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209A -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209A
KR20170046209A KR1020150145784A KR20150145784A KR20170046209A KR 20170046209 A KR20170046209 A KR 20170046209A KR 1020150145784 A KR1020150145784 A KR 1020150145784A KR 20150145784 A KR20150145784 A KR 20150145784A KR 20170046209 A KR20170046209 A KR 20170046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insertion hole
hook
thumb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셈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셈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셈앤텍
Priority to KR1020150145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6209A/ko
Publication of KR20170046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4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ssisting handicapped or disabled persons to wr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47G2200/046For person with a handicap of holding or grasping

Landscapes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함과 동시에 그 사이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각 몸체에 삽입된 손가락의 위치를 일정 사이 간격으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이 손가락에 힘이 없거나 불편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특정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고자 할 때, 파지 기능을 보조하여 안정적으로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하며, 연결 수단을 통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양측단부에서 사이 간격을 서로 다르게 별도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배치 상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손가락의 형태 또는 파지 대상물의 형상 등에 따라 가장 적합한 손가락 배치 상태를 유도하여 파지 기능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Apparatus for Assisting Finger Gripping Motion}
본 발명은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함과 동시에 그 사이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각 몸체에 삽입된 손가락의 위치를 일정 사이 간격으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이 손가락에 힘이 없거나 불편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특정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고자 할 때, 파지 기능을 보조하여 안정적으로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하며, 연결 수단을 통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양측단부에서 사이 간격을 서로 다르게 별도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배치 상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손가락의 형태 또는 파지 대상물의 형상 등에 따라 가장 적합한 손가락 배치 상태를 유도하여 파지 기능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약자나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 손가락에 힘이 없거나 약하고, 아니면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용자의 경우, 숟가락이나 펜 등의 도구를 강하게 잡고 있지 못하여, 식사나 필기 등이 힘들다. 이에 따라 도구를 잡는 힘을 보조해 주는 장비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손에 보조기구를 장착하여 도구를 고정하는 것에 도움을 주는 기구들이 많이 선보여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보조 기구들은 일반적으로 필기구와 식기구 등을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강체로 제작되며 이는 사용자의 손의 크기, 형태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상태가 특정한 경우에 한정되어 적용되거나 또는 파지 대상물의 형태에 대해서도 한정적으로 적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였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들은 그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손의 자세나 사용 방법이 기존의 방법과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어색함과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어 그 사용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특히, 필기구 또는 식기구 등 어느 한 가지 대상물 만을 파지할 수 있는 형태의 장치들이 대부분으로, 다양한 대상물을 파지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139532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함과 동시에 그 사이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각 몸체에 삽입된 손가락의 위치를 일정 사이 간격으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이 손가락에 힘이 없거나 불편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특정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고자 할 때, 파지 기능을 보조하여 안정적으로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하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 수단을 통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양측단부에서 사이 간격을 서로 다르게 별도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배치 상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손가락의 형태 또는 파지 대상물의 형상 등에 따라 가장 적합한 손가락 배치 상태를 유도하여 파지 기능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 수단에 대해 걸림 돌기와 걸림 후크가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사이 간격 조절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사용이 더욱 편리한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에서 밀착 고정 수단을 통해 손가락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 형상 또는 상태가 다양하게 적용되더라도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와의 밀착 고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 기능을 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 범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손가락에 삽입 결합되어 손가락의 파지 기능을 보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로서, 엄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엄지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 1 몸체; 검지 및 중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검지 삽입홀 및 중지 삽입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 2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상호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상호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엄지, 검지 및 중지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서로 대응되는 일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서로 대응되는 일측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서로 대응되는 타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서로 대응되는 타측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양측단부에 대한 상호 이격 거리를 각각 별도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걸림 후크가 형성되는 제 1 조작 버튼과,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에는 상기 걸림 후크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 걸림 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제 1 걸림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걸림띠는 일단부가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 중 나머지 하나의 일측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후크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 1 조작 버튼은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후크의 맞물림 결합 상태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 중 어느 