면 제1축, 제2축 및 제3축의 배경 점선 라인간의 이격간격은 1:1:1.2 내지 1.8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점선부와 공백부는, 60 내지 80 : 40 내지 20의 밀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은, 인쇄 롤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45도 및 135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은, 인쇄 롤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0도, 60도 및 120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 영역부 및 잠상 영역부의 경계영역에 위치하는 배경 점선 라인 및 잠상 점선 라인 중 점선부의 밀도가 기준 점선부의 50% 이상인 점선부를 상기 기준 점선부로 보정하는 1차 보정단계;
    상기 경계영역에 위치하는 배경 점선 라인 및 잠상 점선 라인 중 점선부의 밀도가 상기 기준 점선부의 30% 이하인 점선부를 삭제하는 2차 보정단계; 및
    상기 점선 라인 삭제에 의해 연속적인 단위 점선부에 여백이 형성되면, 상기 여백에 이웃하는 배경 점선 라인 또는 잠상 점선 라인의 배치 방향을 따라 추가 점선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경 점선 라인 및 잠상 점선 라인은 축 방향 별로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지며 서로 교차하는 것에 의해 문자, 도형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행단계 후, 점선 굵기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선 굵기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원도에 적용될 이미지를 색상별로 색 분해하는 단계; 및
    상기 색 분해된 각 색상별 이미지와 색상별 원도의 위치를 매칭시키고, 매칭된 위치의 각 색상별 이미지 명암에 따라 상기 색상별 원도의 점선부 굵기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점선부 굵기 보정시, 최대 굵기(Max)는 배경 점선 라인 간의 이격간격(P)의 3/5배 미만이 되고, 최소 굵기(Min)는 4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
  2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선부는, 기설정 간격(G) 단위로 굵기가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잠상 인쇄물의 제조방법.

KR1020150146142A 2015-10-20 2015-10-20 위조방지용 잠상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142A KR101802804B1 (ko) 2015-10-20 2015-10-20 위조방지용 잠상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142A KR101802804B1 (ko) 2015-10-20 2015-10-20 위조방지용 잠상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240A true KR20170046240A (ko) 2017-05-02
KR101802804B1 KR101802804B1 (ko) 2017-12-29

Family

ID=5874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142A KR101802804B1 (ko) 2015-10-20 2015-10-20 위조방지용 잠상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8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19B1 (ko) * 2019-09-26 2020-04-10 덕수산업(주) 보안 인쇄물
WO2020085655A1 (ko) * 2018-10-25 2020-04-30 한국조폐공사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48150A (ko) * 2020-10-12 2022-04-19 한국조폐공사 도형 보안 패턴을 가지는 보안 인쇄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9570B2 (ja) * 2004-02-27 2009-09-09 凸版印刷株式会社 潜像を有する画像形成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90942B1 (ko) * 2013-06-26 2014-05-02 주춘호 교차되는 복수선을 이용한 복사방해 및 위조방지용 인쇄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655A1 (ko) * 2018-10-25 2020-04-30 한국조폐공사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
US11317001B2 (en) 2018-10-25 2022-04-26 Korea Minting, Security Printing Id Card Operating Corp Anti-counterfeiting printed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099619B1 (ko) * 2019-09-26 2020-04-10 덕수산업(주) 보안 인쇄물
KR20220048150A (ko) * 2020-10-12 2022-04-19 한국조폐공사 도형 보안 패턴을 가지는 보안 인쇄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804B1 (ko)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3024334A1 (en) Printed matter and printing method
AU729627B2 (en) Safety drawing for securities
JP2003165289A (ja) マイクロパターンを有する印刷物
KR101802804B1 (ko) 위조방지용 잠상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US107788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mplitude modulated screening and protecting printouts, computer program, printing device and printed product
JP4441634B2 (ja) 偽造防止用印刷物
JP2007237416A (ja) 画像形成体
JP2007144671A (ja)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
JP4832333B2 (ja) 偽造防止媒体
US9124819B2 (en) Waterma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099638B2 (ja) 真偽判別印刷物
US11317001B2 (en) Anti-counterfeiting printed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8030222A (ja) 偽造防止媒体
KR100574871B1 (ko) 복사 및 컴퓨터 프린팅에 의한 위조 방지용 용지, 이의제조방법 및 필터 인식기를 이용한 위조 여부 확인방법
JP2000203147A (ja) 偽造防止印刷物とその作製方法
JP4595068B2 (ja)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
JP5973904B2 (ja) 偽造防止印刷物
JP5736941B2 (ja) 画像形成体
JP3482977B2 (ja) 偽造防止印刷物の作成方法及びその印刷物
JP5033538B2 (ja) 偽造防止媒体
KR20170025856A (ko) 중첩 보안패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잠상 인쇄물
JP6781988B2 (ja)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
JP6060830B2 (ja) 特殊潜像模様形成体
JP4940019B2 (ja) 偽造防止媒体
JP5060455B2 (ja) 偽造防止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