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058A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058A
KR20170046058A KR1020160058139A KR20160058139A KR20170046058A KR 20170046058 A KR20170046058 A KR 20170046058A KR 1020160058139 A KR1020160058139 A KR 1020160058139A KR 20160058139 A KR20160058139 A KR 20160058139A KR 20170046058 A KR20170046058 A KR 20170046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member
wire
protective film
catheter
hollo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니시기시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6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61B17/2201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17/320725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with radially expandable cutting or abrad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01Angioplasty, e.g. PC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31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 A61B2017/22035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for retrieving or repositioning foreign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7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strument channel, e.g. for replacing one instrument by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2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 closed distal end, e.g. a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5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n open dist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61M2025/0681Systems with catheter and outer tubing, e.g. sheath, sleeve or guide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61M2025/0687Guide tubes having means for atraumatic insertion in the body or protection of the tip of the sheath during insertion, e.g. special designs of dilators, needles or she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08Guide wires having a ballo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과제] 혈관 내의 폐색물(閉塞物)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 레트르(retro)용 가이드 와이어를 파손시켜 버리지 않으며, 또 보호막을 가지는 메쉬 부재의 확장 수축을 원활히 행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1 소선(31)과 제2 소선(32)이 서로 짜여진 지름 방향으로 확장 수축하는 튜브 모양의 메쉬 부재(30)의 후단측의 내주를 피복하는 보호막(70A)을 가지는 카테터(11)로서, 상기 보호막(70A)은, 상기 제1 소선(31)과 상기 제2 소선(32) 중 어느 일방에만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혈관 내의 폐색물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를 파손시켜 버리지 않으며, 또 보호막(70A)을 가지는 메쉬 부재(30)의 확장 수축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터{CATHETER}
본 발명은, 혈관 내의 폐색물(閉塞物)을 포획하거나, 레트르(retro)용 가이드 와이어를 포획하거나 하기 위한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만성 완전 폐색(CTO:Chronic total occlusion) 등과 같이, 혈관 내가 폐색물에 의해서 폐색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의 치료에 이용되는 의료 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혈관 내의 폐색물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지름 방향으로 확장 또는 수축하도록 복수의 와이어가 서로 짜여진 폐색물 제거 엘리먼트를 구비한 맥관(脈管) 폐색물 제거 장치(카테터)가 있다.
또,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는, 메쉬로서의 자기(自己) 확장 가능한 에어리어를 가지는 카테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카테터에 있어서는, 자기 확장 가능한 에어리어의 후단부에, 카테터의 루멘 안으로 혈류를 유도하거나 또는 방향을 잡기 위한 깔때기의 역할을 하는 커버(보호막)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는, 접착 결합, 용접, 또는 코팅 등에 의해서 메쉬에 직접 형성되거나, 혹은, 기계식 체결구를 이용한 연결 등에 의해서 메쉬에 장착되거나 하고 있다.
게다가, 혈관 내의 폐색물의 반대측으로부터 삽입된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를 포획하기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지름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메쉬 모양의 부재를 구비한 카테터를 사용하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365592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11-517424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특허 문헌 1의 구성에 있어서는, 확장된 복수의 와이어에 의해서 제거된 폐색물을 세경(細徑)의 카테터의 선단으로부터 넣을 필요가 있고, 빠지는 것이 많아, 폐색물을 제거하는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를 포획하는 경우에는, 폐색물 제거 엘리먼트를 확장시켜 와이어를 세우고, 이 상태에서 폐색물 제거 엘리먼트의 그물눈에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 통과시키며, 그 후, 폐색물 제거 엘리먼트를 억지로 수축시켜 와이어를 눕히고, 복수의 와이어에 의해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를 구속하기 때문에,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가 무리하게 굴곡해 버려, 파손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특허 문헌 2의 구성에 있어서는, 메쉬의 움직임에 대해서 커버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없기 때문에, 메쉬의 확장 또는 수축이 원활히 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혈관 내의 폐색물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를 파손시켜 버리지 않으며, 또 보호막을 가지는 메쉬 부재의 확장 수축을 원활히 행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공(中空) 샤프트와, 상기 중공 샤프트의 선단에 접합된 튜브 모양의 메쉬 부재와, 상기 메쉬 부재의 선단에 접합된 선단 칩과, 상기 선단 칩에 접합된 코어 와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메쉬 부재는, 지름 방향으로 확장 수축하도록 적어도 제1 소선(素線)과 제2 소선이 서로 짜여져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 와이어에 의해서, 상기 메쉬 부재의 확장 수축이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는 카테터로서, 상기 메쉬 부재의 후단측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한 보호막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막은,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 중 어느 일방에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막에 의해서 혈관 내의 폐색물을 카테터의 선단으로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폐색물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메쉬 부재에 침입한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를 그대로 보호막의 안내 작용에 의해서 카테터 내에 원활히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메쉬 부재의 확장 수축 조작에 의해서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를 구속할 필요가 없게 되고,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를 파손시켜 버리지 않는다. 