하나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걸림 후크가 형성되는 제 2 조작 버튼과,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에는 상기 걸림 후크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 걸림 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제 2 걸림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걸림띠는 일단부가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 중 나머지 하나의 타측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후크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 2 조작 버튼은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후크의 맞물림 결합 상태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제 1 걸림띠 또는 제 2 걸림띠의 타단부가 삽입 수용될 수 있는 가이드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에는 상기 엄지 삽입홀, 검지 삽입홀 및 중지 삽입홀에 삽입된 손가락이 각각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밀착 고정 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고정 수단은, 상기 엄지 삽입홀, 검지 삽입홀 또는 중지 삽입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몸체 또는 제 2 몸체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 블록; 및 일단이 상기 이동 블록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몸체 또는 제 2 몸체의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 블록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밀착 조작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함과 동시에 그 사이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각 몸체에 삽입된 손가락의 위치를 일정 사이 간격으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이 손가락에 힘이 없거나 불편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특정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고자 할 때, 파지 기능을 보조하여 안정적으로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 수단을 통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양측단부에서 사이 간격을 서로 다르게 별도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배치 상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손가락의 형태 또는 파지 대상물의 형상 등에 따라 가장 적합한 손가락 배치 상태를 유도하여 파지 기능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 수단에 대해 걸림 돌기와 걸림 후크가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사이 간격 조절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사용이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에서 밀착 고정 수단을 통해 손가락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 형상 또는 상태가 다양하게 적용되더라도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와의 밀착 고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 기능을 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 범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의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의 작동 변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의 밀착 고정 수단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의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의 작동 변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는 손가락에 삽입 결합되어 손가락의 파지 기능을 보조하는 장치로서, 엄지(P1)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몸체(100)와, 검지(P2) 및 중지(P3)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몸체(200)와, 제 1 몸체(100) 및 제 2 몸체(200)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몸체(100)는 엄지(P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엄지 삽입홀(110)이 관통 형성되고, 제 2 몸체(200)는 검지(P2) 및 중지(P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검지 삽입홀(210) 및 중지 삽입홀(220)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제 1 몸체(100) 및 제 2 몸체(200)는 일정 강도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때 형상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수단(300)은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를 연결하며,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상호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에는 각각 엄지(P1) 및 검지(P2)와 중지(P3)가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 수단(300)에 의해 상호 이격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는 엄지(P1), 검지(P2) 및 중지(P3)를 이용하여 대상물(T)을 파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대상물(T)인 연필, 펜 등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방식으로 숟가락, 컵 등 좀더 다양한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을 것이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연결 수단(300)은 제 1 연결부(301)와 제 2 연결부(3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제 1 연결부(301)는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서로 대응되는 일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서로 대응되는 일측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제 2 연결부(302)는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의 서로 대응되는 타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서로 대응되는 타측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 수단(300)이 제 1 연결부(301)와 제 2 연결부(302)로 구성됨으로써,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 사이의 이격거리는 양측단부에서 각각 별도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 1 연결부(301)는 제 1 몸체(100) 및 제 2 몸체(200) 중 어느 하나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걸림 후크(H)가 형성되는 제 1 조작 버튼(330)과,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에는 걸림 후크(H)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 걸림 돌기(S)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제 1 걸림띠(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걸림띠(310)는 제 1 몸체(100) 및 제 2 몸체(200) 중 제 1 조작 버튼(330)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일측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 1 걸림띠(310)의 걸림 돌기(S)가 걸림 후크(H)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장착되며, 제 1 조작 버튼(330)은 걸림 돌기(S)와 걸림 후크(H)의 맞물림 결합 상태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 1 연결부(301)의 제 1 조작 버튼(330)은 제 2 몸체(200)에 형성되고, 제 1 걸림띠(310)는 일단이 제 1 몸체(10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제 1 걸림띠(310)의 걸림 돌기(S)가 제 2 몸체(200)의 제 1 조작 버튼(330)의 걸림 후크(H)에 맞물림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조작 버튼(330)은 탄성력에 의해 걸림 후크(H)가 항상 제 1 걸림띠(310)의 걸림 돌기(S)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걸림 후크(H)와 걸림 돌기(S)의 맞물림 결합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걸림띠(310)의 걸림 돌기(S)는 제 1 걸림띠(310)가 제 1 조작 버튼(330)의 걸림 후크(H)에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간섭없이 자유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반대 방향, 즉, 걸림 후크(H)로부터 멀어지는 후진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걸림 돌기(S)가 걸림 후크(H)에 맞물림 결합되어 이동하지 못하고 구속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걸림띠(310)가 후진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1 조작 버튼(330)을 가압하여 걸림 돌기(S)와 걸림 후크(H)의 맞물림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야 한다.
