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924A - 다기능 손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손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924A
KR20210156924A KR1020200074458A KR20200074458A KR20210156924A KR 20210156924 A KR20210156924 A KR 20210156924A KR 1020200074458 A KR1020200074458 A KR 1020200074458A KR 20200074458 A KR20200074458 A KR 20200074458A KR 20210156924 A KR20210156924 A KR 20210156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block
replacement block
locking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025B1 (ko
Inventor
김민혁
김다빈
서다현
윤현석
Original Assignee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0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4/00Methods or devices enabl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perate an apparatus or a device not forming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46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with means for attaching a writing instrument or a memo p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8Serving devices for one-hand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4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ssisting handicapped or disabled persons to wr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손 보조기구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 용도별 도구 교체가 가능함은 물론 도구에 대한 사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에 따라 손가락 근력이 부족하거나 신경 계통 이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사용자들의 사용 편의성과 만족감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손 보조기구{Multifunctional hand assist device}
본 발명은 손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 근력이 부족하거나 신경 계통 이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사용자들의 손에 착용되는 구조물에 용도(예; 필기, 식사 등)에 맞는 도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손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노약자나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들을 위한 일상생활 보조기구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장애의 종류 및 불편한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목적과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노약자나 신체 기능의 손상으로 인해 손가락에 힘이 없거나 근력이 약한 사람들은 숟가락이나 포크를 쥐고 식사를 하거나 음용수를 마시는 것은 물론 필기구를 쥐고 글을 쓰는 것이 어렵고, 심한 경우는 물건을 쥐고 드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유니버셜 커프(Universal Cuff) 또는 유텐실 커프(Utensil Cuff)로 불리우는 보조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유니버셜 커프는 일상 생활에 필요한 물건, 예를 들어 숟가락이나 포크 등의 식사 도구나 펜, 칫솔, 면도기 등과 같은 막대 유형의 생활 용품을 구멍이나 홀더에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보조기구이다.
그러나, 종래의 유니버셜 커프는 용도에 대응하여 하나의 목적으로만 제공되는 것으로, 하나의 커프 본체에 다른 용도로서 사용되는 도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는 없었다.
즉, 필기구를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셜 커프는 필기 용도로만 사용이 가능하고, 식사 도구를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셜 커프는 식사 용도로만 그 사용이 가능하며, 필기구 용도의 유니버셜 커프에 마련되는 구멍이나 홀더에 식사 도구를 끼워 사용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밴드 형태의 유니버셜 커프 내부 또는 외부 일부에 자석을 내장시켜 식사 도구는 물론 타이핑 보조 도구나 필기 보조 도구와 같은 생활물품에 자석이나 금속을 붙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니버셜 커프가 제안되기도 하였지만, 이러한 방식은 식사 도구 또는 필기구 등의 도구에 자석이나 금속이 붙어 있어야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그 사용이 제한될 수 밖에 없고, 특히 자력에 의존해서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자력을 넘어서는 무게나 힘이 가해지게 될 경우 쉽게 이동되거나 분리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 단점이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175644호(공고일 1999.02.18.)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596호(공고일 2006.09.13.)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6209호(공개일 2017.05.02.) 등록특허공보 제10-1756596호(공고일 2017.07.26.)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7829호(공개일 2018.06.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 용도별 도구 교체가 가능한 손 보조기구를 구성함으로써, 손가락 근력이 부족하거나 신경 계통 이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사용자들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다기능 손 보조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다기능 손 보조기구는, 손에 착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손에 착용시 이를 고정시키는 결속부; 상기 본체부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블럭 결합용 포트부; 및, 다중을 이루는 손 사용 도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손 사용 도구가 결합되어진 것으로, 상기 포트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체블럭;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손등을 감싸는 평판형의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와 절곡 가능한 연결부로 연결되면서 손바닥을 감싸는 것으로 상기 포트부가 형성되는 L자형의 제 2 본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는 실리콘 재질인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 1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면에 암놈 또는 숫놈의 벨크로를 가지는 고정부; 및, 상기 제 2 본체에 힌지로 연결되며 일면에 상기 