게다가, 상기 형태에서 상기 보호막이 접합된 메쉬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소선(素線)과 상기 제2 소선이 상기 보호막을 매개로 하여 서로 구속되어 버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메쉬 부재의 확장 수축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보호막의 후단은, 상기 중공 샤프트의 선단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메쉬 부재와 상기 중공 샤프트와의 접합 부분에서, 혈관 내의 폐색물이나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를 중공 샤프트 내에 누설하지 않고 원활히 유도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보호막의 선단부는, 상기 메쉬 부재의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 중 어느 일방에만 접합되어 있는 한편, 상기 보호막의 후단부는,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 중 어느 것에도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메쉬 부재가 확경(擴徑)했을 때, 상기 보호막의 선단부는 메쉬 부재에 추종하여 지름 방향으로 확장된다. 이것에 대해, 보호막의 후단부는 메쉬 부재의 움직임에 추종하지 않기 때문에, 지름 방향으로 확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메쉬 부재가 확경했을 때의 보호막의 형상을, 후단 방향을 향해 축경(縮徑)된 깔때기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보호막의 후단부가, 메쉬 부재의 제1 소선과 제2 소선 중 어느 것에도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혈관 내에서의 카테터의 유연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카테터는, 혈관 내의 폐색물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를 파손시켜 버리지 않으며, 또 보호막을 가지는 메쉬 부재의 확장 수축 조작을 원활히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메쉬 부재가 수축한 상태의 카테터를 나타내며, (a)는 개요를 나타내는 개요도이고, (b)는 (a)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메쉬 부재가 확장된 상태의 카테터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관한 메쉬 부재와 보호막과의 접합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의 (a)의 B-B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관한 카테터로서,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 통과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관한 카테터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 관한 카테터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7은 실시예 4에 관한 카테터를 나타내며, (a)는 개요를 나타내는 개요도이고, (b)는 (a)의 C-C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카테터를 구체화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하기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고,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 도 1의 (a), 도 2, 및 도 4 내지 도 7의 (a)에서는, 좌측이 체내에 삽입되는 선단측(원위측(遠位側, 먼 위치측))이고, 우측이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후단측(근위측(近位側, 가까운 위치측), 기단측(基端側))이다.
[실시예 1]
예를 들면 혈관 내의 폐색물(閉塞物)의 제거에 이용되는 카테터(11)는, 도 1의 (a), 도 1의 (b),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中空) 샤프트(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공 샤프트(20)는, 내부에 루멘(lumen)(23)을 가지도록 중공의 튜브 모양을 이루며, 선단부와 후단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벽에는, 후단측을 향해 개구하는 RX 포트(2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중공 샤프트(20)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튜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후단측과 선단측에서 다른 재료가 이용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후단측은, 스테인리스강(SUS304)이나 Ni-Ti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중공 샤프트(20)의 선단(22)에는, 메쉬 부재(30)가 접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메쉬 부재(30)는, 제1 소선(素線)(31)과 제2 소선(32)이 서로 짜여진 튜브 모양을 이루며, 상기 메쉬 부재(30)의 후단(36)과 상기 중공 샤프트(20)의 선단(22)이 접속되어, 상기 메쉬 부재(30)와 상기 중공 샤프트(20)가 거의 동축(同軸) 모양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메쉬 부재(3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소선(31) 및 상기 제2 소선(32)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SUS304)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적어도 상기 제1 소선(31)과 상기 제2 소선(32) 중 어느 일방에, 방사선 불투과성을 가지는 재료(예를 들면, 텅스텐이나 Co-Cr 합금)를 이용함으로써, 관동맥 조영시에, 시술자는 메쉬 부재(3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메쉬 부재(30)의 선단(37)에는, 선단 칩(40)이 접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선단 칩(40)은 튜브 모양을 이루며, 상기 선단 칩(40)의 선단에는 개구(4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선단 칩(40)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등의 유연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선단 칩(40)의 후단에는, 코어 와이어(50)의 선단이 접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코어 와이어(50)는, 상기 중공 샤프트(20)의 내부(루멘(23))에 삽입 통과되어 있고, 단면이 원형으로서 선단을 향해 세경화(細徑化)된 테이퍼 모양의 금속제 선재(線材)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 와이어(50)를 축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메쉬 부재(30)를 지름 방향으로 확장 수축할 수 있다.