이때, 제 1 몸체(100)에는 제 1 걸림띠(310)의 타단부가 삽입 수용될 수 있는 가이드 챔버(20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챔버(201)는 제 1 걸림띠(310)의 끝단부가 제 1 조작 버튼(330)의 걸림 후크(H)를 지나 전진 이동한 상태에서 제 1 걸림띠(310)의 끝단부가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와 동시에 제 1 걸림띠(310)의 끝단부에 대한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일측단부를 서로 인접한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제 1 몸체(100)에 고정 결합된 제 1 걸림띠(310)는 제 2 몸체(200)의 가이드 챔버(201) 내부로 삽입 수용되고, 이 상태가 완료되면, 제 1 걸림띠(310)의 걸림 돌기(S)는 제 1 조작 버튼(330)의 걸림 후크(H)에 맞물림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조작 버튼(330)을 가압하여 걸림 후크(H)와 걸림 돌기(S)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지 않으면, 제 1 걸림띠(310)는 위치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즉,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 일측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좁히고자 한다면, 단순히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일측단부를 서로 인접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그 사이 이격 거리를 다시 늘리고자 한다면, 제 1 조작 버튼(330)을 가압하여 걸림 후크(H)와 걸림 돌기(S)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한 후,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일측단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 챔버(201)에는 제 1 걸림띠(310)를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챔버(201)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는 별도의 탄성 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조작 버튼(330)을 가압하여 걸림 돌기(S)와 걸림 후크(H)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걸림띠(310)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 일측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게 될 것이다.
한편, 제 2 연결부(302)는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 타측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제 1 연결부(301)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구성된다. 즉, 제 1 몸체(100) 및 제 2 몸체(200) 중 어느 하나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걸림 후크(H)가 형성되는 제 2 조작 버튼(340)과,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에는 걸림 후크(H)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 걸림 돌기(S)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제 2 걸림띠(320)를 포함하고, 제 2 걸림띠(320)는 일단부가 제 1 몸체(100) 및 제 2 몸체(200) 중 나머지 하나의 타측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걸림 돌기(S)가 걸림 후크(H)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장착되며, 제 2 조작 버튼(340)은 걸림 돌기(S)와 걸림 후크(H)의 맞물림 결합 상태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연결부(302)는 전술한 제 1 연결부(301)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300)은 제 1 연결부(301)와 제 2 연결부(302)로 구성되어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서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가 서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조절되거나 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일측단부가 서로 더 근접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조절되거나 또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타측단부가 서로 더 근접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양 측단부에서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지 대상물(T)의 종류 및 사용자의 손가락 상태 등을 고려하여 더욱 다양한 파지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의 상호 대향면이 파지 대상물(T)과 접촉하며 파지 대상물(T)을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는 단순히 손가락의 위치만을 가이드할 뿐 실질적으로 파지 대상물(T)에 파지 기능은 손가락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의 밀착 고정 수단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100) 및 제 2 몸체(200)에 삽입된 손가락을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밀착 고정 수단(40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따라 손가락의 형상, 굵기 등이 모두 다르므로, 제 1 몸체(100)에 형성된 엄지 삽입홀(110) 또는 제 2 몸체(200)에 형성된 검지 삽입홀(210)과 중지 삽입홀(220)에 엄지(P1), 검지(P2) 및 중지(P3)가 삽입된 경우, 각 삽입홀에 손가락이 삽입 결합되지 못하고 너무 느슨하게 삽입되어 손가락으로부터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가 쉽게 빠져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이 제 1 몸체(100)와 제 2 몸체(20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각 몸체와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밀착 고정 수단(40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 고정 수단(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 삽입홀(110), 검지 삽입홀(210) 및 중지 삽입홀(220)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 1 몸체(100) 또는 제 2 몸체(20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 블록(410)과, 일단이 이동 블록(4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 1 몸체(100) 또는 제 2 몸체(200)의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 블록(410)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밀착 조작 로드(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블록(410)은 손가락에 밀착 접촉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밀착 조작 로드(4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을 제 1 몸체(100) 및 제 2 몸체(200)의 엄지 삽입홀(110), 검지 삽입홀(210) 및 중지 삽입홀(220)에 삽입한 상태에서, 각각 밀착 조작 로드(420)를 일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도 5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블록(410)이 각 삽입홀(110,210,220)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손가락에 밀착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손가락과 제 1 몸체(100) 및 제 2 몸체(200)는 더욱 강하게 접촉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몸체(100) 및 제 2 몸체(200)는 손가락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손가락에 대한 파지 기능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 1 몸체 101: 가이드 챔버