고정부에 결속되는 숫놈 또는 암놈의 벨크로를 가지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트부에는 장착이 이루어진 상기 교체블럭을 잠금 고정하는 잠금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마주하는 한 쌍의 손잡이 로드; 상기 손잡이 로드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포트부에 장착되는 상기 교체블럭의 외주면으로 밀착되는 잠금로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손잡이 로드에 양단이 연결된 것으로, 상기 잠금 로드를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부; 및,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잠금 로드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잠금 로드가 상기 교체블럭의 외주면에 밀착시 상기 교체블럭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 로드를 동시에 누를때 상기 교체블럭으로부터 분리되는 잠금돌기;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체블럭은, 블럭프레임; 상기 블럭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포트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잠금돌기의 걸림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홀이 형성되는 포트 결합부; 및, 상기 블럭프레임의 타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필기용 도구가 끼움 고정되는 제 1 홀더;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체블럭은, 블럭프레임; 상기 블럭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포트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잠금돌기의 걸림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홀이 형성되는 포트 결합부; 및, 상기 블럭프레임의 타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면서 식사용 도구 일단이 끼움 또는 나선 결합되는 체결홈을 가지는 제 2 홀더;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홀더의 상기 체결홈에 상기 식사용 도구의 일단이 나선 결합시, 상기 체결홈의 내주면과 상기 식사용 도구의 일단 외주면에는 각각 나선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손 보조기구는 사용 용도별 도구 교체가 가능함은 물론 도구에 대한 사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를 통해 손가락 근력이 부족하거나 신경 계통 이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사용자들의 사용 편의성과 만족감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기능 손 보조기구 본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기 도구용 교체블럭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기 도구용 교체블럭이 다기능 손 보조기구 본체부에 결합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식사 도구용 교체블럭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식사 도구용 교체블럭이 다기능 손 보조기구 본체부에 결합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기능 손 보조기구의 본체부와 교체블럭이 잠금부의 잠금을 통해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기능 손 보조기구의 본체부와 교체블럭이 잠금부의 잠금 해제를 통해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기 도구용 교체블럭이 장착된 다기능 손 보조기구가 손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식사 도구용 교체블럭이 장착된 다기능 손 보조기구가 손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기능 손 보조기구 본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기 도구용 교체블럭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필기 도구용 교체블럭이 다기능 손 보조기구 본체부에 결합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식사 도구용 교체블럭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식사 도구용 교체블럭이 다기능 손 보조기구 본체부에 결합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기능 손 보조기구의 본체부와 교체블럭이 잠금부의 잠금을 통해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기능 손 보조기구의 본체부와 교체블럭이 잠금부의 잠금 해제를 통해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손 보조기구는, 본체부(10)에 필기용 도구(100)가 결합되어진 교체블럭(40)을 장착하거나, 상기 필기용 도구(100)가 결합되어진 교체블럭(40)을 분리시킨 후 식사용 도구(100')가 결합되어진 교체블럭(40')을 장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0), 결속부(20), 포트부(30), 그리고 상기 교체블럭(40 또는 40')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손에 착용되는 것이며, 이는 손가락 근력이 부족하거나 신경 계통 이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사용자들이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손의 피로도를 줄이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부(10)는 손등을 감싸는 평판형의 제 1 본체(11), 그리고 상기 제 1 본체(11)와 절곡 가능한 연결부(미도시)로 연결되면서 손바닥을 감싸는 것으로 상기 포트부(30)가 형성되는 L자형의 제 2 본체(1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결속부(20)는 상기 본체부(10)가 첨부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손에 착용시 이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는 고정부(21)와 밴드부(22)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21)는 상기 제 1 본체(11)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면에 암놈 또는 숫놈의 벨크로를 가지는 시트 구조물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밴드부(22)는 상기 제 2 본체(12)에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면에 상기 고정부(21)에 결속되는 숫놈 또는 암놈의 벨크로를 가지는 시트 구조물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속부(20)를 이루는 상기 고정부(21)와 상기 밴드부(22)는 착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손 크기에 따라 그 결속 위치를 달리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손 크기를 가지는 사용자가 착용시 그 결속력을 높이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포트부(30)는 상기 제 2 본체(12)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도구 결합용 홈 구조물로, 상기 교체블럭(40 또는 40')을 잠금 고정하도록 손잡이 로드(31a), 잠금로드(31b), 탄성부(31c), 잠금돌기(31d)가 포함되는 잠금부(31)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 로드(31a)는 상기 제 2 본체(12)의 저면측에서 사용자가 누름 조작이 가능하게 노출되는 마주하는 한 쌍의 구조물인 것이다.