또, 상기 중공 샤프트(20)의 후단에는, 커넥터(60)가 접합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메쉬 부재(30)의 후단측(35)의 내주에는, 두께가 얇고 가요성을 가지는 보호막(70A)이 튜브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의 (a) 및 도 2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중공 샤프트(20), 선단 칩(40), 커넥터(60), 및, 중공 샤프트(20) 및 메쉬 부재(30) 내에 배치된 코어 와이어(50)는,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다만, 보호막(70A) 내에 위치하고 있는 코어 와이어(50)에 대해서는,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보호막(70A)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인 벌룬 카테터의 벌룬에 이용되는 재료가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보호막(70A)은, 상기 메쉬 부재(30)의 후단측(35)의 내주(內周)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게다가, 상기 보호막(70A)의 후단(71)은, 상기 중공 샤프트(20)의 선단(22)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막(70A)의 후단(71)이, 상기 중공 샤프트(20)의 선단(22)에 접합되지 않고 상기 중공 샤프트(20)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 보호막(70A)의 선단부만이, 접착제(75)에 의해서 상기 메쉬 부재(30)와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막(70A)은, 선단부 이외가 메쉬 부재(30)의 어느 위치에도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Q)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호막(70A)의 선단부는, 상기 메쉬 부재(30)의 제1 소선(31)과 접착제(75)를 매개로 하여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소선(31)과 교차하는 제2 소선(32)은 접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보호막(70A)과 상기 제2 소선(32)은, 서로 구속되지 않고 개별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앞서 설명한 카테터(11)의 사용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카테터(11)에서는, 상기 코어 와이어(50)를 축방향으로 조작하여 상기 선단 칩(40)과 상기 중공 샤프트(20)와의 상대 거리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메쉬 부재(30)는 확경된 상태(도 2 참조) 또는 축경된 상태(도 1의 (a) 참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카테터(11)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메쉬 부재(30)가 축경된 상태에서 혈관 내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상기 메쉬 부재(30)가 CTO 부분 등의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곳에서 상기 코어 와이어(50)를 조작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쉬 부재(30)가 확경된 상태로 한다. 또, 상기 메쉬 부재(30)를 확경된 상태로 하는 위치는, 상황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메쉬 부재(30)가 확경되는 것에 따라, 상기 보호막(70A)의 선단측도 상기 메쉬 부재(30)의 상태 변화에 추종하여 확경되고, 상기 보호막(70A) 전체가 깔때기 형상이 된다(도 2 참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메쉬 부재(30)가 확경된 상태에서는, 폐색물 등을 상기 보호막(70A)의 선단(72)으로부터 상기 중공 샤프트(20) 내로 넣을 수 있다.
또, 해당 카테터(11)의 반대측으로부터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80)를 삽입한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경된 상태의 상기 메쉬 부재(30)의 선단부가,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80)가 도입되는 도입부(P)가 되고, 상기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80)가 상기 도입부(P)로부터 상기 메쉬 부재(30)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메쉬 부재(30) 내에 삽입된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80)가, 깔때기 형상이 된 상기 보호막(70A)의 안내 작용에 의해서 상기 중공 샤프트(20) 내로 안내된다. 그 후,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80)는, 중공 샤프트(20)의 루멘(23) 및 RX 포트(21)를 경유하여, 체외에 회수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카테터(11) 내로 안내된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80)는 파손되지 않고 포획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테터(11)는, 상기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80)와 조합시킨 의료 기기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보호막(70A)의 선단부는, 상기 메쉬 부재(30)를 구성하는 제1 소선(31)에만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메쉬 부재(30)를 확경할 때의 자유도가 높다. 즉, 상기 메쉬 부재(30)가 확경할 때, 상기 보호막(70A)의 선단부는 상기 메쉬 부재(30)의 제1 소선(31)의 움직임에게만 추종하여 지름 방향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상기 메쉬 부재(30)에서는, 상기 제1 소선(31)과 상기 제2 소선(32)이 서로 상기 보호막(70A)의 선단부에 구속되어 버리는 문제가 없게 되어, 상기 메쉬 부재(30)의 확장 수축이 원활히 행해진다.