110: 엄지 삽입홀 200: 제 2 몸체
201: 가이드 챔버 210: 검지 삽입홀
220: 중지 삽입홀 300: 연결 수단
301: 제 1 연결부 302: 제 2 연결부
310: 제 1 걸림띠 320: 제 2 걸림띠
330: 제 1 조작 버튼 340: 제 2 조작 버튼
400: 밀착 고정 수단 410: 이동 블록
420: 밀착 조작 로드 H: 걸림 후크
S: 걸림 돌기

Claims (6)

  1. 손가락에 삽입 결합되어 손가락의 파지 기능을 보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로서,
    엄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엄지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 1 몸체;
    검지 및 중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검지 삽입홀 및 중지 삽입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 2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상호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상호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엄지, 검지 및 중지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서로 대응되는 일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서로 대응되는 일측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서로 대응되는 타측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서로 대응되는 타측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양측단부에 대한 상호 이격 거리를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걸림 후크가 형성되는 제 1 조작 버튼과,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에는 상기 걸림 후크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 걸림 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제 1 걸림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걸림띠는 일단부가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 중 나머지 하나의 일측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후크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 1 조작 버튼은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후크의 맞물림 결합 상태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 중 어느 하나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걸림 후크가 형성되는 제 2 조작 버튼과,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에는 상기 걸림 후크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 걸림 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제 2 걸림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걸림띠는 일단부가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 중 나머지 하나의 타측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후크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 2 조작 버튼은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후크의 맞물림 결합 상태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제 1 걸림띠 또는 제 2 걸림띠의 타단부가 삽입 수용될 수 있는 가이드 챔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에는 상기 엄지 삽입홀, 검지 삽입홀 및 중지 삽입홀에 삽입된 손가락이 각각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밀착 고정 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고정 수단은
    상기 엄지 삽입홀, 검지 삽입홀 또는 중지 삽입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몸체 또는 제 2 몸체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 블록; 및
    일단이 상기 이동 블록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몸체 또는 제 2 몸체의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 블록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밀착 조작 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KR1020150145784A 2015-10-20 2015-10-20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KR20170046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784A KR20170046209A (ko) 2015-10-20 2015-10-20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784A KR20170046209A (ko) 2015-10-20 2015-10-20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209A true KR20170046209A (ko) 2017-05-02

Family

ID=5874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784A KR20170046209A (ko) 2015-10-20 2015-10-20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62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924A (ko) 2020-06-18 2021-12-28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손 보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924A (ko) 2020-06-18 2021-12-28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손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89768A1 (en) Opening implement for accessory clasp
KR20170046209A (ko)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US20070132254A1 (en) Apparatus for gripping articles
US9808914B2 (en) Fastener structure for pliers
CA3020388A1 (en) Tool with handle offsets
JP5002400B2 (ja) 筆記具保持用補助具
JP2002293092A (ja) 筆記具保持具
JP2019008009A (ja) 箸用補助具
JP3205493U (ja) 介護用把持具
KR101756596B1 (ko) 자석이 설치된 유니버셜 커프
JP2007029052A (ja) 釣竿
KR20130140982A (ko) 자석을 이용한 도구 그립 보조 장갑
JP3198529U (ja) 矯正把持具
KR20170001600U (ko) 슬라이더 장치를 구비한 핀셋
JP2003275085A (ja) 箸補助具
CN209825581U (zh) 一种便携式装置的手持结构
KR101413201B1 (ko) 필기구
JP7026306B2 (ja) 押圧具
JP2016215617A (ja) 筆記具保持用補助
US20190075953A1 (en) Button Affixing Device
KR200356723Y1 (ko) 필기자세 교정기구
WO2021220945A1 (ja) 安全スイッチ装置
KR200232286Y1 (ko) 손가락 필기구
KR101658823B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CN204450268U (zh) 一种适用于火花塞拔线钳手柄的绝缘手柄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