상기 잠금로드(31b)는 상기 손잡이 로드(31a)로부터 각각 연장되면서 상기 손잡이 로드(31a)의 누름이 없을때 상기 포트부(30)내에서 상기 교체블럭(40 또는 4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교체블럭(40 또는 40')을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31c)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손잡이 로드(31b)에 양단이 연결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손잡이 로드(31a)의 누름이 없을 때 상기 잠금 로드(31b)를 잠금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탄성부(31c)는 상기 손잡이 로드(31a)의 누름이 없을 때 신장되면서 상기 손잡이 로드(31a) 및 이에 연장되는 잠금로드(31b)를 잠금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손잡이 로드(31a)의 누름시에는 압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잠금돌기(31d)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잠금 로드(31b)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잠금 로드(31b)가 상기 교체블럭(40 또는 40')의 외주면에 밀착될 때 상기 교체블럭(40 또는 40')에 걸림 고정되면서 상기 교체블럭(40 또는 40')이 상기 포트부(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이고, 상기 손잡이 로드(31a)를 동시에 누를때에는 상기 교체블럭(4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 상기 교체블럭(40 또는 40')은 상기 포트부(30)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교체블럭(40 또는 40')은 다중의 손 사용 도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도구가 결합되어진 교체 팁 구조물로서, 이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필기용 도구(100)가 결합되어지거나 또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식사용 도구(100')가 결합되어진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기용 도구(100) 또는 상기 식사용 도구(100')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손가락 근력이 부족하거나 신경 계통 이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손 사용 도구(예; 칫솔 등)가 결합되어진 교체블럭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체블럭(40)이 필기용 도구(100)가 결합되는 교체 팁 구조물인 경우, 상기 교체블럭(40)은 블럭프레임(41), 포트 결합부(42), 제 1 홀더(4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포트 결합부(42)는 상기 블럭프레임(41)의 일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포트부(3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잠금돌기(31d)의 걸림 고정을 위한 잠금홀(42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홀더(43)는 상기 블럭프레임(41)의 타면에 미도시된 회전 가이드부를 통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필기용 도구(100)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회전이 외력이 가해져야만 가능한 힌지축이거나 또는 톱니를 적용한 축부로서 상기 제 1 홀더(43)와 상기 블럭프레임(41)을 연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교체블럭(40')이 식사용 도구(100')가 결합되는 교체 팁 구조물인 경우, 상기 교체블럭(40')은 블럭프레임(41'), 포트 결합부(42'), 제 2 홀더(4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블럭프레임(41')과 상기 포트 결합부(42')는 상기 설명되는 필기용 도구(100)가 결합되어진 교체블럭(40)의 블럭프레임(41) 및 포트 결합부(42)와 동일한 구조물로서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홀더(43')는 상기 블럭프레임(41')의 타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면서 숟가락, 젓가락, 포크 중 어느 하나의 식사용 도구(100') 일단이 끼움 또는 나선 결합되는 체결홈(43a')을 가진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제 2 홀더(43')의 상기 체결홈(43a')에 상기 식사용 도구(100')의 일단이 나선 결합시, 상기 체결홈(43a')의 내주면과 상기 식사용 도구(100')의 일단 외주면에는 각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선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끼움 결합 구조에서는 상기 식사용 도구(100')의 일단이 상기 체결홈(43a')에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손 보조기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손가락 근력이 부족하거나 신경 계통 이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사용자들이 필기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본체부(10)를 이루는 제 2 본체(12)의 저면측 포트부(30)에 필기용 도구(100)가 결합되어진 교체블럭(40)을 결합시킨 후 그 결합 상태는 잠금부(31)를 통해 유지시킨다.