게다가, 상기 보호막(70A)의 후단부는, 상기 제1 소선(31) 및 상기 제2 소선(32)에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메쉬 부재(30)가 확경되었을 때에도 지름 방향으로 확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메쉬 부재(30)의 확경시에서의 보호막(70A)을, 용이하게, 후단 방향을 향해 축경된 깔때기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보호막(70A)의 후단부가, 상기 메쉬 부재(30)의 제1 소선(31)과 제2 소선(32) 중 어느 것에도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혈관 내에서의 카테터(11)의 유연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막(70A)의 후단(71)은, 상기 중공 샤프트(20)의 선단(22)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메쉬 부재(30)와 상기 중공 샤프트(20)와의 접합 부분에서, 혈관 내의 폐색물이나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80)를 중공 샤프트(20) 내에 빠짐없이 원활히 유도할 수 있다. 또, 상기 보호막(70A)의 후단(71)은, 상기 중공 샤프트(20)의 선단(22)보다도 후단측의 위치까지(환언하면, 중공 샤프트(20)의 루멘(23)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괜찮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카테터(12)를, 도 5를 따라서 설명한다. 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카테터(12)에 있어서는, 보호막(70B)의 후단(73)과, 상기 중공 샤프트(20)의 선단(22)이, 거리 d만큼 이간하고, 상기 보호막(70B)이 메쉬 부재(30)의 후단측의 내주를 부분적으로 피복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막(70B)의 후단(73)이 중공 샤프트(20)에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보호막(70B)이 확장 수축할 때의 자유도가 더 향상되어, 메쉬 부재(30)의 확장 수축 조작이 보다 한층 원활하게 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카테터(13)를, 도 6을 따라서 설명한다. 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카테터(13)의 보호막(70A)은, 상기 보호막(70A)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서, 오직 상기 메쉬 부재(30)의 제1 소선(31)과 접착제(75)를 매개로 하여 접합되어 있다. 즉, 상기 카테터(13)는, 실질적으로 앞서 설명한 비접합부(Q)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상기 보호막(70A)은, 오직 상기 메쉬 부재(30)의 제1 소선(31)과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메쉬 부재(30)의 확장 수축은 원활히 행해진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카테터(14)를, 도 7의 (a), (b)를 따라서 설명한다. 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카테터(14)는, 이른바 2루멘 구조이며, 중공 샤프트(20)는, 내부에 중공 샤프트(20)와는 별도의 제2 중공 샤프트(25)가 삽입되어 있고, 중공 샤프트(20) 및 제2 중공 샤프트(25)는, 서로 용착되어 있다. 중공 샤프트(20)와 제2 중공 샤프트(25)와의 사이에, 루멘(23)이 형성되고, 제2 중공 샤프트의 내부에, 제2 루멘(24)이 형성되며, 이 제2 루멘(24)에 코어 와이어(50)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예 1~3의 카테터(11, 12, 13)와는 달리, 상기 중공 샤프트(20)의 루멘(23) 내에 상기 코어 와이어(50)가 삽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중공 샤프트(20)의 루멘(23) 내에서, 상기 코어 와이어(50)와, 상기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80)와의 간섭을 바람직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 중공 샤프트(20)의 루멘(23)에 넣어진 폐색물 등이 코어 와이어(50)에 부착하지 않기 때문에, 폐색물등에 의해, 코어 와이어(50)의 축방향으로의 조작이 저해되지 않아, 메쉬 부재(30)의 확장 수축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4 이외에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중공 샤프트(20)는, 단층 구조라도 좋고, 복수의 층을 가진 다층 구조라도 좋다.