이후, 손가락 근력이 부족하거나 신경 계통 이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0)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본체(11, 12)를 통해 손등과 손바닥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11, 12)가 분리되지 않도록 암놈과 숫놈의 벨크로가 적용되는 결속부(20)의 고정부(21)와 밴드부(22)를 통해 결속시키면, 사용자는 상기 교체블럭(40)의 제 1 홀더(43)에 결합되어진 필기용 도구(100)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필기를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필기 진행이 종료된 이후에 손가락 근력이 부족하거나 신경 계통 이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사용자가 식사를 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잠금부(31)의 잠금을 해제시켜 상기 필기용 도구(100)가 결합되어진 상기 교체블럭(40)을 상기 제 2 본체(12)의 포트부(3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상기 제 2 본체(12)의 포트부(30)에 식사용 도구(100')가 결합되어진 교체블럭(40')을 장착한 후 다시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잠금부(31)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면, 손가락 근력이 부족하거나 신경 계통 이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사용자는 교체된 상기 교체블럭(40')에 결합되어진 식사용 도구(100')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손 보조기구는 손가락 근력이 부족하거나 신경 계통 이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사용자가 용도에 맞는 도구를 교체하면서 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사용 용도별로 손 착용을 위한 보조기구들을 별도 구입하고 또한 이들을 교체하면서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기능 손 보조기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본체부 11; 제 1 본체
12; 제 2 본체 20; 결속부
21; 고정부 22; 밴드부
30; 포트부 31; 잠금부
31a; 손잡이로드 31b; 잠금로드
31c; 탄성부 31d; 잠금돌기
40, 40'; 교체블럭 41, 41'; 블럭프레임
42, 42'; 포트 결합부 42a, 42a'; 잠금홀
43; 제 1 홀더 43'; 제 2 홀더
43a'; 체결홈 100; 필기용 도구
100'; 식사용 도구

Claims (9)

  1. 손에 착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손에 착용시 이를 고정시키는 결속부;
    상기 본체부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블럭 결합용 포트부; 및,
    다중을 이루는 손 사용 도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손 사용 도구가 결합되어진 것으로, 상기 포트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체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 보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손등을 감싸는 평판형의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와 절곡 가능한 연결부로 연결되면서 손바닥을 감싸는 것으로 상기 포트부가 형성되는 L자형의 제 2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 보조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 보조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 1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면에 암놈 또는 숫놈의 벨크로를 가지는 고정부; 및,
    상기 제 2 본체에 힌지로 연결되며 일면에 상기 고정부에 결속되는 숫놈 또는 암놈의 벨크로를 가지는 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 보조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부에는 장착이 이루어진 상기 교체블럭을 잠금 고정하는 잠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 보조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마주하는 한 쌍의 손잡이 로드;
    상기 손잡이 로드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포트부에 장착되는 상기 교체블럭의 외주면으로 밀착되는 잠금로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손잡이 로드에 양단이 연결된 것으로, 상기 잠금 로드를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부; 및,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잠금 로드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잠금 로드가 상기 교체블럭의 외주면에 밀착시 상기 교체블럭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 로드를 동시에 누를때 상기 교체블럭으로부터 분리되는 잠금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 보조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블럭은,
    블럭프레임; 상기 블럭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포트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잠금돌기의 걸림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홀이 형성되는 포트 결합부; 및, 상기 블럭프레임의 타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필기용 도구가 끼움 고정되는 제 1 홀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 보조기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블럭은,
    블럭프레임; 상기 블럭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포트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잠금돌기의 걸림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홀이 형성되는 포트 결합부; 및, 상기 블럭프레임의 타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면서 식사용 도구 일단이 끼움 또는 나선 결합되는 체결홈을 가지는 제 2 홀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 보조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홀더의 상기 체결홈에 상기 식사용 도구의 일단이 나선 결합시, 상기 체결홈의 내주면과 상기 식사용 도구의 일단 외주면에는 각각 나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손 보조기구.