또, 메쉬 부재(30)는, 제1 소선(31) 및 제2 소선(32)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소선을 추가로 더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또, 카테터(11, 12, 13, 14)는, 보호막(70A, 70B)과 제1 소선(31)이 접착제(75)를 매개로 하여 접합되어 있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보호막(70A)이 부분적으로 제1 소선(31)에 용착되어 접합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게다가, 카테터(11, 12, 13, 14)에서, 각 부재끼리의 접합 부분에 대해서도, 접합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보호막(70A, 70B)은, 제1 소선(31)을 대신하여, 제2 소선(32)에만 접합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실시예 1~4에서는, 보호막(70A, 70B)과 제1 소선(31)은, 제1 소선(31)과 제2 소선(32)이 교차하는 교점(交点)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접합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소선(31)과 제2 소선(32)이 교차하는 교점에서, 보호막(70A, 70B)은, 제1 소선(31)과 제2 소선(32) 중 어느 일방에만 접합해도 괜찮다.
또, 보호막(70A, 70B)은, 혈관 내의 폐색물 및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80)를 중공 샤프트(20) 내에 유도할 수 있는 것이면, 예를 들면 메쉬 부재(30)보다도 그물눈이 가는 메쉬재 등에 의해서 구성된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메쉬 부재(30)에 대해서, 상기 보호막(70A, 70B)이 축방향으로 복수 늘어서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레트르용 가이드 와이어(8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 가능하다.
11, 12, 13, 14 : 카테터 20 : 중공 샤프트
22 : 선단 25 : 코어 샤프트
30 : 메쉬 부재 31 : 제1 소선
32 : 제2 소선 35 : 후단부
40 : 선단 칩 50 : 코어 와이어
70A, 70B : 보호막 71 : 후단

Claims (3)

  1. 중공(中空) 샤프트와,
    상기 중공 샤프트의 선단에 접합된 튜브 모양의 메쉬 부재와,
    상기 메쉬 부재의 선단에 접합된 선단 칩과,
    상기 선단 칩에 접합된 코어 와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메쉬 부재는, 지름 방향으로 확장 수축하도록 적어도 제1 소선(素線)과 제2 소선이 서로 짜여져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 와이어에 의해서, 상기 메쉬 부재의 확장 수축이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는 카테터로서,
    상기 메쉬 부재의 후단측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한 보호막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막은,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 중 어느 일방에만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후단은, 상기 중공 샤프트의 선단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카테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선단부는, 상기 메쉬 부재의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 중 어느 일방에만 접합되어 있는 한편, 상기 보호막의 후단부는,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 중 어느 것에도 접합되어 있지 않은 카테터.
KR1020160058139A 2015-10-20 2016-05-12 카테터 KR201700460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6219A JP6368291B2 (ja) 2015-10-20 2015-10-20 カテーテル
JPJP-P-2015-206219 2015-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058A true KR20170046058A (ko) 2017-04-28

Family

ID=5641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139A KR20170046058A (ko) 2015-10-20 2016-05-12 카테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83645B2 (ko)
EP (1) EP3158954B1 (ko)
JP (1) JP6368291B2 (ko)
KR (1) KR20170046058A (ko)
CN (1) CN1065803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60A1 (ko) * 2018-03-26 2019-10-03 주식회사 타우피엔유메디칼 심근 전기 신호 감지 캡쳐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5385B2 (ja) * 2017-04-20 2020-09-16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6770179B2 (ja) * 2017-04-20 2020-10-1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18193600A1 (ja) * 2017-04-20 2018-10-2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6828141B2 (ja) * 2017-04-20 2021-02-10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6722350B2 (ja) * 2017-04-20 2020-07-1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18193603A1 (ja) * 2017-04-20 2018-10-2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18193599A1 (ja) * 2017-04-20 2018-10-2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18193598A1 (ja) * 2017-04-20 2018-10-2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CN107174397A (zh) * 2017-06-29 2017-09-19 天津优视眼科技术有限公司 一种眼科靶向植入支架的治疗装置
JP7078376B2 (ja) * 2017-10-18 2022-05-31 テルモ株式会社 回収デバイス
EP3706651A4 (en) * 2017-11-09 2021-07-28 Contego Medical, Inc. THROMBECTOMIC DEVICE AND METHOD OF USE
US11229451B2 (en) 2017-12-13 2022-01-25 Eric Raul GUERRA Thrombectomy catheter and methods of use
US11134967B2 (en) 2017-12-13 2021-10-05 Eric Raul GUERRA Thrombectomy catheter and methods of use