KR1020200074458A 2020-06-18 2020-06-18 다기능 손 보조기구 KR102407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458A KR102407025B1 (ko) 2020-06-18 2020-06-18 다기능 손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458A KR102407025B1 (ko) 2020-06-18 2020-06-18 다기능 손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924A true KR20210156924A (ko) 2021-12-28
KR102407025B1 KR102407025B1 (ko) 2022-06-13

Family

ID=7917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458A KR102407025B1 (ko) 2020-06-18 2020-06-18 다기능 손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02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7189A (en) * 1994-04-26 1997-01-28 Barbee, Sr.; Gary W. Prosthetic utensil and tool holding device for both the right hand and left hand
KR0175644B1 (en) 1990-03-19 1999-02-18 Mark P Wilson Eating utensil for the manually impaired & general public
KR200426596Y1 (ko) 2006-07-06 2006-09-13 현 덕 신 필기구의 보조구
JP2009005728A (ja) * 2007-06-26 2009-01-15 Shigeru Matsui 手障害補助具
JP2011031502A (ja) * 2009-08-01 2011-02-17 Juhachishi Hatsumei:Kk 筆記具指保持具及び指装着用筆記具
WO2015004643A2 (en) * 2013-07-12 2015-01-15 Functionable S.R.L. Gripping aid for an individual having a gripping deficiency
KR20170046209A (ko) 2015-10-20 2017-05-02 주식회사 셈앤텍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KR101756596B1 (ko) 2016-10-11 2017-07-26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석이 설치된 유니버셜 커프
KR20180067829A (ko) 2016-12-13 2018-06-21 박택주 필기 보조기
KR20190051359A (ko) * 2017-11-06 2019-05-15 최원석 핸드용 유니버셜 커프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644B1 (en) 1990-03-19 1999-02-18 Mark P Wilson Eating utensil for the manually impaired & general public
US5597189A (en) * 1994-04-26 1997-01-28 Barbee, Sr.; Gary W. Prosthetic utensil and tool holding device for both the right hand and left hand
KR200426596Y1 (ko) 2006-07-06 2006-09-13 현 덕 신 필기구의 보조구
JP2009005728A (ja) * 2007-06-26 2009-01-15 Shigeru Matsui 手障害補助具
JP2011031502A (ja) * 2009-08-01 2011-02-17 Juhachishi Hatsumei:Kk 筆記具指保持具及び指装着用筆記具
WO2015004643A2 (en) * 2013-07-12 2015-01-15 Functionable S.R.L. Gripping aid for an individual having a gripping deficiency
KR20170046209A (ko) 2015-10-20 2017-05-02 주식회사 셈앤텍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KR101756596B1 (ko) 2016-10-11 2017-07-26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석이 설치된 유니버셜 커프
KR20180067829A (ko) 2016-12-13 2018-06-21 박택주 필기 보조기
KR20190051359A (ko) * 2017-11-06 2019-05-15 최원석 핸드용 유니버셜 커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025B1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6237B (zh) 具有挖空结构的厨用器具把手
KR101974276B1 (ko) 사용자 맞춤형 손 보조기
US20070209161A1 (en) Gripping aid for arrangement on an article of daily use
KR102407025B1 (ko) 다기능 손 보조기구
JP2010247293A (ja) 用具の柄
US5987687A (en) Handle for a bristle holding portion of a brush
JP6078359B2 (ja) 浴槽用手摺りの回転ハンドル
US20070050987A1 (en) Articulated spoon
US8387181B1 (en) Sheet system with handles
KR101846348B1 (ko) 집게형 도구 손잡이
JP3110363U (ja) 手指の不自由者用箸
KR20190051359A (ko) 핸드용 유니버셜 커프
KR20150019944A (ko) 식사 보조 로봇
CN210299648U (zh) 一种进食餐具的固定装置
JP3128736U (ja) 前止め式頸椎装具
CN104957944A (zh) 手握式筷子柄
KR101756596B1 (ko) 자석이 설치된 유니버셜 커프
CN213030649U (zh) 一种便于携带的多功能血氧仪
KR100913053B1 (ko) 때밀이타월
CN209711773U (zh) 用于上肢截肢者使用的手环装置
JP2003052512A (ja) 手障害者用食事補助具
JP3156223U (ja) 乳幼児用・介護用スプーン
CN104771043A (zh) 柔性关节连接的抓握式筷柄
KR200388050Y1 (ko) 작업성이 향상된 칼
JP4193124B2 (ja) ランドセルの肩ベルト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