WO2019198210A1 (ja) * 2018-04-12 2019-10-17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19220612A1 (ja) * 2018-05-18 2019-11-2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19234797A1 (ja) * 2018-06-04 2019-12-12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20003492A1 (ja) * 2018-06-29 2020-01-02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2020062321A (ja) * 2018-10-19 2020-04-2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2020062319A (ja) * 2018-10-19 2020-04-2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2020062318A (ja) * 2018-10-19 2020-04-2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2020062320A (ja) * 2018-10-19 2020-04-2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20079825A1 (ja) * 2018-10-19 2020-04-2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2020062317A (ja) * 2018-10-19 2020-04-2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20079826A1 (ja) * 2018-10-19 2020-04-2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WO2021090425A1 (ko) * 2019-11-07 2021-05-14
CN112932612A (zh) * 2021-01-15 2021-06-11 上海市第六人民医院 一种斑块清除装置
US11471183B1 (en) 2021-02-18 2022-10-1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hrombectomy methods
US11504151B2 (en) 2021-02-18 2022-11-2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hrombectomy apparatuses
WO2022249414A1 (ja) * 2021-05-27 2022-12-0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22249412A1 (ja) * 2021-05-27 2022-12-0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22249413A1 (ja) * 2021-05-27 2022-12-0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0368A (en) * 1989-09-08 1993-01-19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Rapidly exchangeable and expandable cage catheter for repairing damaged blood vessels
US5836868A (en) 1992-11-13 1998-11-17 Scimed Life Systems, Inc. Expandable intravascular occlusion material remov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5490859A (en) 1992-11-13 1996-02-13 Scimed Life Systems, Inc. Expandable intravascular occlusion material remov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EP0794734B1 (en) 1993-04-29 2002-08-28 SciMed Life Systems, Inc. Expandable intravascular occlusion material removal device
US5897567A (en) 1993-04-29 1999-04-27 Scimed Life Systems, Inc. Expandable intravascular occlusion material remov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20040260333A1 (en) * 1997-11-12 2004-12-23 Dubrul William R. Medical device and method
US6908474B2 (en) * 1998-05-13 2005-06-2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embolization during treatment of carotid artery disease
US20020138094A1 (en) * 1999-02-12 2002-09-26 Thomas Borillo Vascular filter system
US7229463B2 (en) * 1999-07-30 2007-06-12 Angioguard, Inc. Vascular filter system for cardiopulmonary bypass
US20010031981A1 (en) * 2000-03-31 2001-10-18 Evans Michael A.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guidewire and treating chronic total occlusions
JP2004097807A (ja) * 2002-08-20 2004-04-02 Nipro Corp 血栓捕捉カテーテル
EP1641512A1 (en) * 2003-06-20 2006-04-05 Coloplast A/S A medical device comprising a braided portion
US8672990B2 (en) 2005-05-27 2014-03-1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Fiber mesh controlled expansion balloon catheter
US20070225750A1 (en) * 2006-03-10 2007-09-27 Brooke Ren Embolic protection systems
WO2009126747A1 (en) 2008-04-08 2009-10-15 Reverse Medical Corporation Occlus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8333783B2 (en) 2007-02-16 2012-12-18 Reverse Medical Corporation Occlusion device and method of use
WO2009124288A1 (en) 2008-04-04 2009-10-08 Reverse Medical Corporation Multi-utilitarian microcatheter system and method of use
US11911258B2 (en) * 2013-06-26 2024-02-27 W. L. Gore & Associates, Inc. Space filling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60A1 (ko) * 2018-03-26 2019-10-03 주식회사 타우피엔유메디칼 심근 전기 신호 감지 캡쳐카테터
KR20190112565A (ko) * 2018-03-26 2019-10-07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심근 전기 신호 감지 캡쳐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68291B2 (ja) 2018-08-01
JP2017077323A (ja) 2017-04-27
CN106580396A (zh) 2017-04-26
EP3158954A1 (en) 2017-04-26
US10383645B2 (en) 2019-08-20
EP3158954B1 (en) 2019-03-27
CN106580396B (zh) 2019-06-18
US20170105742A1 (en)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6058A (ko) 카테터
US11529155B2 (en) Retrieval system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11517339B2 (en) Flexible intravascular treatment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09069796B (zh) 血管内治疗部位进入
US20120053596A1 (en) Medical snare device
KR102113385B1 (ko) 카테터 및 벌룬 카테터
JP6972315B2 (ja) カテーテル
JP6563075B2 (ja) カテーテル
JP6811511B2 (ja) 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
WO2023171200A1 (ja) カテーテル
JP2022059511A (ja) カテーテル
JP2007202614A (ja) 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